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어린이집 교사의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실천적 지식 연구 = A Study on the Practical Knowledge through Story Telling by Teachers in Child-Care Centers

김선형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어린이집 교사의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실천적 지식 연구 = A Study on the Practical Knowledge through Story Telling by Teachers in Child-Care Center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실천적 지식
  • 유아교사의 지식
  • 이야기 나누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03 0

0.0%

' 어린이집 교사의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실천적 지식 연구 = A Study on the Practical Knowledge through Story Telling by Teachers in Child-Care Centers' 의 참고문헌

  • 한국 행정학의 질적연구방법에 대한 반성과 제안
    윤견수 한국 행정학보, 39(2),1-22 [2005]
  • 학교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선정 시 고려되어야 할 지식 의 성격. 학교교육과정에서 교과교육의 내실화 방안 모색
    이미숙 이화여자대학 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학술대회, 19-38 [2002]
  • 폴라니 인식론에 기초한 교사 지식의 성격탐구: 이론- 실천 간의 통합적 발달
    부성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초등교사의 수업 속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의 이해:초등 수학수업을 중심으로
    김자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1]
  • 초등 수학교육에서 사회적 구성주의가 교사에게 주는 도전
    김정효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C <초등 수학교육>, 1(1), 33-43 [1999]
  • 청소년이 학교생활에서 느끼는 행복감: 질적연 구방법 포토보이스를 활용
    임정아 진영선 청소년문화포럼, 52, 134-162 [2017]
  • 질적연구의 다양성과 공공조직 연구의 확장
    윤견수 한국조직 학회보, 5(3), 163-198 [2008]
  • 질적연구방법론 ⅠBricoleur
    김영천 경기: 아카데미프레스 [2016]
  •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경기: 교육과학사. 조형숙, 김혜원, 김태인, 양수영(2017). 영유아 발달
    조용환 고양: 파워북 [1999]
  •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유아교사의 지식
    박은혜 창지사 [2010]
  • 지식기반사회 학교교육과정의 인식론적 대안 탐색: Polanyi의 지식이론을 중심으로
    양은주 임현식 조경원 교육과정연구, 19(1), 363-386 [2001]
  • 지식과 교육
    홍은숙 서울: 교육과학사 [1999]
  • 중등 교원양성교육과정의 전문성 확보: 교육과정 구조 의 논거를 중심으로
    한명희 교육학 연구, 35(5), 171-194 [1997]
  • 좋은 수업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이야기
    송주연 황해익 열 린유아교육연구, 15(3), 399-423 [2010]
  • 저경력 유아교사의 수업실제 들여다보기
    이혜경 영유아교육연 구, 26, 21-37 [2013]
  • 자기장학을 통한 교사와 유아의 변화-이야기나누기수업 을 중심으로
    황보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이야기나누기에 나타난 유아교 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탐구: 유아교육의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김희진 박은혜 이지현 홍용희 유아 교육연구, 17(1), 67-85 [1997]
  •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예비유아교사가 나타내는 언어적 상호작용과 어려움에 관한 연구
    김수향 이은진 한민경 아동교육, 19(4), 129-147 [2010]
  •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교 사의 언어적 교수행동 분석
    김은심 성은영 유선희 유아교육학논집, 15(1), 141-163 [2011]
  • 이야기나누기 시간의 교사-유아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김향미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이야기나누기 시간의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 연구: 소통과 단절 현상을 중심으로
    견주연 정계숙 유아교육연구, 31(2), 141-168 [2011]
  • 이야기나누기 시간에서 교사-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이문희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이야기나누기 시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정계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 이야기나누기 시간 동안 교사-유아의 담화 속에 나타난 교사의 수업 유지 전략에 관한 연구
    손유진 유수경 이연선 열린유아교육연 구, 12(2), 240-272 [2007]
  • 유치원 현장에서의 이야기나누기 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태 연구
    이미선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유치원 초임교사를 위한 멘토링 과정
    홍은경 중앙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03]
  • 유치원 만 5세 학급의 이야기나누기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조아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유치원 교사의 지위향상과 위상 강화에 대한 연구
    박찬옥 이원영 조형숙 서울: 정민사 [2004]
  •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 이야기나누기 실제
    박진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 유치원 교사의 이야기나누기 수업 계획에 대한 인식
    이성희 유아보육복지연구, 19(1), 113-138 [2015]
  • 유아행동통제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의 미
    고미경 유아교육학논집. 5(2), 187-206 [2001]
  •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론
    김진영 백혜리 최윤정 서울: 양서원 [2001]
  • 유아교육의 통합적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접근법:프로 젝트 접근법
    지옥정 한국영유아보육학, 52 [2005]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이야기나누기 수업절차모형 적용 연구
    정영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5]
  • 유아교육과정
    이순형 파워북 [2016]
  • 유아교실 대화 탐구 : Bakhtin의 대화주의를 중심으로
    오정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유아교사의 이야기나누기에 대한 실천적 지식 탐구
    허미애 중 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안상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 유아교사를 위한 이야기나누기의 이론과 실재
    허미애 경기: 공 동체 [2016]
  • 유아교사를 위한 교육실습과 교육활동
    류진희 서울: 양서원 [2000]
  • 유아교사가 이야기 나누기 중 사용하는 주의집중 전략 탐색
    김경철 박혜정 이성주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논문지, 7(1), 673-683 [2017]
  • 예비유아교사의 모의 수업에 나타난 이야기나 누기의 어려움
    김경철 박혜정 유아교육학논집, 18(3), 309-334 [2014]
  • 영유아교육의 교수학습방법
    김희진 이정환 서울: 파란마음 [2007]
  • 영유아 교수방법
    이순형 학지사 [2007]
  • 사회적 차원의 인지행위로서 유아 학급 담화
    오문자 열린유아 교육연구, 16(3),129-156 [2011]
  • 사회성 측정법을 통한 자리배치가 학교 생활 태도와 교 우 관계에 미치는 영향
    최수연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반성적 사고와 유아 교사 교육
    박은혜 유아교육연구, 16, 175-249 [1996]
  • 박은혜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원양성 교육과정 개선방안 연구
    조연순 황규호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1997]
  •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 (이희봉 역)
    Spradley, J.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6]
  • 문교부 유치원교사를 위한 유아교육지도자료집
    3월: 총론 문 교부 [1981]
  • 만3-5세 누리과정 지도서의 이 야기나누기 활동 분석
    김모아 박병기 이정화 황진숙 아동교육, 24(3), 255-277 [2015]
  • 만3,4세 혼합연령 학급에서의 수업활동 개선을 위한 실 행연구-프로젝트 활동을 중심으로
    최윤형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 누리과정 지도서에 제시된 이야기나누기 활동 의 인성교육 요소 분석
    안연경 최인숙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4), 329-335 [2019]
  • 누리과정 이해와 실행에서 나타난 공립유치원 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김윤희 황해익 유아교육학논집, 19(4), 339-364 [2015]
  • 근거이론의 단계. (신경림 역)
    Corbin, J. Strauss, A. 서 울:현문사 [2001]
  • 교직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 (진종섭 역). 서울:양서 원
    Lortie, D. (원본 발간일 1993년) [2011]
  • 교육적 인식론 탐구
    엄태동 서울: 교육과학사 [1998]
  • 교육인적자원부(2000).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 Ⅰ: 총론.
    교육인적자원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 Ⅰ: 총론 [2000]
  • 교육이론과 실천의 통합으로서의 교육적 ‘택트’의 성격
    허영주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 교육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 (진영은 역). 서 울: 학지사
    Hatch, J. A. (원본 발간일 2002년) [2008]
  • 교육부(1995).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 Ⅰ: 총론.
    교육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 Ⅰ: 총론 [1995]
  • 교육과학기술부(2009). 유치원 지도서 Ⅰ: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지도서 Ⅰ: 총론 [2009]
  •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2012]
  •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
    김재복 서울: 교육과학사 [1988]
  • 교육과정 연구 : 과제와 전망
    이귀윤 서울: 교육과학사 [1996]
  • 교육과정 실행에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의 내용과 요인 에 대한 연구: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 수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경진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교육과정 변화기 사회과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사례연구: 변화지향적인 교사의 교실 수업 변화에 대한 이해
    박윤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교수매체 환경과 유아의 경험 양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 구: 자유선택활동을 중심으로
    유혜령 유아교육연구, 18(1), 131-152 [1998]
  • 교사의 실천적 지식으로 읽는 초등 사회과 수업
    홍미화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론적 탐색
    김자영 한국교원교육 연구. 20(2), 77-96 [2003]
  • 교사-유아간 이야기나누기 시간에 나타난 교사의 질문 방법 및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김수향 아동교육, 17(1), 81-94 [2008]
  • 교사-유아간 교실대화의 의미탐색: 이야기나누 기시간을 중심으로
    김성숙 오정희 열린유아교육연구, 16(4), 33-59 [2011]
  • 교사 그리고 질적연구: 앎에서 삶으로
    곽영순 경기:교육과학 사 [2014]
  • 공동육아 어린이집 교사의 실천적 지식 구성과정에 대 한 현장 연구
    이부미 유아교육학논집, 11(2), 5-46 [2007]
  • 경력교사의 유치원 수업평가 기준 탐색: 질적 접근
    곽은순 미 래유아교육학회, 18(4), 31-53 [2011]
  • 간호연구에서의 현상학
    공병혜 철학과 현상학연구, 23,151-178 [2004]
  • 『The making of a teacher :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1990]
  • 『Teacher Thinking : A Study of Practical Knowledge』
    [1983]
  • 『Rationalism in politics and other essays』
    [1962]
  • 「Learning the language of practice」
    17 : 3 , 293-318 [1987]
  • ‘예측하지 못한 수업상황’에서 나타나는 유아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탐구
    이은정 임승렬 유아교육학논집, 18(2), 495-518 [2014]
  • ‘언어적 상호작용’의 유아교육적 의미: 사회문화적 관점 에서
    오문자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41-63 [2009]
  • Vygotsky의 사회문화이론과 유아학급에서의 ‘이야기나 누기’ 활동
    홍용희 교육과학연구, 31(3), 111-126 [2000]
  • Transforming knowledge :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research , policy , and practice
    18 : 2 , 105-122 [1996]
  • Those who understand :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 Educational Researcher
  • The tacit dimension
    [1967]
  • The story of Ana , Public kindergarten teacher in portugal
    [1995]
  • The development or practical theories of teaching
    2 : 1 , 50-67 [1986]
  • The Teacher 's `` Practical Knowledge '' : Report of a Case Study
    [1981]
  • Tecaher ` practical knowledge : Obtaining and using knowledge of students .
    No . ED377-154 ) [1995]
  • Teaching large-group time in a preschool classroom : The teacher as orchestra conductor
    [1995]
  • Teachers ` thought processes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 3rd edition , 255-296 )
    [1986]
  • Teachers ' beliefs and educational research :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1992]
  • Teacher personal practical theories and their influence upon teacher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actions : A case study of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
    [1987]
  • Teacher knowledge and modes of teacher knowing .
    [2000]
  • Teacher ` s reports of their cognitive processes during teaching
    [1978]
  •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1990]
  •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 The role of teachers ` practical knowledge
    [2001]
  • Preparing student teacher forCurriculum-making
    30 : 2 , 165-179 [1998]
  • Polanyi 인격적 지식의 확장
    장상호 서울: 교육과학사 [2002]
  •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 A study of teacher ` classroom image
    [1985]
  • Personal knowledge : Towards a post-Critical philosophy
    [1958]
  • Paradigms and research programs in the study of teaching : A contemporary perspective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 3rd edition , 3-36 )
  • Objective knowledge : An evolutionaly approach Oxford
    [1972]
  • Naturalistic inquiry
    [1985]
  • M.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신경림, 안규남 역). 체험 연구: 해석학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 방법론. 서울: 동녘
    Van Manen (원본 발간일, 1990) [1994]
  • Listerning : A framework for teaching across difference
    [2003]
  • Life history of a first grade teacher : A narrative of culturally sensitive teaching practiceQualitative research in early childhood setting ( 63-78 )
    [1995]
  • Knowldege and teaching :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57:1 1 , 1-22 [1987]
  • Knowing and being
    [1969]
  •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 Ther search for meanings
    [1984]
  • Implicit theories of teaching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 edition , 131-136 [1995]
  • How do teachers manage to teach ? perspectives on problems in practice
    55 , 178-194 [1985]
  • How can teacher beliefs about student learning be justified ?
    [1996]
  • Educational principles underlying the classroom decision-making of two kindergarten teachers
    [1995]
  •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
    [1994]
  • Dialogue with Reggio Emilia ( Interview with G. Dahlberg & P. Moss )
    [2006]
  • Developing the Curriculum : Solo and Group Deliberation
    [1995]
  • Developing rhythm in teaching : The narrative of a beginning teacher ` s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of classroom
    19 , 121-141 [1989]
  • Connelly. F.M., & Clandinin, D. J. 교사와 교육과정: 교사들 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강현석, 박민정, 소경희, 조덕주, 홍은숙 역). 서울: 양서원
    (원본 발간일 1988년) [2007]
  • Behind the classroom door
    [1970]
  • Becoming a mathematics teacher : The use of personal construct theory
    [1986]
  • 5세 누리과정 지도서의 이야기나누기 활동에 수록된 교 수학습자료 분석 및 평가
    정혜진 실천유아교육학회, 23(1), 1-16 [2018]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내용 의 연계성 분석
    양승희 한국보육학회지, 14(4) [2014]
  • (200).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 아-유아 상호작용
    안수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 교사의 지식과 유아교사 교육
    이정욱 한국교사교육, 17(1), 355-378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