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김보배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초등교육( 국민학교 교육 )
  • 유아미술교육
  • 전략
  • 창의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026 0

0.0%

'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의 참고문헌

  • 황은선 창의성 계발 기법과 창의적 문제 해결법과의 관계? 미술 과를 중심으로
    이화식 조형교육, 33, 485-515 [2009]
  • 황은선 자연물 중심의 과학 미술의 통합적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 도 및 미술성향에 미치는 영향
    침례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활동형태에 따른 MeFOT 훈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박영태 하수연 인문논총, 29, 264-288 [2008]
  • 허 기 소집단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림표현능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한국미술교과교육학회 유아미술교육학
    서울: 학문사 [2004]
  • 한국교육개발원 학습전략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89]
  • 한국교육개발원 창의성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보고서-프로그램 활용 방법을 중 심으로. RM 2005-5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5]
  • 한국교육개발원 창의성 계발 교수 학습 모형 및 자료 개발 연구. RR2002-8
    서 울: 한국교육개발원 [2002]
  • 학생들의 시각언어 표현력 향상의 창의성 계발의 상호관계 탐구
    김혜숙 미술교육논총, 25(1), 323-352 [2011]
  • 토의중심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림표현능력과 미술성향에 미치는 영향
    문인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탐색, 표현, 감상의 통합적 유아미술교육
    이정욱 임수진 경기: 정민사 [2014]
  • 탐구중심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한종화 중앙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코딩을 활용한 창의 융합 미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홍나연 서울교육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초등학교 학생의 창의성과 수업만족도 향상에 미치는 창의적 문 제해결 팀 프로젝트 효과
    양영모 Global Creative Leader, 7(1), 43-64 [2017]
  • 초등학교 미술과 교수 학습 방법 연구. 연구보고 RRC 2002-14-4
    박소영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2]
  • 초등미술수업에서 트레핑거의 CPS모형이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 력에 미치는 영향
    김유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창의적 표현의 기회가 유아의 미술표현 방식에 미치는 영향
    오종숙 중앙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 창의적 사고기법을 통한 표현력 향상에 관한 연구: 브레인스토밍을 중심으로.
    김유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창의적 발상의 원리와 기법
    주상윤 울산: 울산대학교 출판부 [2010]
  •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이러닝 지원시스템 설계원리 개발연구
    홍미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활용한 미술과 수업방안연구
    정희경 부산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창의적 문제해결(CPS) 모형에 기초한 유아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백승선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창의적 문제 해결력 구성 요소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분석
    조석희 사고개발, 9(2), 47-69 [2013]
  • 창의적 문제 해결: 창의적 이론 개발과 수업
    김영채 서울: 교육과학사 [1999]
  • 창의성의 별
    박영태 서울: 학지사 [2004]
  • 창의성기법을 활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임귀자 전남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창의성교육: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과 교육방법
    성진숙 이혜숙 조연순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 창의성과의 관계에 기초한 전통미술교육의 재개념화를 위 한 기초연구? 미술과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김선아 박진경 미술교육논총, 28(1), 89-122 [2014]
  • 창의성: 문제해결, 과학, 발명, 예술에서의 혁신 (김미선 역)
    Weisberg, R.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9]
  • 창의성 발현 요인에 관한 미술교육자의 인식 연구
    박미진 서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유아의 사회적 창의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인영 수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창의성 구성요소에 따른 미술지도 방안 연구
    최윤정 공주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접근
    이동원 경기: 교육과학사 [2009]
  • 창의성 계발의 아동화 지도
    윤명술 서울: 미술공론사 [2006]
  • 창의성 계발과 교육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역)
    Cropley, A. J. 서울: 학지사 [2001]
  • 창의성 계발 사고기법을 활용한 초등미술과 수업 방안 연구
    이희경 한국 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창의성
    유경훈 이경화 서울: 동문사 [2014]
  • 창의성
  • 창의력 계발을 위한 유아미술교육
    전경원 서울:교문사 [2002]
  • 종이접기와 점토를 활용한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미술성향과 공 간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미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조형요소 중심의 통합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성향에 미치는 영향
    임지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정재은브레인스토밍에 기초한 그리기표상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조서희 한국교육문제연구, 29(2), 231-256 [2011]
  • 자연친화적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미혜 전남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자연의 미적 요소에 기초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김선월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자연물을 활용한 협력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미술 성향에 미치는 영향
    황인순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이지선 컴퓨터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컴퓨터 교육에 디자인적 사고 적용 을 관한 연구: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1(1), 455-467 [2015]
  • 이소은, 권기남아동미술
    경기: 양서원 [2017]
  • 이성도, 임정기, 김황기미술교육의 이해와 방법
    서울: 예경 [2013]
  • 의미 만들기의 미술: 미술교육을 위한 새 패러다임
    박정애 서울: 시공사 [2008]
  • 유아의 컴퓨팅 사고력을 위한 로봇활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 과
    김상언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의 발달 특성과 인지능력 및 재인 기억력 과의 관계
    채영란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공간지각력, 언어능력 및 또래상호작용 질과의 관계
    지성애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35-254 [2007]
  • 유아용 코딩아트 교육을 위한 커리큘럼 설계
    안성혜 예술교육연구, 17(2), 43-60 [2019]
  • 유아미술교육
  • 유아미술 작품에 반영된 목소리의 의미 고찰
    안지령 유아교육, 16(3), 151-162 [2007]
  • 유아를 위한 인터랙티브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박혜훈 중 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유아를 위한 균형적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윤현숙 전남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유아교수방법: 교육적 의도를 가진 교사 (이은해, 박진 재, 송영주, 송혜린, 신혜영, 정선진, 최혜영 역)
    Epstein, A. S. 파주: 양서원 [2009]
  • 유아교사의 미술교육 교수법 개선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현화동 중앙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유아 미술활동에서 조형매체를 통한 소통의 의미 탐구
    서민주 임부연 미술교육논총, 28(2), 31-58 [2014]
  • 유아 미술성향 검사도구 타당화 연구
    지성애 유아교육연구, 31(5), 277-298 [2011]
  • 예술을 통한 교육 (황향숙, 김성숙, 김지균, 김향미, 김황기 역)
    Read, H. 서울: 학지사 [1945]
  • 아이의 미래를 바꾸는 학교혁명 (정미나 역)
    Rovinson, K. 서울: 21세 기북스 [2015]
  • 아동의 미술 정의에 내재된 담론 분석: 미술교육 방향의 재고
    김미남 조 형교육, 46, 29-49 [2013]
  • 아동미술 심리 이해 (김동연, 이재연, 홍은주 역)
    Malchiodi, C. A. 서 울: 학지사 [1998]
  • 시지각 발상 중심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유영 전남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시각적 사고를 통한 아이디어 발상교육에 관한 연구: 타이포 일러 스트레이션을 중심으로
    최정화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시각적 사고 (김정오 역)
    Arnheim, R.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6]
  • 시각문화를 활용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문현경 중 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김경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삶을 위한 미술교육 (김정희, 최정 임, 신승렬, 김선아, 손지현 역)
    Anderson, T. Milbrandt, M. K. 서울: 예경 [2012]
  • 사고력 계발을 위한 언어로서의 미술교육- 만 4세에서 초등학생 을 대상으로
    이종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에 미치 는 효과
    최경실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백정이 자연친화적 접근의 유아미술교육
    김용환 하정연 경기: 공동체 [2015]
  • 발달과 학습에 대한 유아 평가 (김경철, 이진희, 최미숙, 황윤세 역)
    Leong, D. J. McAfee, O. 서울: 학지사 [2008]
  • 미술협동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그림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영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미술요소 중심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성, 언어능력,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성현 김성희 양새롬 한국교육문제연구, 31(1), 207-235 [2013]
  • 미술교육에서 아동미술재료 인식변화의 필요성
    박라미 아동미술교육, 3(3), 17-34 [2004]
  • 미술교육에서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창의성 신장과 인성교육 방안: 지각과 소통을 중심으로
    이민정 미술과 교육, 17(3), 19-39 [2016]
  • 미술관 방문활동이 유아의 그림 표현능력 및 그림 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장순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미래 사회와 미술교육 그리고 창의성: 창의성 강화를 위해 고려되 어야 할 전제들
    장연자 기초조형학연구, 16(1), 505-516 [2015]
  • 문화예술기반 학교 창의성 지수 개발을 위한 이론적 탐색 연구
    강병직 문화예술교육연구, 10(1), 1-30 [2015]
  •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디자인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 는 영향: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신혜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9]
  • 명화를 활용한 창의적 발상표현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창의성 에 미치는 영향
    이규림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209-229 [2015]
  • 명화로 배우는 드로잉 (김창식 역)
    Wilson, B. 서울: 미진사 [2007]
  • 디자인적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 해결력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승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미술프로그램이 유아의 그림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인숙 미술치료연구, 21(2), 239-265 [2014]
  • 누리과정이 반영된 유아 창의성 교육
    김경숙 전경원 파주: 정민사 [2014]
  •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미술교육 관련 활동 분석
    곽정인 이영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5), 313-337 [2014]
  • 노 용 미래사회 대비 국가수준 미술과 교육과정 방향 탐색. 2012년 정 책연구용역사업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2]
  • 그림책을 활용한 심미적 접근의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고은별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그림책과 연계한 감각중심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권미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그림책 그림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미술성향에 미치 는 영향
    손금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그림을 통한 문제해결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그림 표현에 미치는 영향
    박현선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www.korean.go.kr [2019]
  •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 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5]
  •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
    서 울: 교육과학기술부 [2011]
  • 교사를 위한 유아미술교육 이론과 실제
    백중열 경기: 공동체 [2013]
  • 과학창의재단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창의 인성교 육 총론적 고찰
    서울: 과학창의재단 [2010]
  •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 문제로 시작하는 수업』
    조연순 서울: 학지사 [2006]
  • ‘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 교육 경험에 대한 자서전적 연구
    박유진 숙명여 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Why creativity is domain general , why it looks domain specific , and why the distinction does n't matter
    [2004]
  • Visual arts in th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integrated curriculum . In C. Hart , D. Burts , & R. Charlesworth ( Eds . ) , Integrated curriculum and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1997]
  • Tom. A., & Melode, K, M.삶을 위한 예술 (김정희, 최정임, 신승렬, 김선아, 손지현 역)
    서울: 예경 [2007]
  • Thiking Maps를 활용한 창의성 미술 교육 지도 방안
    김우주 아동미술교 육, 12, 79-97 [2013]
  • The search for satori and creativity
    [1979]
  •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 A how-to guide for educational excellence
    [1997]
  •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1967]
  •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 Education 2030
    [2018]
  • The creative mode of being
    31 ( 3 ) , 212-226 . [1997]
  • The DBAE Handbook : An overview of disciplin based art education
    [1992]
  • The Art of Thought
    [1926]
  • Socialization , learner intent , and environmental intellectualism : A transactional model of art education
    [1990]
  • SCAMPER 기법을 적용한 미술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윤영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Purpose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art programs
    [1998]
  • Problems as possibilities : Problem-based learning for K-12 education ( 2nd ed. )
    [2002]
  • Problem-based learning in secondary schools
    [1993]
  • Problem based learning as a potential teaching approach : A literature review
    15 ( 1 ) , 8-15 . [1989]
  • Problem based learning : An instruction al model and itsConstructivist framework
    [1995]
  • Play , Dream sand ImitationinChild hood
    [1962]
  • PBL CPS 미술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혜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Overview of project spectrum . In J. Chen ( Ed. ) . Project spectrum : Early learning activities
    [1998]
  • Osbon-Parnes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미술교육 프로 그램 개발 연구
    옥부연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MeFOT 모형의 주요 학습방법 탐색 및 수업방법 제안
    문승한 인문사회 21, 7(4), 455-473 [2016]
  • Learning to learn : What the science of thinking and learning has to offer adult education
    4 ( 1 ) , 157-169 [2000]
  •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 Preschool through primary grades
    [1992]
  • How we think .
    [1933]
  • How to foster creativity in all children
    [2003]
  • Growing up with literature ( 6th ed. )
    [2012]
  • Growing up creative: Nurturing a lifetime of creativity
    Amabile, T. M. NY: CEF Press. (1996). 심리학의 눈으로 본 창조의 조건 (고빛샘 역). 서울: 21세기북스 [1989]
  • Growing artists : Teaching the art to young children ( 5th ed. )
    [2012]
  • Educational context and early childhood art-related problem solving
    [2002]
  • Education artistic vision. London: Macmillan Publishing CO., Inc. (1999). 새로운 눈으로 보는 미술교육 (서울교대미술교육연구회 역)
    Eisner, E. W. 서 울: 예경 [1972]
  • Early childhood art ( 5th ed. )
    [1995]
  •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for the visual arts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992]
  • DBAE에 기초한 유아미술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백영애 원광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Creativity for whom ?
    13 ( 2 ) , 21-41 [2012]
  • Creativity :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1996]
  • Creativity : A knowledge base , meta cognitive skills , and personalities factors
    29 ( 4 ) , 255-268 . [1995]
  • Creativity : A componential approach , Post conference China meeting of the 11 th world conference on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1995]
  • Creativity , intelligence , and personality
    32 , 439-476 [1981]
  •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in gifted education
    [1986]
  • Creative talents : Their nature uses and development
    [1986]
  • Creative problem solving : an introduction ( 3rd ed. )
    [2000]
  • Creative problem solving . The Basic Course
    [1985]
  • Creative art for learning .
    [1979]
  • Creative and mental growth ( 8th ed. )
    [2007]
  •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 11th ed. )
    [2015]
  • Computational thinking
    49 ( 3 ) , 33-35 . [2006]
  • Commentary on Vygotsky ’ s criticisms of Language and thought of the child and judgment and reasoning in the child
    1 , 241-260 [1965]
  • Can we teach children to think creatively ?
    6 ( 1 ) , 114-143 [1972]
  • CPS: 창의적 문제해결
    김영채 서울: 박영사 [2004]
  • CPS 활용 미술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조형미술 표현력에 미 치는 효과
    김윤미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CPS 모형을 활용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대인문제해결 력에 미치는 영향
    이정희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CPS 디자인 프로젝트가 유아의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 에 미치는 효과
    공자영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Bernstein의 사고도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강소영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 8th ed. )
    [2015]
  •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 4th ed. )
    [2005]
  • Art , meaning and perception : A question of methods for a cognitive neuroscience of art
    53 ( 4 ) , 443-460 [2013]
  • Art , another language for learning . ( 3rd ed. )
    [1995]
  • Approaches to art in education
    [1978]
  • Applied imagination
    [1963]
  •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34 ( 1 ) , 1-31 [1991]
  • An analysis of creativity
    42 ( 7 ) , 305-310 [1961]
  • A think of beauty : Aesthetic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42 ( 6 ) , 7-15 [1987]
  • A study on the effect of aesthetic education on the development of aesthetic judgment of six-year-old children
    35 , 335-342 [2008]
  • A study into the effects of art education on children at the socialization process
    116 , 4114-4118 [2014]
  • 4, 5세 유아의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이경화 교육심리연구, 16(3), 147-160 [2002]
  •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미술활동 분석
    최혜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2019 개정 누리과정 고시문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 2019-189호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