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김사량문학 연구 : 식민지 지식인의 내면풍경 = A Study on literature of Kim Sa-ryan: The inner Landscape of the Colonial Intellectual

김보애 2020년
논문상세정보
' 김사량문학 연구 : 식민지 지식인의 내면풍경 = A Study on literature of Kim Sa-ryan: The inner Landscape of the Colonial Intellectual'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고향
  • 김사량
  • 민족성
  • 식민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99 0

0.0%

' 김사량문학 연구 : 식민지 지식인의 내면풍경 = A Study on literature of Kim Sa-ryan: The inner Landscape of the Colonial Intellectual' 의 참고문헌

  • 金史良, 金史良全集Ⅳ, 河出書房新社, 1973.
  • 金史良, 金史良全集Ⅰ, 河出書房新社, 1973.
  • 金史良, 金史良全集Ⅱ, 河出書房新社, 1973.
  • 金史良文學の硏究
    秋錫敏 제이엔씨 [2001]
  • 환상과 리얼리티
    나병철 문예출판사 [2010]
  • 협력과 저항
    김재용 소명 [2004]
  • 한국 근대의 식민지 체험과 이중언어 문학
    정백수 아세아문화사 [2000]
  • 한국 근대문학과 이중어연구
    김혜연 국학자료원 [2012]
  • 친일문학론
    임종국 민족문화연구소 [2013]
  • 철학사전
    임석진 철학사전편찬위원회 [1987]
  • 중국항일전쟁과 한국독립운동
  • 조선총독부철도국장 大村卓一과 朝滿鐵道連結政策
    정재정 역사교육연구 회 [2007]
  • 조선민족의 민속세계
    조성일 민족문화사 [1996]
  • 재일조선인 문학과 민족
    김학동 국학자료원 [2009]
  • 자서전
    유호식 민음사 [2015]
  • 일제시대 빈민생활사 연구
    강만길 창비 [2013]
  • 일제 말기 한국작가의 일본어 글쓰기론
    김윤식 서울대학 출판부 [2003]
  • 일제 강제동원, 알려지지 않은 역사
  • 유토피아 이야기
    이인식 엘리온 [2007]
  • 오리엔탈리즘
    에드워드 W 사이드 교보문고 [2007]
  • 역사의 공간
    이진경 휴머니스트 [2010]
  • 엉거주춤한 문학의 표정
    김윤식 [2010]
  • 아편과 근대중국
    김재선 한국학술정보 [2010]
  • 아리랑의 비가
    안우식 열음사 [1987]
  • 식민지의 일상, 지배와 균열
    공제욱 문화과학사 [2006]
  • 식민지를 안고서
    김철 역락 [2009]
  • 식민지근대의 뜨거운 만화경
    천정환 성균관대 출판부 [2010]
  • 식민지 문학을 읽다
    윤대석 소명출판 [2012]
  • 식민지 국민문화론
    윤대석 역락 [2006]
  • 숫자로 본 식민지 조선
    이계형 전병무 역사공간 [2014]
  • 성경
    한국천주교 중앙협의회 [2012]
  • 서울은 어떻게 계획 되었는가
    염복규 살림출판사 [2005]
  •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 새우리말 큰사전 상권
    신기철 신용철 삼성출판사 [1988]
  • 불확실시대의 문학
    임헌영 한길사 [1976]
  • 문화의 위치-탈식민주의 문화이론
    호미 바바 소명 [2012]
  • 문화상징사전
    이승훈 푸른사상사 [2009]
  • 루쉰의 아Q정전읽기
    고점복 세창미디어 [2014]
  • 디아스포라 기행
    서경식 돌베개 [2006]
  • 꿈의 해석
    프로이트 돋을새김 [2007]
  •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이상희 넥서스 [1998]
  • 근대를 다시 읽는다
    윤대석 역사비평사 [2006]
  • 검은 역사 하얀 이론
    이경원 한길사 [2011]
  • 1930년대 후반 식민지 조선의 소설이론
    이진형 소명, [2013]
  • 12띠의 민속과 상징 쥐띠
    김의숙 국학자료원 [1997]
  • 혼혈/혼종과주체의문제 , 민족문학사연구 23
    최현식 민족문학사학회 [2003]
  • 한국문학평론가협회 엮음, 인문학 용어대사전
    국학자료원:새미 [2018]
  • 한국근대정신사 속의 노신
    임명신 중국현대문학 30 [2011]
  • 탈식민주의와 환상-김사량의 천마 와 천사 를 중심으로
    나병철 현대 문학이론학회 39 [2009]
  • 지역체계의 허실
    한석정 한국사회학 37(5) [2003]
  • 중일전쟁 이후 문학계의 양극화와 식민주의
    김재용 한국문학연구 26 [2003]
  • 조선총독부철도국장 大村卓一과 朝滿鐵道連結政策
    정재정 역사교육연구 회 104 [2013]
  • 제국과 식민지/일상에서의 혼종 , 한국현대문학연구 41
    김지영 한국현대 문학회 [2013]
  • 제국-식민지 체제의 생명정치 비체의 표상들
    오태영 한국어문학연구 61 [2013]
  • 제국 일본과 번역(없는) 정치 (루쉰 룽잉쭝 김사량 ‘阿Q’적 삶과 주관) , 대동문화연구 63
    황호덕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18]
  • 정선태 역, 창씨개명
    미즈노 나오키 산처럼 [2002]
  • 전형준 역, 아Q정전
    루쉰 창비 [2015]
  • 재일조선인의 문학-식민지시대와 해방후, 민족을 둘러싼 갈등
    윤건차 人文學硏究所報 52 [2014]
  • 작품과 연구 5
    김사량 김재용 역락 [2013]
  • 작품과 연구 3
    김사량 김재용 역락 [2013]
  • 작품과 연구 2
    김사량 김재용 역락 [2008]
  • 작품과 연구 1
  • 일제하의 빈민:토막민 화전민 , 역사비평 46
    곽건홍 역사문제연구소 [1999]
  • 일제하 동북아시아의 철도교통과 경성 , 서울학연구 52
    정재정 서울시 립대 서울학연구소 [2013]
  • 일제의 지배정책에 대한 신문들의 논조 변화
    박용규 한국언론정보학보 28 [2005]
  • 일제의 의복통제와 국민 만들기
    공제욱 식민지의 일상 지배와 균열 [2005]
  • 일제말 총동원 시기 신민, 국민의 표상-김사량 작품을 중심으로
    김은정 세계문학비교연구 37 [2011]
  • 일제말 김사량 문학의 저항과 양극성
    김재용 실천문학 [2006]
  • 일제 침략전쟁기 조선인 강제동원 노동자의 저항과 성격
    변은진 아세아 연구 45(2) [2002]
  • 일제 식미권력의 재해대책 추이와 성격
    고태우 역사문제연구소 31 [2014]
  • 일제 말기 김사량 문학 연구
    김영미 한국현대문학연구 41 [2006]
  • 일제 말 식민지문학
  • 일제 말 북경의 의미와 동아시아의 미래-김사량의 향수 를 중심 으로 , 외국문학연구 54
    이양숙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 이운경 역, 스피박넘기
    스티븐 모튼 도서출판 앨피 [2005]
  • 이광수 원작 무명 의 번역을 통해서 본 번역자로서의 김사량
    정실비 한국근대문학연구 [2014]
  • 윤향숙 역, 상상의 공동체
    베네딕트 앤더슨 나남출판 [2002]
  • 윤소영·홍선영·김희진·박미경 역, 모던일본사
    도서출판어문학사 [2007]
  • 유토피아와 유토피스틱스 , 哲學 67
    손철성 한국철학회 [2001]
  • 유은경 역, 취한 배
  • 아편굴의 조선인
    김주리 구보학보 15 [2016]
  • 심원섭 역, 평전 김사량
    안우식 문학과 지성사 [2000]
  • 식민지인의 윤리적 분열과 내러티브-김사량 빛 속으로 에서 천 마 로
    김석희 일본문화연구 35 [2010]
  • 식민지와 식민지인의 세 가지 만남 , 우리말글 57
    윤대석 우리말글학회 [2013]
  • 식민지시기 색복화 정책의 전개 양상과 추이
    조희진 국학연구 16 [2010]
  • 식민지말기 ‘경성’과 ‘조선’이라는 지방-김사량의 천마 가 제기하 는 질문들
    이재봉 코기토 73 [2013]
  • 식민지 시기 문인기자들의 글쓰기와 검열
    박용규 한국문학연구 29 [2005]
  • 식민지 문학자의 만주체험
    김외곤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4(8-3) 한국 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4]
  • 식민주의를 회의하는 계기로서의 식민성-빛 속으로
    김태경 일본학보 87 [2011]
  • 소설에 나타난 탈식민주의적 양상
    김사량 김주영 현대소설연구 19 [2003]
  • 서발턴의 서사와 식민주의의 구조
    서영인 현대문학이론연구 57 [2014]
  • 서광덕 백지운 역, 일본과 아시아
    다케우치 요시미 소명출판 [2004]
  • 사상의 권역-비인(非人)의 땅, 후기 식민지로부터의 단상 , <HK제3 회 기획콜로키움-“로컬리티와 타자성”> 발표자료집
    황호덕 부산대학교 한국민 족문화연구소 [2010]
  • 사교 대 과학 그리고 문학 -백백교 사건을 둘러싼 내러티브적 실 천들
    구인모 사이(SAI) 16 [2014]
  • 류승구 역, 국민으로서의 서사
    호미 바바 후마니타스 [2011]
  • 노서경 역, 검은 피부, 하얀 가면
    프란츠 파농 문학동네 [2014]
  • 남경태 역, 대지의 저주받은 사람들
    프란츠 파농 그린비 [2004]
  • 김태성 역, 노신평전
    임현치 실천문학사 [2006]
  • 김성곤 역, 문화와 제국주의
    에드워드 사이드 도서출판 창 [2011]
  • 김사량작 <향수>에 있어서의 ‘동양’과 ‘세계’
    곽형덕 현대문학의 연구 [2014]
  • 김사량의 빛속으로-일본인에서 조선인으로의 ‘정체성’찾기
    황봉모 외 국문학연구 21 [2005]
  • 김사량의 노마만리재론 -서발턴의 탐색에서 제국주의와의 길항 으로
    유임하 일본학 40 [2015]
  • 김사량의 향수 에 나타난 세 가지 향수(鄕愁)
    이경재 현대문학의 연구 59 [2016]
  • 김사량의 천마 에 나타난 탈식민주의 연구
    최광석 일어교육 42 [2007]
  • 김사량의 소설에 반영된 일제 강점기 한민족의 삶과 이산
    김재용 한중인문학 연구 29 [2010]
  • 김사량의 소설에 반영된 일제 강점기 한민족의 삶과 이산
    이춘매 한중 인 문학연구 29 [2010]
  • 김사량의 빛 속으로 를 통해 본 균열의 제국
    김주영 세계문학비교연 구 겨울호 [2011]
  • 김사량의 太白山脈연구
    추석민 일어일문학 9 [1998]
  • 김사량의 太白山脈과 민족독립의 꿈
    김학동 일본학보 68 [2003]
  • 김사량의 <노마만리>연구
    고인환 어문연구 59 [2009]
  • 김사량소설연구
    노상래 어문학 73 [2001]
  • 김사량과 북한문학의 정치적 거리
    김혜연 한국학연구 38 [2011]
  • 김사량과 김달수 문학 비교 - 꼽추두목 과 쓰레기 를 중심으로
    추석민 일어일문학 27 [2005]
  • 김사량 향수 론–문학과 정치 사이, 네셔널이모션
    김석희 일본학보 69 [2006]
  • 김사량 소설에 나타난 탈식민성 고찰
    손혜숙 어문논집 38 [2008]
  • 김사량 문학의 특수성과 동아시아적 보편성
    박은희 한국학연구 29 [2015]
  • 김사량 문학과 내선일체
    김학동 일본문화학보 32 [2007]
  • 김문환 역, 탈식민주의이론
  • 근대 일본문단과 식민지의 문학자 -김사량과 룽잉쭝을 중심으로
    김계자 아시아문화연구 22 [2011]
  • 국어잡지로의 전환
    최재서 국민문학 [1942]
  • 국어와 조선어 사이, 내선어(內鮮語)의 존재론-일제말의 언어정치 학, 현영섭과 김사량의 경우 , 대동문화연구 58
    황호덕 사상의 권역 [2010]
  • 곽형덕 역, 한국근대 지일(知日)작가와 그 문학연구
    시라카와 유타카 깊은샘 [2010]
  • 경성의 공간분할과 정신분열
    윤대석 국어국문학 144 [2006]
  • 高橋梓, 金史良の二言語随筆における表現の差異をめぐる考察, 言語・地域 文化研究 20, 東京外国語大学大学院総合国際学研究科, 2014.
  • 鄭百秀, コロニアリズムの超克: 韓国近代文化における脱植民地化への道程, 草風館, 2007.
  • 藤根麻由子, 金史良の天馬の桃の枝についての考察, 日本語敎育 68, 2014.
  • 竹内実, 恐れの対象としての金史良, 金史良全集月報Ⅰ, 河出書房新,社, 1973.
  • 磯貝治良, 新日本文学 8月号, 1978.
  • 白川豊, 佐賀高等学校の金史良, 朝鮮學報 147, 朝鮮学会, 1993.
  • 朴銀姬, 越境文學のリゾー厶性-朝鮮の日本語作家金史良をめぐって, 千葉大 学大学院博士論文, 2010.
  • 朴銀姬, 主體性の追求と挫折ー金史良の光の中にをめぐって, 人文社會 科學硏究 17, 2008.
  • 朴銀姬, アリランの象徴性-金史良の太白山脈をめぐって, 人文社会科 学研究 22, 2011.
  • 尹健次, 在日朝鮮人の文學-植民地時代と解放後、民族をめぐる葛藤, 人文 學硏究所報 52, 2014.
  • 安宇植, 金史良, 岩波書店, 1972.
  • 安宇植, 評傳金史良, 草風館, 1983.
  • 可兒洋介, 金史良天馬における身体表象, 學習院人文科學論輯 ⅩⅩ, 2011.
  • 南富鎭, 近代文學朝鮮體驗, 勉誠出版, 2001.
  • 勝山稔, 改造社版魯迅全集をめぐる井上紅梅の評価について, 東北大学中 国語文学論集 16, 2011. 
  • 具珉, 土城廊, 堤防二号, 堤防社, 東京大学獨文學科同人誌, 1936.
  • 任展慧, 金史良全集Ⅰ解題, 河出書房新社, 1973.
  • 京成帝国大学衛生調査部, 土幕民の生活 衛生, 岩波書店, 1942.
  • 中根隆行, 朝鮮表象の文化誌, 新曜社, 2004.
  • 『친일 반민족행위 관계사료집Ⅲ
    성대경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2008]
  • 「식민지 문인의 일본어 글쓰기의 의미와 정당성-김사량의 일본어 글쓰기를 중심으로
    최광석 일본어교육 38 [2006]
  • <말할 수 없는>존재의 표상, 그리고 대변
    정백수 한국근대문학연구 1(2)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