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미메시스와 재매개에 기반한 오토마톤 연구 = A Study on Automaton within a Perspective of Mimesis and Remediation

조민경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미메시스와 재매개에 기반한 오토마톤 연구 = A Study on Automaton within a Perspective of Mimesis and Remediatio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La machine and Royal du luxe
  • Les Machines de i'ile
  • automata
  • 미메시스
  • 오토마톤
  • 재매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47 0

0.0%

' 미메시스와 재매개에 기반한 오토마톤 연구 = A Study on Automaton within a Perspective of Mimesis and Remediation' 의 참고문헌

  • 하이데거 철학일기: 일산/기술/무 無의 사건』
    조형국 전라남도: 누미노 스 [2010]
  • 프랑스 관광청 낭트. <https://kr.france.fr.>
  • 파버의 말하는 오토마톤 자료. <https://history-computer.com/Dreamers/Faber.html.(검색일자: 2019년 2월 15일.)>
    [2019]
  • 케스린 흄. 한찬엽 역,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2000]
  • 쥘 베른 박물관 및 관련자료. <https://en-julesverne.nantesmetropole.fr/en/sites/en>
  • 중세유럽에 대한 이슬람 문명의 영향연구
    윤용수 『지중해지역연구』, 제7권, 제2호 [2005]
  • 중세 이슬람 세계에서의 오토마타 기술 계승과 발전”
    김정명 『인문과학 연구논총』, 제39권, 제4호 [2018]
  • 자크 마트 자료. Bertrand Carlier, “Le Jacquemart de Dijon, une histoire belge” , L'agenda & Le guideSortir à Dijon, Article publié le 7 mai 2016. <https://jondi.fr/guide-europe-dijon/le-jacquemart-de-dijon-unehistoire- belge/.(검색일자: 2019년 11월 2일.)> <https://www.revolvy.com/page/Rood-of-Grace.(루드 오브 그레 이스, 검색일자: 2019년 9월 25일.)>
  • 인물로 보는 해부학의 역사 』
    송창호 정석출판 [2015]
  • 원종환,「에로 전 시장이 말하는 낭트의 도시재생」, 『조선일보』, 2019 년 3월 15일.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3/15/201903150 2100.html.(검색일자: 2019년 7월 10일.)>
    원종환 [2019]
  • 욕망과 상상의 과학사-인간, 사회, 과학기술, 우주』
    조수남 파주: 생각 의 힘 [2016]
  • 오토메타콘. <https://www.automatacon.org.>
  • 오토메타잡지. <https://automatamagazine.com.>
  • 오가닉 미디어-연결이 지배하는 세상』
    윤자영 성남: 오가닉 미디어랩 [2016]
  • 영국 카바렛 메커니컬 시어터, Cabaret Mechanical theater. <https://cabaret.co.uk.>
  • 스위스 네샤텔 박물관. <https://www.museum-neuchatel.ch.>
  • 성」,『서양근대사에서 종교의 역할』
    서울: 민음사, , p. 156 [1990]
  • 사이버네틱스. <https://ko.wikipedia.org. (검색일자: 2019년 9월 3일.)>
    [2019]
  • 브리태니커 편찬위원회. 앤서니 그레일링 서문, 이정인 옮김,『근대의 탄 생』
    파주: 도서출판 아고라 [2017]
  • 미디어와 사회변동 그리고 매체 생태학」, 임상원 편 외, 『매 체 역사 근대성』
    이동후 서울: 나남출판사 [2004]
  • 미디어 2.0과 콘텐츠 생태계 패러다임』
    송해룔 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 부 [2009]
  • 미국 모리스박물관, Morris museum. <https://morrismuseum.org.>
  • 몸-멈출 수 없는 상상의 유혹』
    허정아 파주: 21세기북스 [2011]
  •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https://www.metmuseum.org.>
  • 로얄 드 뤽스. <http://www.royal-de-luxe.com.>
  • 라 머쉰느. <http://www.lamachine.fr.>
  • 데카르트. 소두영 재구성 및 역, 「방법서설, 5부」,『방법서설 외 』
    서 울: 동서문화사 [2015]
  • 다빈치의 시계. By Emma Taggart on May 16, 2019. <https://mymodernmet.com/leonardo-da-vinci-codex-atlanticus/. (기사 검색일자: 2019년 5월 16일.)>
    [2019]
  • 낭트 시. <https://en.nantes.fr/home.>
  • 김종영, 「포스트휴먼 전환과 인문사회과학의 기회」,『교수신문』, 2019. 02. 19기사. <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43858. (검 색일자: 2019년 9월 27일)>
    김종영 [2019]
  • 기계코끼리 작동원리. <https://www.youtube.com/watch?v=MCW_wp0dgF4(검색일자: 2019년 10월 2일.)
    [2019]
  • 기계식시계의 구성원리. <https://en.wikipedia.org/wiki/Verge_escapement.(검색일자: 2019 년 8월 2일.>
    [2019]
  • 『이성은 신화다, 계몽의 변증법』
    권용선 서울 : 그린비 [2003]
  • 『서양근세철학』
    강대식 서울: 서광사 [1985]
  • 『몸 또는 욕망의 사다리』
    이거룡 한길사 [1999]
  • 『기계인간에서 사이버휴먼으로』
    김연순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 『과학과 근대세계』
    A. N Whitehead 서광사 [2008]
  • 『계몽시대, Great ages of man-age of enlightenment』
    Cay, Peter. 한국 타임 라이프 북스 편집부 역 [1989]
  • 「분수 정원의 동굴」
    홍성욱 『21세기 교양 과학기술과 사회』 [2016]
  • 「몸과 기술: 도구에서 사이버네틱스까지」
    홍성욱 한길사 [1999]
  • 「고대의 기술편」
    송성수 『기술의 역사』, 서울: 살림출판사 [2009]
  • 「The Golden age of Automata」, Theriault's the doll masters catalogue.
  • 「Of Other Spaces」 , VisualCulture Reader
    [1999]
  • 「Enlightened Automata」 , The Sciences in Enlightened Europe
    [1999]
  • 「Arts Avenue - Steampunk Art: Art of Victorian Futurism 스팀 펑 크아트전- Art of Victorian Futurism」, 『ARIRANG TV』, CULTURE, 2014. 5. 27. <https://www.youtube.com/watch?v=yHRzLi5kr3U.(검색일자: 2019년 8월 20일.)
    [2014]
  • 「AUTOMATES MERVEILLES-Les Jaquet-Droz et Leschot」 , Musée d'Art et
    [2012]
  • “현실과 환상을 가로지르는 콘텐츠의 재매개화”
    김은영 『한국언론학 보』, 61권, 1호 [2017]
  • “프랑스의 도시재생사업과 시사점 -마르세유와 낭트 사례로”
    배준구 『 지중해지역연구』, 제 21권, 1호 [2019]
  • “프랑스 낭트(Nantes)시의 도시재생-낭트 섬(Ile de Nantes)의 역 사문화유적의 재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임승휘 『열상고전연구』, 제51집 [2016]
  • “폐 산업시설 활용 문화 예술 공간 정책의 구도와 방향”
    박신의 『문 화정책논총』, 제 26권, 1호 [2012]
  • “판타지 소설에 활용된 `마법`의 철학적 의미와 기능 ― 『어스시의 마법사』를 중심으로”
    안숭범 최혜실 『국제어문』, 제55집 [2012]
  • “탈마법화시키는 마법-벤야민의 미메시스 읽기”
    최성만 『문화과학』, 25 호 [2001]
  • “제2의 창조신화 포스트휴먼-‘인조인간’이미지를 중심으로”
    『독일 어문학』, 제30집 [2005]
  • “제2의 창조신화 포스트휴먼-‘인조인간’이미지를 중심으로”
    지승학 『독일 어문학』, 제30집 [2005]
  • “자동인형 모티브에 나타난 여성성, 에로틱, 테크놀로지”
    정윤희 『독일 어문학』, 제25집 [2004]
  • “인간과 기계- 에테아 호프만의 문학 작품에 나타난 기계인간 모 티브연구”
    천연순 『독일문학연구』, 122권 [2012]
  • “예술의 사회적 영향 연구 분석과 정책적 함의”
    박신의 『문화정책 논총』,제27집 1호, 2013 [2013]
  • “샤르댕의 아동 교육 장르화 - 18세기 프랑스 부르주아의 계몽주 의적 아동관”
    고유경 『미술현장과 이론』, 제8호 [2009]
  • “생기론과 기계론:17,8세기적 함의”
    황상익 『의사학』, 제2권, 2호, 「The 1912 S.F.B.J.」Catalogue [1993]
  • “사이보그와 가상현실 이미지를 통해 본 포스트휴먼 자아- 마리 코 모리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주은 『인문콘텐츠』 [2014]
  • “발터 벤야민의 미메시스론”
    최성만 『독일어문화권연구』, , 183쪽 [1996]
  • “바로크 오토마타, 기계, 그리고 역사 : 〈기계 투르크인〉과 발터 벤야민의 역사 이해를 중심으로”
    이재준 『인문과학연구논총』, 제39권, 제3호 [2018]
  • “미메시스에 대한 네 가지 시각 -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벤야 미, 리쾨르􋺶
    유기환 『세계문학비교연구』, 33집 [2010]
  • “문화산업으로서의 영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프리츠 랑의 무성영 화 <메트로폴리스>를 중심으로”
    천연순 『카프카연구』, 26집 [2011]
  • “문학 속의 인조인간과 계몽주의 비판- -에 테 아. 호프만의 『모 래귀신』을 예로”
    이정준 『독일문학집』, 111집 [2009]
  • “맥루한 매체이론에서 인간의 위치: ”기술 우선생성“에 대한 논의 를 중심으로”
    김상호 『언론과학연구』, 8(2) [2008]
  • “기술 객체-인간’이 야기하는 테크노포비아 <테라포마스> 캐릭터 읽기”
    안숭범 『국제비교한국학회』, Vol. 26 No. 2 [2018]
  • “기계론에서 행복론으로-라메트리의 기계론과 생명, 죽음, 그리고 행복”
    여인석 『의철학연구 』 [2014]
  • “근대 초 해부학의 발전과 시각적 사유 : 미술과 의학의 학제 간 상호연관성”
    최병진 『미술이론과 현장』, 20 [2015]
  • “그리스 오토마타 : 안티키테라 기계를 중심으로”
    김차규 『인문과학연구 논총』, 제39권, 제3호 [2018]
  • “개인적 서술 매체로서의 영상 ; 데릭 저먼 Derek Jarman의 색 의 미학: <블루(Blue)>를 중심으로”
    배상준 『한국디지털영상학 회』, 제2권, 1호. 2005 [1993]
  • “AL-JAZARI and the History of the Water Clock”. <http://www.history-science-technology.com.(검색일자: 2019년 9 월 20일.) >
    [2019]
  • “9~10세기 비잔티움 오토마타 솔로몬 보좌를 중심으로”
    김차규 『인문과학연구논총』, 제40권, 제1호 [2019]
  • “19세기 프랑스 회화와 문학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
    김미연 『담론 20 1』, 7(1) [2004]
  • “19세기 프랑스 미술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과 민족성 문제”
    강영주 『서양미술사학사논문집』, Vol. 11 [1999]
  • “18세기 오토마톤에 구현된 인간모방의 테크놀로지”
    이주은 조민경 『영상문화』, 제31호 [2017]
  • ‘Les Androidies Jaquest-droz’, Paris: Talis Films, 2005.
  • the Jaquet–Droz automatons, Milan: Scripta SA, Cay, Peter. 시드니 A. 버렐 엮음, 임희완 엮
    「프랑스 계몽운동의 통일 [1979]
  • imperial fiction-Europe 's Myths of Orient
    [2008]
  • dolls in motion , 1850-1915
    [2000]
  • by F. Hopman
    [1965]
  • automates , staues animes
    no . 22 , automne [1991]
  • Zingrone, Frank.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Critical Edition
    McLuhan, E. Gingko Press, , 김상호 역,『미디어의 이해와 확 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2003]
  • Zingrone, Frank. Understanding Media, , 김성기외 역, 『미디어의 이해』
    McLuhan, E. 서울: 민음사, 2002 [1964]
  • Yoshitak, Yamamoto. 남윤호 역, 『16세기 문화혁명』
    서울: 동아시아 [2010]
  • Willey, Basil. 시드니 A. 버렐 엮음, 임희완 엮, 「냉담한 철학의 원리」, 『서양근대사에서 종교의 역할』
    서울: 민음사 [1990]
  • When the circus come to town
    [2007]
  • Weber, Samuel.『Upsetting the Set Up: Remarks on Heidegger’s Questing after Technics,』MLN. 104(5), December 1989.
  • Thomas, Human-Built World: How to Think about Technology and Culture, , 김정미 역, 『테크놀로지, 창조와 욕망의 역사』
    Hughes, P. 서울 : 도서출판 플래닛미디어, 2008 [2004]
  • The mechanical Doll of Monte Carlo, Catalogue, National Museum of Monaco, 1985.
  • The Turk : The Life and Times of the Famous Eighteenth-Century Chess-Playing Machine
    [2002]
  • The Restless Clock , A History of the Centuries-Long Argument over What Makes Living Things Tick
    [2016]
  • The Origins of Museums The Cabinet of Curiosities in Sixteenth-and Seventeenth-Century Europe
    [2018]
  • The Medium is The Massage : An inventory of Effects
    [1967]
  • The Expanding Discourse : Feminism and Art History
    [1992]
  • The Chess Machine
    [2007]
  • Taussing, Michael. 신은실 최성만 역, 『미메시스와 타자성』
    서울: 도서출판 길 [2018]
  • Tatarkiewicz, Wladyslaw. A History of Six Ideas: An Essay in Aesthetics, , 손효주 역, 『미학의 기본 개념사 』
    서울: 도 서출판 미술문화사, 1999 [1980]
  • Tarde, Gabriel. les Empecheurs de Penser en Rond, , 이상률 역, 『사회법칙: 모방과 발명의 사회학』
    서울: 아키넷, 2013 [1999]
  • TUFFELLI, Nicole. L'art du ⅩⅨeme Siecle, , 김동윤 역,『19세기 미술』
    서울: 생각이 나무, 2007 [1999]
  • Sublime Dreams of Living Machines , Cambrige ,
    [2011]
  • Starmer, Wooding William. “The Clock Jacks of England”, Proceedings of the Musical Association, 44th Sess. (1917~1918). Taddei, Mario. New mechanics and new automata found in codices, Milano: Leonardo 3L, 2007.
  • Simondon, Gilbert. du mode d'existence des objets techniques, , 1969, 1989, 김재희 역,『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시몽 동의 기술철학』
    서울: 그린비, 2011 [1958]
  • Signs and Designs : Art and Architecture in the Work of Michel Butor
    [2003]
  • Science in Action : How to Follow Scientists and Engineers through Society
    [1987]
  • Schwab, Klau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송경진 역, 『제4차 산업혁명』
    서울: 새로운현재, 2016 [2016]
  • Rood of Grace. The Technology Museum of Thessaloniki’ Archive. <https://en.wikipedia.org/wiki/Rood_of_Grace#cite_note-1.(검색일 자: 2019년 9월 25일.)>
    [2019]
  • Riskin, Jessica. “The Defecating Duck, or, the Ambiguous Origins of Artificial Life”, Critical Inquiry, Vol. 29, No. 4, Summer 2003, .“Machine in the Garden”, Repubilcs of Letters, Stanford University, 2012.
  • R. L. High Techne-Art and Technology from the machine Aesthetic to the post human
    [1999]
  • Postman, Neil. Technopoly: The Surrender of Culture to Technology, , 김균 역, 『테크노 폴리』
    서울: 궁리출판, 2010 [1992]
  • Picture Theory : Essays on Verbal and Visual Representation ,
    [1994]
  • Paris , capital Du ⅪⅩe siecle
    [1989]
  • Original Letters Illustrative of English History
    [1970]
  • Orientalism
    [1978]
  • On the Fabric of the Human BodyⅠ ( DeHumaniCorporis FabricaLibriSeptem )
    [1998]
  • On The Rationalization Of Sight
    [1938]
  • Nochlin, Linda. “The Imaginary Orient”, Art in America, May, Platon, 박종현 역, Republic, 380 BC.,『플라톤의 국가』
    서울: 서광사, 1997 [1983]
  • My Fair Ladies-Female Robots , Androids , and Other Artificial Eves
    [2015]
  • Music , Motion , Fancy : rare Automata From the Golden age ,
    [2008]
  • Mumford, Lewis. Technics and Civilization, , 문종만 역,『기술과 문 명』
    서울: 책세상, 2013 [1934]
  • Mimetische Weltzugänge : Soziales Handeln - Rituale und Spiele - ästhetische Produktionen , stuttgart
    Germany [2003]
  • Mimesis and Alterity : A Particular History the Senses
    [1993]
  • Media Unlimited : How the Torrent of Images and Sounds Overwhelms Our Lives
    [2002]
  • Mazlish, Bruce. 김희봉 역, 『네번째 불연속』
    서울: 사이언스북스 [2001]
  • Massachusetts : New World City
    [2017]
  • Martine.「The Question concerning Technology」 , The Question concering of Technology and Other Essay , Tran . William Lovitt
    [1997]
  • M. The Turk : Chess Automation
    [2000]
  • Les 3 automates Jaquet-Droz, Articles horlogers. <http://www.horlogerie-suisse.com.>
  • Kurzweil, Ray. The Singularity Is Near, , 김명남, 장시형 역,『특 이점이 온다』
    파주: 김영사, 2007 [2005]
  • Kineticsim : The Unrequited Art」 , Beyond Modern Sculpture : The Effects of Science and Technology on the Sculpture of This Century
    [1968]
  • Kellner, Douglas. Media Culture: Cultural studies, identuty and politics between the modern and the postmodern, , 김수종 정종희 역, 『미디어문화』
    서울: 새물결 출판사, 2003 [1995]
  • Joly, Martine. L'image et les signes, , 이선형 역,『이미지와 기 호』
    서울: 동문선, 2004 [1994]
  • John. ORIENTALISM: History, Theory and the arts, , 박홍규 역
    MacKenzie, M. 『오리엔탈리즘: 역사와 예술』, 2006 [1995]
  • Howard. Science in Medieval Islam, , 정규영 역,『이슬 람의 과학과 문명』
    Turner, R. 서울: 르네상스, 2004 [1997]
  • Horkheimer, Max. and Adorno, W. Theodor. Dialectic of Enlightenment, New York: Continuum, , 김유동 역, 『계몽 의 변증법』
    서울 : 문학과 지성사, 2001 [1987]
  • Holy Anatomies in Secret of Women : Gender , Generation , and the Origins of Human Dissection
    [2006]
  • Heidegger, Martine. 이기상 외 역, 「기술에 대한 물음」,『강연과 논문 』
    서울: 이 학사 [2008]
  • He ler, Martina. Kulturgeschichte der Technik, , 이덕임 역
    『기술 의 문화사』, 2013 [2012]
  • Hans. Minol, Sabine. Die MenschenMacher: Sehnsucht nach Unsterblichkeit, , 정수경 역,『인간 아담을 창조하다: 생명복제 시대에 돌아보는 인간 만들기의 역사』
    Gassen, G. 서울: 프로네시 아, 2007 [2006]
  • Goodman, Nelson. ways of worldmaking , Hassocks, suss, 1978, dt.v.M. Losser, Weisen der Welterseugung, Frankfurt/M, 1984.
  • Good Looking : Essays on the Virtue of Images
    [1996]
  • Gods and Robots : Myths , Machines , and Ancient Dreams of Technology
    [2018]
  • Gebauer, Gunte.최성만 역, 『미메시스 : 사회적 행동, 의례와 놀이, 미적생산』
    파주: 글항아리 [2015]
  • From the Golden age of Automata : the Private Collection of Theriault 's Gold Horse
    [2004]
  • Flynn, Tom. Body in sculpture, , 김애현 역, 『조각에 나타난 몸』
    서울: 도서출판 애경, 2000 [1998]
  • Essential McLuhan
    [1995]
  • Eighteenth-Century Wetware
    no . 83 , Summer [2003]
  • Edison 's Eve : a magical history of the quest for mechanical life
    [2002]
  • Eco, Umbert. ART E BELLEZZA NELL’ESTETICA MEDIEVALE, , 손효주 역,『중세의 미와 예술』
    서울: 열린책들, 2000 [1987]
  • Cybernetics : Or Control and Communication in the Animal and the Machine
    [1948]
  • Chapuis, Alfred.and Gélis, Edouard. Le Monde des automates 2 vols, 1928.
    2 vols , [1928]
  • Carlo, Cipolla Maria. Clock and Culture, 1300-1700, , 1996, 최파일. 역,『시계와 문명, 1300~1700년 』, 서울: 미지북스, 2013. Carrers, Roland, and Damonique Loiseau, Olivier Roux
    ANDROIDS: [1981]
  • CARNET DE CAOQUIS-Les machines de L'île -Nantes
    [2007]
  • CARNET DE CAOQUIS-Les Mécaniques savantes
    [2007]
  • CARNET DE CAOQUIS-Le Manége carré sénart
    [2007]
  • Bourdieu, Pierre. 최종렬 역,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상, 하
    서 울: 새물결 [1995]
  • Bolter, Jay David. & Grusin, Richard. Remediation-Understanding New Media, , 이재현 역, 『재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 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1996]
  • Benjamin, Walter. 최성만 역,「인식비판적 서론, 」,『발터 벤야민 선집 6권-언 어 일반과 인간의 언어에 대하여 외 』
    서울: 도서출판사 길, 2008 [1925]
  • Benjamin, Walter. 최성만 역,「미메시스 능력에 대하여, 」,『발터 벤야민 선집 6권-언어 일반과 인간의 언어에 대하여 외 』
    서울: 도서출판사 길, 2008 [1933]
  • Benjamin, Walter. 최성만 역, 「유비와 근친성」,『언어 일반과 인간의 언어 에대하여 번역자의 과제』
    서울: 도서출판 길, 2008 [1919]
  • Batteries of Life : On the History of Things and Their Perception in Modernity
    [1993]
  • BBC 4, the technology news, Mechanical Marvels: Clockwork Dreams, the writer automaton. <http://www.bbc.co.uk/programmes/b0229pbp.>
  • Automata and Mimesis on the stage of Theater History
    [2011]
  • Automata : The Golden Age : 1848-1914
    [2003]
  • Automata : A spectacular History of the Mimetic Faculty
    [2006]
  • Automata : A Historical and Technological Study , Neuchatel : Editions Du Griffon
    [1958]
  • Aristotle. Poetics, c. 335 BC., 천병희 역,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서 울: 문예출판사 [2002]
  • André, Doyon. & Lucien, Liaigre. Vaucanson, Paris: PUF, 1966.
    [1966]
  • Androids in the Enlightenment : Mechanics , Artisans , and Cultures of the Self
    [2013]
  • A Theatrical Miracle : The Boxley Rood of Grace as Puppet
    Vol . 10 , No . 2 [2007]
  • A History of Anatomy Theaters in Sixteenth-Century Padua , Article in Journal of the History of Medicine and Allied Sciences
    59 ( 3 [2004]
  • <http://www.nantes-tourisme.com.> <www.julesverne.nantes.fr, www.verne.nantes.fr.>
  •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43858.(검색 일자: 2019년 9월27일.)>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