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통일문학사를 위한 남북 고소설사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South and North History of Old Korean Novels for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the Unification Era

풍영순 2020년
논문상세정보
' 통일문학사를 위한 남북 고소설사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South and North History of Old Korean Novels for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the Unification Era'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고소설
  • 고소설사
  • 국문학 범주
  • 내재적 발전론
  • 문학발전의 합법칙성
  • 설화-소설 발달이론
  • 소통의 방향성
  • 외재적 발전론
  • 중국문학 수용
  • 통일문학사
  • 통일인문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36 0

0.0%

' 통일문학사를 위한 남북 고소설사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South and North History of Old Korean Novels for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the Unification Era' 의 참고문헌

  • 「「It Happened Not Too Far from Here . . . 」 : A Survey of Legend Theory andCharacterization」
    49 No . 4 , [1990]
  • 「조선소설사의 비판적 검토-조선후기 소설사를 중심으로-」, 한국 한문학연구 65
    정길수 한국한문학회 [2017]
  • 「신라수이전의 작자와 저작 배경」, 정신문화연구 34
    김건곤 한국정신 문화연구원 [1988]
  • 「신라수이전연구의 기본적 맥락과 관점」, 중국소설논총 6
    이검국 한국 중국소설학회 [1997]
  • 「신라수이전 연구」, 어문학 35
    지준모 국어군문학회 [1976]
  • 「수이전의 찬술본(撰述本)과 전승 연구」, 진단학보 111
    곽승훈 진단학 회 [2011]
  • 「수이전의 저자」, 한국문학사의 쟁점
    김혜숙 집문당 [1986]
  • 「수이전의 저자와 문헌 성격에 관한 반성적 고찰」, 고소설연구 3
    소인호 한국고소설학회 [1997]
  • 「수이전의 성격과 그 소설적 맥락」, 고소설사의 제문제
    김일렬 집문당 [1993]
  • 「수이전연구」
    서용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 「국문학사해제(解題)」, 도남학회, 도남조윤제 전집
    장덕순 태학사 [1988]
  • 「형성기 산문 시고-수이전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산문연구
    이경우 동 화문화사 [1981]
  • 「한자철폐하자 조선어학회중심활동」
    동아일보 [1945]
  • 「한문학과 국문학」, 우리어문학회, 국문학개론
    정학모 一成堂書店 [1949]
  • 「한글專用運動展開」
    동아일보 [1948]
  • 「한국소설발달사-국문소설‧ 판소리-」
    김기동 한국문화사대계Ⅴ-언어‧문 학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67]
  • 「한국소설발달사(상)」, 한국문화사대계Ⅴ-언어‧문학사-
    민병수 고려대학 교 민족문화연구소 [1967]
  • 「한국문학의 기저」, 동방학지 10
    김동욱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69]
  • 「한국문학 시대구분 방안」, 한국문학사
    김석하 신아사 [1975]
  • 「한국 근대 고등교육의 기원과 ‘식민지대학 체제’의 형성」, 경성 제국대학과 동양학 연구
    윤해동 선인 [2018]
  • 「통일의 인문적 비전」, 한국민족문화 63
    김성민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 화연구소 [2017]
  • 「통일의 당위성 담론에 대한 반성적 고찰」, 시대와 철학 21-2
    이병수 한 국철학사상연구회 [2010]
  • 「통일문학사에서의 소설의 기원(起源) 문제」, 겨레어문학 28
    김종군 겨레 어문학회 [2002]
  • 「통일문학사에서 소설의 기점과 중국문학 수용에 대한 연구」
    풍영순 건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통일문학사 서술을 위한 단계적인 방안 연구」, 통일연구 2-1
    김영민 설성경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1998]
  • 「통일 담론과 남북한문학사 소통방안」, 민족문학사연구 56
    김성수 민족 문학사연구소 [2014]
  • 「태평통재 잔권(殘卷)소고(小考)」, 진단학보 12
    이인영 진단학회 [1940]
  • 「코리언 정체성 연구의 관점과 방법론」, 건국대통일인문학 연구단 엮음, 코리언의 민족정체성
    김종군 이병수 선인 [2012]
  •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민족공통성 연구방법론」, 시대와 철학 22-2
    박영균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1 [2011]
  • 「최치원전의 전기소설적 구조」, 수련어문논집 9
    이헌홍 수련어문학회 [1982]
  • 「최치원의 전기소설적 특성에 관한 연구」
    임진아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 「천태산인의 국문학 연구」하, 민족문학사연구 4
    박희병 민족문학사연구 [1993]
  • 「주왕산 인터뷰」
    동아일보 [1972]
  • 「조윤제피고에 무죄」
    경향신문 [1962]
  • 「조윤제문리대학장 경무대경찰서서 문초」
    동아일보 [1949]
  • 「조선소설의 연구」, 도남학보 6
    조윤제 도남학회 [1983]
  • 「조선소설사의 부운거사전 부설전으로 밝혀져」
    동아일보 4면 [1972]
  • 「조선소설사개요」, 문장 2-7
    조윤제 문장사 [1940]
  • 「조선문학의 장르에 관하여」, 조선어문 6
    고정옥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56]
  • 「조선문학의 발견과 법문학부 민요조사의 관련 양상」, 경성제국 대학 부속도서관 장서의 성격과 활용
    김광식 소명출판 [2017]
  • 「조선문학의 개념」
    이광수 新生 4 [1929]
  • 「조선문학과 한문과의 관계」
    동아일보 [1929]
  • 「조선문학과 한문과의 관계」
    조윤제 동아일보 [1929]
  • 「조선문학과 한문과의 관계(2)」
    동아일보 [1929]
  • 「조선문학가동맹운동사업개황보고」
    문학 창간호 [1946]
  • 「조선가요개설‧가요와 조선문학」
    김태준 조선일보 [1933]
  • 「조선 연문학(軟文學)의 최고봉 변강쇠전」
    이명선 서울신문사, 신천지 통권 37호(4권 6호) [1949]
  • 「조문리대학장 송청」
    경향신문 [1950]
  • 「전기소설의 전개」, 고소설의 제문제
    이혜순 집문당 [1993]
  • 「전기소설의 발생론」, 국어교육 4
    김종률 영남대학교 [1995]
  • 「전기소설에서 '전기성'의 변천과 의미-'기이'의 정체와 현실 의식 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6
    이정원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3]
  • 「전국문학자대회개막」
    동아일보 [1946]
  • 「임진란(壬辰亂)과 전설」
    이명선 금융협동조합, 협동(協同)창간호 [1946]
  • 「임진란(壬辰亂)과 사대주의(事大主義)」
    이명선 서울신문사, 신천지 통권 41호(3권 10 호) [1948]
  • 「일제하 식민지 지식인의 전통 인식」, 통일인문학 63
    이병수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 「이춘풍전의 현대화」
    이명선 미발표원고 [1947]
  • 「우리어문학회 일지」
    우리어문학회 어문, 우리어문학회
  • 「역옹패설 연구」
    장덕철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 「역옹패설 연구:필기문학의특성을 중심으로」
    윤종배 동양고전연구 3-1 [1994]
  • 「역옹패설 考」
    문병욱 성심어문논집 Vol. 9 [1986]
  • 「안자산의 조선문학사에 대하여」, 국어교육 35
    서준섭 한국어교육학회 [1979]
  • 「안자산 연구」, 慶北工業專門大學論文編輯委員會, 論文集 2
    이동영 경일 대학교 [1965]
  • 「신작 구소설 <난봉기합(鸞鳳奇合)> 연구- 귀족적 영웅소설 양식의 계승과 변용의 관점에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8-1
    이정원 한국문학이 론과비평학회 [2014]
  • 「신라수이전」, 신라불교문학연구
    김진학 현암사 [1976]
  • 「수이전고(1)-서명, 편저자, 간행년대를 중심으로-」, 대구어문논총 11
    서용규 대구어문학회 [1993]
  • 「소설의 발전을 더듬어1」
    윤기덕 평양: 문학신문 [1966]
  • 「소설의 발생과 수이전일문의 장르적 성격」, 조선시대의 애정소 설
    박일용 집문당 [1993]
  • 「설화문학고(說話文學考)」, 문장 3-3
    조윤제 문장사 [1941]
  • 「서울대 전신 경성제대 '1번 학생' 누군가 보니」
    중앙일보 [2012]
  • 「서거정의 소설 「채생과 둥근달의 사랑」의 사상예술적 특성과 소설 문학사적 의의」
    김춘택 김일성종합대학학보 3기 [1996]
  • 「사찰연기설화의 소설적 조명 - 소위 〈붕학동지전 〉과 〈보덕 각씨전 〉을 중심으로 -」, 고소설연구 13
    김승호 한국고소설학회 [2002]
  • 「비교문학적 견지에서 본 금오신화와 전등신화」
    박성의 고려대학교 문리 논집 3 [1955]
  • 「분단시대 사학의 성격」, 분단시대의 역사 인식
    강만길 창작과비평사 [1978]
  • 「분단극복의 민족적 과제와 코리안 디아스포라」, 대동철학, 58
    김성민 대 동철학회 [2012]
  • 「분단과 통일, 그리고 한국의 인문학」, 대동철학 53
    김성민 대동철학회 [2010]
  • 「문학적 ‘통이(通異)’와 문학사적 통합-북한문학 연구의 존재 증명- 」, 한국근대문학연구 19
    김성수 한국근대문학회 [2009]
  • 「도남유고 - 국문학연구사 :안확의 조선문학사의 돌현(突現)」, 도 남학보 3
    조윤제 도남학회 [1980]
  • 「도남 국문학에 있어서의 ‘민족사관’의 전개」, 도남학회, 도남조윤제 전집
    이우성 태학사 [1988]
  • 「남북한 통일문학사 기술의 과제와 전망」
    이영미 한중인문학연구 50, 한 중인문학회 [2014]
  • 「남북한 국문학사 비교 연구 : 한국문학통사와 조선문학사를 중심으 로」
    박은경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 「남북문학사의 고소설 형성론에 대한 비교」,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 원 통일인문학연구단, 분단 극복을 위한 인문학적 성찰
    김종군 선인 [2009]
  • 「남북관계에서 소통과 치유의 문제」, 한민족문화연구 43
    이병수 한민족 문화학회 [2013]
  • 「남북 문학의 이질성과 문학 교류의 방향」, 문학과경계 5-4
    고인환 문학 과 경제사 [2005]
  • 「남북 관계에 대한 반성적 고찰」, 통일인문학 48
    이병수 건국대학교 인 문학연구원 [2009]
  • 「남북 고전문학사의 만남을 위하여」,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통일 인문학연구단, 분단 극복을 위한 인문학적 성찰
    신동흔 선인 [2009]
  • 「낙선재본 소설의 국적문제」, 한국문학사의 쟁점
    김진세 집문당 [2012]
  • 「나의 한국사 연구」
    金成俊 韓國史學史學報 2 [2000]
  • 「나말여초의 전기문학」, 한구한문학연구 5
    임형택 한국한문학연구회 [1981]
  • 「나려시대 전기소설 연구」, 대동문화연구 30
    박희병 성균관대 대동문화 연구소 [1995]
  • 「김태준의 조선소설사, 그 의의와 한계」, 우리어문연구 33
    장효현 우리 어문학회 [2009]
  • 「김태준의 조선소설사 연구」
    노꽃분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1992]
  • 「김태준론: 그의 조선소설사를 중심으로」, 국어교육38집
    정상균 한국국 어교육연구회 [1981]
  • 「김태준 조선소설사검토」
    이윤석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3]
  • 「김태준 관련 새 자료 몇 가지」, 동방학지 183
    이윤석 연세대학교 국학 연구원 [2018]
  • 「김려의 단량패사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각자의 역량을 발휘」
    홍진옥 경향신문, 1956. 1. 5 [2014]
  • 「김려의 생애와 단량패사의 문학적 성격」, 국어국문학 92
    이경수 국어 국문학회 [1984]
  • 「길과 희망: 이명선의 삶과 학문세계」(상), 민족문학사연구 28
    김준형 민 족문학사학회 [2005]
  • 「길과 희망: 이명선(李明善)의 삶과 학문세계(하)」, 민족문학사연구  29
    김준형 민족문학사연구소 [2005]
  • 「국문학의 분야별 연구사」, 민족문화 10
    박성의 高大民硏 [1976]
  • 「국문학연구사」, 도남학보 3
    조윤제 도남학회 [1980]
  • 「국문학연구사」, 개정 국문학개설
    김동욱 민중서관 [1974]
  • 「고정옥의 삶과 학문세계」(상), 민족문학사연구 7-1
    신동흔 민족문학사학 회 [1995]
  • 「고전문학」
    정병욱 경향신문 [1975]
  • 「고전문학 연구 반세기」, 한국고전의 재인식
    정병욱 홍성사 [1979]
  • 「고소설사 서술의 과제와 문제점」, 어문논집 31
    인권환 민족어문학회 [1992]
  • 「고소설 권선징악론 비판 –수용미학의 관점에서 -」, 한국고전연구  37
    이정원 한국고전연구학회 [2017]
  • 「고려 전기소설의 발생과 그 행방에 대한 재론」, 어문연구 26
    김종철 어 문연구회 [1995]
  • 「고대소설의 대중성」
    이명선 중앙일보 [1947]
  • 「결성제국대학의 경성대학 서울대학 변형」, 미군정과 교육정책
    손인수 민영사 [1992]
  • 「갑오개혁 전후 전통교육제도에 대한 정책」, 역사교육 100
    구희진 역사 교육연구회 [2006]
  • 「가전체의 장르 규정」, 국어국문학 53
    조동일 국어국문학회 [1971]
  • 「陶南回顧記」, 도남학보 1
    이숭녕 도남학회 [1978]
  • 「金鰲新話解題」啓明 19
    최남선 啓明俱樂部 [1927]
  • 「金台俊과 郭沫若: 한 고전학자의 인식론적 전 환의 계기」
    이용범 성균관대학교 [2014]
  • 「燦! 國會業績」
    동아일보 [1948]
  • 「施政演說을듣고 各長官에 進言함 (4)」
    경향신문 [1948]
  • 「∼1925년 소설에 대한 남북한문학사의 비교 연구」, 한국문학 연구 제15집
    이중재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1992 [1910]
  • 「‘우리어문학회’의 활동 양상과 국문학사」, 남도문화연구 26
    김용찬 순천 대학남도문화연구소 [2014]
  • 「‘우리어문학회’그리고 개정된 ‘한글 맞춤법’에 대하여」, 국어학 21
    김형규 국어학회 [1991]
  • 「‘구비문학’이라는 개념과 범주의 형성과정 탐색」, 열상고전연구 47
    김영희 열상고전연구회 [2015]
  • 「The novel as a genre」 , The theory of the novel , ed . by Philip Stevick
    [1967]
  • 「Essay on romance」 ( 1824 )
  • 「<최고운전>에 나타난 개인과 세계의 불화 – 장르 운동의 양상을 중심으로」, 고소설연구 39
    이정원 한국고소설학회 [2015]
  • 「30년대의 문화계(12)-무정 정만조선생」
    조용만 중앙일보 [1984]
  • 「1950년대 북한 「문제」소설에 나타난 농민 형상연구」
    김미 한국문학논총 60, [2012]
  • 魯迅, 中國小說史略, 北京: 中華書局, 2014.
  • 論語.
  • 한반도식 통일, 현재진행형
    백낙청 창비 [2006]
  • 한문문학의 이해
    김흥규 민음사 [1986]
  • 한국전기소설의 연구
    소인호 집문당 [2005]
  • 한국수필문학사
    장덕순 새문사 [1985]
  • 한국소설의 이론
    조동일 지식산업사 [1977]
  • 한국소설발달사
    신기형 장문사 [1960]
  • 한국설화문학연구
    장덕순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0]
  • 한국문학통사3
    조동일 지식산업사 [2005]
  • 한국문학통사2
    조동일 지식산업사 [2005]
  • 한국문학통사1
    조동일 지식산업사 [2005]
  • 한국문학사
    장덕순 동화문화사 [1976]
  • 한국문학사
    조윤제 동국문화사 [1963]
  • 한국문학사상사시론
    조동일 지식산업사 [1978]
  •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조동걸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한국단편소설연구
    이재선 일조각 [1975]
  • 한국고대소설사
    박성의 日新社 [1958]
  • 한국고대소설개론
    김기동 大昌文化社 [1956]
  • 통일인문학
  • 통일의 문학, 비평의 논리
    김성수 책세상 [2001]
  • 창신중 ‧ 공업고등학교 창신60년사
    [1968]
  • 증보 조선소설사
    김태준 大同出版社 [1939]
  • 조선후기 전의 소설적 성향 연구
    박희병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993]
  • 조선한문학사
    김태준 조선어문학회 [1931]
  • 조선왕조소설연구
    황패강 단국대학교출판부 [1999]
  • 조선소설사
    김태준 대동문화사 [1933]
  • 조선민족설화의 연구
    손진태 을유문화사, 년, 138쪽 [1947]
  • 조선문학통사(상)
  • 조선문학사(고대 ‧ 중세편), (조선문학사통사 1, 이회문화사, 1996. )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7]
  • 조선문학사(고대 ‧ 중세편)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7]
  • 조선문학사(1~14세기)
    이응수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1956]
  • 조선문학사(15~19세기)
    김하명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1955]
  • 조선문학사
    김사엽 정음사 [1948]
  • 조선문학사
    안확 韓一書店 [1922]
  • 조선문학사
    이명선 범무사 [1990]
  • 조선문학사5
    김하명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4]
  • 조선문학사4
    김하명 사회과학출판사 [1992]
  • 조선문학사3
    김하명 사회과학출판사 [1991]
  • 조선문학사2
    정홍교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4]
  • 조선문학사1, (임헌영 해설, 天池출판사, 1995)
    김일성종합대학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82]
  • 조선문학사1
    정홍교 사회과학출판사 [1991]
  • 조선구전문학연구
    고정옥 과학원출판사 [1962]
  • 조선고전소설사연구
    김춘택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 조선고전소설사연구
    김춘택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86]
  • 조선고대소설사
    주왕산 정음사 [1950]
  • 이조문학의 사적 발전과정과 제 장르에 대한 고찰
    윤세평 국립출판사 [1957]
  • 우리나라의 고전문학
    김하명 북한: 국립출판사 [1957]
  • 역사는 끝났는가
    송두율 당대 [1995]
  • 역사 앞에서
    김성칠 창비 [2018]
  • 식민권력과 근대지식: 경성제국대학 연구
    정근식 서울대학교출판문화 원 [2011]
  • 서울대학교 60년사
    서울대학교 60년사 편찬위원회 [2006]
  •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
    이종석 역사비평사 [2005]
  • 분단구조와 북한문학
    김재용 소명출판 [2000]
  • 북한의 우리문학사 재인식
  • 북한의 우리문학사 인식
    민족문학사연구소 창작과비평사 [1991]
  • 북한의 역사1
    김성보 역사비평사 [2014]
  • 북한의 역사 2
    이종석 역사비평사 [2011]
  • 북한의 고전소설 연구
    최웅권 지식산업사 [2000]
  • 북한의 고전문학
    설성경 유영대 고려원 [1990]
  • 북한문학의 역사적 이해
    김재용 문학과 지성사 [1994]
  • 북한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김중하 국학자료원 [2005]
  • 민족은 사라지지 않는다
    송두율 한겨레신문사 [2000]
  • 문학개론
    리상태 박종식 현종호 교육도서출판사 [1961]
  • 독립운동사 8권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6]
  • 대학가의 파수병
    이숭녕 민중서관 [1968]
  • 국어국문학요강
    고정옥 대학출판사 [1949]
  • 국문학통론
    장덕순 신구문화사 [1963]
  • 국문학전사
    백철 이병기 新丘文化社 [1987]
  • 국문학사
    김사엽 정음사 [1954]
  • 국문학사
    우리어문학회 신흥문화사 [1948]
  • 국문학사
    조윤제 동국문화사 [1949]
  • 국문학개설
    조윤제 동국문화사 [1955]
  • 국문학개론
    우리어문학회 一成堂書店 [1949]
  • 구비문학개설
    장덕순 일조각
  • 교정 번역 임진록
    이명선 국제문화관 [1948]
  • 고전문학을 바로보는 북한의 시각 -고전산 문2-
  • 고전문학을 바라보는 북한의 시각 -고전산 문1-
  • 莊子.
  • 漢書.
  • 櫟翁稗說.
  • 梅月堂集.
  • 朝鮮詩歌史綱
    조윤제 博文社 [1937]
  • 朝鮮文明史
    안확 匯東書館 [1923]
  • 推測錄.
  • 夢溪筆談.
  • The rise of the novel : studies in Defoe , Richardson , and Fielding
    [2001]
  •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1962]
  • The Selfish Gene
    [1976]
  • The Information : A History , a Theory , a Flood
    [2011]
  • The Idea of History ,
    [1994]
  • Histoire du roman moderne
    Albin MichelParis [1962]
  • 한국국학진흥원 교육연구부 편, 자산 안확의 자각론‧개조론
    한국국한진흥 원 [2004]
  • 평전
    김용직 김태준 일지사 [2007]
  • 주체적 문예리론의 기본(1)
    한중모 평양: 문예출판사 [1957]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 언어문학연구소 문학연구실 편, 『조선문학 통사』(상)
    과학원출판사 [1959]
  • 이부오 하시모토 시게루 역, 이마니시 류(今西龍)의 신라사 연구 
    今西龍 서경문화사 [2008]
  • 이래종 편, 태평통재
    성임 학고방 [2009]
  • 안자산의 국문학연구
    김창규 국학자료원 [2000]
  • 루쉰전집번역위원회(조관희) 역, 중국소설사략
    노신 그린비출판사 [2015]
  • 김일성종합대학편, 조선문학사1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82]
  • 공저, 우리나라의 고전문학
    김삼불 김하명 평양: 국립출판사 [1957]
  • 高橋亨, 「朝鮮文学研究─朝鮮の小説─」, 日本文學講座 第12卷, 新潮社, 1927.
  • 辛島驍, 「魯迅先生」, 京城帝國大學學友會報, 1936.
  • 漢語大詞典編輯委員會漢語大詞典編纂處,漢語大詞典, 上海辭書出版社, 2008.
  • 洪子誠, 大陸當代文學史, 秀威出版, 2008.
  • 李家源, 韓國漢文學史 中譯本序, 鳳凰出版社, 2012
  • 徐兢, 宣和奉使高麗圖經.
  • 倪海曙, 魯迅論語文改革, 時代出版社, 1949.
  • Bart VOL . Ⅵ. ROBERT CADELL , EDINBURGH ; WHITTAKER AND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