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마을 만들기 과정에서의 주민참여를 통한 공동체 역량 강화 관계 분석 =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Community Capacity Building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Community Development

김경화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마을 만들기 과정에서의 주민참여를 통한 공동체 역량 강화 관계 분석 =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Community Capacity Building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Community Development'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공동체 역량 강화
  • 마을 만들기
  • 주민참여
  • 질적 사례연구
  • 혼합연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59 0

0.0%

' 마을 만들기 과정에서의 주민참여를 통한 공동체 역량 강화 관계 분석 =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Community Capacity Building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Community Development' 의 참고문헌

  • 혼합연구방법론
    이원석 2013 한국질적탐구학회 학술대회 [2013]
  • 혼합 연구방법에서의 패러다임(paradigm)의 혼합
    이원석 교육문제연구, 39, 195-211 [2011]
  • 협력적 거버넌스가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을 중심으로
    김수경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3]
  • 질적자료분석 파랑새 2.0 소프트웨어
    오영범 이현철 정상원 아카데미프레스 [2016]
  •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 질적연구방법론Ⅴ: Data Analysis
    김영천 정상원 아카데미프레스 [2017]
  • 질적연구방법론Ⅰ Bricoleur(3판)
    김영천 아카데미프레스 [2016]
  • 질적 사례연구
    상종열 인사랑연구소 [2019]
  • 질적 사례연구
  • 지역역량 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민참여 요소 분석
    이영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5권 제2호 [2009]
  • 지역사회자본과 지역애착 역량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서울특별시 동작구를 중심으로
    서승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5]
  • 지역공동체 역량강화를 위한 마을만들기 추진방안 연구, 살고싶은 마을만들기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김일영 배기택 신중진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48권 제6호 [2013]
  • 주민학습과 실천을 통한 마을만들기의 지속가능성 연구: 성북구 장수 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여관현 한국지방정부학회 지방정부연구 19권 3호, 29-51 [2015]
  • 주민공동이용시설이 주민역량강화에 미친 영향:서울특별시 주거환경관리사업 대상지를 중심으로
    김영일 신중진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9권 제1호, 83~100 [2018]
  • 심재만, 마을실천계획을 통한 지역사회 역량형성(Empowerment)에 관한 연구-철암동 지역재활성화과정을 사례로
    심재만 서울대환경대학원 석사논문 [2004]
  • 신경식 서아영 송민채 역, 사례연구방법(5판)
    Rober K.Yin 한경사 [2016]
  • 시민참여형 도시정비를 위한 시민역량 강화방 안
  • 서울시 주거환경관리사업의 추진실태와 개선방안
    맹다미 백세나 장남종 서울연구원 [2015]
  • 사회복지와 임파워먼트
  • 문화와 역사연구를 위 한 질적연구방법론(개정판)
    윤택림 아르케 [2012]
  • 마을공동체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특징에 관한 연구-부산시의 2015년 공동체 역량강화사업의 우수사례를 중심으로
    신병윤 한국주거환경학회지 제14권 4호,135-153 [2016]
  • 마을공동체 사업 성과측정 방안 연구
    박선희 부산복지개발원 [2013]
  • 마을공동체 사업 성과 측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선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9권, 285-306 [2014]
  • 마을 만들기의 주민참여 활 성화 요인 도출
    김경화 반영운 백종인 손철희 도시행정학보 제28집 제2호, 267-286 [2015]
  • 마을 만들기의 주민참여 모형 개발
    강상욱 김경화 반영운 백종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52권 제230호, 227-237 [2017]
  • 마을 단위 도시계획 실현 기본 계획(1)-주민참여형 마을 만들기 사례 연구
    정석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9]
  • 도시재생에서의 주민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2015년 제2기 청주시 도시재생대학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민혁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6]
  •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주민역량 강화방안 연구
    배남인 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6]
  • 도시대학 교육프로그램의 주민역량강화 효과성 분석 : 푸른 경기 21 도시대학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진경 황기원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2권 제5호 [2011]
  • 도시계획의 패러다임 전화고 의사소통이론
    김찬호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사회발전연구 6호, 167-196 [2000]
  • 농촌발전을 위한 지역역량강화 방안
    박경 열린충남 [2007]
  • 국토연구원, 2008, 시민참여형 도시정비를 위한 시민역량 강화방안.
    [2008]
  • 국내 광고학 분야의?사례?연구?방법론에 대한 고찰 : 1990년~2016년?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정승혜 한국광고홍보학회 통권 제112호, 107-133 [2017]
  • 공동체 참여형 도시재생의의미와 정책 내 방영실태에 관한 고찰:영국의 New Dea; for Communities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태희 국토연구 제86권(2015.9), 139-159 [2015]
  • 거버넌스의 의미와 현황, 시민환경운동진영의 과제
    정규호 제12회 녹색사회포럼 자료집 [2007]
  • 『도시재생에서 주민의 자주적 관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민 참여 정도와 공동체의식 수준을 중심으로』
    권은혜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박사논문 [2017]
  • “지역 만들기에 있어서 지역공동체 역량이 지속적 참여와 참여 확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신예철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논문 [2012]
  • ‘공동체형’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의 상인 역량강화 요인 및 효과분석-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시범사업:수원 못골 시장을 중심으로
    이희정 허소영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3권 제5호,21-34 [2012]
  • ‘Chaskin의 공동체역량 모형’을 적용한 마을사업에서 주민조직의 참여와 역량분석:강화군 마을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2019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김정욱 여관현 한국정책학회, 23~42 [2019]
  • Working Invisibly : health workers talk about capacity-building in health promotion ’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Vol 13 , No 4 [1998]
  • Toward a conceptual framework for mixed-method evaluation designs
    11 ( 3 ) , 255-274 [1989]
  • Research Basis for Regional DevolopmentCapacity Building
    [1999]
  • Rebecca R. Cheezum·Chris M. Coombe·Barbara A. Israel·Robert J. McGranaghan·Akosua N. Burris,Sonya Grant-White(2013), Building Community Capacity to Advocacte for Plolicy Change : An Outcome Evaluation of the Neighborhoods Working in Partnership Project in Detroit, Journal of Community Practoce, 21 : 228-248.
  • Qualitative research andCase study application in education
    [1998]
  •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approaches
    [2007]
  • Public Policy in theCommunity
    [2003]
  • Process Evaluation forCommunity Participation ,
    40 [2006]
  • People ’ s Participation in Community Development : A Case Study in a Planned Village Settlement in Malaysia
    1 ( 2 ) , 45-54 . [2009]
  • Participa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2 ( 1 ) , 13-14 [2010]
  • Neighberhood Revitalization as a Strategy for Community Capacity Building : Lessons Learned in Implimenting a Community-Based Women ’ s Program in North Point Douglas Neghberhood
    [2005]
  • Measuring Community Capacity ? A Workbook ? in ? Progress for Rural Community
    [2009]
  • Lessons for community capacity building : a summary of the research evidence
    [2002]
  • Effective Comminity Participation in Coastal Development , Golam M. Mathbor
    [1987]
  • Designing and conducting mixed methods research ( 2nd ed. )
    [2011]
  • Defining Community Capacity : A Framwork and Implications from a Community Initiative
    [1999]
  • Community participation in local health and sustainable devolpment : Approaches and techniques
    [2002]
  • Community capacity-building : Something old , something new ... ?
    3 ) , 335-359 [2007]
  • Community capacity building explained ’ , Stronger Families Learning Exchange Bulletin 1
    [2002]
  • Community Capacity Building ?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07]
  • Community Capacity Building
    [2009]
  • Communities of hope : Preparing for the future in Appalachian Kentucky
    [1995]
  • Capacity Building i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ntext : Implications for Indigenous Australia
    Discussion Paper No 278/2005 [2005]
  • COMMUNITY CAPACITY BUILDINGA
    [2002]
  • Building civic capacity : Best CDCpractices
  • Building Community Capacity : Sustaining the Effects Multiple , Two-Year Community-based Paticipatory Research Project
    [2014]
  • Building Community Capacity : A Definitional Framwork and Case Study from a Comprehensive Community Initiative
    [2001]
  • Building Community Capacity
    [2007]
  • An Adult Education Model of Resident Participation : Building Community Capacity and Strengthening neighborhood-Based Activities in a Comprehensive Community Initiave ( CCI )
    [2008]
  • Achieving integration in mixed methods designs ? principles and practices
    48 ( 6 Pt 2 ) , 2134-2156 [2013]
  • A new approach to community participation assessment
    No . 3 . [1991]
  • ? The art ofCase study research
  • ? ? ? 持 ? 可能 ? ? ? ? ? ? 指標 ? ? ? 意義 ? 方向性 ? ? ? ? 究 , 日本都市計 ? ? ? 都市計 ?
    No . 39―3 .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