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고려시대 상례 복식 문화 연구

박민재 2020년
논문상세정보
' 고려시대 상례 복식 문화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고려시대
  • 상례
  • 상복
  • 상장례
  • 의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56 0

0.0%

' 고려시대 상례 복식 문화 연구' 의 참고문헌

  • 麗元王室通婚의 成立과 特徵 梨大史苑 24?
    김혜원 25 [1989]
  • 한중 외교관계와 조공책봉
    방향숙 서울: 고구려연구재단 [2005]
  • 한국중세의 吉禮와 雜祀
    김철웅 서울: 경인문화사 [2007]
  • 한국의 상례문화-한국 유교식 상례의 변화와 지속
    김시덕 서울: 민속원 [2012]
  • 한국의 상례-한국인의 생사관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양승이 서울: 한길사 [2010]
  • 한국 고대의 죽음과 喪 祭禮 한국고대사연구 65 2012
    채미하 신라의 흉례 수용과 그 의미 韓國思想史學 42 [2012]
  • 춘추공양전
    곽성문 서울: 인간사랑 [2015]
  • 즉위식, 국왕의 탄생
    김지영 서울: 돌베개 [2013]
  • 중국고대 상복의 제도와 이념
    김용천 장동우 서울: 동과서 [2007]
  • 중국 고대 孝이념의 형성과 그 변화 효학연구 1 2010
    최진묵 漢書 禮樂志의 세계 역사문화연구 37 [2004]
  • 주례
    이준영 서울:자유문고 [2002]
  • 조선초기의 對外征伐과 對明意識
    이규철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조선중기 이후 가사(袈裟)의 유형과 변천
    강선정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조선시대 國葬에서 朝祖儀설행 논의와 결과 규장각 31 2008, 규범의 근거로서 친친(親親) 존존(尊尊)의 정당화 문제, 동양철학 연 구 54 2011, 덕치의 상징체계로서 유교국가의 즉위의례 한국실학연구 21 2016
    박례경 鄭玄禮學의 이론 구성적 성격-정현 三禮學과 古禮의 재구성 태 동고전연구 36 [2007]
  • 조선 왕실의 상장례
    이현진 신구문화사 [2017]
  • 전한(前漢) 애제(哀帝)의 입계대통(入繼大統)과 ‘위인후(爲人後)’ 예설 (禮說) 논쟁(論爭), 중국사연구 2013
    김용천 北魏孝文帝‘三年喪’의 실체와 그 성격 中國史硏究 86 [2006]
  • 이정란, , 고려 肅宗妃明懿太后의 정치적 위상 한국인물사연구 6 2011
    이정란 고려 宣宗妃思肅太后와 仁宗妃恭睿太后 한국인물사연구 16 [2006]
  • 이상아 외, 국역 의례-상례편
    이상아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5]
  • 이미지, , 고려시기 對거란 외교 관계의 전개와 특징
    이미지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12]
  • 이미지, , 고려 성종대 地界劃定의 성립과 그 외교적 의미 한국중세사연구 24 2014
    이미지 13세기 초 고려의 국제 환경 변화와 생애 기록-고려 墓誌를 중심으 로 고려사학회 55 [2008]
  • 이름, 묘호
    왕의 임민혁 서울: 문학동네 [#REF!]
  • 이 욱, , 조선시대 국왕의 죽음과 상장례
    서울: 민속원 [2017]
  • 의례 역주 7
    장동우 서울: 세창출판사 [2014]
  • 의례 역주 6
    김용천 서울: 세창출판사 [2014]
  • 웨슬러 저, 임대희 역, 비단같고 주옥같은 정치
    하워드 서울: 고즈윈
  • 와타나베 요시히로 저, 김용천 역, , 후한 유교국가의 성립
    와타나베 서울: 동과서 [2011]
  • 예지의 성격과 가치 고려시대연구 Ⅴ, 한국정신문화연구 원 , 고려사 예지 역주(3) 고려시대연구 Ⅷ,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7, 고려사 예지 역주(4) 고려시대연구 ?
    고려사 정구복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5]
  • 예기 상례의 인문관
    공병석 서울: 학고방 [2013]
  • 예(禮)로 지은 경복궁: 동양 미학으로 읽다
    임석재 서울: 인물과 사상 [2015]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고려시대 율령의 복원과 정리
    영남대학교 서울: 경인문화사 [2010]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편, , 한국 중세의 정치사상과 周禮
    연세대학교 서울: 혜안 [2005]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편, , 중세사회의 변화와 조선건국
    연세대학교 서울: 혜안 [2005]
  • 역주 고려 묘지명 집성 상, 강원도: 한림대학교출판부 2016, (속)고려묘지명집성
    김용선 강원도: 한림대학교출판부 [2012]
  • 역주
    고려사 박용운 백관지 서울: 신서원 [#REF!]
  • 역주
    고려사 채웅석 형법지 서울: 신서원 [#REF!]
  • 역사학회, , 전쟁과 동북아의 국제질서
    역사학회 서울: 일조각 [2006]
  • 역, , 요 금의 역사
    나영남 이계지 조복현 서울: 신서원 [2014]
  • 역, , 사기 본기
    신동준 서울: 학오재 [2016]
  • 여말선초 명의 예제와 지방 성황제 재편 역사와 현실 72 2010, 1356년(공민왕 5)~1369(공민왕 18) 고려-몽골(원) 관계의 성격 歷 史敎育 116 2010, 조선초기 ‘時王之制’의 논의 구조의 특징과 중화 보편의 추구 朝 鮮時代史學報 52 2010, 고려시대 朝賀儀의례 구조의 변동과 국가 위상 韓國文化 51 2016, 현종대 고려-거란 관계와 외교 의례 동국사학 60 2017, 고려후기 ‘자신을 이(夷)로 간주하는 화이의식’의 탄생과 내향화-조 선적 자기 정체성의 모태를 찾아서- 民族文化硏究 74 2017
    최종석 13~15세기 천하질서하에서 고려와 조선의 국가 정체성 역사비평 121 [2009]
  • 앤거스 그래이엄 저, 나성 역, , 도의 논쟁자들(개역판)
  • 신라의 국가제사
    나희라 서울: 지식산업사 [2003]
  • 신라 국가제사와 왕권
    채미하 서울: 혜안 [2008]
  • 송원시대의 고려사 자료 1 2
    이근명 서울: 신서원 [2010]
  • 송 고려의 외교교섭과 인식
    이석현 대응-북송말 남송초를 중심으로 中 國史硏究 39 [2005]
  • 성리학적 역사관과 전통문화인식 韓國思想史學 31
    이제현의 최봉준 고려 태조∼현종대 다원적 사상지형과 왕권 중심의 사상정책 한 국중세사연구 45 [2016]
  • 상례
    김시덕 누구를 위한 의례인가 민속학연구 7 [2000]
  • 불가(佛家)의 상례(喪禮)와 승상복도(僧喪服圖)
    김순미 동양한문학연구, 21 [2005]
  • 반고, 신정근 역, 백호통의
    반고 서울: 소명출판
  • 민족문화추진회 역, 고려도경
    서긍 서울: 서해문집
  • 문형만, , 高麗諸司都監各色硏究
    문형만 서울: 第一文化史 [1986]
  • 문형만
    문형만 高麗特殊官府硏究 釜山史學 9 [1985]
  • 명초 국제질서의 재편과 고려의 위상-홍무연간 명의 사신 인선을 중 심으로 역사와 현실 89 2015, 고려시대 사신 영접 의례의 변동과 국가 위상 역사와 현실 98 2016, 고려-남송 외교 관계에서 商人의 역할 동서인문학 51 2017
    정동훈 冊과 誥命- 고려시대 국왕 책봉문서 사학연구 126 [2013]
  • 류 수, , 예의 정신
    서울: 東文選 [1994]
  •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 역주 한원
    동북아역사재단 서울: 동북아역사재단 [2018]
  • 금석문에 나타난 불교사원과 승려의 교류와 소통 한국중 세사연구 47 , 고려전기 연등회 팔관회의 기능과 의례적 특징 한국중세사연구 50 한정수, 2005, 고려시대 君主觀의 二元的이해와 정치적 상징 국사관논총 106 2007, 고려시대 유학 연구와 방법론 모색 역사와현실 66 2012, 고려-송-거란 관계의 정립 및 변화에 따른 紀年의 양상-광종~현종 대를중심으로 韓國思想史學 41 2012, 고려 시대 태조 追慕儀의 양상과 崇拜 史學硏究 107 2013, 고려전기 정기적 국왕행사의 내용과 의미 역사와현실 87 2014, 고려-금 사절 왕래에 나타난 주기성과 의미 史學硏究 91 2015, 고려 태조대 대외 교섭과 외교의례 한국사연구 170 2017, 10∼12세기 초 국제질서와 고려의 연호기년 한국중세사연구 49 2017
    나말려초 한준수 고려전기 異邦人 歸化人의 입국과 해동천하 한국중세사연구 50 [2017]
  • 금사 고려관계 기사의 어휘집성 역사교육논집 33 2008, 10세기 고려왕조의 대외관계 기사에 대한 補完 퇴계학과 유교문 화42 2009
    장동익 고려시대의 景靈殿 歷史敎育論集 43 [2004]
  • 국사편찬위원회 편 ,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국사편찬위원회 서울: 두산동아 [2005]
  •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 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
    국립문화재연구소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 관계의 변천 한국사 7
    고병익 원과의 국사편찬위원회 [#REF!]
  • 고려전기의 거란[요]
    김순자 여진[금]에 대한 인식 한국중세사연구 26 [2009]
  • 고려전기 중앙관계의 성립
    김대식 서울: 경인문화사 [2010]
  • 고려전기 정치사
    김갑동 서울: 일지사 [2005]
  • 고려전기 다원적 국제관계와 국가 귀속감 동방학지 129 2016
    박경안 고려시대 神觀에 관한 연구-의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 53 [2005]
  • 고려의 불교의례와 문화
    안지원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5]
  • 고려왕릉
    장경희 서울: 예맥 [2008]
  • 고려와 송과의 관계 東洋學 7 1989
    전해종 고려와 송과의 교류 국사관논총 8 [1977]
  • 고려시대의 정치변동과 대외정책
    이정신 서울: 경인문화사 [2004]
  • 고려시대의 后妃
    정용숙 서울: 민음사 [1992]
  • 고려시대 연력표
    심경진 서울: 한국천문연구원 [1999]
  • 고려시대 송상왕래 연구
    이진한 서울: 경인문화사 [2011]
  • 고려시대 사람들의 삶과 생각
    하일식 서울: 혜안 [2007]
  • 고려시대 교통운수사 연구
    한정훈 서울: 혜안 [1993]
  • 고려사회의 변화와 고려중기론 역사와 현실 32 2014, 고려중기 외척의 위상과 정치적 역할 한국중세사연구 38 2016, 고려전기 사회적 분업 편성의 다원성과 신분 계층질서 한국중세 사연구 45 2017
    채웅석 고려전기의 다원적 국제관계와 문화인식 한국중세사연구 50 [1999]
  • 고려묘지명집성
    김용선 서울: 한림대학교출판부 [2003]
  • 고려 충선왕의 국정 및 ’구제’복원 震檀學報 105 2008, 고려 충선왕의 정치개혁과 元의 영향 한국문화 43 2009
    이강한 공민왕 5년(1356) “反元改革”의 재검토 대동문화연구 65 [2008]
  • 고려 원 관계의 구조에 대한 연구 韓國史論 36 2009, 고려-몽골 관계사 연구시각의 검토 : 고려-몽골 관계사에 대한 공시 적, 통시적 접근 한국중세사연구 27 2016
    이익주 14세기 후반 고려-원 관계의 연구 동북아역사논총 53 [1996]
  • 고려 원 관계 추이와 복식문화의 변천
    김윤정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고려 성종대 거란의 1차 침입과 경계 설정 전북사학 33 2013, 高麗ㆍ後周관계와 光宗의 영토 확장 전북사학 43 2016
    허인욱 후백제의 對중국 교류 연구 사학연구 122 [2008]
  • 고려 사람들의 죽음과 장례-관인가족을 중심으로 韓國史硏究 135 2015, 고려전기 국왕 殯殿의 설치와 의례 한국중세사연구 43 2015, 고려시대 관인층의 임종 장소와 그 변화상에 대한 고찰 동방학지 172 2016, 고려시대 관인층의 빈소 설치장소와 그 변화상 한국사학보 62 2016, 고려시대 官人層의 火葬 歷史學報 229 2016
    박진훈 고려시대 관인층의 장례기간 분석-묘지명 자료를 중심으로 역사 교육논집 59 [2006]
  • 고려 거란 전쟁
    안주섭 서울: 경인문화사 [2003]
  • 고려 개경의 구조와 그 이념, 서울: 신서원 2011, 고려 개경의 편제와 궁궐
    김창현 서울: 경인문화사 [2002]
  • 고려 國家祭祀의 體制와 그 특징 한국사연구 118 2005, 고려시대 太廟와 原廟의 운영 國史館論叢 106 2009
    김철웅 고려 경령전의 설치와 운영 정신문화연구 32-1 [2002]
  • 고대 중국의 예제와 예학
    홍승현 서울: 혜안 [2014]
  • 거란의 ‘고려사신의례’ 구성과 의미 역사와현실 98 2017
    이바른 고려 예종대 胡宗旦의 행적과 평가 한국민족문화 64 [2015]
  • 개성지역 고려왕릉 韓國史의 構造와 展開
    장호수 혜안 [2000]
  • 개방성과 고려
    안병우 그리고 현재의 동아시아 한국중세사연구 42 [2015]
  • 강호선
    강호선 宋 元代水陸齋의 성립과 변천 歷史學報 206 [2010]
  • 강호선
    강호선 고려 시대 水陸齋의 전개와 공민왕대 國行水陸齋설행의 의미 불 교연구 38 [2013]
  • 강호선
    강호선 조선전기 국가의례 정비와 ‘국행’수륙재의 변화 한국학연구 44 [2017]
  • 高麗 元關係의 構造와 高麗後期政治體制
    이익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 高麗의 對金外交政策硏究
    박한남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 高麗武臣政權期宋商의 往來 民族文化 36 2012, 高麗太祖代對中國海上航路와 外交 貿易 한국중세사연구 33 2015, 高麗時代外國人의 居留와 投化 한국중세사연구 42 2017
    이진한 高麗時代農法의 변화와 投化人의 土地開墾 역사학보 234 [2011]
  • 高麗末士大夫의 政治思想硏究
    도현철 서울: 一潮閣 [2002]
  • 高麗時代의 歸化人硏究
    박옥걸 서울: 국학자료원 [1996]
  • 高麗時代都監의 구조와 기능 韓國史의 構造와 展開 , 혜안 2005, 高麗前期各司의 설치와 운영방식의 변화 한국사연구 128 2015
    이정훈 고려시대 금과의 대외관계와 同文院 사학연구 119 [2000]
  • 高麗時代對外關係史綜合年表
    高麗時代對外關係史綜合年表 서울: 동북아역사재단 [2009]
  • 高麗時代外交文書硏究
    정동훈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高麗政治史論
    민현구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 高麗恭愍王의 反元的改革政治에 대한 一考察 진단학보 68 1998
    민현구 高麗前期의 對外關係와 國防政策-文宗代를 중심으로 亞細亞硏究 41 [1989]
  • 高麗後期禿魯花의 性格變化硏究,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임형수 고려 케시크(怯薛)의 기능과 개혁 방향 민족문화연구 60 [2008]
  • 高麗後期士大夫의 經世論硏究, 서울: 혜안 2017, 고려시대 사람들의 사유와 집단 심성
    김인호 서울: 혜안 [1999]
  • 高麗對蒙抗爭史硏究
    윤용혁 서울: 일지사 [1991]
  • 高麗太祖의 6王后硏究
    류선영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高麗國王冊封硏究
    심재석 서울: 혜안 [2002]
  • 高麗史의 硏究
    변태섭 서울: 삼영사 [1982]
  • 高麗史選擧志譯註
    高麗史選擧志譯註 서울: 경인문화사 [2012]
  • 高麗史世家初期篇補遺 1 2
    高麗史世家初期篇補遺 서울: 경인문화사 [2014]
  • 高麗前期政治制度硏究
    이정훈 서울: 혜안 [2007]
  • 高麗前期外交儀禮硏究
    박윤미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高麗初期에 있어서의 五代와의 관계 한국문화연구원 논총 1 2003, 高麗 元王室通婚의 政治的의미 韓國史論 49 2013, 몽골 복속기 고려국왕 위상의 한 측면 동국사학 54 2015, 고려-몽골 간 使臣들의 활동 양상과 그 배경 한국중세사연구 43 2015
    이기백 元宗代고려 측 對몽골 정례적 의례적 사행 양상과 그 배경 한국 문화 69 [1959]
  • 高麗儒敎政治思想의 硏究
    이희덕 서울: 一潮閣 [1984]
  • 高麗來投 來往契丹人-渤海遺民과 관련하여 한국사연구?
    한규철 47 [1984]
  • 高麗佛敎史硏究
    허흥식 서울: 일조각 [1993]
  • 高麗中期政治勢力硏究
    남인국 서울: 신서원 [1999]
  • 高麗中世韓中關係史
    김순자 서울: 혜안 [2007]
  • 高麗 宋交聘의 목적과 使節에 대한 考察(上) 韓國學報 21 1996
    박용운 高麗 宋交聘의 목적과 使節에 대한 考察(下) 韓國學報 22 [1995]
  • 韓國金石文集成 (27)
    최연식 서울: 韓國國學振興院 靑溟文化財團 [2013]
  • 韓國金石全文
    허흥식 서울: 亞細亞文化社 [1984]
  • 韓國古代社會史硏究
    최재석 서울: 일지사 [1987]
  • 韓國中世禮思想硏究
    이범직 서울: 일조각 [1991]
  • 韓中關係史硏究
    전해종 서울: 일조각 [1970]
  • 諡法
    이민홍 서울: 문자향 [2005]
  • 東亞交涉史의 硏究
    고병익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70]
  • 朝鮮時代國喪儀禮硏究
    안희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朝鮮時代喪服에 關한 硏究
    조우현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 朝鮮前期儀禮硏究
    지두환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 朝鮮初期國家祭禮硏究
    한형주 一서울: 潮閣 [2002]
  • 新完譯禮記 상 중 하
    이상옥 서울:明文堂 [2003]
  • 恭愍王初期改革政治와 政治勢力의 推移(下)-元年 5年의 改革方案 을 중심으로 사학연구 43 44 2017
    홍영의 고려시대 금속제 기물 및 기와의 ‘연호’명 검토-대중국 ‘연호’의 시 행과 고려의 다원적 국제관계 한국중세사연구 50 [1992]
  • 宋代麗史資料集錄
    장동익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宋代對外關係史硏究
    신채식 서울: 한국학술정보 [2008]
  • 契丹社會文化史論, 서울: 景仁文化社 2004, 高麗時代對外關係史硏究
    김위현 서울: 景仁文化社 [2004]
  • 契丹 高麗關係史硏究
    김재만 서울: 국학자료원 [1999]
  • 天下國家
    김한규 서울: 소나무 [1999]
  • 古代韓中外交史
    권덕영 서울: 一潮閣 [1997]
  • 中國古代禮制硏究의 傾向과 課題 中國史硏究 36 2008
    홍승현 晉代喪服書의 편찬과 성격 東洋史學硏究 102 [2005]
  • ≪三國志≫
  • ?사례편람(四禮便覽)에 기초한 남자 상복(喪服)의 고증 제작에 관한 연구?
    조우현 服飾, 66(8) [2016]
  • ?漢代厚葬風俗과 薄葬論?
    구성희 史林 [2001]
  • ?梁書』
  • ?根英行, , 상제례(喪祭禮)의 기원과 복장(複葬), 亞細亞文化硏究, 11 2007, 한일 무속 사자의례(死者儀?)의 기원과 복장(複葬)
    根英行, 2006, 상제례 日本文化硏究 第24輯 [2006]
  • ? A lost Neanderthal neonate found
    [2002]
  • 7~8세기 唐, 新羅
    나희라 日本의 國家祭祀體系비교 한국고대사연구 33 [2004]
  • 13-14世紀麗蒙接境地域高麗人勢力硏究
    오기승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7]
  • 12세기 公 私禮와 金富軾 韓國史의 構造와 展開 , 혜안 2003, 원간섭기 ?사서집주?이해와 성리학 수용 역사와현실 49 2004, 고려말 經 權道의 활용과 體制保守 역사와 담론 37 2009, 종법의 관점에서 본 고려말 왕권의 변동 한국사학보 35 2014
    도현철 이숭인의 정치활동과 성리학적 예제 인식 퇴계학보 135 [2000]
  • 10~12세기 하생신사 파견과 고려-거란 관계 역사와 현실 89 2016, 고려 시대 國喪절차와 삼년상 史學硏究 122 2017, 고려 國喪에 대한 거란 금 송의 弔問使行양상과 다층적 국제관계 한국중세사연구 48 2017
    이승민 10세기 국제정세와 고려의 외교 자세 한국중세사연구 51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