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사사과정 과학영재들의 집단창의성 발현을 통한 탐구 문제 발견 과정 이해 =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finding inquiry problems of the science gifted by group creativity in a mentorship program

노현아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사사과정 과학영재들의 집단창의성 발현을 통한 탐구 문제 발견 과정 이해 =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finding inquiry problems of the science gifted by group creativity in a mentorship program'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육,연구,관련주제
  • 탐구 문제 발견
  • 과학 영재
  • 사사과정
  • 지식공유
  • 집단 창의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54 0

0.0%

' 사사과정 과학영재들의 집단창의성 발현을 통한 탐구 문제 발견 과정 이해 =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finding inquiry problems of the science gifted by group creativity in a mentorship program' 의 참고문헌

  • 확산적 수렴적 사고기법 유형을 통한 디자인 문제해결 향상 연구 : 시각디자인 전공을 중심으로
    이정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하브루타 활용 수업이 개인 및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허영주 교양교 육연구. 10(3), 73-106 [2016]
  • 특성화 고등학교의 동료멘토링 활동수업이 수학학습효과에 미치 는 영향
    송명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총뇌기반의 집단 구성을 통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허필환 한국교 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초중고 학생들의 개인창의성과 집단창의성 및 환경변인의 집단별 영향력 비교연구
    유경훈 영재와 영재교육, 14, 201-222 [2015]
  • 초등학생들이 선정한 자유탐구활동 주제 분석
    김범기 박종선 송영욱 한 국과학교육학회지, 31(2), 143-152 [2011]
  • 초등학교 과학 영재학생의 집단 창의성 발현과정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조무정 진석언 창의력교육연구. 16(2), 35-59 [2016]
  •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 개발
    조연순 최경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329-343 [2000]
  • 창의성도 협동에서 일어난다
    곽금주 동아일보, 2009. 7.15 [2009]
  • 창의성 교육의 원리탐색: 몰입의 원리
    최석민 교육철학, 26, 197-214 [2004]
  • 창의성 교육의 새로운 접근
    김정섭 윤경미 전윤식 교육학연구, 41(3), 215-238 [2003]
  • 창의성 개념의 심리학적 고찰을 통한 창의성교육 연구
    문성란 왕치현 이현열 독어교육, 63, 279-302 [2015]
  • 창원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중등 화학 사사과정의 운영과 개선방 안 연구
    김현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집단 협력학습에서 시너지의 심층적 개념 분석
    김선연 교육공학연구, 33(1), 75-104 [2017]
  • 집단 창의성의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류형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0]
  • 집단 창의성 교육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 수업 연구
    정혜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집단 과학창의성 영향요인 선정과 과학영재학생들의 물리 창의 과제 해결 과정에 나타나는 집단 과학창의성 영향요인 분석
    홍은정 단국대학교 대 원원 박사학위 논문 [2016]
  • 직관적 및 체계적 자유연상기법이 개념설계과정에서 고등학생 집단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민세기 최유현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4(1), 129-154 [2009]
  • 지식경영전략과 인적자원관리의 적합성에 따른 지식창출과 지식 공유의 차이
    설현도 금융지식연구, 8(3), 33-62 [2010]
  • 지속성장형 과학영재 자율연구지도 사례 조사: 세계 명문대를 중심으로
    강정하 박선희 신학수 홍성호 영재교육연구, 28(1), 63-89 [2018]
  • 지구과학영재를 위한 천문사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연수 경북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중학교 학생들의 자유탐구활동 중 주제선정단계 에서 나타난 어려움 조사
    오상욱 이준기 정우경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199-1213 [2011]
  • 임파워링 리더십이 구성원의 지식공유와 내재적 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 상사신뢰 매개를 중심으로
    김기홍 김승용 이병철 지식경영연구, 14(2), 89-116 [2013]
  • 인간교육과 협동학습 활동
    이동원 서울: 성화사 [1995]
  • 이화선 학습플로우경험의 증진방안연구: 관련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과 플로우 채널 탐색을 기반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이은로 배심단 의사결정에 대한 결정규칙의 효과: 만장일치 규칙과 다수 결 규칙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이미나 아동의 집단 과제 수행에서 나타나는 창의성과 플로우의 관계
    성 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우연적 발견 능력(serendipity)의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강이철 교육공학연구, 22(3), 95-115 [2006]
  • 우수과학영재를 위한 창의적 문제발견/문제해결 모델개 발
    김명숙 하주현 영재와 영재교육, 9, 141-172 [2010]
  •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창의성"의 의미 분 석 연구: 5 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송진웅 홍옥수 교육연구와 실천, 81, 121-140 [2015]
  • 영재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상황에서 집단 과 학창의성 영향요인 탐색
    이봉우 허남영 홍은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527-538 [2016]
  • 영재와 일반아 집단의 영역 창의성 비교를 통한 능력-분화가설 검증
    박숙희 영재와 영재교육, 13(3), 109-126 [2014]
  • 영재반 학생들의 특성 및 만족도 중심으로 고찰한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 평가 사례
    윤지현 전영국 과학영재교육. 10(2), 1-19 [2018]
  • 연구와 교육(R&E) 프로그램을 통한 과학영재의 창의성 신장 방안에 관한 연구
    강호감 박경희 박일영 박지현 서혜애 이진희 이혁우 최호성 서 울: 한국과학재단(정책연구 2002-5092) [2003]
  • 연구: 지식공유의 영향요인: 연구동향과 과제
    문형구 박문수 지식경영연 구, 2(1), 1-23 [2001]
  •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서의 집단 창의성 발현 사례연구 : 수학적 표현과 모델 도출 활동을 중심으로
    이경화 정혜윤 수학교육학연구. 29(2), 251-2 [2019]
  •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집단창의성 발현 과정에 작용하는 요소와 교수 학습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성지현 이종희 교과교육학연구.21(1), 59-70 [2017]
  •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집단창의성 발현 과정 연구
    성지현 이화여자대 학교 대원원 박사학위 논문 [2017]
  • 송진여, 정지현, 김종희 중등과학영재 학생의 탐 구 사고력 향상을 위한 R&E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노자헌 손준호 조재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지. 12(1), 94-108 [2019]
  • 소집단 자유 탐구에서 과학적 탐구 문제 발견 과정의 특 징 분석
    이봉우 천명기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6), 865-874 [2018]
  • 브레인스토밍 유형이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집단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홍기칠 사고개발. 9(2), 175-193 [2013]
  • 문제발견과 창의성
    하주현 지식경영연구, 7(1), 1-12 [2006]
  • 멘티의 주도적 문제 발견이 영재 사사 프로그램 참여에 미치는 영향
    주성빈 최재혁 새물리, 66(11), 1432-1430 [2016]
  • 교육적 경험의 의미와 방법: 듀이의 교육이론과 실험학교 실천에 기초한 탐색
    박주희 양은주 교육과정평가연구, 22(2), 185-212 [2019]
  • 과학영재학교 자율탐구활동(R&E) 프로그램에 대 한 학생 의 인식 분석
    박경희 최호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2), 409-431 [2015]
  • 과학영재와 일반학생 집단 간의 창의성 비교 연구
    김언주 김종득 심재영 교육심리연구, 9(3), 563-576 [2005]
  •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교육의 개선을 통한 과학교육원 활성화 방 안 연구
    홍준의 한국과학창의재단 [2018]
  •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교육 준비와 유형에 대한 논의
    박종원 과학영재교 육, 1, 1-19 [2009]
  •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교육을 위한 모형 개발
    김범기 윤기상 과학교육연 구지, 35(1), 48-58 [2011]
  • 과학영재 학생들을 위한 사사과정 입문 교육의 효과
    손정우 교사교육연 구, 54(4), 573-580 [2015]
  • 과학영재 사사과정에서 나타난 영재아들의 변인통제 및 과학적 사고 분석- 방사선 검출기 제작 활동을 통하여 -
    윤여원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13]
  • 과학영재 교육에서 자율탐구활동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효녕 조현준 과학교육연구지, 32(2), 33-50 [2008]
  •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R&E 참여 과정에서 드러내는 과학 적 실행 및 인식 변화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합법적 주변 참여의 관점에서
    김희백 이민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3), 371-387 [2016]
  •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cuation (R&E) 수행과정 및 운영환경에 대한 분석: 지도자와 학생의 인식 차이를 중 심으로
    류춘열 정현철 채유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139-1156 [2012]
  • 과학고 R&E(Research & Education) 프로그램의 참여 경험 과 의미: 졸업생 면담 사례를 중심으로
    최호성 태진미 영재와 영재교육, 14(3), 51-79 [2015]
  • 과학 자유탐구를 지도할 때 발생하는 어려움
    전민지 전영석 한국초등교 육, 20(1), 105-115 [2009]
  • 과학 분야 사사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및 교수들의 인식 조사
    임희준 영 재교육연구, 14(1), 29-46 [2004]
  • 고등학생들의 ‘연구를 통한 학습 프로그램(R&E)’ 참여 경험의 의 미 탐색
    김아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7), 99-119 [2019]
  • 개인과 집단의 창의성 비교와 집단의 보상 효과 연구
    류형선 이병임 하주현 창의력교육연구. 11(1), 89-108 [2011]
  • 개인, 집단, 조직창의성의 발현 및 제고를 위한 창의적 경영시스 템
    권상순 선문대학교 사회과학논집, 3, 29-57 [2000]
  • 『질적연구 ? 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곽영순 파주: 교육과학사 [2009]
  • 「창의력의 이론과 개발」
    김영채 서울: 교육과학사 [2007]
  • 「집단 창의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최종인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5]
  • Working Knowledge : How Organizations Manage What They Know .
    [1998]
  • Why educate “ Little Scientists ? ” : Examining the potential of practice-based scientific literacy
    41 , 234 ? 266 [2004]
  • When is educational specialization heterogeneity related to creativity in research and development teams-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a moderator
    92 ( 6 ) , 1709 [2007]
  • When collections of creatives become creative collectives : A field study of problem solving at work
    17 ( 4 ) , 484-500 [2006]
  • What do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gain from field-based research apprenticeship programs ?
    75 ( 5 ) , 229-232 . [2002]
  • We-think : The power of mass creativity
    [2008]
  • Understanding hydrometeorology using global models
    85 ( 11 ) , 1673-1688 [2004]
  •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
    18 ( 2 ) , 293-321 . [1993]
  • The research act :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 ods
    [1978]
  • The problem of the problem
    11 , 37-49 [1982]
  • The laboratory in science education : Foundation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88 ( 1 ) , 28-54 . [2004]
  • The gifted student in science : Fulfilling potential
    49 ( 3 ) , 46-53 [2003]
  • The effect of peer and teacher feedback on student writing
    8 ( 3 ) , 265-289 [1999]
  • The development of the person : An experiential perspective on the ontogenesis of psychological complexityIn Applications of Flow in Human Development and Education
    pp . 7-79 [2014]
  • The Wisdom of Crowds. 홍대운, 이창근 역(2004). 대 중의 지혜
    Surowiecki, J. 서울: 랜덤하우스 중앙 [2004]
  • Ten qualities of Co-intelligence
  • Teaching for self-directed learning : A priori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19 ( 1 ) , 46-59 . [1975]
  • Society ,Culture , and person : A systems view ofCreativity . In The systems model ofCreativity
    pp . 47-61 [2014]
  • SocialCapital , intellectualCapital and the orga nizational advantage .
    23 ( 2 ) , 242-266 . [1998]
  • Reasoning as a scientist : Ways of helpingChildren to use language to learn science
    30 ( 3 ) , 359-377 [2004]
  • R&E 프로그램의 운영과정 및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2004년 과학고등학교 R&E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지명근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05]
  • R&E 프로그램을 체험한 과학영재들의 사사교육 프로그 램 효과에 대한 인식: KAIST 신입생을 중심으로
    김경대 심재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4), 282-290 [2008]
  • R&E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영재고등학생들의 인식
  • Prospering in dynamically-competitive environments : OrganizationalCapability as knowledge integration
    7 ( 4 ) , 375-387 . [1996]
  • Problem finding , evaluative thinking , andCreativity
    [1994]
  • Problem discovery , divergent thinking , and theCreative process
    17 ( 3 ) , 211-220 . [1988]
  • Perspectival pluralism
    19 [2006]
  • Peer interactive minds : Developmental , theoretical , and methodological issues . Interactive minds : Life-span perspectives on the social foundation of cognition
    [1996]
  • Mind in society :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 . ( Cole , M. , John-Steiner , V. , Scribner , S. , & Souberman , E. Eds )
    [1978]
  • Mentoring alternatives : The role of peer relationships in career development
    28 ( 1 ) , 110-132 . [1985]
  • M.Researching lived Experience. 신경림, 안규남 역 (1994). 체험연구
    Van Manen 서울: 동녘 [1990]
  • It 's harder than we thought it would be : AComparativeCase study of expert-novice experimentation strategies
    86 ( 2 ) , 219-243 [2002]
  • Innovation in working groups
    [1990]
  • Innovation in top management teams
    81 ( 6 ) , 680 [1996]
  • How We Think ,
    [1997]
  • Group creativity :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2003]
  • Group Genius. 이호준 역(2008). 그룹 지니어스
    Sawyer, R. K. 서울: 북섬 [2004]
  • Group Creativity and Technology
    29 ( 3 ) , 201-216 . [1995]
  • Government 2.0 : Transforming government and governance for the twenty-first century
    1 , 1-21 [2008]
  • From Guilford to creative synergy : Opening the black box of team-level creativity
    13 ( 3-4 ) , 285-294 . [2001]
  •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나다(최인수 옮김)
    Csikszentmihalyi, M. 서울: 한울림 [2004]
  • Flow ’ experience in the daily lives of sixth‐form college students
    85 ( 4 ) , 511-523 [1994]
  • Exploring internal stickiness : Impediments to the transfer of best practice within the firm
    17 ( S2 ) , 27-43 [1996]
  • Explaining creativity : The science of human innovation
    [2012]
  • Experiencing flow : Is doing it together better than doing it alone ?
    5 ( 1 ) , 3-11 [2010]
  • Diversity and creativity in work groups . A dynamic perspective on the affective and cognitive processes that link diversity and performance
    32-62 [2003]
  • Dialogical interactions among peers in collaborative writing contexts
    [2010]
  • DAST를 활용한 초등학교 과학영재의 과학자와 과학에 대한 인식 조사. 석사학위논문
    최연지 대구교육대학교 [2011]
  • Creativity in science : Chance , logic , genius , and Zeitgeist
    [2004]
  • Creativity : Understanding innovation in problem solving , science , invention , and the arts
    [2006]
  • Creativity : From potential to realization .
    [2004]
  • Creativity : Cognitive , personal , developmental , and social aspects
    55 ( 1 ) , 151 . [2000]
  • Convergence in creativity development for mathematical capacity . In Creativity and Giftedness
    pp . 117-133 [2017]
  • Concern for discovery in the creative process
    [1976]
  • Committed to share :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 knowledge sharing and the use of CMC
    11 ( 1 ) , 13-24 . [2004]
  • Building a mentorship-based research program focused on individual interests , curiosity , and professional skills at the North Carolina School of Science and Mathematics
    39 ( 4 ) , 191-204 [2016]
  •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34 ( 1 ) , 1-31 [1991]
  • An analysis of creativity
    42 ( 7 ) , 305-310 [1961]
  • Administrative theory
    [1959]
  • Actualizing organizational memory with information systems
    6 ( 2 ) , 85-117 . [1995]
  • A structural model of scientific eminence
    4 ( 6 ) , 366-371 .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