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강요된 정책결정에 관한 연구 : 양심적 병역거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orced Policy Decisions: Focusing on Conscientious Objection Cases

황의순 2020년
논문상세정보
' 강요된 정책결정에 관한 연구 : 양심적 병역거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orced Policy Decisions: Focusing on Conscientious Objection Case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중앙정부의 행정
  • 강요된 정책결정
  • 양심적 병역거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1 0

0.0%

' 강요된 정책결정에 관한 연구 : 양심적 병역거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orced Policy Decisions: Focusing on Conscientious Objection Cases' 의 참고문헌

  • 헌재 3차 결정(헌법재판소 자
    2011헌바379 등 결정) [2018]
  • 헌재 2차 결정(헌법재판소 자
    2008헌가22 등 결정) [2011]
  • 헌재 1차 결정(헌법재판소 자
    2002헌가1 결정) [2004]
  • 헌법재판소, 「헌법불합치결정의 기속력과 개선입법의 구제범위에 대한 연구」, 2017
    헌법재판소 [2017]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KNCC) http://www.kncc.or.kr
  • 한국경제신문 http://www.hankyung.com
  • 한겨레신문 http://www.hani.co.kr
  • 평화인권연대 http://www.peace.jinbo.net
  • 최선,?사법권력의 증대와 통제?
    『헌법학연구』제21권 제1호, 166-197 [2015]
  • 중앙일보 http://www.joins.com
  •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 정책학
    최봉기 박영사 [2004]
  • 정책과정분석과 옹호연합모형 : 이론적 실천적 적실성 검토
    김순양 한국정책학보 제19권 1호, 35-65 [2010]
  • 재향군인회 http://www.veterans.or.kr/
  • 자유시민연대 http://www.freectzn.or.kr/
  • 유훈 『정책변동론』
    대영문화사 [2009]
  • 병역법 〔시행 〕〔법률 제 15054호, 2017. 11. 28, 일부개정〕 제 5조 1항
    제 88조 1항 [2018]
  • 병역거부권실현과 대체복무제개선을 위한 연대회의 http://www.corights.net/
  • 법원국제인권법연구회 , 「인권 판례 평석」
    박영사 [2017]
  • 박은정,?정치의 사법화와 민주주의?
    『서울대법학』제51권 제1호, 1-26 [2010]
  •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http://www.minbyun.jinbo.net
  • 미우라 히로키,?정책적 갈등상황에서 공적 이성의 형성과 한계 ?
    한국 정치학회보, 43(4), 73-98 [2009]
  • 문화일보 http://www.munwha.com
  • 매일경제신문 http://www.mk.co.kr/
  • 로널드 드워킨 , 「법과 권리」, 염수균 옮김
    한길사 [2010]
  • 동아일보 http://www.donga.com
  • 대한변호사협회 , ?양심적 병역거부와 한국형 대체복무?
    『인권보고서 제 32집』, 361-389 [2018]
  • 뉴시스 http://www.newsis.com/
  • 국민일보 http://www.kukinews.com/
  • 국가인권위원회, 2018년도 인권상황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양심적 병 역거부 관련 대체복무제 도입방안 실태조사, 5-31 [2019]
  • 국가인권위원회, 2002년도 인권상황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한국내 양심적 병역거부자에 대한 대체복무 인정 여부에 관한 이론적 ?
    실증적 연구?, 1-88 [2002]
  • 국가인권위원회 http://www.humanrights.go.kr
  • 경향신문 http://www.khan.co.kr
  •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한국 민주주의의 보수적 기원과 위기』
    최장집 후마니타스 [2012]
  • 「헌법학원론」
    정종섭 박영사 [2009]
  • 「한국의 소수자 정책」
    전영평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 「정책학」
    남궁근 법문사 [2008]
  • 「정책학 현대 정책이론의 창조적 참색」
    권기현 박영사 [2008]
  • 「정책학 강의」
    권기현 박영사 [2014]
  • 「정부규제론」
    최병선 법문사, 125-139 [2014]
  • 「양심적 병역거부와 대체복무제」
    한인섭 경인문화사 [2004]
  • 「세계화와 국가안보」
    신정현 한국학술정보(주) [2011]
  • 「사법통치의 정당성과 한계」
    조홍식 박영사 [2010]
  • 「법치주의와 민주주의」
    최대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 “소수자의 정체성, 유형, 그리고 소수자 정책 연구관점”
    전영평 『정책학 연구』13(2): 107-131 [2007]
  • The politics of pollution in comparative perspective
    [1975]
  • The Minority Report : An Introduction to Racial , Ethic , and Gender Relation
    [1999]
  •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 In P. A. Sabatier ( ed ) . theories of policy process , 189-220
    [2007]
  • Setting The Public Agenda : TheCase ofChild AbuseThe PolicyCycle
    Vol . 5 [1978]
  • Public Policy-Making 3rd ed.
    23 [1994]
  • Public Policy Making
    [1984]
  • Policy analysis for the real world.
    68 [1984]
  • Party Politics and Pressure Groups : A Comparative Introduction
    New York : Crowell . 144 ? 153 [1982]
  • Participation in American politics : The dynamics of agenda-building
    [1983]
  • Participation in American Politics : The Dynamics of Agenda building
    [1972]
  • From Social Issue to Public Policy .
    72 [1978]
  • Framework for political Anlaysis
    80 . [1965]
  • Cobb, Roger W. & Elder, Charles D 채경석 역, 「민주주의와 정치참 여」
    동성사, 116-146 [1984]
  • Agenda , Alternative and Public Policies
    [1995]
  • ?헌법재판의 정책결정과 민주주의 원리에 관한 검토?
    김종일 『한국법 정책학회 법과 정책연구』제13집 4호, 1623-1659 [2013]
  • ?헌법재판소의 정치학?
    최대권 『법학 제34권 1호』서울대학교 법학연 구소, 106-127 [1993]
  •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에 따른 교육정책 전환과정 분석?
    최완규 한 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 ?헌법재판소에 의한 사법적 정책결정의 배경과 한계: 정당성과 능력 문제를 중심으로?
    전정현 공법학연구 제12권 제1호, 288-311 [2011]
  • ?행정중심복합도시 의제설정과정에 관한 연구-정책의제의 설정, 확산, 진입을 중심으로?
    박철민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 ?행정수도 이전 정책에 관한 연구?
    김호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한국사회의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국가와 종교의 대응?
    진상범 종 교문화연구 제8호, 191-218 [2006]
  • ?한국 개신교와 양심적 병역거부: 정통과 이단을 넘어서?
    강인철 한신 인문학연구 제 6집. 95-130 [2005]
  • ?한국 개신교와 양심적 병역거부 : 역사와 특성?
    강인철 종교문화연구 제 7호, 103-141 [2005]
  • ?평화운동으로서의 한국 양심적 병역거부운동 연구?
    임재성 민주주의 와 인권(제10권3호), 305-352 [2010]
  • ?판결하기 어려운 사안의 해결: 드워킨의 『법과 권리』을 중심 으로?
    심다은 연세공공가버넌스와 법 제8권 제2호, 45-96 [2017]
  • ?초점사건 이후 정책변동 연구?
    이동규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초점사건 이후 이슈주도자에 의한 정책과정연구?
    이동규 한국정책학 회보 제21권 3호(2012.9) [2012]
  • ?종교의 자유의 의미와 한계에 대한 고찰?, 법학연구 제20권 제 2호
    윤진숙 연세대법학연구소, 113-136 [2010]
  • ?정치의 사법화의 메카니즘?
    박종현 『법학연구(연세대학교)』제27권 제1호, 101-141 [2017]
  • ?정치의 사법화와 헌법재판의 정치화?
    함재학 『헌법학연구』제 17권 제3호, 290-329 [2011]
  • ?정치의 사법화 현상의 이론적 쟁점?
    채진원 『평화연구』2011년 가을 호, 257-295 [2011]
  • ?정책형성과정에서의 역동성 연구?
    안병철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정책의제, 주도자, 그리고 ‘문지기’: 헌법소원과 그 판결 에 기초한 Cobb, Ross & Ross 의제설정 모형의 확장?
    서인석 지방정부연구 제 21권 제1호(2017 봄), 25-52 [2017]
  • ?정책의제 형성에 관한 연구: 부패 방지법 제정과정을 중심으로 ?
    배선식 관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8]
  • ?정책의 성공 및 실패요인에 관한 연구?
    성열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우리 헌법상 양심의 자유에 관한 연구-양심적 병역거부를 중심 으로 ?
    송순권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양심적 병역거부의 현황과 법리?,「기획공청회자료집: 양심적 병역거부자 어떻게 할 것인가?」
    진석용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 ?양심적 병역거부의 헌법 이론적 검토?
    김병록 「헌법학 연구」 제 9권 제1호 [2003]
  • ?양심적 병역거부의 비 범죄화 방안에 관한 연구?
    유영호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 ?양심적 병역거부의 대체복무에 관한 연구?
    문희동 동국대학교 행정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 ?양심적 병역거부의 국제적 논의와 현황?「토지공법연구」제 41 집
    나달숙 한국토지공법학회, 454-479 [2008]
  • ?양심적 병역거부와 병역의무의 형평성에 관한 연구?
    장태복 대구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양심적 병역거부와 대체복무제도?
    표명환 법과 정책 제12집 제1호 제 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329-349 [2006]
  •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윤리 신학적 고찰?
    김정우 가톨릭사상 33(2005 후기), 5-48 [2005]
  •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헌법적 연구?
    이정환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학위 논문 [2015]
  •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병역법상 처벌조항의 위헌성 검토?,민 주법학 제 24호
    노혁준 민주 법학연구회, 279-311 [2003]
  •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법철학적 고찰?, 연세 공공거버넌스와 법
    한태원 제9권 제1호, 29-58 [2018]
  •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국제사례와 양심의 자유?, 헌법학 연 구, 제 12권 제5호
    장복희 한국헌법학회, 329-357 [2006]
  • ?양심적 병역거부권과 대체복무제?,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통권 7호
    이재승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65-286 [2005]
  • ?양심적 병역거부: 국제인권법적 현황과 한국의 선택?
    박찬운 저스티 스 통권 제141호(2014.4), 5-30 [2014]
  • ?양심적 병역거부 해결방안?, 법학연구 24권
    나달숙 한국법학회 [2006]
  • ?양심적 병역거부 운동 탄압의 실제적 원인과 구조 ?역사 구조 적 관점에서?
    주정호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7]
  • ?양심적 병역거부 : 권리인가, 도피인가?,법학논고 제40집
    채형복 경 북대 학교 법학연구원, 2-33 [2012]
  • ?세종시 정책변동 과정에 관한 연구?
    최성구 단국대 박사학위논문 [2013]
  • ?민주화 이후 정치의 사법화에 관한 연구?
    오승용 『기억과 전망』20 호, 282-368 [2009]
  • ?독일에서의 병역거부와 민간봉사?
    이재승 민주법학, 153-177 [2001]
  • ?기독교 윤리적 논점에서 본 양심적 병역거부의 논쟁과 대안 모 색?
    정종훈 『한국기독교신학논총26집』, 187-215 [2002]
  • ?국제인권규약의 국내적 적용에 관한 일고찰-양심적 병역거부를 중심으로?
    나인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국내법원의 국제인권법규 해석: 병역법 위반 사건을 중심으로 ?, 홍익법학 16권 1호
    정경수 홍익대학교법학연구소, 805-833 [2015]
  • ?강요된 의제설정 분석: 재외국민 참정권 부여 정책 사례연구 ?
    김성수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형사처벌의 형법적 문제점?
    윤영철 형사정 책 제 16권 제2호, 93-120 [2004]
  • ?‘개인적 신념에 따른 병역거부’와 ‘대체복무의 허용 여부에 대한 비판적 고찰’?
    조일수 국민윤리연구 제51호, 315-332 [2002]
  • ? 이덕로,?근로빈곤층 정책의 의제설정에 관한 모형 비교 : Cobb 의 이론모형을 중심으로?
    이지호 국가정책연구 제27권 제2호, 75-103 [2010]
  • ? 박형준,?병역대체복무제도의 변동과정고찰과 변화요인분석?
    김신숙 국 정관리연구 제11권 제3호(2016. 12), 85-115 [2016]
  • ? 문채규,?종교적 행위의 형사법적 허용범위?
    이수진 『비교형사법연구』 제19권 제4호, 109-135 [2018]
  • ? 명성준,?정책의제 설정과정에 있어 인터넷의 역할에 관한 탐색 적 연구-2008년 미국산 쇠고기 재협상 사례를 중심으로-?
    박치성 『한국정책학 회보』제 18권 3호, 41-68 [2009]
  • ? 김선희, ?정책의 창을 적용한 정책변동연구 : 성매매방지법 제 정 사례를 중심으로?
    김복규 『한국지방자치연구』8(2), 163-183 [2006]
  • ? 김민곤 ? 이정철 ? 허만형,?아동 성범죄자에 대한 위치추적 전자 장치 부착제도의 형성과정 분석?
    김지수 『한국정책학회보』제21권 1호, 252-283 [2012]
  • ?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 : Structure , Limitation , Prospects ? . In P. A . Sabatier ( ed . ) .theories of the policy process
    [2007]
  • ? The AdvocacyCoalition Framework : An Assessment , P. A . Sabatier ( ed . ) , Theories of the Policy Process ?
    [1999]
  • ?
    허완중 헌법재판소의 지위와 민주적 정당성?, 1-37 [2009]
  • <정책학원론>
    노화준 박영사 [2012]
  • 6인, ?인권의 적극적 실현을 위한 국가의 의무 : 일본군 ‘위 안부’위헌 결정(현재 2011.8.30.선고 2006 헌마 788 결정)을 중심으로 ?
    강민구 통권 제 12호, 368-418 [2012]
  • 4인,「정책학원론」
    정정길 대명출판사 [2012]
  • 2인,?다중흐름 모형을 적용한 국토균형발전 정책의 형성과 변 동과정 분석: 세종시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박용성 2012한국정책학회 동계학 술대회, 28-53 [2012]
  • 2,?소수자로서 ‘ 양심적 병역거부자’와 옹호 집단 간 정책 갈등 분석?
    전영평 한국행정논집(20080 제20권, 1209-1229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