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AI 챗봇 활용이 한국 EFL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I Chatbot on Korean EFL Learners Speaking Ability and Affective Factors

한다은 2020년
논문상세정보
' AI 챗봇 활용이 한국 EFL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I Chatbot on Korean EFL Learners Speaking Ability and Affective Factor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인도유럽어족(앵글로 색슨어)
  • AI 챗봇
  • efl
  • 말하기 능력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 정의적 영역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84 0

0.0%

' AI 챗봇 활용이 한국 EFL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I Chatbot on Korean EFL Learners Speaking Ability and Affective Factors' 의 참고문헌

  • 현주은, & 임희주.영어학습도구로서 인공지능 스피커의 분석 및 시 사점
    영어영문학, 24(1), 201-219 [2019]
  • 한국정보화진흥원.인공지능 기반의 챗봇 서비스 등장과 발전 동향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 한국어 모바일 대화형 에이전트 시스템
    김민정 이승욱 이연수 이주영 임해창 홍금원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3(6), 263-271 [2008]
  • 한국 학생의 학업에 대한 흥미?실태, 진단 및 처 방
    김성일 소연희 윤미선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1), 187-221 [2008]
  • 한국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어 흥미도와 효능감의 변화 양상 탐색 및 사교육 특성 분석
    구남욱 이종일 중등영어교육, 12(1), 53-71 [2019]
  • 학습자 중심수업이 대학생의 영어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강재원 교사교육연구, 55(2), 21-36 [2016]
  • 학습자 중심 교육의 의미에 대한 재조명: 현직교사들의 이해와 실천을 중심으로
    강인애 주현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2), 1-34 [2009]
  • 초등학교 영어 교육용 로봇 콘텐츠 개발과 적용
    이승민 한정혜 영어교과교육, 8(2), 97-119 [2009]
  • 초등영어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황은경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초등 영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과 듣기, 읽기, 쓰기 능력 및 문미 억양 구현 향상과의 관련성 연구
    이승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챗봇과 마이크로소프트 봇 프레임워크
    김영욱 이강호 한국컴퓨 터정보학회지, 25(2), 9-15 [2017]
  • 채터봇과 메신저를 이용한 채팅이 한국 대학생 영어학습자의 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 연구
    윤숙경 한종임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7(2), 269-292 [2004]
  • 지능형 로봇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관심중심수용모형 (CBAM)을 중심으로-
    변윤희 유아교육학술지, 31(6), 493-510 [2011]
  • 중급 하 수준을 위한 영어말하기 능력 향상 토론 수업 모형
    고미숙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3), 537-543 [2016]
  • 조상기.과제중심학습이 영어학업성취와 영어학습신념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제 4 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 방안 모색
    김진하 KISTEP InI, 15(47), 2016 [2016]
  • 자율지능형 영어교사 보조 로봇 활용 교육이 영어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A 초등학교 사례 연구
    반재천 진경애 교육과정평가 연구, 13(2), 389-410 [2010]
  •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어 학습용 챗봇 시스템 개발 방안 연구
    이동한 중등영어교육, 11(1), 45-68 [2018]
  • 인공지능과 인간지능 개념에 대한 철학적 분석 시도: 맥카시 와 칸트의 지능개념을 중심으로
    김형주 철학탐구, 43, 161-190 [2016]
  • 인공지능 챗봇의 영어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한계. Brain, Digital
    신동광 & Learning, 9(2), 29-40 [2019]
  • 인공지능 채팅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신형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인공지능 기반 컨택센터 시스템 연구
    류기동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인공지능 기반 모바일앱디자인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워크
    이성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인공지능 (AI) 의 창작물에 대한 지식재산권 보호 방안-특허권과 저작권보호를 중심으로
    김승래 이창성 법학연구, 71, 485-531 [2018]
  • 인간과 인공지능 기기의 상호작용이 EFL 환경에서 초등학생 들의 협업적 언어습득에 미치는 영향
    김재상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7]
  • 이성은, & 류영선.영어수업에서 텔레프레즌스형 로봇 활용의 효과성 연구
    김선 반재천 진경애 한정혜 영어교육연구, 22, 255-277 [2010]
  • 이리나.Fostering second language oral communication through constructivist interaction in desktop video-conferencing
    Foreign Language Annals, 40(4), 635-649 [2007]
  • 음성인식을 이용한 상호대화식 영어학습 소프트웨어의 개발방안
    이동한 STEM Journal, 3(2), 3-15 [2002]
  • 외국어 불안이 영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염규을 언어학, 6(1), 215-234 [1998]
  • 오디오 블로그가 대학생들의 영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혜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영어학습의 성공 및 실패요인에 관한 연구
    박형기 영어교육, 32(1), 3-40 [1986]
  • 영어학습을 위한 인공지능 챗봇 활용 및 제작
  •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TEE)이 중학생의 영어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이윤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영어교육론
    김덕기 고려 대학교 출판부 [1996]
  • 영어교수법
    황종배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2]
  • 영어교과 보조 도구로서의 AI 챗봇 분석 연구
    김혜영 신동광 양혜진 이장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89-110 [2019]
  • 영어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AI 챗봇 활용 방안 탐색
    신동광 교원교육, 35(1), 41-55 [2019]
  • 영어 말하기 학습 전략에 관한 연구
    김영미 영어교과교육, 15(1), 107-125 [2016]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영어수업이 초등학생의 영어 듣기 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김현옥 정윤희 교육과학연구, 43(1), 63-89 [2012]
  • 쇼핑 챗봇의 친밀도가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임성숙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서정은.인공지능 음성인식 시스템 기반 유아 영어학습 사례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서정은.Teaching scientific theorie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서로 다른 챗봇 유형이 한국 EFL 학습자의 말하기능력 및 학습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나영 비교문화연구, 48, 223-252 [2017]
  • 모바일 기반의 자기 주도적 영어 말하기 활동이 성인 학습자의 학습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박현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모둠 중심 의사소통 활동에서 교육용 로봇 활용이 상호작용 양상에 미치는 영향
    민덕기 심규남 이승민 영어교과교육, 12, 61-80 [2013]
  • 메신저 챗봇 서비스의 사회적 영향, 서비스 품질, 흥미성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 중심으로
    이아름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말하기 학습용 모바일 앱 개발을 위한 과업 설계 및 평가: 설계기반연구 (design-based research)
    김혜영 박대근 Multimedia- Assisted Language Learning, 19(1), 58-85 [2016]
  • 로봇활용수업이 학생의 학습몰입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경현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4(2), 1-12 [2011]
  • 로봇보조영어수업의 초등학교 현장 적용 사례
    김미희 이승민 한정혜 한국중원언어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197-207 [2011]
  • 로봇보조언어교육을 통한 초등 영어 학습자의 운율 변화
    인지영 한정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4), 323-332 [2016]
  • 드라마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방안 연구: 수준별 수업모형을 중심으로
    전인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대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 평가 모형
    이완기 영어교육, 50(1), 37-63 [1995]
  • 다시 이야기하기 활동이 중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미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내용, 방법 및 매체를 중심으로 본 21C 영어교육
    김정렬 서울: 흥릉과학출판사 [2000]
  • 국가영어능력평가(NEAT)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및 3급 말하기 평가 분석
    이남영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구성주의 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국내 외 연구동향 비교
    강인애 장경원 최정임 교육공학연구, 22(4), 105-135 [2006]
  • 교원능력개발평가 평가지표에 대한 비판적 고찰
    조규진 교원교육, 29(1), 53-70 [2013]
  • 교사보조로봇, 제니보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활용실태 조사연구
    박성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과제중심 협력학습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김양홍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와 국가영어능력평가(NEAT) 비교분석 : 말하기 영역 중심
    김형근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Willingness to communicate , interest , motives to communicate with the instructor , and L2 speaking : a focus on the role of age and gender
    12 ( 3 ) , 221-234 [2018]
  • Why Amazon 's Echo is theComputer of the future
    [2014]
  • Using instant messaging to provide an intelligent learning environment
    [2006]
  • Towards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with robots , wikipedia and CogInfoCom
    [2015]
  • The study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994]
  • The psychology of the language learner : Individual differenc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2014]
  • The importance of the attitude factor in language dropout :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group and sex differences
    3 ( 3 ) , 383-393 [1970]
  • The impact of social robotics on L2 learners ' anxiety and attitude in English vocabulary acquisition
    7 ( 4 ) , 523-535 [2015]
  • The educational use of home robots for children
    8 , 13-15 [2005]
  • The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of beginning university foreign language students
    72 ( 3 ) , 283-294 [1988]
  • The art of teaching speaking : Research and pedagogy for the ESL/EFL classroom .
    [2006]
  • Teaching assistant robot, ROBOSEM, in English class and practical issues for its diffusion. Proceedings from the Workshop on Advanced Robotics and its Social Impacts. Menlo Park
  • Synchronous CMC and pragmatic development : Effects of oral and written chat
    22 ( 3 ) , 399-431 [2005]
  • Synchronous CMC , working memory , and L2 oral proficiency development
    9 ( 3 ) , 35-54 [2005]
  •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게재 논문에 나타난 연구 동향 (1996 년-2016 년)
    구재명 마지현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21(4), 207-225 [2016]
  •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 Problems and remedies .
    [1995]
  • Social psychology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 The role of attitudes and motivation
    [1985]
  • Social psychology
    [1973]
  • SNS 정보 기반의 인공지능 챗봇 플랫폼 설계 및 구현
    이대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Research methods in applied linguistics : Quantitative , qualitative , and mixed methodologies
    [2007]
  • Rasch 모형을 이용한 고등학교 영어과 말하기 및 쓰기능력 등급 기술표 개발
    신동일 영어교육, 57(4), 469-499 [2002]
  • Qualitative exploration on children's interactions in telepresence robot assisted language learning
    신경완 한정혜 한국융합학회, 8(3), 177-184 [2017]
  •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 5th ed. )
    [2007]
  •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 2nd ed )
    [1987]
  • Principles and Practic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982]
  • Oxford, R. L. (1993). Style analysis (SAS). Tuscaloosa, AL: University of Alabama.
    [1993]
  • On the effectiveness of robot-assisted language learning .
    23 ( 1 ) , 25-58 . [2011]
  • Negotiation of meaning and corrective feedback in Japanese/English eTandem .
    15 ( 1 ) , 41-71 . [2011]
  • Native/non-native speaker interactions through video-web communication : a clue for enhancing motivation ? .
    25 ( 1 ) , 1-19 . [2012]
  • Mubin, O., Bartneck, C., Feijs, L., Hooft van Huysduynen, H., Hu, J., &
  • Modern Educational Technologies (EMET-2013), Venice, Italy.
  • Meet pepper
    [2014]
  • Mastering the Game of Go with Deep Neural Networks and Tree Search
    529 ( 7587 ) , 484 . [2016]
  •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Heidelberg, Berlin: Springer, 4053, 575-583.
  •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and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English in Korea
    [1995]
  • Issues in teaching using ICT .
    [2012]
  • Introduction to psychology ( 4th ed. )
    [1971]
  • Interactive robots as social partners and peer tutors for children : A field trial
    19 ( 1 ) , 61-84 [2004]
  • Integrating CALL systems with chatbots as conversational partners .
    21 ( 4 ) , 615 ? 626 [2017]
  • Instruction and the conditions of learning
    1 , 153-175 [1974]
  • Improving speech recognition with the robot interaction language .
    1 ( 2 ) , 79-88 [2012]
  • Imagining extensive speaking for Korean EFL
    14 ( 4 ) , 81-108 [2013]
  • From Eliza to XiaoIce :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with social chatbots .
    19 ( 1 ) , 10-26 . [2018]
  •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70 ( 2 ) , 125-132 [1986]
  • Expressive robots in education : varying the degree of social supportive behavior of a robotic tutor
    [2010]
  •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sing Humanoid Robots as Instructional Tools for Teaching a Second Language in Primary School
    13 ( 2 ) , 13-24 [2010]
  • Employing humanoid robots for teaching English language in Iranian junior high-schools
    11 ( 03 ) , 1450022 . [2014]
  • ESL readers ’ internalized models of the reading process
    83 , 95-108 . [1984]
  • Developing L2 oral proficiency through sychronous CMC : Output , working memory , and interlanguage development
    20 ( 1 ) , 7-32 . [2002]
  • Conversations in slow motion :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54 ( 2 ) , 198-217 . [1998]
  • Conversations - and negotiated interaction - in text and voice-chatting rooms .
    9 ( 3 ) , 79-98 . [2005]
  • Computer-assisted classroom discussion i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 Conversation in slow motion
    25 ( 5 ) , 455-463 [1992]
  • Computer application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2001]
  • Comparing face to face and electronic discussion in the second language classroom
    13 ( 7 ) , 7-26 [1996]
  • Comparative study on the educational use of home robots for children
    4 ( 4 ) , 159-168 [2008]
  • Communicative competence : Some roles of comprehensible input and comprehensible output in its development . In S. M. Gass & C. G. Madden ( Eds . ) , Input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985]
  • Changes in language learning beliefs as a result of study abroad
    37 ( 3 ) , 366-379 . [2009]
  • Bots as language learning tools
    10 ( 3 ) , 8-14 [2006]
  • Barriers to the successful integration of ICT in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 A review of the literature
    5 ( 3 ) , 235-245 [2009]
  • Attitudes in C. Murchinson ( Ed . )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1935]
  • Attitudes and motivation in second language learning
    [1972]
  • Applying robots as teaching assistant in EFL classes at Iranian middle-schools
    [2013]
  • Affective personalization of a social robot tutor for children ’ s second language skills
    [2016]
  • AI 어시스턴트를 통한 영어 교수
    신동광 한국영어교육학회 발표논문집 [2017]
  • A. M.
    59 ( 236 ) , 433-460 . [1950]
  • A robot as a teaching assistant in an English class
    [2006]
  • A cognitive neural architecture able to learn and communicate through natural language
    10 ( 11 ) , e0140866 . [2015]
  • A chatbot for a dialogue-based second language learning system . CALL in a climate of change : adapting to turbulent global conditions
    [2017]
  • & 홍진의 초등영어 수업 유형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순용 교육과학연구, 39(2), 137-176 [2008]
  • & 허광.카카오 톡ㆍ구글플러스 행아웃을 활용한 이러닝 영어회화 과목의 교수ㆍ학습 방안
    김희진 Language Research, 49(3), 489-525 [2013]
  • & 정훈.메신저 기반 챗봇 (ChatBot) 기술의 동향과 군 적용방안
    김진태 정상래 국방과 기술, (459), 118-127 [2017]
  • & 박철.챗봇의 사례와 분석: 마케팅 영향을 중심으로
    김수정 정옥경 한국 IT 서비스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8, 392-397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