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산화-흡착 기능성 담체의 제조 및 오염물질 제거특성 = Preparation of Oxidation-Adsorption Functional Media and its pollutants removal characteristics

송대현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산화-흡착 기능성 담체의 제조 및 오염물질 제거특성 = Preparation of Oxidation-Adsorption Functional Media and its pollutants removal characteristic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d
  • t-n
  • tp
  • 산화처리
  • 악취
  • 호소
  • 흡착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31 0

0.0%

' 산화-흡착 기능성 담체의 제조 및 오염물질 제거특성 = Preparation of Oxidation-Adsorption Functional Media and its pollutants removal characteristics' 의 참고문헌

  • 환경부 수질예보 및 대응조치에 관한 규정(별표 1 및 별표 2) [2015]
  •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법 [2017]
  • 환경부 악취방지법 [2019]
  • “회분식과 고정층 칼럼에서 아크릴산을 그라프트 중합한 왕겨의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특성.”
    나춘기 송명기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31(5) pp.487-497 [2014]
  • “호소수내 선택적 인 질소 제거를 위한 란탄-제올라이트 혼합 흡착제 제조 및 적용.”
    김태수 석사학위논문(충북대학교) [2008]
  • “호소 부영양화 방지기술의 현황과 전망.”
    류재근 대한위생학회지, 7(1), pp.35-44 [1992]
  • “하수슬러지 건조설비에서 악취물질 및 실록산 화합물의 배출과 습식세정장치를 이용한 저감 특성
    노다지, 서용수, 이제근.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33(3), pp.230-238 [2016]
  • “하수 고도처리시설의 유입 하수특성과 운전조건에 따른 인 제거특성 비교.”
    김덕진 한국환경기술학회지, 13(3), pp.234-243 [2012]
  • “축산폐수/분뇨처리시설의 주변 악취특성 연구.”
    이경미 조영민 한국냄새환 경학회지, 10(1), pp.8-14 [2011]
  • “축산분뇨 공공처리장의 각 공정별 악취원.”
    이종국 최형일 한국냄새환경학 회지, 10(2), pp.74-84 [2011]
  • “천연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합성 폐수로부터의 암모늄 이온 제거.”
    김환기 이현석 대한환경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130-138 [2003]
  • “천연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고농도 질소 회수.”
    이관형 이재우 최오경 상하수도학회지, 30(1), pp.105-111 [2016]
  • “천연 제올라이트 활용을 통한 댐 및 호소의 오염수 처리.”
    박기호 서진국 J.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pplication, 8(2), pp.113-120 [2005]
  • “제올라이트(A, 13X, Y, Mordenite, Chabazite)의 이온교환특성 연구.”
    박현수 서중석 안진수 이용래 전관식 Journal of the Korean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5(6), pp.949-956 [1994]
  • “제올라이트 특성과 응용기술.”
    임굉 임재석 내화출판사, pp.11-24 [2006]
  • “자연정화기능을 활용한 하천수질개선기술.”
    김건흥 김기형 최계운 한국수 자원학회, pp.389-392 [2003]
  • “자성으로 표면개질된 제올라이트 흡착제를 이용한 수중 암모늄 이온 제거 특성.”
    정용준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21(2), pp.152-156 [2019]
  • “인 제거용 담체를 이용한 질소. 인 동시제거 시스템.”
    박수영 박정환 정종태 한국환경기술학회지, 7(2), pp.87-92 [2006]
  • “오존산화공정에서 수산화라디칼(OH )의 생성속도 측정.”
    공성호 권충일 배성령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6(1), pp.3-12 [2001]
  • “오존발생기를 이용한 고도정수처리기술 동향 및 전망.”
    김영배 서길수 송현직 이광식 이상근 이형호 조국희 한국조명 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 문집, pp.242-244 [1998]
  • “역간접촉산화법에 의한 연안 하구 수질개선에 관한 연구.”
    김원근 이찬원 전홍표 환경연구, 25, pp.63-75 [2002]
  • “악취제거용 습식 세정탑의 적정 운전조건 분석.”
    김영래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2018]
  • “악취배출시설 업종별 관리매뉴얼.”
    환경부 [2008]
  • “악취강도와 황화합물 및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의 물질 농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박상진 한진석 한국냄새환경학회지, 11(4), pp.167-173 [2012]
  • “세정탑 세정수조에 마이크로버블 공급이 황화합물 제거에 미치는 영향.”
    김진한 김현식 방석용 범봉수 임지영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18(1), pp.10-17 [2019]
  • “석탄비산재로부터 제올라이트 A 의 합성과 합성 제올라이트의 암모늄 이온에 대한 흡착특성.”
    오영한 이동훈 이재효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17(1), pp.36-44 [2000]
  • “산업체 VOC/악취 저감기술.”
    남창모 추수태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7(3), pp.289-297 [2004]
  • “비규제대상 악취배출원 관리방안 마련.”
    환경부 [2008]
  • “분리막과 황탈질 공정을 이용한 하수고도 처리기술에 관한 연구
    김종필 이영호 이우태. 장정희 ” 공동 추계학술발표회, pp.148-157 [2005]
  • “분리막 및 슬러지 처리와 고도처리 기술 장비를 포함한 하 폐수 처리기술의 특허 조사 분석을 통한 기술개발 동향.”
    김지태 유호식 멤브레인, 27(5), pp.375-388 [2017]
  • “부영양화 해역의 해양세균의 분리 및 분리균의 생리적 성질에 관하여 1. 부영양화 해역의 환경 및 세균상.”
    강창근 박희열 이원재 정희동 한국수산과학회지, 19(6), pp.586-592 [1986]
  • “다단층 부착성장 공법 (A2/O형)에서 순환비에 따른 질소제거.”
    윤용수 정일현 최규철 대한위생학회지, 12(3), pp.95-102 [1997]
  • “다공성 제올라이트 멤브레인의 합성 및 알코올 /물 분리에의 응용.”
    김건중 남세종 한국막학회, 9(2), pp.97-106 [1999]
  • “골프장 수질관리를 위한 인공습지 이용에 관한 연구.”
    안태석 연강재단 환경학술논문집, pp.347-352 [1997]
  • “고정층 흡착탑에서 석탄비산재로부터 합성한 Zeolite의 VOCs 흡착 해석.”
    김영래 Korean Chem. Eng. Res.(화학공학), 48(6), pp.784-790 [2010]
  • “고정층 흡착탑에서 석탄비산재로부터 합성한 Zeolite 의 VOCs 흡착 해석.”
    김성수 박상욱 이창한 Korean Chem. Eng. Res.(화학공학), 48(6), pp.784-790 [2010]
  • “Zeolite X의 양이온에 따른 암모니아 흡착 성능 연구.”
    김신동 류승형 박준우 서영주 Appl. Chem. Eng., 28(3), pp.355-359 [2017]
  • “Y형 제올라이트의 탈알미늄과 그의 특성.”
    류삼곤 손종락 최상준 HWAHAK KONGHAK, 27(2), pp.168-175 [1989]
  • “Y 형 제올라이트의 탈알루미늄화에 따른 Si/Al 변화와 수분흡착.”
    김만수 김진영 모세영 전동환 대한환경공학회, 춘계학술연구발표회, pp.658-659 [2004]
  • “X 제올라이트의 탈양이온화 조절을 통한 제올라이트 결정 내 메조 기공 생성 및 응용성 연구.”
    김현빈 석사학위논문(한국과하긱술원) [2014]
  • “UV, H2O2, 오존을 이용한 고급산화공정에서의 테레프탈산 제조공정 폐수처리 : 유기물 및 색도제거 연구.”
    권태옥 문일식 박보배 Korean Chem. Eng. Res., 45(6), pp.648-655 [2007]
  • “SBR 공법에서 HRT 에 따른 질소거동 특성.”
    이광호 이재근 한국환경기 술학회지, 5(1), pp.1-9 [2004]
  • “Poly-GMA형 고분자 흡착제의 합성 및 흡착특성.”
    임제열 박사학위논문 (목포국립대학교) [2017]
  • “MBR을 이용한 축산폐수중의 유기물 및 질소제거.”
    노수홍 손대희 신정훈 이상민 정윤철 대한환경공학회지, 23(8), pp.1275-1284 [2001]
  • “MAP 침전법을 이용한 고농도 암모니아 함유폐수의 질소, 인 동시제거.”
    남세용 신항식 이상민 한국물환경학회지, 17(2), pp.251-260 [2001]
  • “Fenton 산화공정과 Zelolite를 이용한 축산폐수의 유기물 및 질소제거.”
    김윤정 유재웅 정팔진 조창우 대한환경공학회, 추계학술연구발표회, pp.787-793 [2004]
  • Zeolitic alteration of pyroclastics. ” Amer .
    [1933]
  • Wet air oxidation : a review of process technologies and aspects in reactor design.
    73 ( 2 ) , pp.143-160 [1999]
  • W. M. “ Nitrogen , phosphorus , and eutrophication in the coastal marine environment.
    171 ( 3975 ) , pp.1008-1013 [1971]
  • The Determin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t the [ mu ] g/1 Level in Water by Gas Chromatography
    Vol . 5 [1974]
  • Natural zeolites and sepiolite as ammonium and ammonia adsorbent materials.
    43 , pp.27-33 , [1993]
  • Försök til mineralogie , eller mineral-rikets upställning . [ By AF Cronstedt . ]
  • Experimental research on biological nitrogen removal in a modified SBR treating municipal wastewater. ”
    [2008]
  • Eutrophication of Artificial Lakes in Korea and Proposed Countermeasures. Kor-Jap . Env
    [1988]
  • Daily variations of water turbidity and particle distribution of high turbid-water in Paltang reservoir.
    36 ( 3 ) , pp.257-268 [2003]
  • 29. 환경부, http://stat.me.go.kr(환경통계포털)
  • 15. 환경부, http://water.nier.go.kr(물환경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