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도시공간에서의 오버투어리즘 인식이 장소성변화 인식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Perceived Overtourism in Urban Spaces on Perceived Placeness Change and Behavioral Intention among Seoul Residents

이시은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도시공간에서의 오버투어리즘 인식이 장소성변화 인식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Perceived Overtourism in Urban Spaces on Perceived Placeness Change and Behavioral Intention among Seoul Resident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도시관광
  • 오버투어리즘
  • 오버투어리즘 인식
  • 장소성변화
  • 행동의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47 0

0.0%

' 도시공간에서의 오버투어리즘 인식이 장소성변화 인식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Perceived Overtourism in Urban Spaces on Perceived Placeness Change and Behavioral Intention among Seoul Residents' 의 참고문헌

  • 휴양관광지와 유적관광지 지역주민의 관광영향인식과 관광 태도, 관광지원에 관한 연구
    조명환 관광레저연구, 15(1), 183-199 [2003]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 (TPB) 을 활용한 커피전문점 행동의도 연구
    조원섭 관광연구, 28(6), 161-179 [2014]
  • 홍대지역의 장소성 형성에 있어서 인적요인의 영향 에 관한 연구
    신정란 최창규 국토계획, 45(7), 5-20 [2010]
  • 홍대 공간의 문화적 의미 변화. 미디어
    김수아 젠더 & 문 화, 30(4), 83-123 [2015]
  • 해외여행의 매력성이 지각된 편익, 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진영 이재형 한승엽 관광레저연구, 23(3), 125-145 [2011]
  • 해수욕장의 방문동기, 관광만족 및 재방문 의도 연구: 부산 지역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최나리 관광연구, 20(2), 165-181 [2005]
  • 핫플레이스의 생성조건 및 쇠퇴이동에 관한 연구
    김태경 정지이 정천용 경기연구원 기본연구, 1-149 [2018]
  • 한류 확산과 국내 문화관광 양상 연구: 왜 한류와 문화관광 인가?
    이영아 문화콘텐츠연구, (14), 57-80 [2018]
  • 한국형 장소귀속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검증
    김민규 박수정 한국 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7(3), 81-92 [2013]
  • 한국일보. 스페인 마요르카 섬 ‘풍기문란’ 금지법 만들기로
    2018 년 7월 18일자 [2018]
  • 한국의 젠트리피케이션
    김연진 김준형 박태원 이선영 도시정보, 413, 3-14 [2016]
  • 한국방송. [취재파일]이화동 벽화마을의 이면(裏面). sbs 뉴스
    2016년 5월 18일자 [2016]
  • 한국관광공사 대한민국구석구석 https://korean.visitkorea.or.kr
  • 한국관광공사
    외래관광객실태조사 [2019]
  • 한국경제신문. 피해대책 효과 없다. 북촌 한옥마을 관광객 소음 쓰 레기 몸살
    2019년 5월 14일자 [2019]
  • 한국 관광이미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박의서 경기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1999]
  • 한경비지니스. ‘1인 마켓 데이터’ 입고 진화하는 동대문 패션시 장
    2019년 3월 19일자 [2019]
  • 한겨레21. 관광의 역습, 오버투어리즘
    2018년 7월 9일자 [2018]
  • 편찬위원회. 서울지명사전
    서울시 서울시 [2009]
  • 퍼지셋 질적 비교 분석 (fsQCA) 을 활용한 관광지 거주민들의 삶의 질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현애 정남호 정희정 함주연 『Information Systems Review』, 21(1), 113-133 [2019]
  • 투어리스티피케이션이 나타나는 지역의 주민이 경험하는 장 소와 장소상실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주형 관광레저연구, 31(5), 69-88 [2019]
  • 투어리스티피케이션 현상에 대한 지역민과 관광객 관점 차 이: 관광영향인식과 관광태도를 중심으로
    신지영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이 지역주민의 삶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성적 연구: 북촌한옥마을과 이화벽화마을 사 례를 중심으로
    김영국 남장현 우은주 관광레저연구, 29(11), 417-436 [2017]
  • 투어리스트피케이션 (Touristification) 과 삶의 질 (Quality of Life) 에 대한 영향관계 규명
    김영국 우은주 관광레저연구, 30(7), 161-178 [2018]
  • 테마파크 방문객의 혼잡지각, 만족, 대응행 동, 행동의도에 관계에 관한 연구
    김경욱 김상범 정혜진 관광연구저널, 29(9), 65-76 [2015]
  • 테마파크 방문객의 혼잡지각, 감정반응, 태도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 분석
    오민재 관광연구저널, 29(12), 49-60 [2015]
  • 치유의 숲에서 조우 수가 방문객의 혼잡 및 건강유 익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김상미 김상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17(1), 73-80 [2014]
  • 축제참여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조선무과전주대회를 사 례로
    허문경 관광학연구, 37(10), 277-298 [2013]
  • 축제에서의 체험이 브랜드 태도, 만족도 및 행동의 도에 미치는 영향: 이천쌀 문화축제를 중심으로
    강해상 오선영 관광레저연구, 23(3), 7-22 [2011]
  • 축제 방문객의 혼잡 지각과 체험만족, 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
    김판영 최영기 관광경영연구, 19(1), 273-290 [2015]
  • 초등학생의 관광 영향 인식이 관광객에 대한 정서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접촉빈도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서세진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척도개발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동향
    김영국 관광학연구, 32(6), 297-315 [2008]
  • 채용박람회장에서의 지각된 혼잡이 회피행동에 미치 는 영향: 감정적반응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김수경 남유신 관광경영연구, 17(1), 117-136 [2013]
  • 직접적 방문경험이 장소성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심원섭 이인재 관광학연구, 32(6); 449-467 [2008]
  • 지역주민의 전시컨벤션센터에 대한 장소애착심이 장 소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김철원 황미란 『역전시연구, 10(2), 1-23 [2015]
  • 지역주민의 인식된 관광영향과 지역사회에 대한 태도
    고동완 성균 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지각과 주민참여 관계: 어촌체 험마을을 중심으로
    고민규 김남조 관광연구논총, 20(1), 181-201 [2008]
  •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지각과 개인적 특성변 수가 관광개발유형 선호에 미치는 영향
    김미경 박진희 이희찬 관광연구, 19, 73-93 [2004]
  • 지역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장소마케팅 전략, 서울: 논형. 이상훈, 강상훈. (2018). 관광에 의한 생활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이무용 관광 학연구, 42(2), 85-102 [2006]
  • 지역기반형 메가이벤트 자원봉사 경험만족과 장소애착 및 관광행동의 관계 분석
    이혜린 이훈 『관광레저연구』, 26(9), 253-272 [2014]
  • 주민의 오버투어리즘 지각 수준이 지역만족과 관광개발 태 도에 미치는 영향
    정성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주거지역의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해 거주민이 인식하는 외부효과: 자가 소유자와 임차인의 관점에서
    양욱재 서울대학교 환 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주거지역 관광명소 주민피해 실태조사
    종로구 한양대학교 관광연구 소 [2017]
  • 주거지에서 관광지로: 전주한옥마을 관광지화의 명암
    문보람 지방 사와 지방문화, 17(1), 177-208 [2014]
  • 제주지역 젠트리피케이션 현상 : 구좌읍 월정리 사례를 중심 으로
    김현영 제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제주지역 오버투어리즘 관련 관광정책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문보영 전명숙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4(4), 219-230 [2018]
  • 제주관광공사. 제주관광 수용력 연구
    제주관광공사 [2017]
  • 전주한옥마을의 젠트리피케이션 현상과 지역 갈등
    황인욱 지역사회 연구, 24(1), 69-90 [2016]
  • 전유나. 관광개발, 지역민 우선인가? 관광객 우선인 가?. 이슈 & 진단, (230), 1-27
    이수진 조성한 경기연구원 [2016]
  • 전시회 서비스스케이프가 참관객의 혼잡지각과 대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한국국제관광전에서의 방문동기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남조 한진석 관광학연구, 41(6), 167-190 [2017]
  •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이석환 황기원 국토계 획, 32(5), 169-184 [1997]
  • 장소애착 모델에 근거한 한국ㆍ중국 근린공원의 비교평가
    양뢰 배 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장소성 형성의 인과구조 실증적 분석: 서울 홍대지 역을 대상으로
    이남휘 최창규 국토계획, 46(3), 19-36 [2011]
  • 장소성 인식 특성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 향 분석
    강도원 임하나 최창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4(2), 113-126 [2013]
  • 장소마케팅
    이진희 서울: 대왕사 [2003]
  • 인구 통계적 특성과 상황적 특성에 따른 관광영향 인식의 차이
    고동완 관광학연구, 25(3), 63-80 [2001]
  • 외식 구매의사결정 후 인지부조화 발 생요인 및 인지부조화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남민정 안지원 정철 조민호 호텔경영학연구, 21(1), 129-144 [2012]
  • 외국인 밀집지역에 대한 장소이미지 및 만족도의 내 외국인간 차이관한 연구
    김흥순 최재연 국토계획, 48(7), 37-54 [2013]
  • 외국인 관광객의 관광지 이미지가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산일출봉 방문 중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남윤섭 임화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2), 298-307 [2017]
  • 오버투어리즘에 따른 정책적 대응과 지속가 능한 관광산업 발전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상훈 손신욱 이나현 관광경영연구, 83, 331-354 [2018]
  • 오버투어리즘과 사회적 딜레마. 이슈 & 진단, (383), 1-22
    이수진 경기연구원 [2019]
  • 오버투어리즘 현상의 이해와 향후 과제
    심창섭 이훈 한국관광정책, (73), 70-78 [2018]
  • 오버투어리즘 현상과 대응방안
    박주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8]
  • 오버투어리즘 지역주민의 관광객에 대한 태도 형성 요인 연구-부산 감천문화마을을 대상으로
    강영은 김송이 관광학연구, 43(7), 69-83 [2019]
  • 오버투어리즘 (overtourism) 전조 현상과 경계
    이서현 한국언론정보 학보, 88, 77-109 [2018]
  • 연합뉴스. 서촌 상인들 "피 터지게 상권 일구니 건물주가 쫓아내" 주장
    2018년 7월 2일자 [2018]
  • 연합뉴스. “관광객 때문에 못살아” 투어리스티피케이션 어쩌나
    2017년 12월 3일자 [2017]
  • 연합경제. 홍대 상권 hot 플레이스 부상의 그늘
    2013년 3월 11일자 [2013]
  • 여가학의 질적연구방법론
    이철원 레인보우북스 [2013]
  • 아시아경제 시론: ‘투어리즘 포비아’의 네 가지 원인
    2018년 7월 9 일자 [2018]
  • 스포츠 센터 이용고객의 혼잡지각, 대처행동 및 행동의도의 인과적 관계
    정연도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스키장 이용객의 혼잡지각과 즐거움의 관계: 대처행동과 안전지각의 매개효과 검증
    김지혜 박수정 윤지인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53(3), 485-497 [2014]
  • 소비자 장소에 적용된 레트로 마케팅과 소비자 반응: 장소 노스탤지어와 장소애착을 중심으로
    라선아 마케팅관리연구, 23(4), 25-58 [2018]
  • 서촌 관광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한 연구
    박효연 관광레저연구, 28(11), 5-24 [2016]
  • 서울시 통계서비스. https://data.seoul.go.kr
  •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 완화를 위한 국내외 도입정책 시사점 연구- 국내외정책사례들을 중심으로
    안치영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7]
  • 서울시 공식관광정보웹사이트. https://korean.visitseoul.net/
  • 서울 서촌의 젠트리피케이션 요인분석 연구
    도혜원 인하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16]
  • 생태관광의 개념에 관한 고찰. 김충호박사 정년기념논문집, 67-89
    박석희 한국관광산업학회 [2000]
  • 생태관광객의 여행 동기 및 태도: 척도구축과 관광객유형별 비교분석 (Doctoral dissertation
    강미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 부산시 오버투어리즘 (overtourism 과잉관광) 을 방지하려 면
    박경옥 BDI 정책포커스, (344), 1-12 [2018]
  • 베를린의 ‘새로운 도시 관광’을 둘러싼 갈등과 지역 변화 의 역동성
    조관연 인문콘텐츠, (48), 163-185 [2018]
  • 방문전후 이미지변화가 관광만족, 재방문의도,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방문 일본인 크루즈 이용 관광객을 중심으로
    김현지 호텔 경영학연구, 21(4), 283-301 [2012]
  • 방문자 특성에 따른 장소성 인식과 행동의도와의 인 과구조 분석: 홍대지역 대상으로
    강도원 최창규 국토계획, 47(3), 363-379 [2012]
  • 방문자 특성에 따른 장소성 인식과 행동의도와의 관련성 분 석: 홍대 지역을 대상으로
    강도원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미국 지역대학 스포츠공간에서의 장소경험, 장소이미지, 장 소성, 지역공동체 간의 가설적 인과모형
    이혁기 한국체육학회지, 50(5), 81-92 [2011]
  • 문화특화지역의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 과정과 장소 성 인식 변화의 특성
    김희진 최막중 국토계획, 51(3), 97-112 [2016]
  • 문화관광지의 개성이 애착과 관광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일체감의 매개효과 검증
    이상호 이정민 관광레저연구, 27(10), 23-41 [2015]
  • 명동과 이태원의 관광 활성화를 위한 다원적 장소정체성 연 구
    성혜진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머니투데이. 늦은밤 북촌한옥마을 관광 못한다…관광 허용시간 도입
    2018년 6월 14일자 [2018]
  • 매일경제신문. 투어리즘 포비아 ① "관광객은 꺼져"…베네치아 주민 들이 뿔났다
    2018년 6월 30일자 [2018]
  • 마을공동체의 진화와 젠트리피케이션의 극복-부산 감천문화 마을의 경우
    우양호 항도부산, 38, 399-440 [2019]
  • 동대문패션타운 관광특구. http://www.dft.co.kr
  •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https://www.ddp.or.kr
  • 도시평판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오현정 이용진 한은경 서울도시연 구, 8(4), 31-51 [2007]
  • 도시재생시대에 젠트리피케이션의 쟁점과 정책적 과제, 입법 과 정책, 제13호
    박태원 서울특별시의회: 90~110 [2016]
  • 도시재생 붐업사업으로서 거점시설 조성 전후 지역 이미지 변화 및 시설 효과 분석
    박진아 서광영 서울도시연구, 19(2), 1-19 [2018]
  • 도시미래신문. 관광 도시의 이면, 투어리스티피케이션 ① 관광산업의 양적 성장에 따른 부작용
    2017년 6월 8일 자 [2017]
  • 도시관광지 주민의 지역애착도가 관광개발 지지에 미치는 영향: 광주 근대역사문화마을 양림동을 대상으로
    강신겸 정성문 정유리 『관 광연구저널』, 31(7), 21-38 [2017]
  • 도시관광에서의 진정성 개념에 대한 탐색적 고 찰
    심창섭 칼라산토스 관광연구논총, 24(3); 33-56 [2012]
  • 도시관광 활성화 정책 추진방안
    김향자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11]
  • 도시관광 진흥방안 연구
    김향자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0]
  • 도시관광 선택속성이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당일여행과 숙박여행 선호 집단의 영향력 차이를 중심으로
    박종진 관광경영 연구, 52, 141-160 [2012]
  • 도시 내 장소성 분포 연구
  • 도서지역 관광객의 혼잡기대, 혼잡지각, 만족 도 및 행동의도 관계-우도 관광객을 대상으로
    양성수 오은지 정철 관광연구논총, 31(3), 121-140 [2019]
  • 담 없는 학교운동장의 경험가치, 장소애착, 장소성에 관한 연구
    권기남 이혁기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7(2), 103-123 [2014]
  • 농촌관광객의 재방문 의도에 관한 연구
    김혜영 류시영 관광연구저 널, 22(3), 23-36 [2008]
  • 네트워크분석을 통한 관광목적지 이미지, 장소애착, 행동의 도간의 구조적 관계연구
    박득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기획 축제 참가자의 여가 경험: 내재적 동기론을 중심으로
    고동우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1(2), 187-203 [2000]
  • 구조방정식 모델: 이해와 활용
    배병렬 도서출판 대경 [2000]
  • 구도심을 활용한 도시관광 개발전략에 관한 연구-대 구시를 중심으로
    김미경 김지은 관광연구, 30(2), 275-289 [2015]
  • 관람객의 방문동기가 혼잡지각, 참가만족과 대응행동 및 행 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화관광축제 소재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김상범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관광현상 규명을 위한 질적 연구방법의 고찰과 적 용
    김철원 윤혜진 관광학연구, 33(1), 11-30 [2009]
  • 관광행동론
    장호찬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2008]
  • 관광지화된 주거지역 주민의 혼잡인식과 정주성 관계분석
    남윤영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관광지의 사회심리적 수용력 초과가 지역주 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고성호 노상열 손재만 여가관광연구, 31, 53-70 [2019]
  • 관광지 주민의 혼잡지각이 감정과 대응행동에 미치 는 영향
    김남조 이남희 관광연구, 30(4), 157-185 [2015]
  • 관광지 이미지의 형성에 관한 연구-인지적, 정서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김병국 박석희 관광학연구, 25(1), 271-290 [2001]
  • 관광지 영향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훈 관광개발논 총, 10, 131-160 [1999]
  • 관광의 영향이 지역주민의 태도와 관광개발에 미치 는 구조 효과 분석
    김남조 조광익 관광학연구, 26(2), 31-51 [2002]
  • 관광위락수용력 연구의 체계적 접근방법에 관한 이론적 고 찰
    이명진 관광레저연구, 8(2), 125-143 [1996]
  • 관광목적지에 대한 지역주민과 관광자의 인식, 태도, 기대행 위 차이
    김남조 관광학연구, 25(3), 43-62 [2001]
  • 관광목적지로서 도시관광이미지 측정척도 개발
    박경렬 최승담 서 울도시연구, 6(1), 93-106 [2005]
  • 관광과 지역사회갈등 사례연구
    이수진 경기연구원 [2019]
  • 관광객의 혼잡도 지각, 감정, 만족도, 그리고 신뢰 간 구조적 영향관계 분석: 여수엑스포의 개최 공간을 중심으로
    김지희 윤설민 이호선 고객만족경영연구, 16(3), 25-40 [2014]
  • 관광객의 관광지 장소성 인식도가 관광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인사동 전통문화의 거리를 중심으로
    김효주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관광객의 관광동기가 관광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손병모 이한 관광레저연구, 23(3), 23-42 [2011]
  • 관광개발의 사회문화적 영향 평가방안 연구
    전효재 한국문화관광연 구원 [2017]
  • 관광개발 영향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에 관한 연구
    고계성 송재호 대한경영학회지, 28(1), 37-51 [2015]
  • 관광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인식된 가치, 만족, 책임여행의 도간 관계 연구: 만족의 매개효과
    엄지영 관광연구, 33(5), 107-128 [2018]
  • 관광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한 질적 시스템다이내믹스 분석
    안지현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골목경제 활성화 사례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박진경 한국지역개발 학회 세미나 논문집, 1-41 [2016]
  • 「Overtourism ? Understanding and managing urban tourism growth beyond perceptions」
    [2018]
  • Wilderness campsite impacts : Do managers and visitors see them the same ?
    13 ( 5 ) , 623-629 [1989]
  • Urban tourism research : developing an agenda
    35 ( 4 ) , 1032-1052 [2008]
  • Urban tourism and its contribution to economic regeneration
    29 ( 3-4 ) , 599-618 [1992]
  • Urban lifestyles : diversity and standardisation in spaces of consumption
    35 ( 5-6 ) , 825-839 [1998]
  • Urban Tourism Research : Recent progress and current paradoxes
    32 ( 1 ) , 1-15 . [2011]
  • Travel & Tourism : City Travel & Tourism Impact 2018
    [2018]
  • Toward a social psychology of place : Predicting behavior from place-based cognitions , attitude , and identity
    34 ( 5 ) , 561-581 . [2002]
  • Tourism planning and research : traditions , models and futures
    Vol . 5 , No . 6 ) [1987]
  • Tourism impacts : The social costs to the destination community as perceived by its residents
    16 ( 4 ) , 8-12 [1978]
  • Tourism gentrification in Shenzhen , China : causes and socio-spatial consequences
    17 ( 3 ) , 461-481 [2015]
  • Tourism gentrification : The case of new Orleans ' vieux carre ( French Quarter )
    42 ( 7 ) , 1099-1121 . [2005]
  • Tourism Highlights 2017 edition
    [2017]
  • Tourism , economic ” , physical and social impacts
    [1982]
  • There Goes the 'hood ' : Views of the Neighborhood from the Ground Up .
    [2006]
  • The concept of a tourist area cycle of evolution : implications for management of resources
    24 ( 1 ) , 5–12 [1980]
  • The challenge of overtourism , Responsible Tourism Partnership Working Paper
    4 [2017]
  • The carrying capacity of wild lands for recreation
    10 ( suppl_2 ) , a0001-24 . [1964]
  • The Problem of Ego Identity
    4 ( 1 ) , 56-121 [1956]
  • The Guardian. First Venice and Barcelona: now anti-tourism marches spread across Europe
    2017년 8월 10일자 [2017]
  • The Economist. The backlash against overtourism
    2018년 10월 25일 자 [2018]
  • Swan, J. E. (1981). Trawick., IF (1981). Disconfirmation of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with a Retail Service. Journal of Retailing, 57(3), 49-67.
  • Sustainable tourism : A marketing perspective
    [1998]
  • Space and Place ;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1977]
  • SomeCapacity theory for parts and recreation areas
    [1973]
  • Some major principles in recreation land-use planning
    49 ( 6 ) , 431-435 . [1951]
  • Retail gentrification and race : TheCase of Alberta Street in Portland , Oregon
    47 ( 3 ) , 413-432 [2011]
  • Residents ’ Attitudes towards Overtourism from the Perspective of Tourism Impacts andCooperation–TheCase of Ljubljana
    11 ( 6 ) , 1823 . [2019]
  • Ralph, E. (1976).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1976..(1981). Rational Landscapes and Humanistic Geography. S. Baloglu & K. W. McCleary, "A model of destination image form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26, No.4, pp.868-897, 1999
  • Place attachment , place identity , and place memory : Restoring the forgottenCity past .
    28 ( 3 ) , 209-231 . [2008]
  • Phenomenological psychology
    [2008]
  • Perceived impacts of tourism : The case of Samos
    23 ( 3 ) , 503-526 . [1996]
  • Pedagogy , virtue , and narrative identity in teaching
    24 ( 2 ) , 135-170 [1994]
  • Past on-site experience , crowding perceptions , and use displacement of visitor groups to a peri-urban national park
    40 ( 1 ) , 34 . [2007]
  • Overtourism and Tourismphobia : Global trends and local contexts
    [2017]
  • Overtourism : residents ’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as an indicator of resident social carrying capacity-case study of a Spanish heritage town
    73 ( 3 ) , 277-296 [2018]
  • Over-tourism and the fall of Venice as a destination
    9 , 374-376 [2018]
  • Leisure : an introductionClients ' perceptions of helpful experiences in counseling
    46 ( 3 ) , 317
  • Is overtourism overused ? Understanding the impact of tourism in a city context
    10 ( 12 ) , 4384 . [2018]
  • Gentrification in Spain and Latin America - a Critical Dialogue
    38 ( 4 ) , 1234-1265 [2014]
  • Gant, A. C. (2015, August). Tourism and commercial gentrification. In Proceedings of the RC2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Ideal City: Between Myth and Reality, Representations, Policies, Contradictions and Challenges for Tomorrow’s Urban Life”, Urbino, Italy (pp. 27-29).
  • Five qualitative approaches to inquiry
    2 , 53-80 [2007]
  • Factor analysis . Scale development , theory and applications
    26 , 10-137 [2003]
  • Exploration versus acquisition : A comparison of first-time and repeat visitors
    42 ( 3 ) , 279-285 . [2004]
  • Environmental psychology : Principles and practice ( p. 372 )
    [2007]
  • Crowding models for backcountry recreation
    56 ( 1 ) , 43-55 . [1980]
  • Coping with success : Managing overcrowding in tourism destination
    [2017]
  • Concept mapping for applied social research .
    [2009]
  • Chapter III : Variations on a theme of liminality
    [1977]
  • Antepartum fetal evaluation : development of a fetal biophysical profile .
    136 ( 6 ) , 787-795 [1980]
  •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urban tourism research
    28 ( 4 ) , 926-946 [2001]
  • An analysis of the factors behind the citizen ’ s attitude of rejection towards tourism in a context of overtourism and economic dependence on this activity
    10 ( 8 ) , 2851 [2018]
  • A paradigm for developing better measures of marketing constructs
    16 ( 1 ) , 64-73 [1979]
  • A framework of approaches to sustainable tourism
    5 ( 3 ) , 224-233 [1997]
  • A causation theory of visitor-resident irrıtation : methodology and research inference
    [1975]
  • A brief tutorial on the development of measures for use in survey questionnaires
    1 ( 1 ) , 104-121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