박사

栗谷·巍巖·鹿門의 性理學 體系에 있어 ‘氣’의 역할과 위상에 관한 연구

이종미 2020년
논문상세정보
' 栗谷·巍巖·鹿門의 性理學 體系에 있어 ‘氣’의 역할과 위상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巍巖
  • 栗谷
  • 理通氣局說
  • 鹿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7 0

0.0%

' 栗谷·巍巖·鹿門의 性理學 體系에 있어 ‘氣’의 역할과 위상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李柬,『巍巖遺稿』(『韓國文集叢刊190』)
    李柬,『巍巖遺稿』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1997]
  • 홍 군,「‘이기일물론’과 ‘이기지묘설 ; 整庵과 栗谷의 이기론 비교」
    『율곡학연구』 31권 [2015]
  • 한국사상사연구회,『조선유학의 개념들』
    한국사상사연구회 서울 ;예문서원 [2002]
  • 한국사상사연구회,『인성물성론』
    한국사상사연구회 서울 ;한길사 [1994]
  • 하 나,「巍巖心性一致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구조적 해명」
    『유학연구』38권 [2017]
  • 풍우란 著, 박성규 옮김,『중국철학사』, 서울
    풍우란 까치 [1999]
  • 이시다 히데미, 이동철 역주,『氣흐르는 신체』
    이시다 서울 ;열린책들 [1996]
  • 예문동양사상연구원 황의동 편저,『율곡 이이』
    예문동양사상연구원 서울 ;예문서원 [2002]
  • 역주,『범주로 보는 주자학』
    아키라 오하마 이형성 서울 ;예문서원 [1997]
  • 역주, 『내단』
    김낙필 김용수 이석명 이원국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 암사상연구소 엮음,『외암 이간의 학문세계』
    외암사상연구소 서울 ;지영사 [2009]
  • 민족과 사상 연구회 편,『四端七情論』
    민족과 서울 ;서광사 [1997]
  • 김 호,『허준의 동의보감 연구』
    서울 ;일지사 [2000]
  • 구로다 겐지 著, 전경진 譯,『氣의 硏究』
    구로다 裡里;圓光大學校出版局 [1987]
  • 韓元震,『南塘集』(『韓國文集叢刊201-202』)
    韓元震,『南塘集』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1999]
  • 陳淳著, 박완식 옮김,『性理字義』
    陳淳著 서울 ;여강 [2005]
  • 陳來著, 『朱熹哲學硏究』
    陳來著 北京:중국사회과학출판사 [1988]
  • 趙聖期,『拙修齊集』(『韓國文集叢刊147』)
    趙聖期,『拙修齊集』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1995]
  • 著, 이종란 外옮김,『주희의 철학』
    진래 서울 :예문서원 [2002]
  • 臺北 ; 臺灣中華書局
    [1973]
  • 眞心直說, 普照全書
  • 林泳,『滄溪集』(『韓國文集叢刊159』)
    林泳,『滄溪集』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1995]
  • 李震相,『韓州先生文集』(『韓國文集叢刊317-318』)
    李震相,『韓州先生文集』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2003]
  • 李縡,『陶菴集』(『韓國文集叢刊194-195』)
    李縡,『陶菴集』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1997]
  • 李珥,『栗谷全書』(『韓國文集叢刊44-45』)
    李珥,『栗谷全書』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1989]
  • 李滉,『退溪集』(『韓國文集叢刊29-30』)
    李滉,『退溪集』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1989]
  • 朱熹,『朱子全書』, 上海;上海古籍出版社, 2000.
  • 朱熹, 『晦庵集』, 文淵閣 四庫全書DB.
  • 成渾,『牛溪集』(『韓國文集叢刊43』)
    成渾,『牛溪集』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1989]
  • 徐遠和著, 손흥철 옮김,『이정의 신유학』
    徐遠和著 고양 ;동과서 [2011]
  • 張立文主編, 김교빈 옮김, 『기의 철학』
    張立文主編 서울 ;예문서원 [2004]
  • 小野澤正一, 外, 전경진 譯,『氣의 思想』
    小野澤正一 裡里;圓光大學校出版局 [1987]
  • 奇大升,『高峯集』(『韓國文集叢刊40』)
    奇大升,『高峯集』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1989]
  • 友枝龍太郞,『주자의 사상형성』, 춘추사
    友枝龍太郞 소화34년
  • 任聖周,『鹿門集』(『韓國文集叢刊228』)
    任聖周,『鹿門集』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1999]
  • 『호락논쟁의 본질과 임성주의 철학사상』
    홍정근 서울 ;한국연구원 [2007]
  • 『호락논쟁 형성과 전개』
    문석윤 고양 ;동과서 [2006]
  • 『한국철학사』
    최영진 서울 ;새문사 [2009]
  • 『한국유학사』
    윤사순 서울 ;지식산업사 [2012]
  • 『주희 철학의 인식론』
    김우형 서울 ;심산 [2005]
  • 『주자』
    이동희 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7]
  • 『조선조 유학사상사의 양상』
    최영진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5]
  • 『조선의 유학자들, 켄타우로스를 상상하며 理와 氣를 논하다』
    이향준 서울 ;예문 서원 [2011]
  • 『조선유학의 개념들』
    김형찬 서울 ;예문서원 [2002]
  • 『율곡이 묻고 퇴계가 답하다』
    김형찬 서울 ;바다출판사 [2018]
  • 『율곡 이이』
    황의동 서울 ;예문서원 [2002]
  • 『율곡 이이 사상과 철학의 이해 2』
    최영조 강릉 ;율곡학회 [2006]
  • 『유교사상이 본질과 현재성』
    최영진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2]
  • 『녹문 임성주의 삶과 철학』
    손흥철 서울 ;지식산업사 [2004]
  • 『韓國儒學의 哲學的展開』
    배종호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사 [1985]
  • 『理氣論의 一元論化연구 ; 鹿門任聖周와 盧沙奇正鎭을 중심으로』
    김형찬 고려 대학교 박사논문 [1996]
  • 『朱子の哲學』
    [1983]
  • 『朝鮮王朝實錄』
    박시백 孝宗, 서울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15]
  • 『朝鮮朝儒學思想의 探究』
    최영진 서울 ;여강출판사 [1988]
  • 『朝鮮前期性理學硏究』, 서울 ;景仁文化史』
    이애희 [2002]
  • 「李珥학문관의 수양론적 함의 ;『聖學輯要』를 중심으로」
    김인규 『온지논총』 53권 [2017]
  • 「李珥의 理通氣局論에 대한 후학의 학문적계승과 변화 양상 탐구」
    이형성 『유학 연구』36권 [2016]
  • 「栗谷李珥의 心性論에 대한 연구」
    최일범 『퇴계학보』128권 [2010]
  • 「栗谷李珥의 心性論에 관한 硏究」
    김경호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01]
  • 「栗谷의 氣質變化論硏究」
    이경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1995]
  • 「鹿門任聖周理氣觀硏究」
    배문규 『윤리교육연구』18권 [2009]
  • 「鹿門任聖周의 理氣論」
    손흥철 『한국사상과 문화』8권 [2000]
  • 「鹿門任聖周의 人物性相異論」
    손흥철 『한국사상과 문화』 [2000]
  • 「호락논쟁의 근본문제 연구」
    이상익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참조 [1986]
  • 「호락논쟁에서 明德의 쟁점화 과정 연구 ― 巍巖李柬의 心과 氣質의 分辨을 중심으로 ―」
    배재성 『한국철학논집』제54집 [2017]
  • 「호락논쟁에 관한 임성주의 비판적 지양 연구」
    홍정근 성대 박사논문 [2002]
  • 「호락논쟁 이전 율곡학파의 미발론과 인물성동이론」
    장숙필 『율곡학연구』26권 [2013]
  • 「조선후기 사상사의 쟁점 ;조선후기 성리학과 실학의 관계성 - 남당, 외암 이후 호락논쟁의 중요문집 정리 및 분석」
    이상미 『한국사상사학』24권 [2005]
  • 「조선 후기의 주체와 타자 인식 ;조선후기 주체와 타자인식의 철학적 기반 1 -巍巖과 南塘의 인성,물성론을 중심으로」
    홍정근 『한국사상사학』27권 [2006]
  • 「조선 후기 人物性同異논쟁과 理通氣局說의 관계 연구 ;南塘韓元震의 性 三層說과 巍巖李柬의 반박을 중심으로」
    배재성 『율곡학연구』33권 [2016]
  • 「정이천의 생의 원리와 감통의 문제」
    인현정 이화여대 박사논문 [2009]
  • 「임성주의 각구일태극에 대한 새로운 해석」
    홍정근 『동양철학연구』39권 [2004]
  • 「인물성동이론의 생태학적 해석」
    최영진 『유교사상문화연구』제10호 [1998]
  • 「인물성동이논쟁의 요인 ;외암과 남당의 용어 분석을 중심으로」
    홍정근 『한국사 상사학』18권 [2001]
  • 「이기론의 재검토 : 鹿門任聖周의 이기론」
    김낙필 『동양철학연구』15권 [1995]
  • 「이간적 '실사'론 천석」
    안재호 『동양철학연구』75권 [2013]
  • 「이간의 심론에 대한 고찰 - 스피노자의 『윤리학』을 통하여-」
    최해숙 『유학 연구』19권 [2009]
  • 「율곡학파의 심시기와 철학적 문제의식」
    김경호 『율곡사상연구』제27권 [2013]
  • 「율곡학파의 ‘理發’ 이해에 나타난 방법과 특징 - 李珥직계 계열을 중심으로」
    김승영 『동서철학연구』71권 [2014]
  • 「율곡학의 관점에서 본 호락논쟁의 쟁점과 낙론의 성격 ?미발론과 인물 성론을 중심으로-」
    윤연석 『율곡학연구』26권 [2013]
  • 「율곡학맥의 미발논의와 心의 주재성 강화」
    이천승 『한국동양철학회』 [2015]
  • 「율곡의 이통기국에 관한 연구」
    황의동 『철학논총』56권, 새한철학회 [2009]
  • 「율곡의 이통기국설에 대한 외암의 견해 고찰 -타자와의 관계 인식 문제 를 바탕으로」
    홍정근 『한국사상사학』31권 [2008]
  • 「율곡 이통기국의 영향 고찰 ?호락논쟁을 중심으로-」
    서원혁 『동서철학연구』 85권 [2017]
  • 「율곡 이기론의 서양철학적 조명」
    유원기 『율곡학연구』31권 [2015]
  • 「유교의 화합과 회통사상 -율곡학파의 이일분수설을 중심으로-」
    홍정근 『동서철 학연구』제56호 [2010]
  • 「외암과 녹문의 이기동실 비교연구」
    이명심 『동양철학연구』제87집 [2016]
  • 「외암과 녹문의 理氣同實論비교연구」
    이명심 『동양철학연구』87권 [2016]
  • 「외암 이간의 철학사상 연구 - 인물성구동론과 미발심성본선론을 중심으 로 -」
    이영춘 『동양철학연구』11권 [1990]
  • 「외암 이간과 남당 한원진의 인물성동이논변에 관한 연구」
    문석윤 『동방학지』 118권 [2002]
  • 「외암 심성론에서의 기질지성 배치 문제 재검토」
    홍정근 『한국사상사학』25권 [2005]
  • 「양반마을의 門中儀禮와 宗族意識-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禮安李氏의 사례」
    이연숙 『한국사히사학회』사회와역사 제75집 [2007]
  • 「심학의 관점으로 본 율곡의 성리설과 수양공부론」
    안영석 『유학연구』37권 [2016]
  • 「성리학의 기호 배치방식과 조선유학의 분기」
    이승환 『동양철학연구』70권 [2012]
  • 「사계-우암 계열의 퇴율 읽기와 학단의 분열 -이발(理發) 비판과 심시 기(心是氣) 강조의 한계-」
    정도원 『한국사상사학』51권 [2015]
  • 「도덕감정과 도덕본성의 관계」
    김형찬 『민족문화연구』, 74호 [2017]
  • 「녹문과 노사의 율곡철학에 대한 재해석」
    김경호 『율곡학연구』23권 [2011]
  • 「녹문 임성주의 이기철학에 관한 일고」
    김문준 『동서철학연구』8권 [1991]
  • 「녹문 임성주의 생애와 그 학술 경향」
    정병연 『퇴계학보』101권 [1999]
  • 「녹문 임성주 수양론의 체계와 특징」
    김승영 『동서철학연구』83권 [2017]
  • 「남당 외암 미발론변의 재검토- 퇴계의 사단칠정론쟁과 대비하여」
    최영진 『한국 동양철학회』 [2008]
  • 「낙학의 인물성동론에 대한 임성주의 비판」
    홍정근 『동양철학연구』36권 [2004]
  • 「기호유학의 현대적 조망 : 외암과 남당의 미발론이 갖는 도덕철학상의 배경」
    김기현 『동양철학회』제39집 [2004]
  • 「교기질론을 중심으로 본 율곡의 공부론」
    장숙필 『유교문화연구』제13집 [2008]
  • 「鹿門任聖周의 사단칠정론고」
    배상현 『한중철학』제6집 [2000]
  • 「鹿門任聖周의 理氣一元論考察」
    손흥철 남명학』23권 [2018]
  • 「退溪?高峯?栗谷四端七情論의 爭點에 관한 對比的硏究; ‘所從來’의 問題를 中心으로」
    조첨첨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2019]
  • 「退栗의 理氣論과 世界認識」
    최영진 『대동문화연구』제28집 [1993]
  • 「花潭?退溪?栗谷성리학 체계에 있어 ‘氣’ 인식의 비교 연구」
    이종미 『철학 논총』, 94집 [2018]
  • 「湖洛論爭形成期未發論辨의 樣相과 巍巖‘未發’論의 특징」
    문석윤 『한국사상사 학』31권 [2008]
  • 「氣質變化, 욕망의 정화를 위한 성리학적 기획 ; 栗谷李珥의 心性修養論을 중심으로-」
    김형찬 『철학연구 』38권 [2009]
  • 「梅月堂이 理氣論에 대한 考察」
    최일범 『동양철학연구회』, 제5회 학술발표 [1992]
  • 「栗谷의 未發之中」
    배종호 『동방학지』제19집 [1978]
  • 「栗谷의 太極論硏究」
    손흥철 『율곡학연구 』36권 [2018]
  • 「栗谷理通氣局論의 內包와 外延」
    손흥철 『율곡사상연구』제29집 [2015]
  • 「栗谷李珥의 理通氣局說과 人物性論」
    장숙필 『율곡학보』14집 [2000]
  • 「朱熹的“理氣同異論”與韓國儒學史上的人物性同異論爭」
    형려국 『성균관대유교 문화연구소』14권 [2010]
  • 「朱子萬年說에대한 재검토- 未發의 卦象과 知覺不昧의 의미를 중심으로」
    홍성민 『철학연구』제118집, 대한철학회 [2011]
  • 「未發之中에 대한 나흠순과 율곡의 이해」
    최보경 『용봉인문논총』 [2017]
  • 「易數策에 드러난 栗谷의 自然學的易學觀」
    이난숙 『율곡학연구』25권 [2012]
  • 「巍巖李柬의 심성일치론 연구」
    정연우 『한국사상사학』제27집 [2006]
  • 「巍巖李柬文學의 實體와 影響原」
    정경훈 『유학연구』제32집 [2015]
  • 「巍巖의 미발설과 心性一致의 수양론」
    이천승 『철학연구』제40집 [2010]
  • 「南塘미발론과 공부론의 현실적 함의」
    이승환 『철학연구』제40권 [2011]
  • 「18세기 호락논변에 끼친 율곡학의 영향 : ‘理通氣局說’을 중심으로」
    이천승 『율 곡학연구』28권 [2014]
  • 「17세기 율곡학파의 인심도심 논변 -이세필, 송시열, 윤증의 ‘氣用事’ 논 변을 중심으로-」
    이선열 『동양철학연구』57권 [2009]
  • 「16∼17세기 養生書편찬과 그 배경」
    김성수 『한국사상사학』24집 [2005]
  • ?巍巖 李柬의 本心涵養 修養論에 관한 硏究?, ??
    이천승 『한국사상과 문화』제45집 [2008]
  • ??한국성리학의 발전과 심학적 실학적 변용??
    최영진 서울 ;도서출판 문사철 [2017]
  • ??17세기 조선, 마음의 철학??
    이선열 파주 ;글항아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