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미술치료사의 한국화 매체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media experiences of art therapists

정하욱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미술치료사의 한국화 매체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media experiences of art therapist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일반 연속간행물
  • “현상학적연구”
  • 미술치료사
  • 한국화매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019 0

0.0%

' 미술치료사의 한국화 매체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media experiences of art therapists' 의 참고문헌

  • 후설의 현상학과 현대철학
    이남인 서울 : 풀빛미디어 [2006]
  • 현대철학 : 후설에서 들뢰즈까지
    김영필 울산: 울산대학교 출판부 [2002]
  •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 이론
    권석만 서울: 학지사 [2012]
  • 현 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 한지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뇌졸중 노인환자 삶의 질 향상 에 미치는 영향
    김정임 박혜전 이인숙 한국노인학, 32(1), 87-102 [2012]
  • 한지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골다공증 노인의 자발성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양명화 조선대학교 [2008]
  • 한지를 이용한 소집단미술치료가 경도 정신지체 중학생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공마리아 전영희 미술치료연구, 12(1), 209-234 [2005]
  • 한지를 이용한 미술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위축행동 개선에 미치는 영향. 석 사학위논문
    백술애 순천향대학교 [2008]
  • 한지를 이용한 미술치료가 아동의 위축행동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서종숙 대 구대학교 [2002]
  • 한지 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조혜정 대구대학교 [2013]
  • 한정은 한국화 재료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정은 대구대학교 [2009]
  • 한국화의 세계
    박용숙 서울: 일지사 [1975]
  • 한국화와 매체의 다양성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강선숙 중앙대학교 [2000]
  • 한국화를 통한 전통미술의 교육적 중요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김천 원광대학 교 [2001]
  • 한국화를 통한 미술치료의 효과성.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학 술대회
    박완용 오승진 이근매 춘계(2011), 1-27 [2011]
  • 한국화 재료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노인의 우울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김유경 최외선 미술치료연구, 15(1), 129-148 [2008]
  • 한국화 재료를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유경 박정환 전순영 미술치료연구, 13(1), 73-93 [2008]
  • 한국화 재료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정완규 한국예술치료학회지, 9(1), 265-286 [2009]
  •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자 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배원호 원광대학교 [2010]
  •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에 미치 는 효과
    전순영 한지혜 미술치료연구, 20(2), 359-378 [2013]
  •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친사회적 행 동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박가희 전순영 미술치료연구, 23(2), 508-607 [2016]
  •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불안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정여진 경성대학교 [2015]
  • 한국화 매체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김영신 건국대학교 [2013]
  • 한국화 매체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석 사학위논문
    김우식 대구대학교 [2003]
  • 한국화 매체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 입원환자의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박완용 원광대학교 [2008]
  • 한국민속제의와 음양오행
    김의숙 서울: 집문당 [1993]
  • 한국미술치료학회 http://www
    한국미술치료학회 korean-arttherapy.or.kr
  • 한국문화와 상담
    박성희 서울: 학지사 [2008]
  • 클릭, 한국미술사
  • 초보미술치료사의 자기작업 여정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석사학위논문
    신혜원 영남대 학교 [2018]
  • 초보미술치료사의 수묵화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최광규 영남대학 교 [2019]
  • 초보 미술치료사가 임상에서 겪는 좌절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석사학위 논문
    임유선 영남대학교 [2011]
  • 초등학생의 사회성 관련 미술치료연구 동향분석. 석사학위논문
    이재향 가천대학교 [2015]
  • 초등학교 미술과 한국화 지도에 관한 연구
    백인현 공주교대논총, 38(2). 1-50 [2001]
  • 집단미술치료에서 미술치료사의 매체활용 경험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정유진 신 라대학교 [2018]
  •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 질적연구방법론
    신경림 양진향 조명옥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조용환 서울: 교육과학사 [1999]
  •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국내 미술치료 연구 동향. 석사학위논문
    김세희 차의과학대학 교 [2019]
  • 중학교 미술에서 전통회화교육의 필요성과 개선방향 연구. 석사학위논문
    손혜원 원광 대학교 [2015]
  •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치료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전정림 한양대학교 [2011]
  • 중년여성의 한국화 미술치료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조규영 대전 대학교 [2014]
  • 정하욱, 김갑숙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의 연구동향 분석
    정하욱, 김갑숙 예술심리치료연구, 14(3), 269-288 [2018]
  • 정하욱, 김갑숙 미술치료사의 매체 사용현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정하욱, 김갑숙 미술치료연구, 26(2), 179-197 [2019]
  • 정진아 중고령 아들 부양자의 노부모 부양 경험. 박사학위논문
    정진아 한서대학교 [2017]
  • 정명선 한지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죽음불안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정명선 미술치료연구, 11(2), 231-256 [2004]
  • 전통오방색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색채의식과 치료활용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 위논문
    곽병우 영남대학교 [2011]
  • 재료와 정신, 한국화 세대의 전통재료 수용고. 서울: 공간사
    김병종 - 잡지 [1985]
  • 자살에 대한 국내 미술치료연구 동향 분석. 석사학위논문
    김범준 차의과학대학교 [2019]
  • 임상미술치료에서 동양화의 유용성. 석사학위논문
    우소정 차의과학대학교 [2012]
  • 이유라, 고숙경 한지를 매체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전문요양시설 노인의 자아 존중감과 생활만족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전기흥 조형디자인연구, 10(2), 1-20 [2007]
  •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서울: 월간미술 [1995]
  • 우울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동향
    이은봉 조규영 최은영 한국통합심신치유학회, 2(1), 42-71 [2015]
  • 오방색을 통해 본 한국 근대 회화 연구. 박사학위논문
    류미진 계명대학교 [2017]
  • 예술로서의 미술치료
    김진숙 서울: 학지사 [2008]
  • 암 환자 대상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석사학위논문
    모소현 차의과학대학교 [2019]
  • 아동미술치료사의 치료과정 경험연구
    장서연 최선남 미술치료연구, 21(4), 623-642 [2014]
  • 아동기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국내 연구동향. 석사학위논문
    석연우 명지 대학교 [2019]
  • 십우도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사춘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삶의 의미에 미 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김이수 대구사이버대학교 [2014]
  • 실제 적용 중심의 미술치료
    정현희 서울: 학지사 [2006]
  • 스마트기기 활용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정서불안 아동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박미자 임걸 디지털융복합연구, 17(5), 89-97 [2019]
  • 수묵화의 미술치료 도구로써 활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공마리아, 김갑숙, 박경규, 이근매, 임호찬, 전순영, 전영숙, 정현희, 최선남, 최외선(2004). 미 술치료개론
    강현숙 대구: 동아문화사 [2011]
  • 수도권 지역아동센터 미술치료 상황에 대한 실태조사. 석사학위논문
    백수화 명지대학 교 [2007]
  • 성폭력을 당한 지적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체험연구. 박사학위논문
    임명희 예명 대학원대학교 [2017]
  • 산수화에 있어서 공간의 인식. 석사학위논문
    나상목 원광대학교 [1973]
  • 사회복지관의 미술치료 실태조사 연구 :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조은희 원광대학교 [2005]
  • 불교사상의 미술치료적 적용
    전영숙 한국동서정신과학회술치료연구, 17(1), 25-43 [2014]
  • 발달신경심리학적 분석에 의한 미술치료 연구. 박사학위논문
    김인자 한양대학교 [2012]
  • 민화 그리기
    나정태 서울: 대원사 [1995]
  •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교과목 내에서 수행한 미술작업 체험 연구. 석사학위논문
    신희진 서울여자대학교 [2017]
  • 미술학사 취득자의 미술치료 석사과정 경험 연구
    안성원 장연집 질적연구, 10(1), 14-27 [2009]
  • 미술치료학 전공생의 석사학위 과정 체험 연구. 석사학위논문
    박승혜 서울여자대학 교 [2012]
  • 미술치료자의 선호매체에 관한 연구
    권젬마 김광웅 김양자 김태완 최윤희 인문사 회 21, 10(4), 781-792 [2019]
  • 미술치료의 치유요인과 매체
    전순영 서울: 하나의학사 [2011]
  • 미술치료의 치료적 요인별 미술매체 분석. 박사학위논문
    김미진 평택대학교 [2015]
  •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이근매 서울: 양서원 [2008]
  • 미술치료의 매체 활용법
    박현주 서명옥 서울: 학지사 [2009]
  • 미술치료에서 석고의 치유적 요인과 임상적 적용
    원희랑 미술치료연구, 14(1), 151-172 [2007]
  • 미술치료사의 전문가 되기 여정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박사학위논문
    최명선 숙명여 자대학교 [2013]
  • 미술치료사와 미술교육자 중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채시내 차 의과학대학교 [2019]
  •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의 매체활용 경험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정민정 영남대학 교 [2015]
  •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과정생의 미술작업의 어려움에 대 한 현상학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최예원 용인대학교 [2018]
  •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미술치료 전공생의 석사학위과정 체험연구. 석사학위논 문
    차혜란 이화여자대학교 [2018]
  • 미술교사 경험을 가진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의 정체성 확립 과정에 대한 체험 연구. 석사학위논문
    김현미 서울대학교 [2011]
  • 미술 비전공 미술치료사의 미술작업을 통한 자기성찰 경험의 현상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최민선 웨스트민스턴 신학대학원대학교 [2019]
  • 미술 교육자에서 미술치료사로의 전환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박사학위 논문
    손혜주 영남대학교 [2016]
  • 문인화 예술정신론 고찰을 통한 인성적 예술치료로서 문인화의 유용성 및 가 치탐색
    박서령 예술심리치료연구, 11(3), 119-148 [2015]
  • 매체에 따른 만다라 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박 사학위논문
    최효숙 영남대학교 [2012]
  • 매체 in 미술치료
  • 만다라 기법에서 매체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이완 및 문 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
    이채영 최은영 행동장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7(12), 77-102 [2007]
  • 마음을 나누는 미술치료
  • 동시대의 미술 대중화 현상 속에서 한국화의 문화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박 사학위논문
    성민우 한국교원대학교 [2012]
  • 다문화가정 대상 미술치료 연구 동향. 석사학위논문
    홍서연 명지대학교 [2019]
  • 국가기록원 2010 대통령 행정 박물(선물)류 보존?복원처리 매뉴얼
    국가기록원 대통령 기록관 [2010]
  • 溫肇桐 中國繪?批評史. 강관식 역(1994). 중국회화비평사
    溫肇桐 서울: 미진사 [1989]
  • 水墨畵의 精神性 硏究. 박사학위 논문
    조용백 단국대학교 [2010]
  • 東洋畵의 線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논문
    정현미 이화여자대학교 [1983]
  •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太平城市圖> 屛風 硏究. 박사학위논문
    이수미 서울대학교 [2004]
  • 『현상학과 해석학』
    이남인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4]
  • 『한국화의 길』
    송수남 경기도: 미진사 [1995]
  • 『질적연구방법론』
    김영천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6]
  • van Manen, M.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신경림, 안규남 공역(1994).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 학 연구방법론
    van Manen, M. 서울: 동녘 [1990]
  • Wisdom and the senses
    [1998]
  • Understanding media. 김상호 역(2011). 미디어의 이해 : 인간의 확장
    Mclugan, M.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1946]
  • Understanding children's drawing. 김동연, 이재연, 홍은주 역 (2010). 미술치료사를 위한 아동미술심리 이해
    Malchiodi, C. A. 서울: 학지사 [1998]
  • The triangular relationship and the aesthetic counter transference in analytical art psychotherapy . In A. Gilroy & G. McNeilly ( Eds . ) , The changing shape of art therapy
    [2000]
  • The art therapy sourcebook. 최재영, 김진연 역(2008). 미술치료
    Malchiodi, C. A. 서울: 조형교육 [1998]
  • The Art of Art Therapy/ Kim , J. S.
    [1984]
  • SWOT분석을 활용한 한국미술치료의 발전 전략 연구
    김모라 김소욜 미술치료연구, 23(4), 947-966 [2016]
  • Richard, E, Nisbett. The geography of thought. 최인철(2004). 생각의 지도
    Richard, E, Nisbett. 경기 도: 김영사 [2003]
  • Qui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3rd Ed.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2015).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Creswell, J. W. 서울: 학지사 [2013]
  •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Giorgi, A. Pittsburgh: Duquesne University Press. 신경림, 장연집, 박인숙(2004).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서울: 현문 사 [1985]
  • Naturalistic inquiry
    [1985]
  • Moon, C, H. Studio art therapy. 정은혜 역(2010). 스튜디오 미술치료
    Moon, C, H. 서울: 시그마 프레스 [2002]
  • Materials & media in art therapy
    [2010]
  • LA 중앙일보 http://www
    LA 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402544
  • Imagery and visual expression in therapy
    [1990]
  • Handbook of art therapy
    [2012]
  • Foundation of physiological psychology (7th ed). 정봉교, 현성용, 윤병수 역 (2008). 생리심리학
    Carlson, N. R. 서울: 박학사 [2008]
  • Digital art therapy
    [2017]
  • Art therapy and digital technology
    [2018]
  • Art of art therapy
    [2011]
  • Art as medicine : Creating a therapy of the imagination .
    [1992]
  • ADHD 아동의 미술치료에 대한 동향 분석
    이미경 임상미술연구, 4(1), 35-55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