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국내 건축환경 분야 법제 개선 방향 연구 : 공동주택 인허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rection in Domestic Legal Improvement of Architectural Environment : Focusing on Planning Permission for Apartment

이재은 2020년
논문상세정보
' 국내 건축환경 분야 법제 개선 방향 연구 : 공동주택 인허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rection in Domestic Legal Improvement of Architectural Environment : Focusing on Planning Permission for Apartment'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주택법」
  • 건축법
  • 건축환경
  • 공동주택
  •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 인허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39 0

0.0%

' 국내 건축환경 분야 법제 개선 방향 연구 : 공동주택 인허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rection in Domestic Legal Improvement of Architectural Environment : Focusing on Planning Permission for Apartment' 의 참고문헌

  •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19-175호)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175호) [2019]
  • 환경표지, http://el.keiti.re.kr/service/index.do
  • 환경성적표지, http://www.epd.or.kr
  • 환경부, 「제품의 환경성」, http://el.keiti.re.kr/service/index.do pmg지식엔진연구소, 「베이크 아웃」, 2018.01.18.,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5228&cid=43667& categoryId=43667.
    환경부 [2018]
  •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지원법(법률 제15845호)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지원법(법률 제15845호)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마크 인증」, http://www.keiti.re.kr/site/keiti/02/10203010000002018092810.jsp
    [2030]
  • 한국화학산업연합회, 「ODP, Ozone Depletion Potential 오존층파괴지수)」, http://www.kocic.or.kr/data/bbs_view1.html?no=148&tb=word.
  • 쿠키뉴스, 「[2017 국감] '서민 입주자 차별'…LH 미세먼지 잡는 스마트 환기 시스템 장기임대주택만 미장착」, 2017.10.14, http://www.kukinews.com/news/article.html?no=491579.
    [2017]
  • 집단에너지사업법(법률 제15022호)
    집단에너지사업법(법률 제15022호)
  • 지식경제용어사전, 「지구온난화지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03184&cid=50330& categoryId=50330.
  • 중앙일보, 「[단독] "건물 하나에 심의 40개"···승효상, 건축 인허가 없앤다.」, 2019.09.18. https://news.joins.com/article/23579737.
    [2019]
  • 주택품질향상에 따른 가산 비용 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제2019-407호)
    주택품질향상에 따른 가산 비용 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제-407호) [2019]
  • 주택법(법률 제16415호)
    주택법 (법률 제16415호)
  • 주택법 시행령(대통령령 제30178호)
    주택법 시행령(대통령령 제30178호)
  • 주택법 시행규칙(국토교통부령 제666호)
    주택법 시행규칙(국토교통부령 제666호)
  •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칙(국토교통부령 제584호)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칙(국토교통부령 제584호)
  • 제주특별자치도 건축 조례(제주특별자치도조례 제2280호)
    제주특별자치도 건축 조례(제주특별자치도조례 제2280호)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법률 제16133호)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법률 제16133호)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9617호)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9617호)
  •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법률 제16083호)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법률 제16083호)
  • 임광복, 「제 17회 fn하우징건설 파워브랜드 대상 설문조사」, 2017.04.26., http://www.fnnews.com/news/201704261813203632.
    임광복 [2017]
  • 인천광역시 건축 조례(인천광역시조례 제5954호)
    인천광역시 건축 조례(인천광역시조례 제5954호)
  • 울산광역시 건축 조례(울산광역시조례 제2031호)
    울산광역시 건축 조례(울산광역시조례 제호) [2031]
  • 연합뉴스, 「성남시, 아파트 지역난방 공사비지원 전국 첫 추진」, 2019.08.13., https://www.yna.co.kr/view/AKR20190813093700061?input=1195m.
    [2019]
  • 에너지절약형 친환경 주택의 건설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제2019-537호)
    에너지절약형 친환경 주택의 건설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제-537호) [2019]
  • 실내공기질 관리법(법률 제15583호)
    실내공기질 관리법(법률 제15583호)
  • 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9231호)
    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9231호)
  • 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규칙(환경부령 제773호)
    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규칙(환경부령 제773호)
  • 스페셜경제, 「1년 사이 층간소음으로 인한 ‘살인·폭행’ 늘어…“공동주택 벽식 구조 때문”」, 2019.10.01., http://speconomy.com/news/newsview.php?ncode=1065577922214223.
    [2019]
  • 수도법(법률 제16607호)
    수도법 (법률 제16607호)
  • 수도법 시행규칙(환경부령 제8143호)
    수도법 시행규칙(환경부령 제8143호)
  •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구조기준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구조기준
  • 소음ㆍ진동관리법(법률 제14532호)
    소음ㆍ진동관리법(법률 제14532호)
  • 소음ㆍ진동관리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9972호)
    소음ㆍ진동관리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9972호)
  • 세종특별자치시 건축 조례(세종특별자치시조례 제1363호)
    세종특별자치시 건축 조례(세종특별자치시조례 제1363호)
  • 서울특별시 건축 조례(서울특별시조례 제7265호)
    서울특별시 건축 조례(서울특별시조례 제7265호)
  • 서울시 도시계획용어사전, 「공동주택」, http://urban.seoul.go.kr/4DUPIS/wordsearch_m/content_word.do ?iword_no=1685.
  • 산업기술혁신 촉진법(법률 제16218호)
    산업기술혁신 촉진법(법률 제16218호)
  • 부산광역시 건축 조례(부산광역시조례 제5968호)
    부산광역시 건축 조례(부산광역시조례 제5968호)
  • 부동산 용어사전
    「주택성능등급표시제」, 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86855&cid=4& categoryId=42094 [2094]
  • 벽체의 차음구조 인정 및 관리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제2018-776호)
    벽체의 차음구조 인정 및 관리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제-776호) [2018]
  • 법제처, 「민원인 - 신축공동주택등에 설치되는 자연환기설비의 설치 기준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제11조제1항 관련)」, 2017.3.15, http://www.law.go.kr/expcInfoP.do?mode=2&expcSeq=316161.
    [2017]
  •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대통령령 제29972호)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대통령령 제29972호)
  •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환경부령 제745호)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환경부령 제745호)
  • 대전광역시 건축 조례(대전광역시조례 제5312호)
    대전광역시 건축 조례(대전광역시조례 제5312호)
  • 대구광역시 건축 조례(대구광역시조례 제5338호)
    대구광역시 건축 조례(대구광역시조례 제5338호)
  •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법률 제12216호)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법률 제12216호)
  • 녹색건축인증, http://gseed.greentogether.go.kr/sys/gms/selectGreenMain.do
  •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법률 제16418호)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법률 제16418호)
  •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9360호)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9360호)
  •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 시행규칙(국토교통부령 제483호)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 시행규칙(국토교통부령 제483호)
  • 녹색건축 인증에 관한 규칙(국토교통부령 제318호)
    녹색건축 인증에 관한 규칙(국토교통부령 제318호)
  • 네이버 국어사전, 「허가(법률용어)」, https://ko.dict.naver.com/#/entry/koko/99070fcfb9d54f72bef59f0a 5df886c2.
  • 네이버 국어사전, 「인가(법률용어)」, https://ko.dict.naver.com/#/entry/koko/dd3b26a81f8843d3a07 7979a6a1fef18.
  • 그린리모델링창조센터 한국토지주택공사, https://www.greenremodeling.or.kr
  • 교육환경평가서 작성 등에 관한 고시(교육부고시 제2019-176호)
    교육환경평가서 작성 등에 관한 고시(교육부고시 제-176호) [2019]
  • 광주광역시 건축조례(광주광역시조례 제5270호)
    광주광역시 건축조례(광주광역시조례 제5270호)
  • 공동주택의 소음측정기준(국토교통부 고시 제2017-558호)
    공동주택의 소음측정기준(국토교통부 고시 제-558호) [2017]
  •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국토교통부령 제97호
    환경부령 제559호)
  • 공동주택 분양가격의 산정 등에 관한 규칙(국토교통부령 제667호)
    공동주택 분양가격의 산정 등에 관한 규칙(국토교통부령 제667호)
  •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인정 및 관리기준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622호)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인정 및 관리기준 (국토교통부고시 제-622호) [2019]
  • 공동주택 결로방지를 위한 설계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제2016-835호)
    공동주택 결로방지를 위한 설계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제-835호) [2016]
  •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18-244호)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44호) [2018]
  • 건축법(법률 제16415호)
    건축법(법률 제16415호)
  • 건축법 시행령(대통령령 제 30030호)
    건축법 시행령(대통령령 제 30030호)
  • 건축법 시행규칙(국토교통부령 제671호)
    건축법 시행규칙(국토교통부령 제671호)
  •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국토교통부령 제641호)
    건축물의 피난 방화구조 등의 기준(국토교통부령 제641호)
  •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제2017-881호)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제-881호) [2017]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및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에 관한 규칙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및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에 관한 규칙
  • 건강친화형 주택 건설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제2018-697호)
    건강친화형 주택 건설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제-697호) [2018]
  • 가스신문, 「[기고] 국제 냉매 환경규제에 따른 대응 전략」, 2019.01.07., http://www.ga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5653
    [2019]
  • 『환경표지 인증기준 – EL223:』
    환경부 환경부, 2013 [2013]
  • 『환경표지 인증기준 – EL222:』
    환경부 환경부, 2012 [2012]
  • 『환경표지 인증기준 – EL221:』
    환경부 환경부, 2012 [2012]
  • 『한국 친환경 및 중국 녹색건축 인증제도 비교분석–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우대성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 『주거공간에 도입되는 수공간 유형별 디자인 및 환경 효과 분석 연구』
    오상목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 『물 재이용 및 절약 정책 개발』
    연세대학교 환경공학부 국회 환경노동 위원회 [2002]
  • 『물 수요관리 종합대책 수립 연구』
  • 『도시주거지역의 바람길에 관한 연구』
    이재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 『녹색건물 무엇인가』
    김용식 기문당 [2012]
  • 『공동주택 환기설비 실태 및 만족도 조사 연구』
    주정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 『공동주택 층간소음 평가방법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김준우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 『공동주택 자연환기설비의 성능예측에 관한 연구』
    최용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 개정에 따른 공동주택 에너지 효율등급 변화에 관한 연구』
    박상원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5]
  • 『감사보고서–아파트 층간소음 저감제도 운영실태』
    국토교통부 감사원 국토교통부 감사결과 보고서 [2019]
  • 『TVOC 방출량을 고려한 실내적정 환기량 예측』
    김윤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 『IPD(Integrated Project Delivery)의 개념 및 적용사례』
    이두헌 한국 건설기술연구원 [2011]
  • 『E2E Studio 졸업작품집』
    김용식 건국대학교 김용식 교수 연구실 [2019]
  • 「환기량 변화에 따른 신축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개선효과 검토」
    최석용 『설비공학논문집』, 18(8) [2006]
  • 「한국과 홍콩의 공동주택 친환경 인증제도의 비교분석 연구」
    김성화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6(1) [2015]
  • 「프랑스와 한국의 건축허가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김현희 『한국부동산법학회논문집』, 17 [2010]
  • 「커튼월 건축물 파사드 리모델링을 통한 건축환경 및 부하 분석」
    이재은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19(5) [2019]
  • 「친환경건축물인증제 및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제의 에너지 및 탄소저감 효과 분석」
    김승남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5(2) [2014]
  • 「친환경 인증 공동주택의 에너지 자원 및 환경부하 부문 설계 시공 현황 및 분석」
    송승영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4(1) [2008]
  •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제도의 에너지성능 지표(EPI) 평가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채민수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9]
  •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 심사항목별 득점비율 분석을 통한 개선 필요 항목 도출」
    송승영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28(4) [2008]
  • 「친환경 건축물 인증 공동주택의 거주자 만족도 조사를 통한 평가기준 개선방향 연구」
    이규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5(12) [2009]
  • 「창호 및 단열재 변수에 따른 공동주택 에너지효율등급 평가 사례 」
    김한수 『대한설비공학회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9]
  • 「차폐계수와 창면적비에 따른 공동주택의 건물에너지효율등급 평가」
    장철용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30(5) [2010]
  • 「인허가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장교식 『한국토지공법학회 토지공법연구』, 62 [2013]
  • 「인허가의제의 효력범위에 관한 고찰」
    선정원 『행정법이론실무학회 논문집 행정법연구』, 34 [2012]
  • 「인 허가의제의 효력범위에 관한 고찰」
    정태용 『법제처논문집 법제』, 679 [2017]
  • 「인 허가관련 감사 시 고려하여야 할 환경권 문제」
    강인옥 『감사원 감사교육원 연구논문집』 [2005]
  • 「신축 공동주택 대상 국내외 녹색건축인증제의 에너지 및 환경 오염 부문 평가항목, 평가방법 비교 분석」
    이현화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9(11) [2013]
  •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녹색건축 인증제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윤요선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13(5) [2013]
  • 「불투수면 저감기법의 유출량 및 오염부하량 저감 효과 분석」
    박형석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4(1) [2015]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건축법의 개정방향」
    길준규 『한국토지공법학회 토지공법연구』, 87 [2019]
  • 「국내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평가항목의 중요도 분석」
    최여진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12(1) [2012]
  • 「국내 공동주택 성능 평가제도의 현황」
    이성옥 『한국생태환경건축 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1(2) [2011]
  • 「국내 공동주택 관련 인증제도의 세부 항목에 대한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정지나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30(3) [2010]
  • 「공동주택의 수자원 절약 방법에 관한 연구」
    조수현 『한국생활환경 학회지』, 19(4) [2012]
  • 「공동주택에서 외피단열성능기준 강화에 따른 건축물 에너지 효율등급 변화에 관한 연구」
    조영욱 『대한설비공학회 설비공학논문집』, 29(2) [2017]
  • 「공동주택에서 에너지효율등급과 에너지성능지표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조영옥 『대한설비공학회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6]
  • 「공동주택 인접 도로교통소음에 대한 방음벽에 관한 연구」
    이재은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0(1) [2010]
  • 「공동주택 실내공기질의 환기 횟수 적정성에 대한 연구」
    이병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 「공동주택 단지 내 동별 난방에너지소요량 비교 분석」
    장영혜 『한국 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15(3) [2015]
  • 「공동주택 단위세대 평면 유형에 따른 에너지효율등급 평가」
    이윤진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3(1) [2013]
  • 「공동주택 녹색건축인증기준의 외부공간 환경성능 평가지표 보완방안」
    예태곤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34(1) [2018]
  • 「경기지역 공동주택의 건물 및 시스템 요소와 에너지 사용 비용의 영향분석」
    최재규 『한국주거환경학회지 주거환경』, 16(4) [2018]
  • 「건축허가 관련 절차와 법적 쟁점 검토」
    김재광 『한국토지공법학회 토지공법연구』, 77 [2017]
  •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평가프로그램에 의한 공동주택 난방 에너지 소요량과 실제 사용량 비교」
    이아람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15(2) [2015]
  • 「MAUT-AHP를 통한 공공건설사업의 통합프로젝트발주방식 효 용성 분석」
    이재섭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10]
  • LEED, https://new.usgbc.org
  • KOLAS(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 ; 한국인정기구), https://www.knab.go.kr/kolas
  • GR인증제도, http://www.buygr.or.kr
  • BK인터내셔널, http://bkseoulinter.dothome.co.kr
  • <대한민국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main.htm, 2019.>
    [2019]
  •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http://www.census.go.kr
    [2015]
  • (국토교통부령 제623호
    산업통상자원부령 제333호)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585호)
    (국토교통부고시 제-585호)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