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20세기 전반 활자본 잡가집의 출판콘텐츠화 양상 = Aspect of printed book “Jap-ga-jip” as publication content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김지혜 2020년
' 20세기 전반 활자본 잡가집의 출판콘텐츠화 양상 = Aspect of printed book “Jap-ga-jip” as publication content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20세기
  • 가곡창
  • 강의영
  • 고유상
  • 김귀희
  • 김태식
  • 남궁설
  • 노익형
  • 미리영
  • 박건회
  • 박승엽
  • 박영균
  • 시조창
  • 신명균
  • 왕세창
  • 유근익
  • 유행 창가
  • 이상준
  • 이종정
  • 잡가
  • 잡가집
  • 전통 가창곡
  • 지송욱
  • 출판
  • 출판 콘텐츠
  • 한인석
  • 현공렴
  • 홍종기
  • 활자본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97 0

0.0%

' 20세기 전반 활자본 잡가집의 출판콘텐츠화 양상 = Aspect of printed book “Jap-ga-jip” as publication content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의 참고문헌

  • 최상은, ?19세기 말, 20세기 초 민요 <흥타령>의 수용과 변개 양상: 잡가와 대한매일신보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85
    최상은 한국국어교육학회, 775~797쪽 [2010]
  • 이윤선, ?<수심가> 사설의 매체별 변이 양상과 의미?. ??한국민요학?? 26
    이윤선 한국민요학회, 159~195쪽 [2009]
  • 이고은, ??<가곡보감> 연구??
    이고은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이고은, ?20세기 초 잡가의 한역 양상과 그 의미: <매일신보> 소재 석창 유근의 신악부를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 67
    이고은 열상고전연구회, 261~286쪽 [2017]
  • 박은경, ?이상준 연구?, ??낭만음악?? 42
    박은경 낭만음악사, 5~82쪽 [1999]
  • 미리영, <조선민요합창곡집>
    미리영 이화여자전문학교음악과 [1931]
  • 듸-제-핸드포드, <정선조선가요집>
    듸-제-핸드포드 조선가요연구사 [1931]
  • 福田政治郞, <신정증보신구잡가>
    福田政治郞 경성서관 [1922]
  • ?휘모리 잡가의 사설 짜임과 웃음 창출 방식?, ??한국시가연구?? 13
    이형대 한국시가학회, 311~336쪽 [2003]
  • ?휘모리 잡가 일고찰 : <굼보타령>, <바위타령>을 중심으로?, ??개신어문연구?? 25
    전계영 개신어문학회, 117~142쪽 [2007]
  • ?휘모리 잡가 <바위타령> 연구?, ??한국음악연구?? 52
    송은도 한국국악학회, 119~150쪽 [2012]
  • ?휘모리 가와 판소리의 공통 특질?, ??판소리연구?? 18
    정충권 판소리학회, 197~220쪽 [2004]
  • ?회동서관의 활자본 고전소설 간행 양상?, ??고소설연구?? 29
    엄태웅 한국고소설학회, 475~510쪽 [2010]
  • ?활자본 고전소설의 총량에 대한 연구?, ??고전문학연구??43
    최호석 한국고전문학회, 253~294쪽 [2013]
  • ?활자본 고전소설의 유형에 대한 연구?, ??우리문학연구?? 38
    최호석 우리문학회, 223~251쪽 [2013]
  • ?활자본 고전소설에 대한 통계적 고찰?, ??
    최호석 어문연구?? 41(3), 93~121쪽 [2013]
  • ?한국 대중가요의 전개 양상 고찰: 1945~1960년까지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51
    장유정 한국문학회, 205~234쪽 [2009]
  • ?한국 근대초기 딱지본 신소설의 표지 디자인: 시각 디자인 역사의 통시적 연구(1900년대에서 1910년대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78
    조현신 한국기초조형학회, 589~604쪽 [2016]
  • ?창가 음반의 유통?, ??동악어문학?? 51
    배연형 동악어문학회, 35~73쪽 [2008]
  • ?지송욱과 신구서림?, ??고소설연구?? 19
    최호석 한국고소설학회, 255~282쪽 [2005]
  • ?조선문학전집 편제의 특성과 의미?, ??어문연구?? 47
    김선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29~156쪽 [2019]
  • ?장르 이동에 따른 잡가 <방아타령>의 변모 양상?, ??남도민속연구?? 35
    이태화 남도민속학회, 99~123쪽 [2017]
  • ?잡가의 종교성과 세속성?, ??불교학보?? 57
    김종진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95~318쪽 [2011]
  • ?잡가의 사설 특징에 나타난 구비성과 기록성?, ??국문학의 구비성과 기록성??
    김학성 한국고전문학회, 311~342쪽 [1999]
  • ?잡가의 개념과 범주의 문제?, ??한국시가연구?? 13
    박애경 한국시가학회, 285~310쪽 [2003]
  • ?잡가 <소상팔경가>의 형식화 특성?, ??인문사회과학논문집?? 31
    여기현 광운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45~56쪽 [2002]
  • ?잡가 <배따라기>의 유형과 구성 원리?, ??한국시가연구?? 28
    김종진 한국시가학회, 327~358쪽 [2010]
  • ?잡가 <방아타령>의 사설 양상과 그 의미?, ??우리어문연구?? 48
    김지혜 우리어문학회, 7~39쪽 [2014]
  • ?잡가 <맹꽁이타령>을 통해 본 서울의 세태와 도시민의 삶?, ??서울학연구?? 51
    정인숙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15~237쪽 [2013]
  • ?잡가 <곰보타령>의 사설 변이과정과 원인에 대한 연구?, ??고전과 해석??21
    김지혜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63~97쪽 [2016]
  • ?일제 치하 조선노래를 지켜온 창가교사 이상준: 이상준 잡가집을 중심으로?, ??국제어문?? 41
    신경숙 국제어문학회, 5~31쪽 [2007]
  • ?일제 식민지 문학서적의 근대적 위상: 박문서관의 활동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41
    김종수 우리어문학회, 453~483쪽 [2011]
  • ?육자백이의 잡가화 과정과 음악적 구조의 변화?, ??한국음반학?? 7
    김혜정 한국고음반연구회, 195~230쪽 [1997]
  • ?영창서관의 고전소설 출판에 대한 연구?, ??우리어문연구?? 37
    최호석 우리어문학회, 349~979쪽 [2010]
  • ?여항-시정 가사의 담론 특성: 잡가집 수록 <과부가>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65
    육민수 한민족어문학회, 447~476쪽 [2013]
  • ?안경의 사회문화사: 한국 근대기 안경 디자인을 중심으로?, ??
    김보람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디자인학회, 162~163쪽 [2015]
  • ?신오위장 소작 <방아타령>의 형성층위와 ‘단잡가’?, ??한국시가연구?? 12
    성무경 한국시가학회, 331~360쪽 [2002]
  • ?스타마케팅의 효과와 매커니즘?, ??마케팅?? 492
    김우성 한국마케팅연구원, 51~56쪽 [2010]
  • ?세창서관의 활자본 고전소설 간행 양상과 의미?, ??동양고전연구?? 64
    엄태웅 동양고전학회, 453~476쪽 [2016]
  • ?선소리 산타령을 통해 본 잡가의 텍스트 변이와 미적 특질?, ??한국시가연구?? 19
    이형대 한국시가학회, 299~329쪽 [2005]
  • ?서도소리의 서울 유입과 도시문화로의 전환?, ??고전문학연구?? 35
    박애경 한국고전문학회, 33~63쪽 [2009]
  • ?사설시조와 잡가에 표현된 미물의 의미와 시적 기능?, ??어문연구?? 45(4)
    임재욱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39~260쪽 [2017]
  • ?대중매체의 출현과 전통가요 텍스트의 변화양상 고찰: <수심가>를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 30
    장유정 한국고전문학회, 37~60쪽 [2006]
  • ?남도 민요(잡가) <흥타령>에 대한 사적 고찰?, ??한국음악연구?? 46
    손인애 한국국악학회, 161~192쪽 [2009]
  • ?근대초 조선가요 채보와 저작권 문제: 이상준 제소 사건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38
    신경숙 우리문학회, 97~135쪽 [2013]
  • ?근대 전환기 고전소설의 대응 양상과 그 의미: 박건회 편집 및 개작 소설을 중심으로?, ??국문학 연구?? 17
    이주영 국문학회, 125~150쪽 [2008]
  • ?근대 대중가요의 형성과 통속민요의 변주: <난봉가>류의 텍스트 변이를 중심으로?, ??한국시가문화연구?? 25
    이형대 한국시가문화학회, 241~269쪽 [2010]
  • ?교과서 수록 고전 제재 변천 연구?, ??문학교육학?? 17
    조희정 한국문학교육학회, 281~330쪽 [2005]
  • ?경기민요 방아타령 연구: 토속민요와 통속민요의 특성 연구를 통한 선후관계 고찰?, ??한국민요학?? 9
    손인애 한국민요학회, 123~141쪽 [2001]
  • ?경기명창 박춘재 론?, ??한국음반학?? 7
    손태도 한국고음반연구회, 131~194쪽 [1997]
  • ?개화기 출판의 목적 연구: 생산 주체별 차이에 관하여?, ??언론정보연구?? 47(2)
    김민환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 100~133쪽 [2010]
  • ?‘비유기적’ 노랫말을 지닌 고전시가의 재해석: 잡가 <제비가>를 중심으로?, ??한국시가연구?? 24
    고정희 한국시가학회, 353~384쪽 [2008]
  • ??한국속가전집??(총6권)
    정재호 서울: 다운샘 [2002]
  • ??한국문학의 이해??
    김흥규 서울: 민음사 [1998]
  • ??편주 한국속가전집??(총3권)
    정재호 서울: 다운샘 [2014]
  • ??잡가의 범주와 계열별 특성에 관한 연구??
    전계영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일제시대 민간 서적발행활동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방효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오빠는 풍각쟁이야??
    장유정 서울: 민음in [2006]
  • ??마케팅전략??
    문병준 서울: 경문사 [2001]
  • ??국악대사전??
    장사훈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91]
  • ???화옥쌍기??의 창작경로와 소설사적 의의?, ??우리어문연구?? 36
    김도환 우리어문학회, 63~94쪽 [2010]
  • ??20세기 초 가집 <정선조선가곡> 연구??
    윤설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20세기 전반기 잡가의 향유방식과 변모 연구??
    박지애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조선민요합창곡집> 연구?, ??음악과 민족?? 50
    신수정 민족음악회, 283~301쪽 [2015]
  • ?<수심가>의 양상과 유성기 음반 노랫말 구현?, ??국어국문학?? 153
    전영주 국어국문학회, 199~224쪽 [2009]
  • ?<무쌍신구잡가>의 체재상 특징과 편찬 배경?, ??우리어문연구?? 36
    송미경 우리어문학회, 33~61쪽 [2010]
  • ?<농부가>류 작품의 담론 양상?, ??인문과학연구?? 14
    육민수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17~136쪽 [2010]
  • ?20세기 초 유성기 음반 녹음 연구: 1906년 녹음 미국 콜럼비아와 빅터 레코드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연구?? 58
    배연형 석지훈 한국국악학회, 7~75쪽 [2015]
  • ?20세기 초 시가의 새로운 소통 매체의 출현과 그 의미: 신문, 잡가집 그리고 유성기 음반을 중심으로?, ??어문논집?? 55
    고은지 민족어문학회, 31~61쪽 [2007]
  • ?20세기 전반기 잡가의 변모양상과 그 의미: 잡가집의 유성기 음반 수록 <난봉가>계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46
    최현재 한국문학회, 33~59쪽 [2007]
  • ?20세기 전반 소통 매체의 다양화와 잡가의 존재 양상: 잡가집과 유성기 음반을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 32
    고은지 한국고전문학회, 99~138쪽 [2007]
  • ?19세기 말, 20세기 초 잡가의 소통 환경과 존재 양상: 근대적 노래 공동체의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1
    박애경 한국구비문학회, 257~287쪽 [2005]
  • ?1910년대 창가와 잡가?, ??한국어문학연구?? 51
    권도희 동악어문학회, 75~105쪽 [2008]
  • ?1910년대 상업화에 따른 대중가요의 길항과 공존: ??예단일백인??(1914), 잡가집(1914~1918), ??조선미인보감??(1918)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43(3)
    전계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73~101쪽 [2018]
  • <회중시행잡가>
    홍종기 조선유행가요출판사 [1935]
  • <현행일선잡가>
    박승엽 오성서관 [1916]
  • <특별유행잡가>
    김태식 해동서관 [1928]
  • <특별시행잡가>
    김태식 해동서관 [1928]
  • <특별대증보신구잡가>
    남궁설 유일서관 [1916]
  • <증정일선신식잡가>
    박승엽 영창서관 [1922]
  • <증보신구잡가>
    노익형 박문서관 [1915]
  • <증보신구시행잡가>
    지송욱 신구서림 [1920]
  • <조선잡가집>
    이상준 신구서림 [1918]
  • <조선신구잡가>
    이상준 박문서관 [1921]
  • <조선속곡집>
    이상준 삼성사 [1929]
  • <조선속곡집 상>
    이상준 조선복음인쇄소 [1914]
  • <정정증보신구잡가>
    한인석 광문책사 [1915]
  • <정정증보신구잡가>
    한인석 천일서관 [1919]
  • <장단독습신편잡가>
    고유상 회동서관 [1924]
  • <이십세기 신구유행창가 부 풍금>
    왕세창 세계서림 [1923]
  • <신찬속곡집>
    이상준 광익서관 [1921]
  • <신찬고금잡가>
    현공렴 대창서관 [1916]
  • <신구현행잡가>
    유근익 동아서관 [1918]
  • <신구현행잡가>
    유근익 신명서림 [1921]
  • <신구잡가>
    송기화 송기화 상점 [1914]
  • <신구유행잡가>
    강의영 신명서림 [1916]
  • <신구시행잡가>
    이종정 광동서국 [1921]
  • <신구시행잡가>
    지송욱 신구서림 [1914]
  • <시행증보해동잡가>
    박건회 신명서림 [1917]
  • <시행잡가>
    강의영 영창서관 [1936]
  • <무쌍유행평양수심가>
    노익환 신구서림 [1930]
  • <무쌍신구잡가>
    박승엽 오성서관 [1915]
  • <무쌍신구잡가>
    박승엽 오성서관 [1916]
  • <대증보무쌍유행신구잡가 부 가사>
    강의영 영창서관 [1928]
  • <고금잡가편>. 신구서림, 박문서관
    박영균 광문책사 [1917]
  • <고금잡가편>
    박영균 동명서관 [1915]
  • <고금잡가편>
    박영균 동명서관 [1916]
  • <가사집>
    신명균 중앙인서관 [1936]
  • <가곡보감>
    김귀희 기성권번 [1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