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낭만주의 해석학의 음악이해 : 슐라이어마허(F. D. E. Schleiermacher)와 딜타이(W. Dilthey)의 해석학적 철학을 중심으로

장유라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낭만주의 해석학의 음악이해 : 슐라이어마허(F. D. E. Schleiermacher)와 딜타이(W. Dilthey)의 해석학적 철학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pplication and expansion
  • contemporary musicology
  • dilthey
  • hermeneutics of romanticism
  • musical hermeneutics
  • schleiermacher
  • 낭만주의 해석학
  • 딜타이
  • 슐라이어마허
  • 음악해석학
  • 적용과 확장
  • 현대음악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42 0

0.0%

' 낭만주의 해석학의 음악이해 : 슐라이어마허(F. D. E. Schleiermacher)와 딜타이(W. Dilthey)의 해석학적 철학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헤르만 피셔, 『슐라이어마허의 생애와 사상』, 오성현 역
    월드북 [2007]
  • 한독음악학회, 『음악미학텍스트』
    세종출판사 [1997]
  • 프리드리히 큄멜, 『자연은 말하는가? 오토 프리드리히 볼노 후기 사상에서 나 타난 인간과 자연의 관계』, 최신한 역
    탑 출판사 [1995]
  •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성탄축제』, 최신한 역
    문학사상사 [2001]
  •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기독교 신앙』, 최신한 역
    한길사 [2006]
  •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해석학과 비평: 신약성서와의 특별한 관계를 중심 으로?, 최신한 역
    철학과 현실사 [2000]
  •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종교론: 종교를 멸시하는 교양인을 위한 강연?, 최 신한 역
    대한기독교서회 [2002]
  • 프랑크, 『현대의 조건』, 최신한 역
    만프레드 책세상 [2002]
  • 폴 리쾨르, ?텍스트에서 행동으로?,, 박병수 외 역
    아카넷 [2002]
  • 쿠르트 프리틀라인, 『서양철학사』, 강영계 역
    서광사, , 2010 [1985]
  • 커먼, 『음악을 생각한다』, 채현경 역
    조셉 궁리 [1985]
  • 칸트, ?칸트의 역사철학?, 이한구 편역
    임마누엘 서광사 [2009]
  • 칸트, ?실용적 관점에서 본 인간학?, 이남원 역
    임마누엘 울산대학교 출판부 [1998]
  • 장유라, 「슐라이어마허의 사교(Geselligkeit)개념 연구: 전기(傳記)적, 교양이론 적 그리고 종교이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철학탐구』 52
    중앙철학연 구소, , 127-176 [2018]
  • 장 그롱댕, 『현대해석학의 지평』, 최성환 역
    동녘 [2019]
  • 장 그롱댕, 『철학적 해석학 입문』, 최성환 역
    한울 [2012]
  • 음악미학연구회, 『음악, 말보다 더 유창한』, 오희숙 책임편집
    음악세계 [2012]
  • 음악미학연구회, 『그래도 우리는 말해야하지 않는가』, 오희숙 외 책임편집
    음 악세계 [2018]
  • 음악미학
    오희숙 홍정수 음악세계 [1999]
  • 음악과 정서, 그리고 몸: 신경미학적 접근
    정혜윤 『미학』 80, 한국미학회, , 303-344 [2014]
  • 웨인 D. 보먼, 『음악철학』, 서원주 역
    까치 [2011]
  • 오토 프리드리히 볼노, 『삶의 철학』, 백승균 역
    경문사 [1985]
  • 숄츠, ?슐라이어마허?, 슈테판 로렌츠 조르크너, 올리버 퓌어베트 편집, 『독일 음악미학』, 김동훈, 홍준기 역
    군터 아난케 [2003]
  • 서만석, 「슐라이어마허의 종교적 의식과 신앙」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3]
  • 서동은, 「딜타이 해석학의 현대적 의미」, 『해석학연구』 35
    한국해석학회, , 101-128 [2014]
  • 빌헬름 딜타이, 『해석학의 탄생』, 손승남 역
    지만지 [2009]
  • 빌헬름 딜타이, 『체험?표현?이해』, 이한우 역
    책세상 [2002]
  • 빌헬름 딜타이, 『철학의 본질』, 최성환 역
    지만지 [2017]
  • 빌헬름 딜타이, 『정신과학입문』, 송석랑 역
    지만지 [2009]
  • 빌헬름 딜타이, 『정신과학과 개별화』, 이기흥
    지만지 [2008]
  • 빌헬름 딜타이, 『딜타이 시학』, 김병욱 외 역
    예림기획 [1998]
  • 빌헬름 딜타이, ?정신과학에서의 역사적 세계의 건립?, 김창래 역
    아카넷 [2009]
  • 리차드 팔머,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이한우 역
    문예출판사 [2001]
  • 게오르크 가다머, 『진리와 방법 2: 철학적 해석학의 기본 특징들』, 임홍 배 역
    한스 문학동네 [2012]
  • 『철학 속의 음악』
    오희숙 심설당 [2009]
  • 『정신과학의 철학: 신칸트학파, 딜타이, 그리고 후설의 현상학과 역사 적 인문, 사회과학의 철학적 토대』
    신호재 이학사, 오토 푀겔러. ?해석학적 철학의 역사?, ?해석학의 철학?, 박순영 옮김, 서광 사, 1993 [2018]
  • 『음악 속의 철학』
    오희숙 심설당 [2009]
  • 『역사적 슐라이어마허 연구』
    김승철 한들 [2004]
  • 『앎과 삶: 해석학적 지식론』
    이규호 좋은날 [1972]
  • 『아도르노, 달하우스, 크나이프, 다누저』
    오희숙 홍정수 심설당 [2002]
  •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
    강돈구 이동희 역, 이학사 [2000]
  • 『슐라이어마허: 감동과 대화의 사상가』
    최신한 살림 [2003]
  • 『빌헬름 딜타이의 탐구작업과 역사적 세계관』
    마르틴 하이데거 김재철 역, 누멘 [2010]
  • 「헤르더와 슐라이어마허의 존재론」
    한상연 『해석학연구』 21, 한국해석학회, , 1-31 [2008]
  • 「해석학적 순환의 인식론적 구조와 존재론적 구조-Schleiermacher와 Gadamer」
    강돈구 『철학연구』 23, 철학연구회, , 43-80 [1988]
  • 「해석학에 있어서 자연의 문제-자연해석학의 정초 시도」
    최성환 『해석학 연 구』 25, 한국해석학회, , 23-54 [2010]
  • 「해석학과 현대: 슐라이어마허 해석학의 현재성」
    최신한 『해석학연구』 8, 한 국해석학회, , 153-184 [2001]
  • 「해석학과 수사학-사회적, 문화적 실천으로서의 인문학」
    최성환 『해석학연 구』 17, 한국해석학회, , 51-79 [2006]
  • 「해석학과 마음의 문제」
    최성환 『철학탐구』 48, 중앙철학연구소, , 155-195 [2013]
  • 「해석과 체계-해석학의 철학적 시대적 위상과 과제에 대하여」
    최성환 『해석 학연구』 6, 한국해석학회, , 145-184 [1999]
  • 「한슬릭의 형식주의 음악미학」
    박영선 ?문화와 융합?, 40(5), 한국문화융합 학회, , 09, 175-206 [2018]
  • 「학문으로서의 해석학과 대화의 체계」
    최신한 『뷔히너와 현대문학』 14, 한국 뷔히너학회, , 200-225 [2000]
  • 「표현의 자유를 향한 슐라이어마허의 ‘보다 나은 이해“」
    김승철 『해석학연 구』 35, 한국해석학회, , 31-68 [2014]
  • 「폴 리쾨르: 해석학과 자기이해」
    이기언 『불어불문학연구』 79, 한국불어불문 학회, , 401-439 [2009]
  • 「칸트철학과 현대 해석학의 문제들: 슐라이어마허의 보편해석학 기 획」
    김영한 『칸트연구』 12, 한국칸트학회, , 219-254 [2003]
  • 「칸트와 해석학-딜타이의 ‘역사이성 비판’의 성립배경을 중심으로」
    최성환 『칸트연구』 7, 한국칸트학회, , 177-205 [2001]
  • 「진정한 연주란 무엇인가?-이도르노(Th. W. Adorno)의 해석이론에 대한 소고」
    오희숙 『美學』 73집, 한국미학회, , 1-33 [2013]
  • 「종교적 감정의 전달과 언어: 슐라이어마허의 『종교론』을 중심으로」
    이병옥 『해석학연구』 9, 한국해석학회, , 293-309 [2002]
  • 「종교와 몸: 슐라이어마허의 “살/몸” 존재론에 관하여」
    한상연 『해석학연구』 26, 한국해석학회, , 171-222 [2010]
  • 「존재론적 당위성의 토대로서의 초월: 슐라이어마허의 존재론적 윤리 학」
    한상연 『현대유럽철학연구』 39, 한국현대유럽철학회, , 241-274 [2015]
  • 「이해의 한계와 번역불가능성의 문제: 슐라이어마허의 『번역의 다양한 방법에 대하여』를 중심으로」
    최신한 『해석학연구』 19, 한국해석학회, , 29-57 [2007]
  • 「의로움의 해석학: 슐라이어마허의 “의”(δικαιοσuνη) 개념을 중심으 로」
    최신한 『해석학연구』 31, 한국해석학회, , 29-49 [2013]
  • 「음악해석학을 적용한 바로크음악의 연구방법」
    김미애 『음악과 민족』 23, 민족음악학회, , 289-306 [2002]
  • 「음악분석에서의 해석적 언급에 대한 고찰」
    이소영 『낭만음악』 제6권 제3 호, 낭만음악회, , 75-162 [1994]
  • 「유한적 이성과 해석학적 인식」
    최신한 『철학연구』 31, 철학연구회, , 349-369 [1992]
  • 「슐라이에르마허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교육학적 기초이론으로서 그의 ?사교성 이론을?을 중심하여-」
    임창호 『교육학 연구』 30권 4호, 한국 교육학회, 69-83
  •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과 변증법: 해석학적 언어이론을 중심으로」
    최신한 백승균 저 『해석학과 현대철학』, 철학과현실사, , 21-42 [1996]
  •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 개념-볼프 및 아스트와의 대화」
    최신한 『해석학연 구』 22, 한국해석학회, , 137-163 [2008]
  • 「슐라이어마허의 전반성적 주체와 직접적 자기의식」
    최신한 『철학연구』 34, 철학연구회, , 329-347 [1994]
  • 「슐라이어마허의 인간성 개념」
    최신한 『동서철학연구』 63, 한국동서철학회, , 75-95 [2012]
  • 「슐라이어마허의 신학과 학문성 분석 : 종교론을 중심으로」
    진성철 웨스트민 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논문 [2017]
  • 「슐라이어마허의 보편해석학과 성서해석학」
    최신한 정기철 엮음, 『신학해석 학』, 한들출판사, , 29-42 [1997]
  • 「슐라이어마허의 교회론에 대한 이해:『종교론』을 중심으로」
    김인수 계명대학 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7]
  • 「슐라이어마허와 하이데거의 초월 및 실존 개념」
    한상연 『현대유럽철학연구』 35, 한국현대유럽철학회, , 235-274 [2014]
  • 「슐라이어마허와 가다머: 가다머의 슐라이어마허 비판은 정당한가」
    최신한 『해석학연구』 12,한국해석학회, , 68-97 [2003]
  • 「슐라이어마허와 가다머(Ⅱ). 해석학의 보편성 요구-지평융합인가, 지 평확대인가?」
    최신한 『철학연구』 90, 철학연구회, , 407-434 [2004]
  • 「슐라이어마허에게 있어서 종교성과 경건」
    백인호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 논문 [2012]
  • 「슐라이어마허에 있어서의 번역과 해석」
    이선관 『범한철학』 30, 범한철학회, , 185-210 [2003]
  • 「슐라이어마허 해석학의 기원」
    김승철 『해석학연구』 24, 한국해석학회, , 39-69 [2009]
  • 「살, 몸과 해석: 슐라이어마허 해석학의 존재론적 근거에 관한 성찰」
    한상연 『해석학연구』 35, 한국해석학회, , 69-98 [2014]
  • 「빌헬름 딜타이의 ‘철학의 철학’에 대한 철학적 성찰」
    김창래 『철학탐구』 38, 중앙철학연구소, , 121-161 [2015]
  • 「빌헬름 딜타이와 요크 폰 바르텐부르크의 유형론 비교」
    최성환 『해석학연 구』 13, 한국해석학회, , 207-237 [2004]
  • 「빌헬름 딜타이에 있어서 체험과 시적 상상력의 관계」
    윤승주 『미학예술학 연구』, 19, 한국미학예술학회, , 91-107 [1999]
  • 「빌헬름 딜타이(김창래 �ケ�)『정신과학에서 역사적 세계의 건립』 아 카넷, 」
    최성환 『철학』 104, 한국철학회, 2010, 247-251 [2009]
  • 「보편적 해석학의 기초로서의 언어와 사유:Schleiermacher의 해석학 을 중심으로」
    강돈구 『철학』 24, 한국철학회, , 31-53 [1985]
  • 「방법과 진리-해석학의 방법 논쟁을 중심으로」
    최성환 『해석학연구』 15, 한 국해석학회, , 59-97 [2005]
  • 「문화 해석과 해석 문화: 합리적-합의적 문화 이해의 해석학적 기초」
    최성환 『해석학연구』 7, 한국해석학회,, 15-41 [2000]
  • 「문학, 예술, 그리고 해석학: 음악작품과 해석」
    정은경 최성환 『해석학연구』 14, 한국해석학회, , 71-103 [2004]
  • 「매개적 자기의식과 직접적 자기의식, 헤겔과 슐라이어마허에 있어서 철학과 종교의 관계」
    최신한 『철학과 현실』, 철학문화연구소, , 366-369 [1992]
  • 「딜타이의 해석학적 철학과 형이상학」
    김의수 『철학연구』 21, 철학연구회, , 27-45 [1986]
  • 「딜타이의 정신과학론」
    이성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4]
  • 「딜타이의 자기(Selbst)의 해석학-자기성찰(Selbstbesinnung)과 자서 전(Selbstbiographie)을 중심으로」
    최성환 『해석학연구』 27, 한국해석학회, , 171-201 [2011]
  • 「딜타이의 삶 해석학」
    김영한 『철학논총』 41, 새한철학회, , 3-26 [2005]
  • 「딜타이는 누구인가」
    김창래 『철학탐구』 24, 중앙철학연구소, , 245-286 [2008]
  • 「딜타이(W. Dilthey)의 해석학적 역사이해」
    김의수 『해석학연구』 2, 한국해 석학회, , 157-177 [1996]
  • 「딜타이(W. Dilthey)의 해석학 구상: 『비교심리학에 관하여』(1895/6) 와 『해석학의 탄생』(1896/7)을 중심으로」
    최성환 『현대유럽철학연구』 40, 한국 현대유럽철학회, , 97-133 [2016]
  • 「딜타이 철학에서의 심리학적 연구의 의의: 학제적 연구 모델로서의 심리학」
    최성환 『해석학연구』 9, 한국해석학회, , 13-41 [2002]
  • 「데카르트의 『음악개론』에서 산술적 비례의 문제」
    안승훈 『철학논집』 36,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341-373 [2014]
  • 「데카르트와 음악의 문제-음악의 대상을 중심으로」
    김상봉 『대동철학』 81, 대동철학회, , 1-27 [2017]
  • 「놀이의 해석학-전통놀이 문화의 해석을 위한 시론」
    최성환 최인자 『해석학 연구』 18, 한국해석학회, 183-221 [#REF!]
  • 「낭만주의 해석학: 해석학적 순환을 중심으로」
    정기철 『해석학연구』 12, 한 국해석학회, , 15-43 [2003]
  • 「고전 해석학의 역사: 클라데니우스의 철학적 해석술-관점 (Sehepunkt)이론을 중심으로」
    최성환 『해석학연구』 10, 한국해석학회, , 80-108 [2002]
  • 「감각과 이해: 슐라이어마허의 종교론에 나타난 해석학」
    이병옥 『해석학연 구』 12, 한국해석학회, , 43-68 [2003]
  • 「가다머의 해석학과 음악해석학」
    오윤록 『음악과 민족』 43, 민족음악학회, , 167-186 [2012]
  • 「W. Dilthey의 해석학적 미학연구」
    주성옥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1990]
  • 「Doing Philosophy와 대화-슐라이어마허를 중심으로-」
    최신한 『철학논집』 44,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183-207 [2016]
  • in : The Cambridge Companion to Friedrich Schleiermacher
    251-268 [2005]
  • ein Lebensbild in Briefen und Tagebuchern
    [1960]
  • Zusatze ” : Das musikalische Verstehen
  • Zur Begrundung einer verstehenden Kunsttheraphie im Sinne der hermeneutischen Wissenchaften von
    [2002]
  • Wilhelm Dilthey ’ s Contribution to the Aesthetics of Music
    Vol . 15 , No . 4 ,
  • Wilhelm Dilthey nach 150 Jahrenin : Dilthey und die Philosphie der Gegenwart ( hg . E. w. Orth )
    [1985]
  • Why Classical Music Still Matters
    [2007]
  • Weil Religion im Kern nichts anderes ist als Kunst
    [2015]
  • Vorlesungen uber die Altertumswissenschaft , ( hg . J. D. Gurtler )
  • Von der Freundschaft zur Gesellligkeit . Leitkonkigurationen der Theorieentwocklung des jungen Schleiermacher bis zu den < < Reden
    [1996]
  • Versuch einer Theorie des geselligen Betragensin : ders. , Kritische Gesamtausgabe Bd . 2 , Schriften aus der Berliner Zeit
    [1984]
  • Urdistanz und Beziehung
    [1964]
  • Understanding Music : Philosophy and Interpretation
    [2009]
  • Uber erklarende und beschreibende Psychologie ( 1896 ) ” , in : Materialien zur Philosophie Wilhelm Diltheys , ( hg , von F. Rodi und H. Lessings )
  • Uber das Rhetorische und das Asthetische Ansichten Schleiermachers Rhetorik
    19 [2010]
  • Uber das Rhetorische und das Asthetische Ansichten Schleiermachers
    19 [2004]
  • Theomusical Subjectivity : Schleiermacher and the Transcendence of Immediacy
    [2015]
  • Themes in the Philosophy of Music
    [2003]
  • The Thought of Music
    [2016]
  •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Schleiermacher 's Hermeneuticsin : The Cambridge Companion to Friedrich Schleiermacher
    73-90 [2005]
  • The Art of Interpreting Platoin : The Cambridge Companion to Friedrich Schleiermacher
    91-108 [2005]
  • The Aesthetics of Music
    [1997]
  • Tatsachen , Normen und Werte in Diltheys Theorie der Geistes und Sozialwissenschaften
    [2016]
  • Soziale Bildung . Padagogisch anthropologische Perspektiven der Geselligkeit
    [2002]
  • Schleiermachers Musikphilosophie
    [1981]
  • Schleiermacher Philosophie als Lebensphilosophie
  • Schleiermacher Hermeneutik und Kritik
    [1977]
  • Schleiermacher , Feminism , and Liberation theologies : a key ” , in : TheCambridgeCompanion to Friedrich Schleiermacher
    287-305 [2005]
  • Schleiermacher 'sChristian Ethicsin TheCambridgeCompanion to Friedrich Schleiermacher
    209-228 [2005]
  • Schleiermacher 's Ethicsin : TheCambridgeCompanion to Friedrich Schleiermacher
    53-71 [2005]
  • Schenker, H., FreeComposotion, (trans. Ernst Oster), New York, 1979.
    [1979]
  • S. L. and Furbeth O. , Music in German Philosophy
    [2003]
  • Revisiting E. T. A. Hoffmann 's Musical Hermeneutics
    Vol . 33 , No.1 , [2002]
  • Review ( Von deutscher Dichtung und Musik by Wilhelm Dilthey )
    [1959]
  • Review ( Von deutscher Dichtung und Musik by Wilhelm Dilthey )
    Vol . 7Vol . 7 [1935]
  • Reflections on Musical Meaning and Its Representations
    [2011]
  • Plato and the Foundations of Metaphysics : A Work on the Theory of Principles and Unwritten Doctrines of Plato with aCollection of the Fundamental Documents
    [1990]
  • Philosoph der Geisteswissenschften
    [1991]
  • Parerga und Paralipomena II , Zurich
    [1988]
  • P. , Theology as Performance : Music , Aesthetics , and God in Western Thought
    [2006]
  • Oracular Musicology : or , Faking the Ineffable
    Vol . 69 Issue 2 , 101-109 . [2012]
  • On the Problem of Musical Analysis
    Vol . 1 , No . 2 [1982]
  • O. F.Studien zur Hermeneutik
    [1982]
  • O. F.Die Lebensphilosophie
    [1958]
  • Musikalisches Ideen-Instrument : Das Musikalische in Poetik und Sprachtheorie der Fruhromantik
    [1990]
  • Musikalische Hermeneutik , musikalische Semiotik ” , Beitrage zur musikalischen Hermeneutik
    [1975]
  • Musical Works & Performances : a Philosophical Exploration
    [2001]
  • Musical Understandings & Other Essays on the Philosophy of Music
    [2011]
  • Musical Meaning and Expression , Ithaca and London
    [1994]
  • Music imagination & Culture
    [1990]
  • Music and Discourse Toward a Semiology of Music
    [1987]
  • Music and Conceptualization
    [1995]
  • Music : A Very Short Introduction
    [1998]
  • Mahler : Eine musikalische Physiognomik , Gesammelte Schriften Bd
    13 [1971]
  • Language and the Interpretation of Music
    [1997]
  • Klassische und romantische Musikasthetik
    [1988]
  • J.Hermeneutik
    [2009]
  • J. J. , Institutiones hermeneuticae sacrae
  • Introduction ” in “ Colloquy : Vladimir Jankelevitch ’ s Philosophy of Music
    Vol . 65 [2012]
  • Introduction to Philosophical Hermeneutics , ( trans. , Johl Weinsheimer )
    [1994]
  • Interpreting Music
    [2011]
  • Interpretation in der Musik , Eine Skizzein : A. Riethmuller u.a.
    [1998]
  • Im Kreis der Fruhromantik
    [2001]
  • Ideale Geselligkeit und Ideale Akademie . Schleiermachers Geselligkeits-Utopie 1799 und heuteIn : Ideale Akademie : vergangene Zukunft oder konkrete Utopie ? ( hg . W. Voßkamp )
    [2002]
  • How we Got Out of Analysis , and How to Get Back in Again
    Vol . 23 , No.2/3
  • Hinrichs, W., “Geselligkeit, gesellig”, Historisches Worterbuch der Philosophie(Hg.J.Litt),Bd.3,Basel,1974.Hinrichsen,H.-J.,“Musikwissenschaft: M u s i k - I n t e r p r e t a t i o n - W i s s e n s c h a f t , ”A r c h i v f u r Musikwissenschft, 57. Jg., Heft 1, Stuttgart, 2000.
  • Hermeneutics and Music Criticism
    [2010]
  • Hermeneutics : Schleiermacher and Diltheyin : History of Continental Philosophy , vol.2 : Nineteenth-Century Philosophy : Revolutionary Responses to the Existing Order ( 1840-1900 )
    139-160 [2010]
  • Heinrich Schenker 's ‘ Intramusical ’ Hermeneutics : A Comparison ofthe Hermeneutics of Hermann Kretzschmar and Wilhelm Dilthey
    [2012]
  • Hegel , Husserl und die Hermeneutik
    [1996]
  • Grundlinien der Grammatik , Hermeneutik und Kritik
  • Geselligkeit und Realisierung von SittlichkeitDie Theorienentwicklung Friedrich Schleiermachers bis 1799
    [1995]
  • Geselligkeit > > aus soziologischer Perspektive ? eine Auseinandersetzung mit Georg Simmel
    [2000]
  • Gesammelte Schriften Bd
    [1966]
  • Gegen die Naturalisierung des Humanen . Wilhelm Dilthey im Kontext und als Theoretiker der Naturwissenschaften seiner Zeit
    [2016]
  • Fuhrer durch den Konzertsaal
  • Fragment uber Musik und Sprache
    [1978]
  • Festrede zu Wilhelm Diltheys 150 . Geburtstag
    2 [1984]
  • Ferdia J.
    [2015]
  • F. D. E. , Weinachtsfeier , mit Einleitung und Register von Hermann Mulert
    [1908]
  • F. D. E. , Vorlesungen uber die Aesthetik
  • F. D. E. , Uber die Religion . Reden an die Gebildeten unter ihren Verachtern
  • F. D. E. , Dialektik ( 1814/15 ) : Einleitung zur Dialektik ( 1833 )
    [1988]
  • F. D. E. , Asthetik ( 1832/33 ) , Uber den Begriff der Kunst ( 1831/33 )
    [2018]
  • F. D. E. , Asthetik ( 1819/25 ) , Uber den Begriff der Kunst ( 1831/32 ) , ( ed . V. Thomas Lehnerer )
    [1984]
  • F. D. E. , Asthetik
    [1931]
  • Expression and Truth on The Music of Knowledge
    [2012]
  • Erkenntnis des Erkannten , Zur Hermeneutik des 19. und 20
    [1990]
  • Entwurf einer Grundlegung musikalischer Hermeneutik
    [1994]
  • Enlightment , History , and the Anthropological Turn : The Hermeneutical Challenge of Dilthey ’ s Schleiermacher Studiesin : Anthropologie und Geschichte : Studien zu Wilhelm Dilthey aus Anlass seines 100 . TodestagesHelmut J. und Eric S. N. )
  • Empirie und nicht Empirismus : Dilthey und John Stuart Mill
    [2016]
  • Double Mimesis , Georg Lukacs 's Philosophy of Musicin : Sound Figures of Modernity : German Music and Philosophy
    [2006]
  • Diltheys Erlebnisbegriff
    [1972]
  • Dilthey, W., Von deutscher Dichtung und Musik. Aus den Studien zur Geschichte des deutschen Geistes, Gottingen, 1933.
    [1933]
  • Die grammatische und die psychologische Interpretation in der Hermeneutik Schleiermachers
    [1977]
  • Die bildungsburgliche Ideale der Personlichkeitskultur als Charakteristika der Berliner Salons
    [1989]
  • Die Religion des Gefuhls gegen kalte Vernunftigkeit
    19 . Jahrhunderts , Deutschlandfunk ( [2015]
  • Die Phiolosophie Schleiermachers
    [1984]
  • Die Musik des 19
    [1980]
  • Die Kammermusik und das Publikum ( 1858 ) ” ders. , Aus dem Tonleben unserer Zeit
    [1868]
  • Der hermeneutische PluralismusG. Gruber u. S. Mauser )
    [2010]
  • Der Systemgedanke Wilhelm Diltheys : Untersuchungen zu Voraussetzungen und Rahmenbedingungen einer Kritik der historischen Vernunft in den fruhen Logikvorlesungen ( 1864-1868 ) Diltheys
    [1997]
  • Der Rhythmus des Lebens-Zur Rolle der Musik im Werk Wilhelm Diltheys
    Wurzburg [2011]
  • Der Begriff der Individualitat beim fruhen Schleiermacher
    [2000]
  • Deeper than Reason
    [2005]
  • Das Wesen der Philosophie
  • Das Paradigma der Musik in Diltheys Verstandnis des Lebensin : Philosophischer Gedanke und musikalischer KlangC. Asmuth , G. Scholtz , F.-B , Stammkorter )
    [1999]
  • Das Erlebnis und die Dichtung
    [1905]
  • Conceptualizing Music : Cognitive Structure , Theory , and Analysis
    [2002]
  • C.Musikasthetik , Koln
    [1967]
  • Bach und Weimar
    9 , Tubingen [1993]
  • Asthetische Regulation und hermeneutische Uberschreibung . Zum Begriff und zur musikwissenschaflichen Funktion einer korrelativen Hermeneutik
    [2006]
  • Anregungen zur Foderung musikalischer Hermeneutikin : Jahrbuch der Musikbibliothek Peters
    9 , Jg . Leipzig , 1911
  • Analysis as Interpretation : Interaction , Intentionality , Invention
    Vol . 28 , No . 2 [2006]
  • Analyse und Werturteil
    [1970]
  • Aesthetics : Problems in the philosophy of criticism
    [1958]
  • Adorno Th. W., Philosophie Terminologie, Gesammelte Schriften Bd. 1, Frankfrurt a. M., 1974.
    1 [1974]
  • Adorno Th. W., Asthetische Theorie, Gesammelte Schriften Bd. 7, Ffm, 1970.
    7 , Ffm [1970]
  • A. , Music , Philosophy , and Modernity
    [2007]
  • ?지평확대의 철학?
    최신한 한길사 [2009]
  • ?슐라이에르마허의 ‘사교적 대화’에 대한 고찰-수누시아로서의 사교적 대화-?, 『교육철학』, 12-1
    임창호 한국교육철학학회, , 1-20 [1994]
  •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적 주체성 이론?, 『철학과 현상학 연구』 25
    이병옥 한국현상학회, , 135-157 [2005]
  • ?딜타이의 해석학과 음악해석학-크레츠슈마와 쉐링을 중심으로?, 『서 양음악학』 17호
    오윤록 서양음악학회, , 163-185 [2008]
  • ?딜타이의 역사이해: 역사와 이성의 통합으로?
    이경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 사논문 [2011]
  • ?독백의 철학에서 대화의 철학으로?
    최신한 문예출판사 [2001]
  • ?공감의 존재론?
    한상연 세창출판사 [2018]
  • ?‘철학의 철학’과 ‘엄밀한 학문으로서의 철학’: 딜타이-후설 논쟁?, 『유럽현대철학』 46
    김창래 한국현대유럽철학회, 01-65
  • 200 Jahre Felix Mendelssohn Bartholdy-ein protestantischer Glucksfall ? , International Journal of Practical Theology ,
    Vol.14 , Issue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