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Bruner의 문화주의에 기반한 한국 교육과정 지평의 해석적 비평 = Interpretive Critique of the Landscape of South Korean Curriculum Based on Bruner’s Culturalism

이지은 2020년
논문상세정보
' Bruner의 문화주의에 기반한 한국 교육과정 지평의 해석적 비평 = Interpretive Critique of the Landscape of South Korean Curriculum Based on Bruner’s Culturalism'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학교 조직과 운영,특별한 교육
  • bruner
  • 교육문화
  • 문화주의
  • 학교문화
  • 한국교육과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70 0

0.0%

' Bruner의 문화주의에 기반한 한국 교육과정 지평의 해석적 비평 = Interpretive Critique of the Landscape of South Korean Curriculum Based on Bruner’s Culturalism' 의 참고문헌

  • 활자 밖으로 튀어나와 생활 속으로 들어온 ‘사회’ _초등.
    이순이 교육부 (편), 행복한 교육 vol.409(2016.8.)(pp. 6-9) [2016]
  • 현대 교육과정 탐구
    강현석 서울: 학지사 [2011]
  • 합리주의적 교육과정 체제에서 배제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 성과 교과목 개발의 방향 탐색
    강현석 교육과정연구, 23(2), 83-115 [2005]
  • 한국현대교육과정사연구(상)
    이경섭 서울: 교육과학사 [1997]
  • 한국의 중등학교 문화와 교육정책
    오영재 서울: 문음사 [2009]
  • 한국의 교육 생태계
    이혁규 서울: 교육공동체 벗 [2015]
  • 한국의 교육 70년
    곽삼근 김재웅 박동준 양정호 이돈희 이명희 성남: 한국 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5]
  • 한국신교육사[한글 수정판]
    오천석 파주: 교육과학사 [2014]
  • 한국교육의 사회적 풍경-교육사회학의 주요 쟁점-
    손준종 서울: 학지사 [2017]
  • 한국교육과정의 현실과 미래 과제: Speculative essay inquiry
    강현석 교육과정연구, 34(3), 69-101 [2016]
  • 한국교육과정 변천사 연구
    함종규 서울: 교육과학사 [2003]
  • 한국교육개발원(2019). http://www.kedi.re.kr 한국교육문제연구소(1974).
    [1974]
  • 한국경제(2019.3.29.). 서울이 '저출산 1위'…신도시급 아파트단지에 학생 모자라 통합학교. http://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9032915921 에서 2019.12.17. 검색.
    [2019]
  • 한국 학교 문화의 특성과 잠재적 교육 과정
    이용숙 한국문화인류학, 29(2), 289-340 [1996]
  • 한국 근 현대 중등교육 100년사
    김융자 유봉호 서울: 교학연구사 [1998]
  • 한국 교육의 전환: 드라마에서 딜레마로
    오욱환 파주: 교육과학사 [2014]
  • 한국 교육 제4의 길을 찾다
    이길상 서울: 살림터 [2019]
  • 학습의 질을 보장하는 학교교육과정 거버넌스 혁신 방안
    이희갑 2019 국 가교육과정포럼 미래교육포럼 자료집, 1-8 [2019]
  • 학생의 꿈과 끼를 살려 행복교육을 실현하는 중학교 자유학 기제 시범 운영계획(안)
    교육부 [2013]
  • 학생 중심의 혁신적 교육 프 로젝트 체인지메이커 교육
  • 학급언어의 사회문화적 해석
    조문현 이규환박사화갑기념논문집편찬위원회 (편). 한국교육 : 교육사회학적 조명(pp. 148-191) [1988]
  • 학교의 품격
    임정훈 서울: 우리교육 [2018]
  • 학교변화의 방법으로서 학교문화 변화전략
    이정선 교육인류학연구, 10(1), 127-154 [2007]
  • 학교문화의 형성 과정에 관한 탐색 : ‘새 학교문화 창조’ 정책을 중 심으로
    조경원 학교문화연구, 7, 7-38 [2004]
  • 학교문화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김민조 이현명 열린교육연구, 23(4), 255-284 [2015]
  • 학교문화가 학교구성원의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수정 이준우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13(7), 452-462 [2013]
  • 학교문화 개념분석 연구
    이경아 이병준 이현동 정미경 문화예술교육연구, 11(4), 89-115 [2016]
  • 학교문화
    김종두 서울: 교육과학사 [2008]
  • 학교를 바꾸다
    김성천 박성만 이광호 이진철 서울: 우리교육 [2010]
  • 학교를 말한다
    이성우 서울: 살림터 [2018]
  • 학교는 없다
    최회건 서울: 숲속의 꿈 [2007]
  • 학교 석면제거, 제도강화를 통해 함께 챙긴다
    교육부 [2018]
  • 학교 내부자들
    박순걸 서울: 에듀니티 [2018]
  • 학교 공간, 어떻게 바꿀 수 있 을까?
  • 통계청(2019.2.27.). 2018년 인구동향조사 –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2/3/index.board?bmode=read &aSeq=373361 에서 2019.7.27. 검색.
    [2019]
  • 통계청(2019.12.13.). 한국의 사회동향 2019.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b Seq=&aSeq=379243&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 searchInfo=&sTarget=title&sTxt= 에서 2019.12.17. 검색.
    [2019]
  •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 호)
    교육부 [2015]
  • 초 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2018)
    김나라 김재희 류지영 장현진 정윤경 정은진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8]
  • 지식 구조론 이후 Bruner의 교육과정이론 탐구
    강현석 교육과정연구, 16(2), 105-128 [1998]
  • 중학교 교육과정[문교부령 제 325호]
    문교부 서울: 교학도서주식회사 [1973]
  • 재조선 일본인 학교와 학생-개항기부터 일제시기까지
    조미은 파주: 서해문집 [2018]
  • 유은혜 부총리, 미세먼지 대응 현장방문 및 간담회 개최
    교육부 [2019]
  • 우리 학생들이 나아가누나
    김태웅 파주: 서해문집. 김 [2006]
  • 왜 학교는 질문을 가르치지 않는가
    황주환 서울: 갈라파고스 [2016]
  • 연합뉴스(2019.3.12.). 1인당 사교육비 29만1천원 ‘역대 최고’…6년 연속 상승.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 oid=001&aid=0010688807 에서 2019.12.12. 검색.
    [2019]
  • 여성조선(2019.11.16.). 정유라는 중졸... 부정입학 의혹, 조국 딸 고려대 입학 취소 가능성은? http://woman.chosun.com/client/news/viw.asp?cate=C01&mcate=M1001&nNewsNu mb=20191162235 에서 2019.12.16. 검색.
    [2019]
  • 어른들에게 보내는 경고장
    윤일호 장수군: 내일을여는책 [2016]
  • 알기 쉬운 교육과정(2판)
    홍후조 서울: 학지사 [2016]
  • 수석교사의 학교 내 역할 갈등과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박철희 이정민 초등교육연구, 27(4), 215-236 [2014]
  • 선생님은 1학년
    민상기 광주: 연지출판사 [2016]
  • 선생님으로 산다는 것
    이석범 파주: 살림출판사 [2008]
  • 서울특별시교육청(2018). (2018-13)교복 입은 시민 사업내역서. http://www.sen.go.kr/web/services/bbs/bbsView.action?bbsBean.bbsCd=290&b bsBean.bbsSeq=196 에서 2019.12.10. 검색.
    [2018]
  • 생활. 문화. 교육
    김영찬 서울: 교육과학사 [1980]
  • 새전북신문(2016.6.14.). [우리들 생각] "진로교육 무엇이 필요한가”. http://www.s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26432에서 2019.12.21. 검색.
    [2016]
  • 사회자본에 대한 교육의 역할과 정책방향
    희삼 세종: 한국개발연구원 [2017]
  • 브루너의 서거에서 느끼는 교육과정 단상
    강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뉴스 레터 2016년 7~9월호[124호], 4-6 [2016]
  • 백다은의 교육상상
    백다은 서울: 해드림출판사 [2019]
  • 미래교육에 대비한 학교교육과정의 상상력
    나혜정 2019 국가교육과정포 럼 미래교육포럼 자료집, 135-139 [2019]
  • 미군정하에서의 진보적 민주주의 교육 운동
    이길상 서울: 교육과학사 [1999]
  • 문화 심리학의 성격고찰
    이장주 최상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998(1), 523-529 [1998]
  • 문교사(1945-1973). 서울: 중앙대학교부설 한국교육 문제연구소.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9). http://www.keris.or.kr
    [1945]
  • 무한경쟁의 수레바퀴-1960~1970년대 학교와 학생
    이기훈 파주: 서해문 집 [2018]
  • 명견만리 - Ep.17 “학원에 안 다니면 비정상인가요?”- 김석규 중학생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lnfSxqZ6EfI YTN(2019.5.14.).
    [2019]
  • 메트로서울(2019.8.28.). 서울 중학생 10명 중 4명 "장래희망 없다"··· 직업 체험기회 늘려야. http://www.metroseoul.co.kr/news/newsview?newscd=2019082800130 에서 2019.12.3. 검색.
    [2019]
  • 맞다 틀리다의 단순한 심판을 넘어
    이기돈 이지현 수학교육학연구, 25(4), 549-569. [2015]
  • 대한의 교육역사. 서울: 학지사. 엄기호(2013). 교사도 학교가 두렵다
    안기성 서울: 따비 [2016]
  • 대한민국 교육체제의 성립과 그 특징
    이명희 김용직 편(2014).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국가체제 구축. 서울: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 다문화사회와 간문화성
    허영식 서울: 강현출판사 [2010]
  • 뉴스메이커(2017.3.6.).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 http://www.newsmak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40959 에서 2019.12.18. 검색.
    [2017]
  • 노컷뉴스(2017.12.4.). 상벌점제 폐지? “교사가 뺨 맞는데” vs “인성 점수화 안 돼”. http://www.nocutnews.co.kr/news/4886858 에서 2019.12.18. 검색.
    [2017]
  • 네이버 한자사전(2019). http://hanja.dict.naver.com
    [2019]
  • 내러티브 교육의 현재와 미래 –내러티브의 한국화, 이야기의 글로 벌화-
    이원희 2017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연차 학술대회 자료집, 19-36 [2017]
  • 나는 대한민국의 행복한 교사다
    이영미 서울: 도토리창고 [2012]
  • 김용택의 교단일기
    김용택 파주: 김영사 [2006]
  • 교육학의 이해[개정판]
    박균섭 서울: 정민사. [2015]
  • 교육열을 알아야 한국교육이 보인다
    이종각 파주: 한국학술정보 [2011]
  • 교육부, 학교공간혁신사업 업무협약 체결
    교육부 [2019]
  • 교육부,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 발표
    교육부 [2019]
  • 교육부 (편). 행복한 교육 vol.448(2019.11.)(pp. 54-55).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2019). http://ncic.go.kr/
    [2019]
  •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에 따른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 –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009]
  • 교육과정 연구
    이원희 파주: 교육과학사 [2019]
  • 교사의 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 : 민간 교수학 해석 을 중심으로
    남경희 남호엽 류현종 사회과교육, 44(2), 153-186 [2005]
  • 교과융합 프로젝트 수업과 학습공동체 이야기
    솔밭중학교 학습공동체 서 울: 테크빌교육 [2019]
  • 공교육은 왜?
    홍섭근 서울: 살림터 [2016]
  • 공공뉴스(2019.11.14.). [2020 수능] EBS 연계율 70% 유지..올해 초고난도 문항 없다. http://www.00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113 에 서 2019.12.15. 검색.
    [2019]
  • 공간이 아이를 바꾼다
    김경인 서울: 중앙북스 [2014]
  • 고교학점 제 실행을 위한 교육평가 개선 방안 연구(RRC 2018-3)
  • 고3이 제일 공부 안 하는 학년 된 이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262&ai d=0000012604&sid1=001 에서 2019.12.21. 검색.
    [2019]
  • 거꾸로교실 프로젝트
    미래교실네트워크 서울: 에듀니티 [2015]
  • 강현석·이지은 역, 교육은 왜 실패하는가
    파주: 양서원 [2018]
  • “차라리 없앴으면”...괴로운 스승의 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 oid=052&aid=0001293759 에서 2019.11.23. 검색.
    [2019]
  • Tomasello, M., Kruger, A. C., & Ratner, H. H. (1993). Cultural learning.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16(3), 495-552.
    16 ( 3 ) , 495-552 . [1993]
  • The task of teaching : Folk pedagogy and instructional practice in chile 's elementary education ( Doctoral dissertation )
    UMI No . 305367193 ) [2006]
  • The process of education 'Revisited
    53 ( 1 ) , 18-21 .
  •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1979]
  • The ecology of environmental processes . In W. Damon ( Series Ed . ) & R. M. Lerner ( Vol . Ed . ) ,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 5th ed.
    Vol . 1 , pp . 993-1028 [1998]
  • The disciplined mind: What all students should understand. New York: Simon & Schuster. 류숙희 역(2019). 하워드 가 드너 심리학 총서 2: 인간은 어떻게 배우는가
    Gardner, H. 서울: 사회평론 [1999]
  • 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 5th edition )
    [2009]
  • The curse of knowledge in economic settings : An experimental analysis
    97 ( 5 ) , 1232-1254 [1989]
  • The culture of education
    [1996]
  • The cultural nature of human developmen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조희숙 조일동 공역(2018). 문화적 유전자
    Rogoff, B. 서 울: 정민사 [2013]
  • The chilean instructional pattern for the teaching of language : A video-survey study based on a national program for the assessment of teaching
    19 ( 1 ) , 1-11 [2009]
  • Teaching in the age of accountability : restrained by school culture ?
    49 ( 3 ) , 273-290 [2017]
  • TALIS 2018 results
    Volume I
  • Studying social change , culture , and human development : A theoretical framework and methodological guidelines
    50 , 16-30 [2018]
  • Student teachers ' folk pedagogies : From cultural beliefs to practice ( Doctoral dissertation )
    UMI No . 3069965 ) [2002]
  • SchoolCulture recharged : Strategies to energize your staff andCulture
    [2017]
  • Revisiting teachers ‘ folk theories about the independent self in U.S. early schooling
    19 ( 2 ) , 45 [2013]
  • Redefining teacher education : The theories of Jerome Bruner and the practice of training teachers
    [2001]
  • Narrative schooling: Experiential learning and the transformation of American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강현석 홍은숙 장사형 허희옥 조인숙(2013). 내러티브, 학교교육을 다시 디자인하다
    Hopkins, R. L. 서울: 창지사 [1994]
  • Lucariello, J. (2017). Remembering Jerome Bruner. http://www.psychologicalscience.org/observer/remembering-jerome-br uner 에서 2019.10.26. 검색.
    [2017]
  • Life as narrative
    71 ( 3 ) , 697-710 . [1987]
  • Jerome Bruner : The cognitive revolution in educational theory
    [2007]
  • Jerome Bruner
    535 ( 7611 ) , 232 . [2016]
  • JTBC(2014.6.26.). 교실 천장 아직도 석면 '폴폴'…"예산없다" 안전 외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tvh&sid2=742& oid=437&aid=0000044859 에서 2019.12.17. 검색. KBS 안테나(2016.7.31.).
    [2016]
  • J. S. ( 1971b ) . The relevance of education
  • J. S.
    [1990]
  • Improving pupil motivation together : Teachers and teaching assistants working collaboratively
    [2012]
  • Forms of curriculum inquiry. Albany: SUNY Press. 강현석 조인숙 전호재 정상원 이지은 경북대교육과정연구회 번역팀 공역 (2016). 교육과정 탐구방법론: 교육과정에 대한 기본 번역서
    Short, E. C. 서울: 한국문 화사 [1991]
  • Foreword . In Olson , D. R. ( 2007 ) . Jerome Bruner : The cognitive revolution in educational theory
    pp . xi-xii [2007]
  • Folk psychology and folk pedagogy . In D. R. Olson & N. Torrance ( Eds . ) , The handbook of education and human development : New models of learning , teaching and schooling
    pp . 9-27 [1996]
  • Everyday pedagogical practices in mathematical play situations in German Kindergarten
    84 , 227-248 [2013]
  • Education in South Korea (2019). Diversity and access to education. http://sites.miis.edu/southkoreaeducation/diversity-and-access에서 2019.12.25. 검색.
    [2019]
  • D. F. & Soltis
    [2009]
  • Curriculum and aims(fifth edi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Culture and psychology ( sixth edition ) . MA : Cengage Learning . OECD ( 2019a ) . PISA 2018 Results ( Volume III ) : What School Life Means for Students ’ Lives
    [2016]
  • Cultural learning and learning culture . In D. R. Olson & N. Torrance ( Eds . ) , The handbook of education and human development : New models of learning , teaching and schooling
    pp . 369-387 [1996]
  • Cultural factors in educational effectiveness : A framework for comparative research
    20 ( 2 ) , 207-225 [2000]
  • Cultural Psychology : A once and future discipline .
    [1996]
  • Content Analysis ( Second Edition )
    [2004]
  • Bruner의 문화주의 교육이론과 학습: 내러티브 사고를 중 심으로
    강현석 최영수 창의력교육연구, 12(1), 97-126 [2012]
  • Bruner의 교육과정 이론의 변화와 시사점 탐구
    이지은 석사학위 논문. 경 북대학교 [2016]
  • Bruner의 ‘교육의 문화’에 근거한 한국 초등교육문화에 대한 고찰
    추갑식 교육학논총, 31(2), 19-35 [2010]
  • Bruner의 Folk Pedagogy에 기반한 수업 방법 탐구. 석사학위 논 문
    황은주 경북대학교 [2018]
  • Bruner의 Folk Pedagogy가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강현석 이자현 교육과정연구, 23(4), 59-90 [2005]
  • Another textbook project ? The implementation of Escuela Nueva in Vietnam
    17 ( 3 ) , 223-239 [2018]
  • Actual minds, possible world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강현석 이자현 유제순 김무정 최윤경 최영수 공 역(2011). 교육 이론의 새로운 지평 -마음과 세계를 융합하기-
    Bruner, J. S. 파주: 교육 과학사 [1986]
  • 60~70년대 개발국가 시대의 학생잡지를 통해서 본 10대 여학생 주체형성과 관련한 담론 분석
    나윤경 한국민족운동사연구, 56, 323-374 [2008]
  • 2025년부터 자사고 외고 국제고→일반고 전환 고교서열화 해소한다
  • 2019 학교민주시민교육 활성화 지원 기본 계획
    서울특별시교육청 [2019]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연구-증보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