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북한의 사이버 공격양상 비교연구 :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North Korean Cyber Attack Patterns: Focusing on the Three Governments of Roh Moo-hyun,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권혁천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북한의 사이버 공격양상 비교연구 :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North Korean Cyber Attack Patterns: Focusing on the Three Governments of Roh Moo-hyun,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노무현 정부
  • 박근혜 정부
  • 북한 사이버
  • 사이버 공격
  • 이명박정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28 0

0.0%

' 북한의 사이버 공격양상 비교연구 :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North Korean Cyber Attack Patterns: Focusing on the Three Governments of Roh Moo-hyun,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의 참고문헌

  • 한수원 해킹 결정적 단서는 없지만… 北 소행. https://www.hankookilbo. com/News/Read/201503171885878015(검색일: 2019.10.2).
  • 한미 전시 작전계획 5015 vs. 5027 무엇이 달라졌나?/YTN. https://www .youtube.com/watch?v=Wed4tylI2dQ(검색일: 2019.11.7).
    [2019]
  • 한국인터넷진흥원. 『사이버보안체계 강화를 위한 정보보호법제 비교 법연구』
    KISA-WP-2015-042 [2015]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A%B5%AD%EA%B5%B0%E C%82%AC%EC%9D%B4%EB%B2%84%EC%82%AC%EB%A0 %B9%EB%B6%80(검색일: 2019.10.14).
  • 사이버테러(2015). https:/www.dailynk.com/korean/read.php?cataId=nk 010&num=105982(검색일: 2019.10.17).
    [2015]
  • 사이버전(戰)을 위한 남북한 '사이버전 전담부대'. http://ko.stevenh.wikido k . n e t / w p - d / 5 8 5 b 3 3 e f 6 9 2 6 9 6 2 3 0 2 f f 0 5 9 a / V i e w (검색 일: 2019.10.1).
  • 사이버사, ‘사이버작전사령부’로 개편...사이버전문특기 신설. https://w ww.boannews.com/media/view.asp?idx=72106&kind=2(검색일: 2019.9.14).
  • 사이버司→사이버작전司 명칭 변경…심리전 임무폐지. https://news.joins. com/article/22872224(검색일: 2019.10.30).
    [2019]
  • 방송통신위원회 외. 『국가정보보호 백서』
    한국인터넷진흥원 [2010]
  • 미래창조과학부. 『정부,「국가 사이버안보 종합대책」수립 - 사이버 안보 강화를 위한 4대 전략(PCRC) 마련 -』
    보도자료 [2013]
  • 대우조선해킹(2017).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 1/01/2017110100331.html(검색일: 2019.9.12).
    [2017]
  • 국방부. 『국방사이버안보 역량 강화방안 본격 추진』. 김한균ㆍ조민정ㆍ박소영ㆍ안수정. 2015. 『한ㆍ미 사이버테러 대응정책 협력 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5-B-11 [2018]
  • 국무총리실 외교안보정책관실이 작성한 ‘CARIS 북한 유출내역’ 문서 단독 입수.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nNe wsNumb=200911100009(검색일: 2019.10.8).
    [2009]
  • 국무조정실 외. 『국가 사이버안보 태세 역량 대폭 강화한다』
    보도자료 [2015]
  •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가 5천만명을 넘어섰다. https://www.huffingtonpos t.kr/entry/smartphone_kr_5b823750e4b0729515139937(검색일: 2019.9.17).
    [2019]
  • 국가정보원. 『국가사이버안전메뉴얼』
    서울: 국가사이버안전센터 [2005]
  • 국가정보원 외. 『2018 국가정보보호백서』
    한국인터넷진흥원 [2018]
  • 국가정보원 외. 『2017 국가정보보호백서』
    한국인터넷진흥원 [2017]
  • 국가정보원 외. 『2016 국가정보보호백서』
    한국인터넷진흥원 [2016]
  • 국가정보원 외. 『2015 국가정보보호백서』
    한국인터넷진흥원 [2015]
  • 국가정보원 외. 『2013 국가정보보호백서』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 北 핵실험 정국, 정보탈취 위한 사이버전 진행중. https://www.cisokorea. org/info/view.asp?idx=14032&page=1&search=&searchstrin g=&gubun=News&kind=03(검색일: 2019.9.23).
    [2019]
  • 『한수원 사이버테러 사건 중간수사결과』
    최윤수 검찰(중앙지검) 개인정보범죄 정부합동수사단 [2015]
  • 『정부, 국가 사이버안보 마스터플랜 수립 – 국가 사이버공간 수호를 위한 범정부 차원의 청사진 마련-』
    방송통신위원회 보도자료 [2011]
  • 『인도ㆍ파키스탄 사이버분쟁의 정책적 함의』
    오일석 조은정 국가 안보전략연구원. INSS 전략보고 2019-43 [2019]
  • 『융합시대의 사이버보안 거버넌스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김동희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2016]
  • 『신흥안보의 미래전략: 비전통 안보론을 넘어서』
    김상배 서울: 사회평론 [2016]
  • 『사이버조작에 대항한 능동 방어의 국제법적 정당성』
    염지연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2017]
  • 『사이버전 개론』
    엄종호 정태명 최성수 서울: 홍릉과학출판사 [2012]
  • 『사이버위협 시나리오 개발 및 대응방안 연구』
    임종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 『사이버攻擊과 國際法上 武力使用에 관한 硏究』
    김은구 서울대 석사학위 논문 [2008]
  • 『사이버 안보의 세계정치와 한국 : 버추얼 창과 그물망 방패』
    김상배 서울: 한울 [2018]
  • 『사이버 안보의 국가전략 2.0』
    김상배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 『사이버 강압의 국제정치: 사이버 공격 사례를 통해 본 국가간 갈등 연구』
    정하연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2017]
  • 『삐라에서 디도스까지: 북한 대남 사이버테러의 현재와 미래』
    하태경 서울: 글통 [2013]
  • 『북한의 사이버테러 정보전능력과 사이버보안 대책 제언』
    김흥광 국가산업기술 유출대응 콘퍼런스 [2010]
  • 『북한의 사이버테러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김종화 계명대 석사 학위 논문 [2017]
  • 『북한의 사이버전 정책과 사이버전사 양성에 관한 연구』
    박지혜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2017]
  • 『북한의 사이버심리전 위협에 대한 우리 군의 대응전략』
    권혁기 상지대 평화안보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북한의 사이버공격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미국의 소니 해킹사건 대응조치와의 비교 분석』
    정민경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2015]
  • 『북한의 사이버 테러에 대한 대응방안』
    김경아 가천대 석사학위 논문 [2019]
  • 『북한의 사이버 위협이 한국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국가 및 군의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신동만 조선대 박사학위논문 [2016]
  • 『북한의 사이버 위협과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신경수 충남대 박사논문 [2018]
  • 『북한 사이버공격 및 전력 연구』
    김지홍 경기대 석사학위 논문 [2018]
  • 『보안관제학』
    박원형 안성진 이경호 경기: 이한미디어 [2014]
  • 『글로벌 금융 패러다임과 한국 금융산업』
    임양택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부 [2018]
  • 『국제 사이버 범죄학』
    김정현 서울: 그린 [2018]
  • 『국가사이버안보법안』. 의안번호 4955. 정보통신망 침해사고 합동조사단. 2003. 『정보통신망 침해사고 조사결과』
    정부 [2017]
  • 『국가 전산망 보안관제업무의 효율적 수행방안에 관한 연구 』
    김영진 고려대 박사학위 논문 [2010]
  • 『국가 사이버안보 기본계획』
    관계부처 합동 [2019]
  • 『국가 사이버 안보전략 연구』
    이성민 경기대 박사학위논문 [2017]
  • 『iWar: 사이버냉전시대 국가는 어떻게 생존하는가?』
    손영동 서울: 황금부엉이 [2010]
  • 『The Department of DefenceCyber Strategy』
    [2015]
  • 『Internet & Security Focus』
    신종환 9월호.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 『Cyber War Will Not Take Place』
    [2013]
  • 『Cyber War : The Next Threat to National Security and What to Do About It』
    [2010]
  • 『CNN기반 악성코드 시각화를 이용한 악성코드 유형 분류 기법』
    김홍근 영남대 석사학위 논문 [2019]
  • 『CARIS 보안성강화 및 기능개선』
    국립환경과학원 [2010]
  • 『4차 산업혁명과 남북관계』
    김상배 서울: (주)사회평론아카데미 [2018]
  • 『2011 해킹 바이러스 현황 및 대응』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
  • 『2010 해킹 바이러스 현황 및 대응』
    한국인터넷진흥원 [2011]
  • 『0과 1의 끝없은 전쟁』
    손영동 서울: 인포더북스 [2013]
  • “한 미 사이버테러 대응정책 협력 방안 연구”
    김한균 박소영 안수정 조민정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5]
  • “특집 : 국제테러 대응 ; 사이버테러와 국가안보”
    남길현 『국방 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02]
  • “전방위적으로 시도되는 북한 사이버 테러 실상”
    김승주 『북한 연구소』 [2017]
  • “이용석 임종인. 2019. “사이버 대응태세 구축을 위한 법ㆍ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이수진 이정석 『보안공학연구논문지』. Vol 12 [2015]
  • “세계의 사이버전 그리고 한국은”
    정해주 마이크로소프트웨어 vol 389 [2017]
  • “사회공학 사이버작전 개념정립 연구”
  • “사회공학 공격의 위험도 평가를 위한 지표 개발”
    박영후 신동천 『보안공학연구』. Vol.14. No.2 [2017]
  • “사이버테러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김상진 김연준 『융합보안 논문지』 제16권제3호 [2015]
  • “사이버테러 범죄 대응에 관한 제도적 문제점과 대책”
    김태계 『한국법정책학회』. 통권 35호 [2014]
  • “사이버테러 대응을 위한 국제협력형 모델”
    김현정 『국제정치연 구』. 19(2) [2016]
  • “사이버테러 국가대응체계 구축방안 : 법률체계와 조직체계를 중심으로”
    김문성 『평화학연구』. 제17권 1호 [2016]
  • “사이버위협정보 공유 활 성화를 위한 관리적․기술적 개선모델 연구”
    박정근 서형준 신용태 윤오준 조창섭 『융합보안논문지』. 제16권 제4호 [2016]
  • “사이버안보법 제정을 위한 국내 사이버안보 법률안 연구”
    김소정 박상돈 『융합보안논문지』. 제13권 제6호 [2013]
  • “사이버안보 위협에 대한 법제적 대응방안”
    김재광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법학논고』. 제58집 [2017]
  • “사이버안보 위협, 대응 전략 그리고 한국적 함의”
    장노순 『국가 안보와 전략』. 제19권 2호(통권74호) [2019]
  • “사이버범죄의 새로운 유형과 형사정책적 대안연구”
    이원상 채희정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0-16-03 [2010]
  • “사이버공격 대응 분석을 통한 사이버안보 강화 방안 연구”
    김재홍 배광용 서형준 신용태 윤오준 『융합보안논문지』. 제15권 제4호 [2015]
  • “사이버 테러와 국가안보”
    김흥석 『국한국법학원』 [2010]
  • “사이버 안보의 복합지정학: 비대칭 전쟁의 국가전략과 과잉 안보담론의 경계”
    김상배 『국제지역연구』. 24(3) [2015]
  • “사이버 안보 관련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황성기 『서울대 학교 공익산업법센터』. 경제규제와 법 제12권 제1호(통권 제23호) [2019]
  • “사이버 대응태세 구축을 위한 법ㆍ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이용석 임종인 『융합보안논문지』. 제19권 제1호 [2019]
  • “사이버 공격에 대한 한국의 안보전략적 대응체계와 과제”
    박종재 이상호 『한국정치정보학회』. 제20권 제3호 [2017]
  • “사이버 공격과 정당방위의 당위성”
    신경수 『융합보안논문지』. 제19권 제2호 [2019]
  • “사이버 공격, 핵·미사일 등과 3대 전쟁수단”…김정은, 사이버전사 육성 직접 지시. https://www.asiae.co.kr/article/20150331082458802 02(검색일: 2 019.10.1).
    [2015]
  • “사이버 공간에서의 안보의 현황과 전쟁억지력”
    김종호 『한국법 학회』. Vol 62 [2016]
  • “사이버 공간에서의 안보위협 대응체제 구축방안”
    채성준 『단국 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12권 2호 [2018]
  • “북한의 사이버테러리즘에 관한 연구”
    류채형 최선우 『한국공안 행정학회보』. 제46 [2012]
  • “북한의 사이버정보전 실태 - 북한의 사이버 침해에 대비한 현대 전의 정보 작전 능력을 구비해야 한다”
    김흥광 『북한연구소』. 통권 제413호 [2006]
  • “북한의 사이버전력 현황과 한국의 국가적 대응전략”
    권유중 백승조 임종인 장규현 『국방정책연구』. 제29권 제4호 [2013]
  • “북한의 사이버전 능력이 비대칭 전력인가?”. 『군사논단』. 권오국 석재왕. 2016. “주요국의 사이버테러 대응체계와 시사점 분석-미국, 영국, 독일 사례를 중심으로”
    권안도 『한국경호경비학회』. 제49호 [2017]
  • “북한의 사이버전 능력과 위협전망”
    윤규식 『한국군사학회』. 군사 논단 68권0호 [2011]
  • “북한의 사이버공격에 대한 국가총력적 대응체계를 위한 법제 방향”
    정준현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 “북한의 사이버공격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권헌영 임종인 정민경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5권 제1호 [2016]
  • “북한의 사이버공격(Cyber attack)과 국제적 대응”
    신진 『평화 문제연구소』. 제28권 2호 [2016]
  • “북한의 사이버 테러 대책은 없는가?”
    이상호 『북한연구소』. 통권 497호 [2013]
  • “북한의 사이버 위협과 심리전에 대한 대응방안”
    마정미 『국방 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17]
  • “북한의 사이버 안보 전략과 한반도: 비대칭적, 비전통적 갈등의 확산”
    황지환 『동서연구』. 제29권 1호 [2017]
  • “북한의 사이버 심리전 위협 대응방안”
    유동열 『북한연구소』. 150 통권 535호 [2016]
  • “북한의 사이버 공격능력과 대응”
    송봉선 『북한연구소』. 통권 525호 [2015]
  • “북한의 사이버 공격과 우리의 대응”
    김승주 『북한연구소』. 통권 516호 [2014]
  • “북한의 비대칭 전략 ‘사이버 기습공격’에 대한 대책 연구”
    권문택 『정보ㆍ보안 논문지』. 제10권 제4호 [2010]
  • “북한의 대남 사이버테러 사례 연구”
    김양현 『한국테러학회보』 [2014]
  • “북한의 대남 사이버공격에 대한 대비전략”
    김효진 엄응용 『한국 경찰연구』. 제17권 제2호 [2018]
  • “북한의 대남 사이버 공격 실태와 사례”
    손영동 『북한연구소』. 월간북한 통권 571호 [2019]
  •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트럼프 미행정부의 대한반도 정책의 변화와 전망”
    남성욱 『한국통일전략학회』. 제17권 제4호 [2017]
  • “북한사이버테러능력 변화와 대응전략방안연구”
    정태진 『한국테러 학회보』. 제19권 2호(통권74호) [2018]
  • “북한發 사이버 공격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손영동 『북한 연구소』. 월간북한 통권 562호 [2018]
  • “북한 정찰총국 해부”
    유동열 『북한연구소』. 월간북한 8월호 통권 524호 [2015]
  • “북한 정찰총국 사이버전력 대폭 증강 이유는?”
    김흥광 『평화문 제연구소』 [2011]
  • “북한 사이버테러 인력양성 모체, 제1중학교”
    한영진 『북한연구소』. 통권 520호 [2015]
  • “북한 사이버공격에 대한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정기석 정영도 『융합보안 논문지』. 통권 72호 [2016]
  • “북한 사이버 심리전의 실체와 대응방향”
    이상호 『한국정치외교 사논총』. 제3집 1호 [2011]
  • “북한 대남 심리전 변천 양상과 전망”
    김윤영 『북한연구소』. 통권 535호 [2016]
  • “보이지 않는 교전 하루 150만건…사이버 평화 선언해야”
    김성태 https ://news.joins.com/article/23046057(검색일: [2019]
  • “미중 사이버 군사력 경쟁과 북한 사이버 위협의 부상”
    차정미 『통일연구』. 제23권 제1호 [2019]
  • “대북 사이버 안보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 사이버전 대비를 중심으로”
    김종하 김호중 『융합보안논문지』. 제18권 제3호 [2018]
  • “남북관계의 변화와 한반도 외교의 과제”
    허태회 『2016 동아시아 평화와 협력을 위한 대화』. JPI Research Series 37 [2016]
  • “김정은 체제 수호를 위한 북한의 정보 보안기구”
    서동구 『통일 연구원』 [2015]
  • “국외 주요국과 북한의 사이버전 수행전략 및 기술 비교분석을 통한 대응방향”
    강정호 김순수 김회동 유진철 『보안공학연구논문지』. Vol 13 No4 [2012]
  • “국내 주요 인터넷 사고 경험을 통해 본 침해사고 현황 ”
    신종환 『국가정보연구』. Internet & Security Focus 9월호 [2013]
  • “국가안보에 대한 사이버 위협과 새로운 국제 사이버안전규 범의 제안”
    신영웅 『한국인터넷진흥원』. 제10권 2호 [2019]
  • “국가 사이버안전 관리 법제의 개정방향에 관한 소고”
    성관실 오태곤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9(3) [2014]
  • “국가 사이버안보를 위한 법제 현황과 개선방향”
    정준현 『한국 국가정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1]
  • “가상화된 DDos 사이버테러기법과 북한군 사이버전력”
    김흥광 『북한연구소』. 통권 465호 [2010]
  • “4세대전쟁 및 비대칭 위협 관점의 사이버전 및 사이버심 리전 발전방향”
    배달형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전략연구 통권 제65호 [2015]
  • [정보보호 20년史] 2004년: 정보보호가 국가안보의 한 축이 되다. https:// www.b o an n e ws.com/me d ia/ v ie w.asp ? id x=7 96 4 4 (검색일: 2019.10.1).
    [2004]
  • [단독] MB 사이버사, 연합사 장군 불러 미국 대선까지 대비. http:// 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mod=news&act =articleView&id xno=144163. 검색일자: 2019.10.11).
    [2019]
  • [노무현 사료관]. http://archives.knowhow.or.kr/rmh/chronologyList/200 60817(검색일: 2019.10.8).
    [2019]
  • What is a backdoor?. https://www.malwarebytes.com/backdoor/(검색일: 2019.11.16).
    [2019]
  • What is 'Terrorism ' ? Problems of Legal Definition
    27 ( 2 ) , 270-295 [2004]
  • The novelty of ‘ cybercrime ’ an assessment in light of routine activity theory
    2 ( 4 ) [2005]
  • The law of cyber-attack
    [2012]
  • Tallinn manual on the international law applicable to cyber warfare
    [2013]
  • TNikkei Asian Review. 2018. 『North Korea resumes cyber attacks in desperate search for foreign currency』 February 25. https://asia.nikkei.com/Economy/North-Korea-resumes-cyb er-attacks-in-desperate-search-for-foreign-currency(검 색일: 2019.11.10).
    [2018]
  • Spear Phishing 101 : What is Spear Phishing ,
    [2015]
  • Open-source Analysis of the Cyber Warfare Capability of North Korea
  • North korea 's Cyber Operation : strategy and Responses
    [2015]
  • North Korean Strategic Strategy : Combining Conventional Warfare with the Asymmetrical Effects of Cyber Warfare
  • North Korea and the Sony hack : Exporting instability through cyberspace .
    [2015]
  • North Korea 's Cyber Operations Strategy and Responses
    [2015]
  • Lee, S. December 2011. U.S. Security Strategy toward North Korea's Cyber Terrorism. Dupont Summit.
  • Keystroke Logging: Definition, Types & Implementation. https://stud y.com/academy/lesson/keystroke-logging-definition – types-implementation.html(검색일: 2019.11.2).
    [2019]
  • Cyberwarfare and the Use of Force Giving Rise to the Right of Self-Defense .
    [2009]
  • Cyberterrorism Are We Under Siege ?
    45 ( 6 ) [2002]
  • Cybercrime : Investigating high-technology computer crime
    [2010]
  • Cyber terrorism : a clear and present danger , the sum of all fears , breaking point or patriot games ?
    46 ( 4-5 ) , 223-238 [2006]
  • Computer attack and Cyberterrorism : Vulnerabilities and Policy issues for Congress .
    9 , 1-42 [2003]
  • Advanced social engineering attacks
    22 , 113-122 [2015]
  • A study on advanced persistent threats . In IFIP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Security
    pp . 63-72 [2014]
  • 7.7 DDoS 대란 3주년, 보안의식 UP. https://www.zdnet.co.kr/view /?no=20120707090238&re=R_20120710144537(검색일: 2019. 10.2).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