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콜라주의 중첩, 그 이면(裏面)의 시각적 표상 연구 :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the Overlapping of Collage and Its Ulterior Visual Representation

이갑재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콜라주의 중첩, 그 이면(裏面)의 시각적 표상 연구 :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the Overlapping of Collage and Its Ulterior Visual Representatio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가벼움
  • 공간
  • 병치
  • 시간
  • 중첩
  • 콜라주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547 0

0.0%

' 콜라주의 중첩, 그 이면(裏面)의 시각적 표상 연구 :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the Overlapping of Collage and Its Ulterior Visual Representation' 의 참고문헌

  • 「질 들뢰즈의 반복 개념에 관한 연구」
    김명주 『대동철학』, 제29집
  • 현대 미술의 시간성과 혼합성 연구
    이상은 박사학위 논문,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 포스트 모던 미술에서 사진의 활용: 차용의 전략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배선명 박사학위 논문 [2014]
  • 콜라주, 그 탈구된 시간의 반복과 다층성, 홍익대학교 대학원
    최정은 박사학위 논문 [2018]
  • 중첩구조로 표현된 이중적시간의 시각화 연구, 중앙대학원 첨단영상대학원
    하상희 박사학위 논문 [2014]
  • 주름의 층위를 통한 관계성 연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황나영 박사학위 논문 [2014]
  • 이윤희 역. 『포토몽타주』
    돈 애즈 서울 : 시공아트 [2003]
  • 이민재 역, 『현대미술의 이해』
    Julie Sheldon Pam Meecham 서울 : 시공사, , p. 278 [2004]
  • 이갑재 개인전 도록
    김승호 롯데갤러리-대전 [2012]
  • 오진경, 이주은 옮김, 『1960년 이후의 현대미술』
    마이클 아처 서울 : 시공아트, [2007]
  • 양현미 역, 『현대미술의 변명』
    진 시겔 서울 : 시각과 언어 [1996]
  • 송하엽, 최원준 역, 『표면으로 읽는 건축』
    데이비드 레더베로우 모센 모스타파비 서울 : 도서출판 동녘, [2009]
  • 색면화된 다층구조의 삶의 공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안해숙 박사학위 논문 [2016]
  • 새로운 종이 조형전 도록 - 미국전 서문,(서울
    문예진흥원) [1983]
  • 물질과 기억, 시간의 지층을 탐험하는 이미지와 기억의 미학
    황수영 서울 : 그린비 [2006]
  • 몽타주의 회화적 변용과 불연속성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유정 박사학위 논문 [2018]
  • 로버트 핀커스와의 대담 중에서, 『플래쉬 아트』
    여름호 [1985]
  • 뉴미디어 아트와 시간
    이영훈 서울 : 도서출판 재원 [2004]
  • 김광우 역, 『미술양식의 역사』
    서울 : 미술문화 [2001]
  • 『현대미술의 흐름』, 김춘일 역
    루시 스미스 파주 : 미진사 [1988]
  • 『현대미술의 풍경』
    윤난지 파주 : 한길아트 [2005]
  • 『현대미술의 동향』
    정병관 파주 : 미진신서 [1994]
  • 『현대미술의 기초개념』
    김경연 서울 : 재연 [1995]
  • 『현대미술의 기초개념』
    김수기 서울 : 재원 [1995]
  • 『퓨전시대의 새로운 문화읽기』
    김성곤 서울 : 문화사상사 [2003]
  • 『팝아트』, 조은영 역
    데이비드 매카시 파주 : 열화당 [2003]
  • 『팝아트』, 전경희 역
    루시 R. 라파드 파주 : 미진사 [1990]
  • 『클릭, 서양미술사』, 김호경 역
    캐롤 스트릭랜드 서울 : 예경 [2010]
  • 『큐비즘』, 김인환 역
    에드워드 F. 프라이 파주 : 미진사 [1988]
  • 『정신분석사전』, 임진수 옮김,
  • 『이미지』, 편집부 역
    존 버거 서울 : 동문선 [2002]
  • 『이것이 현대적 미술』
    임근준 갤리온 [2009]
  • 『에드워드 호퍼』,정재곤 옮김
    롤프 퀸터 레너 서울 : 마로니에 북스 [2005]
  •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1880~1918』, 박성관 역
    스티븐 컨 서울 : 휴머니스트, [2004]
  • 『시각과 현대성』
    주은우 서울 : 한나래 [2003]
  • 『서양미술사전』
    정연심 파주 : 미진사 [2015]
  • 『미학특강』
    이주영 서울 : 미술문화 [2011]
  • 『미학 강의』
    오병남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 『미술의 역사』, 김윤수 외
    H. W 잰슨 서울 : 삼성출판사 [1991]
  • 『미술을 넘은 미술』, 정수경, 김진엽 역
    린다 와인트라웁 서울 : 북코리아 [2015]
  • 『미술은 이렇게 세상을 본다』
    박우찬 서울 : 도서출판 재원 [2012]
  • 『미술과 시지각』, 김춘일 역
    루돌프 에너하임 파주 : 미진사 [1995]
  • 『미술 속, 발기하는 사물들』
    조광제 서울 : 안티쿠스 [2007]
  • 『미래파』, 정진국 옮김
    지오반니 리스타 파주 : 열화당 [1988]
  • 『미래주의』
    Richard Humphreys 하계훈 옮김, 서울: 열화당 [2003]
  • 『미니멀리즘 (20세기미술운동총서 28)』, 김수기 역
    베이커 서울 : 열화당
  • 『물질과 기억』, 박종원 옮김
    앙리 베르그송 서울 : 아카넷 [2006]
  • 『무거움과 가벼움에 관한 철학』
    Bertrand Vergely 백선희 옮김, 개마고원 [2008]
  • 『디지털화 영상과 가상공간』
    이원곤 서울 :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 『도시 형태와 현대 건축의 관계』
    조승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권1호 통권 111호, 년 1월 [1998]
  • 『다다』, 김채현 역
    한스 리히터 파주 : 미진사 [1985]
  • 『뉴 에이스 국어사전』
    편저, 운평 어문연구소, (주)금성출판사 [2000]
  • 『나는 왜 孤獨한가!』, 김중권 역
    리차드 울프 보이스社 [1980]
  • 『공간의 시학』, 곽광수 역
    가슈통 바슐라르 서울 : 동문선 [2003]
  • 『공간과 장소』, 심승희 구동회 역
    이-푸 투안 서울 : 대윤 [2007]
  • 『감각의 논리』, 하태환 역
    질 들뢰즈 서울 : 민음사 [2008]
  • 『간단 명쾌한 철학』, 이수경 역
    고우다레츠 시그마북스 [2010]
  • 『Edward Hopper』
    [1987]
  • 『ART NOW from abstract
  • 『20세기의 미술』, 윤난지 역
    노버트 린튼 서울 : 예경 [2011]
  • 『20세기말의 미술』
    전혜숙 서울 : 북코리아 [2013]
  • 『20세기 미술사』, 이석우 역
    로즈메리 람버트 서울 : 열화당 [1991]
  • 「회화, 현대미술의 마지막 출구」
    토마스 로슨 『계간미술』, 봄 [1988]
  • 「탈코드화와 재코드화의 모험: 네오다다의 ‘포스트-폴록’ 회화에 나타난 신체와 행위의 의미」
    정은영 『미술사학보』제 39집
  • 「영상미디어 예술에서의 시간과 공간」
    김규정 『美學』, 제32집, 년 5월 [2002]
  • 「시간의 철학적 성찰」
    소광희 서울 : 문예출판사 [2001]
  • 「새로운 것의 충격으로부터」 1981
    로버트 라우센버그 , 『뉴욕현대미술전』, 호암갤러리 현대화랑 [1988]
  • 「살아있는 실재: 베르그송의 시간 개념과 기억」
    장정우 『미국학 논집』, v.39n.2 [2007]
  • 「미래주의, 다다 퍼포먼스에 나타난 바리에테와 카바레의 문화정치」
    조수진 『현대미술사연구』제40집 년 6월) [2016]
  • 「미국 현대미술-오늘의 상황」
    킴 레빈 호암갤러리 전시도록, 『뉴욕현대미술전』 [1988]
  • 「매체의 발달과 시간에 대한 연구」
    유현정 『기초조형학연구』. vol.7 no.1 [2006]
  • 「땅, 담벼락, 눈, 살갗에 그리다」
    대전 이응로미술관 기획전 도록 [2018]
  • 「들뢰즈와 불교의 시간론」
    오현숙 제16호, 『동서비교문학저널』, 봄, 여름, p.199 [2007]
  • 「김형승론」
    홍기삼 『시문학』 제2권, 월 [1983]
  • 「개념미술속의 사진들 : 존 발데사리의 작품을 중심으로」
    전혜숙 『현대미술사연구』, 제14집 [2002]
  • ‘대중적 삶에 대한 동화와 차용’, 『월간미술』
    전혜숙 11월호 [2000]
  • ‘겹’으로 쌓인 시간의 풍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정승희 박사학위 논문 [2014]
  • expressionism to superrealism』
    한국미술연감사 [1985]
  • ``Cezanne , Bergson , and the Image of Time ''
    [1956]
  • The World of Cezanne 1839~1906
    58
  • The Strctures of the Life World tr . by Richard M. Zaner and H. Tristram
    [1973]
  • Symbolic Form as a Vivid Cognitive Principal-An Essey on Montage
    [1993]
  • Sexuality and in Representation : Five British Artists
    [1984]
  • Roman Opalka 도록
    갤러리 이즘, 년, 3.25-4.24 [1996]
  • Rauschenberg and the Vernacular Glance ’
    [1973]
  • Random Order
    CambridgeMass [2003]
  • PopularCulture and Pop Art , ’ Pop Art : ACritical History ( ed . ) by Steven Henry Madoff
    [1997]
  • Laurent Chehere 홈페이지 http://www.laurentchehere.com/
    laurentchehere.com/FLYING HOUSES [2019]
  • Kurt Schwitters
    [1985]
  • Kate Neshin, ‘Cy Twombly’s Things,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2014.
    [2014]
  • James Turrell-Light Inside
    [2008]
  • Coosje van Bruggen. John Baldessari. New York : Rizzoli International Publications Inc. 1990.
    [1990]
  • Art Talks , The Early 80s
    [1988]
  • Altered Book Collage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