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임진왜란 시기의 통제영 운영과 유적 활용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Tongjeyeong and the Utilization of Historic Site during Imjin War

이수경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임진왜란 시기의 통제영 운영과 유적 활용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Tongjeyeong and the Utilization of Historic Site during Imjin War'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역사
  • 고금도
  • 고하도
  • 망궐례
  • 숙배례
  • 신군안
  • 이순신
  • 종사관
  • 주사별시
  • 최희량
  • 통제사
  • 통제영
  • 한산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7 0

0.0%

' 임진왜란 시기의 통제영 운영과 유적 활용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Tongjeyeong and the Utilization of Historic Site during Imjin War' 의 참고문헌

  • 嶺南邑誌? ?
  • 亂中雜錄? ?
  • 養浩堂日記? ?
  • 長興邑誌? ?
  • 逸翁集? ?
  • 謄錄類抄?, ?
  • 藥泉集?
  • 萬機要覽? ?
  • 統營日記? ?
  • 竹溪日記? ?
  • 看羊錄? ?
  • 眉巖集? ?
  • 盤谷集? ?
  • 白沙集? ?
  • 燃藜室記述?
  • 灌圃集? ?
  • 湖南鎭誌?
  • 洪美香, 韓少功小說中的方言現像硏究 , 湖南師範大學 碩士論文, 2014.
  • 月汀集? ?
  • 文谷集? ?
  • 懲毖錄? ?
  • 忠勳府謄錄? ?
  • 居營日記? ?
  • 孤臺日錄? ?
  • 大营, 「凝视失落后的崇高—读王朔《永失我爱》」, 『小说评论』, 1990(03).
  • 大田條例? ?
  • 壬辰狀草? ?
  • 壬辰日錄? ?
  • 增補文獻備考? ?
  • 啓本謄錄?, ?
  • 制勝方略? ?
  • 事大文軌?, ?
  • 『李忠武公全書』,
  • 『亂中日記』,
  • 『輿地圖書』
  • 『經國大典』,
  • 『承政院日記』
  • 『大典會通』,
  • 『國朝五禮儀』
  • ≪朝鮮王朝實錄≫
  • ≪新增東國輿地勝覽≫
  • ? 한성일, ?16세기 중 후반 연해 군현의 戰船 배치와 운영?, ?지역과 역사? 제42호, 부경역사연구소
    報告書 [2018]
  • ? 한산면, ?
    한산면지? [2012]
  • ? 통영시, ?통영 삼도수군통제영 내 비석군 학술조사 보고서?
    경남발전연구원 [2017]
  • ? 충무시, ?내고장의 전통?, ? 충무시, ?
    통제영과 통영성-성과 관아를 중심으로?, 1994 [1985]
  • ? 최인선, ?여천선소유적의 고고학적 조사와 성과?, ?해양문화연구? 창간호
    전남 대학교 이순신해양연구소 [2008]
  • ? 최성환, 목포의 ‘로컬리티'로서 고하도 이충무공 문화유산의 전승 내력과 가치?, ?지방사와 지방문화? 제21호
    역사문화학회 [2018]
  • ? 최성환, ?목포 고하도 일제강점기 역사유적의 내력과 그 성격에 대한 고찰?, ? 한국학연구? 제61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 ? 차문섭, ?한국사? 10
    국사편찬위원회 [1984]
  • ? 조원래, ?임진왜란사 연구의 새로운 관점?(개정판)
    아세아문화사 [2011]
  • ? 조원래, ?명량해전 후 일본군의 공세와 연해지역 의병항전-최대성의 의병활동과 보성 안치전투 사례?, ?軍史? 제70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9]
  • ? 조원래, ?壬辰倭亂과 湖南地方의 義兵抗爭?
    아세아문화사 [2001]
  • ? 조광현, ?朝鮮後期 外官의 褒貶制度와 褒貶文書 연구?, ?古文書硏究? 제49호
    고문서학회 [2016]
  • ? 제장명, ?정유재란시기 해전과 조선 수군 운영?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 제장명, ?정유재란 시기 조선 수군의 재건활동과 고하도?, ?島嶼文化? 제52집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8]
  • ? 제장명, ?절이도해전 관련 몇 가지 문제들?, ?이순신연구논총? 제28호
    순천향대학교이순신연구소, 2017 [2017]
  • ? 제장명, ?임진왜란 시기 흥양현의 전략적 위상과 현감 최희량의 활동?, ?이순신 연구논총? 제30호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8]
  • ? 제장명, ?노량해전과 이순신 전사 상황에 대한 검토?, ?이순신연구논총? 제25호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6]
  • ? 정현창, ?조선후기 전라도지역 船所址와 활용방안 연구?
    전남대학교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7]
  • ? 정현창, ?조선 후기 영산강 하구 당곶 고찰?, ?지방사와 지방문화? 제20호
    역 사문화학회 [2017]
  • ? 정해은,『한국 전통병서의 이해?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04]
  • ? 정해은, ?‘등록’으로 기록한 군영의 역사와 일상?,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 재사업 국제학술회의-군영등록의 세계기록유산적 가치?
    한국학중앙연 구원 장서각 [2016]
  • ? 정진술, ?명 수군의 참전 과정과 조 명 연합함대의 형성?, ?충무공 이순신과 한 국해양? 제5호
    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 [2018]
  • ? 정진술, ?고금도 통제영과 이순신의 전사 후 행적?, ?이순신연구논총』제20호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3]
  • ? 정은영, ?조선통신사와 망궐례?, ?조선통신사연구? 제5호
    조선통신사학회 [2007]
  • ? 전라남도, ?이순신 문화자원 총 조사 및 선양 활용 방안-제2권 유물 유적?
    순천 대학교박물관 [2016]
  • ? 전광섭, ?조선중기 외관 포폄사례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28호
    한국 지방자치학회 [2016]
  • ? 장학근, ?조선 시대 해양방위사연구?
    창미사 [1989]
  • ? 장서각, ?韓國 古文書 精選?4 敎書 有旨 宥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3]
  • ? 임원빈, ?若無湖南, 是無國家를 통해 본 이순신의 수군 전략?, ?이순신연구논총? 제27호
    순천향대이순신연구소 [2017]
  • ? 임원빈, ??난중일기?를 통해 본 한산도와 이순신의 건강?, ?이순신연구논총? 제22호
    순천향대이순신연구소 [2014]
  • ? 임민혁, ?조선 초기 遙賀儀와 군신질서?, ?조선 왕실의 嘉禮 2?
    한국학중앙연 구원출판부 [2010]
  • ? 이충실 편저, ?세병관 현판 해설?
    에이블 [2018]
  • ? 이진규, ?정유재란기 이순신 장군과 고하도?, ?목포시사-항도 목포? 제1권
    목 포시 목포시사편찬위원회 [2017]
  • ? 이진규, ?고하도진에 관한 소고?, ?목포의 향토문화연구?
    목포문화원 [2012]
  • ? 이제현, ?忠武公 李舜臣과 古今島 忠武祠?
    (사)이충무공유적고금도충무사보존위원회 [1989]
  • ? 이장희, ?壬辰倭亂中 屯田經營에 대하여?, ?東洋學? 제26집
    단국대학교 부설 동양학연구소 [1996]
  • ? 이일갑, ?통영 통제영지-보존 정비를 위한 학술조사?
    동양문물연구원 [2012]
  • ? 이은상, ?太陽이 비치는 길로?(上)(下)
    삼중당 [1973]
  • ? 이은상, ?(國역註解)李忠武公全書?(上)
    충무공사업회 [1960]
  • ? 이수경, ?이순신 장례기록과 장례과정 검토?, ?이순신연구논총』제30호
    순천 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8]
  • ? 이수경, ?완도 고금도 史蹟 검토?, ?이순신연구논총』제27호
    순천향대학교 이 순신연구소 [2017]
  • ? 이수경, ?신여량의 <舟師宣宴之圖> 제작배경 재검토?, ?미술자료? 제93호
    국 립중앙박물관 [2018]
  • ? 이선희, ?조선후기 황해도 수영의 운영?, ?한국문화? 제38호
    규장각한국학연구 소 [2006]
  • ? 이선희, ?17?18세기 충청지역 수령의 일상 업무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 이상훈, ?이순신 통제사의 조선 수군 재건과 고하도 삼도수군통제영?, ?이순신 연구논총? 제30호
    순천향대학교이순신연구소 [2018]
  • ? 이민웅, ?한산대첩의 주요 경과와 역사적 의의?, ?이순신연구논총? 제25호
    순 천향대이순신연구소 [2016]
  • ? 이민웅, ?칠천량해전 관련 주요 사적 다시 보기?, ?충무공 이순신과 한국해양? 제 4호
    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 [2017]
  • ? 이민웅, ?충무공 이순신의 고하도 통제영 운영?, ?
    해사논문집? 제57집 [2014]
  • ? 이민웅, ?임진왜란 해전사?
    청어람미디어 [2004]
  • ? 이민웅, ?강화교섭기(1593~1596) 이순신의 수군 재정비 과정?, ?이순신연구논총? 제2호
    순천향대학교이순신연구소 [2004]
  • ? 윤인수, ?朝鮮時代 甘結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8]
  • ? 윤여정, ?대한민국 행정지명? 제1권 전남 광주 편
    향지사 [2009]
  • ? 윤석호, ?조선조 望闕禮의 중층적 의례구조와 성격?, ?한국사상사학? 제43호
    조선사상사학회 [2013]
  • ? 육군본부, ?한국군사사? 제8권
    육군군사연구소 [2012]
  • ? 유지영, ?조선 시대 임명문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박사학위 논문 [2014]
  • ? 유성웅 외, ?古今島 關王廟 연구?, ?東方學? 제32권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 소 [2015]
  • ? 완도군, ?완도 고금 이충무공 유적 발굴보고서?
    목포대학교박물관 [2009]
  • ? 완도군, ?고금묘당도이충무공유적 정비 및 개발 기본계획?
    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2001]
  • ? 완도군, ?莞島 古今島鎭 발굴조사 종합보고서?
    목포대학교박물관 [2011]
  • ? 완도군, ?
    내고장전통가꾸기? [1981]
  • ? 완도군, ?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종합정비계획 수립 용역? [2016]
  • ? 오횡묵, ?慶尙道咸安郡叢?錄?
    함안문화원 [2003]
  • ? 오홍일, ?당곶진에 대하여?, ?목포의 향토문화연구?
    목포문화원 [2012]
  • ? 오항녕, ?<宣祖實錄> 修正考?, ?한국사연구? 제123호
    한국사연구회 [2003]
  • ? 오붕근, ?조선 수군사?
    사회과학출판사 [1991]
  • ? 오명석, ?~70년대의 문화정책과 민족문화담론?, ?비교문화연구? 제4호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1998 [1960]
  • ? 심승구, ?임진왜란 중 武科의 運營實態와 機能?,『조선 시대사학보? 제1권
    조 선 시대사학회 [1997]
  • ? 신윤호, ?임진왜란 시기 三道水軍 연구?
    경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 신동선, ?지방자치단체의 역사인물자원을 활용한 지역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논문 [2009]
  • ? 송철호, ?조선 시대 帖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8]
  • ? 송은일, ?조선 시대 전라좌수영 관할지역의 船所연구?, ?軍史? 제105호
    국방 부군사편찬위원회 [2017]
  • ? 송은일, ?전라좌수영의 설치와 운영?, ?조선 시대 수군진조사Ⅱ 전라좌수영 편?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4]
  • ? 송기중, ?朝鮮後期 水軍制度의 운영과 변화?
    충남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16]
  • ? 송기중, ?17세기 수군방어체제의 개편?, ?조선 시대사학보? 제53호
    조선 시대 사학회 [2010]
  •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국역 제승방략? [1999]
  • ? 변동명, ?조선시기의 여천선소유적?, ?해양문화연구? 창간호
    전남대학교 이순신 해양연구소 [2008]
  • ? 변동명, ?李舜臣과 古今島?, ?해양문화연구? 제6호
    전남대학교 이순신해양연구소 [2011]
  • ?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회 백범학술원 백범김구기념관, ?
    백범 김구 그림자료집? [2012]
  • ? 방상현, ?조선 후기 수군통제사 연구-水軍統制營 設置背景을 중심으로?, ?국사 관논총? 제17집
    국사편찬위원회 [1990]
  • ? 방상현, ?朝鮮初期 水軍制度?
    민족문화사 [1991]
  • ? 박종평 옮김, ?난중일기?
    글항아리 [2018]
  • ? 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 ?
    敎書? [2015]
  • ? 문화부 문화재관리국, ?
    문화재위원회회의록? [1992]
  • ? 문영구, ?統制營考?, ?國立麗水水産大論文集? 제17권
    (사)대한건설진흥회 [1983]
  • ? 문영구, ?全羅左水營 및 管下 五官 五浦의 史蹟?, ?國立麗水水産大論文集? 제9 권
    (사)대한건설진흥회 [1975]
  • ? 목포시, ?고하도 문화유적학술연구보고서?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6]
  • ? 노인환, ?조선 시대 관찰사 敎書와 諭書의 문서 행정과 운영?, ?고문서연구? 제48 호
    한국고문서학회 [2016]
  • ? 노인환, ?朝鮮時代 敎書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 노영구, ?임진왜란 시기 李雲龍의 활동과 전후 군사체제 강화 노력?, ?이순신 연구논총? 제28호
    순천향대학교이순신연구소 [2017]
  • ? 노승석 옮김, ?난중일기?
    동아일보사 [2005]
  • ? 노승석 옮김, ?(증보 교감완역) 난중일기?
    여해 [2016]
  • ? 노승석 옮김, ?(綜合矯監) 亂中日記 正本?
    여해 [2015]
  • ? 나주시, ?
    나주의 재발견? [2018]
  • ? 김희태, ?완도지역 원불교와 독립운동-오미산,김영현,지해원을 중심으로?, ?원불 교와 독립운동?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 사연구소 한국원불교학회 [2019]
  • ? 김희태, ?옛 그림을 통해 보는 전남의 향토민속경관-?전남그림지?년)를 중심으로?, ?남도민속연구? 제36호
    남도민속학회, 2018 [1917]
  • ? 김현구, ?조선 후기 통제영의 재정운영에 관한 연구: 통영곡을 중심으로?
    부산 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 ? 김현구, ?조선 후기 통제사에 관한 연구-그 직임을 중심으로?, ?釜大史學? 제9호
    부산대학교 사학회 [1985]
  • ? 김현구, ?조선 후기 통영곡의 운영 실태?, ?역사학보? 제124집
    역사학회 [1989]
  • ? 김현구, ?조선 후기 지방 관창의 운영사례(중) 통영 내 외창의 경우?, ?역사와 세계? 제17권
    효원사학회 [1992]
  • ? 김현구, ?조선 후기 統營穀의 구조와 전개?, ?역사와 세계? 제13호
    효원사학회 [2005]
  • ? 김현구, ?조선 후기 統制營의 公? 구성과 변천?, ?역사와 경계? 제83집
    경남 사학회 [2012]
  • ? 김일용, ?통제사행렬에 관한 연구-18세기 통제영 군점행차를 중심으로?, ?제 44회 한산대첩기념제전국제학술발표회자료집?
    (재)한산대첩제전위원 회 [2005]
  • ? 김일용, ?統制營 事蹟을 찾아서?, ?통영 향토사연구논문집Ⅱ?
    통영문화원 [2015]
  • ? 김용철, ?이순신 기념공간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완도 고금도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 김영현, ?淸海?史?
    완도문화원 [2012]
  • ? 김시덕, ?한국의 상례문화?
    민속원 [2012]
  • ? 김만호, ?정유재란기 수군의 재건과 호남?, ?충무공 이순신과 한국 해양? 제4 호
    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 [2017]
  • ? 김동수 교감 역주, ?호남절의록?
    경인문화사 [2010]
  • ? 김대현, ?여수 충민사의 건립경위 및 연대에 관한 재고찰?, ?이순신연구논총? 제22호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4]
  • ? 김경옥,「16~17세기 古今島 인근 海路와 水軍鎭의 설치?,『島嶼文化』제33집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09]
  • ? 김경옥, ?역사유적?, ?목포시의 문화유적?
    목포시 목포대학교박물관 [1995]
  • ? 김강식, ?임진왜란시기 逸翁 崔希亮의 활동과 기억?,『이순신연구논총』제28호
    순천향대이순신연구소 [2017]
  • ? 국립나주박물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호남의 임진왜란 그 승리의 기록
    무숙공 최희량이 쓴 壬亂捷報書目? [2018]
  • ? 고흥군, ?임진왜란 흥양해전사 연구?
    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 [2016]
  • ? 고용규, ?고하도진성의 현황과 과제?, ?
    고하도역사재조명 논문집?, 목포시 목포 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7]
  • ? 고금면지발간위원회, ?
    고금면지? [2001]
  • ? 고광섭 외, ?난중일기에 기록된 안편도(발음도)의 지리적 위치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42권 제6호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
  • ? 경상남도, ?制勝堂誌?
    제승당관리사무소 [1994]
  • ? 경남문화재연구원,『統營 統制營址?
    통영시 경남문화재연구원 [2009]
  • ? 강제훈, ?조선초기의 朝會 의식?, ?조선 시대사학보? 제28호
    조선 시대사학회 [2004]
  • ? 강봉룡 변남주, ?조선 시대 호남지역 포구의 사례 조사, 연구?, ?島嶼文化? 제28 호
    도서문화연구원 [2006]
  • ? ?1597 정유재란?
    국립진주박물관 [2017]
  • ?
    전라남도청 홈페이지(www.jeonnam.go.kr)
  • ?
    완도군청 홈페이지(www.wando.go.kr)
  • ?
    목포시청 홈페이지(www.mokpo.go.kr)
  • ?
    통영시청 홈페이지(www.tongyeong.go.kr)
  • ?
    문화재청 홈페이지(www.cha.go.kr)
  • ?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www.museum.go.kr)
  • ?
    국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www.nl.go.kr)
  • ?
    현충사 홈페이지(http://hcs.cha.go.kr)
  • ?
    육군박물관 홈페이지(http://museum.kma.ac.kr)
  • ?
    해군박물관 홈페이지(http://museum.navy.ac.kr)
  • ?
    국가기록원 홈페이지(www.archives.go.kr)
  • ?
    통영한산대첩축제 홈페이지(www.hansanf.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