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재미한인 형성 과정에 미치는 종교의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 미국 로스엔젤레스지역 기독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role of Religion in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 American : Focusing on Christianity in Los Angeles

김춘수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재미한인 형성 과정에 미치는 종교의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 미국 로스엔젤레스지역 기독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role of Religion in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 American : Focusing on Christianity in Los Angele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daptation
  • Cultural Capital
  • Migration
  • Migration motive
  • christian
  • koreanamericans
  • overseas koreans
  • 기독교
  • 문화자본
  • 이주
  • 이주동기
  • 재미 한인
  • 재외한인
  • 적응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339 0

0.0%

' 재미한인 형성 과정에 미치는 종교의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 미국 로스엔젤레스지역 기독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role of Religion in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 American : Focusing on Christianity in Los Angeles' 의 참고문헌

  • 혼인 이주사를 통한 다원적 관점의 역사학습
    김정희 한국교원대학교 학위 논문 [2015]
  • 호주 한인교회와 이민자들의 사회 문화적 적응 : 시드니 S교회 사 례를 중심으로
    정효진 전남대학교 학위논문 [2003]
  • 해외 한인의 지역별 특성
    정성호 한국인구학 21(1) [1998]
  • 한인사회 공동체적 기반으로서의 미주한인교회
    유의영 신학논단 35 [2004]
  • 한인교회주소록 https://www.koreanchurchyp.com/
  • 한미정신건강협회 http://newsroh.com/
  • 한국학생들의 영어권 교육체계로의 이동현상과 가족에 미치는 영향
    조명덕 경원전문대학 논문집 제22집 [2000]
  • 한국천주교회에 있어서의 여성교육
    김영순 경희대학교 학위논문 [1976]
  • 한국인의 미국관(1880-, 중앙사론 1
    김덕룡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 소, 1972 [1918]
  • 한국의 다문화사회 형성에 있어서 종교의 역할
    조응태 평화학 연구 통권 제11권 1호 [2010]
  • 한국신학정보연구원 http://www.itheology.kr/
  • 한국소설에 나타난 유이민 문제
    이정은 한민족어문학 23 [1993]
  • 한국교회 형성과 개신교 선교사들 1884-
    강인철 한국학보 20권 2호, 1994 [1960]
  • 한국개신교회 초기에 있어서의 교세급성장에 대한 요인과 문제성 고찰
    강근환 신학과 선교 9 [1984]
  • 한국 독립운동사 정보시스템 https://search.i815.or.kr/subService.do
  • 한국 근대 기독교 문명론의 수용과 여성교육
    강정화 연세대학교 학위논문 [2013]
  • 한국 교회의 신앙 형태 형성에 관한 고찰
    황성연 서울 신학대학교 학위논 문 [1987]
  • 한국 가정 내 여성의 지위와 역할 변화에 관한 고찰 : 조선시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박순일 가정학연구 9 [1991]
  • 하와이 이민과 한국교회
    이만열 한국기독교와 역사 16 [2002]
  • 하와이 이민 초창기 한인들의 감정 구조
    이선주 한국학연구 31 [2013]
  • 하와이 감리교회의 초기 교인 명단(Early Membership of Korean Methodist Churches in Hawaii)
    하와이 감리교회의 초기 교인 명단(Early Membership of Korean Methodist Churches in Hawaii)
  • 편, 『한국의 근대성과 기독교의 문화정치』
    김성연 김예림 혜안 [2016]
  • 통계청. http://kostat.go.kr
  • 캘리포니아 사회복지 서비스과 https://www.cdss.ca.gov/
  • 캐롤 박, 장태한 윤지아 옮김, 『미주한인사』
    장태한 고려대학교출판문화 원 [2019]
  • 초기 하와이 한인들에 대한 견해, 한국기독교와 역사 30
    이덕희 한국기독 교역사연구소 [2009]
  • 조선시대 여성교훈서에 관한 연구
    손직수 성균관대학교 학위논문 [1981]
  • 조국에 대한 공헌과 재외한인으로서의 인정
    김민정 아시아여성연구 제57권 1호 [2018]
  • 재미한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주요 현안
    유의영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 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2003]
  • 재미동포 사회의 당면과제와 미래상, 僑胞政策資料第58輯
    장태한 海外僑 胞問題硏究所 [1999]
  • 재미 한인사회의 종교 연구 : 매트로 애틀란타 지역의 개신교를 중 심으로
    김시현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위논문 [2011]
  • 재단법인 중앙입양원 홈페이지, https://www.kadoption.or.kr/
  • 일탈과 의례의 사회 통제적 기능
    강세현 제주간호보건대 논문집 33 [2010]
  • 인천의 일본인 정착과 네트워크 고찰
    개항기 차철욱 부산대학교 한국민족 문화연구소 역사문화학회 학술대회 [2012]
  • 이승만의 주권수호운동과 민영환 한규설
    이민원 공공정학연구 23 [2007]
  • 유제선 역, 『원방에서 내 자녀들을 오게하라』
    Bertha Holt (사)홀트아동 복지회 [1992]
  • 외교부 http://www.mofa.go.kr/
  • 옮김, 『왜 그 아이들은 한국을 떠나지 않을 수 없었 나』
    아리사 이은진 뿌리의 집 [2019]
  • 옮김, 『미속습유』
    박정양 한철호 국외소재문화재재단 [2018]
  • 손보기 엮음, 『재미한인 50년사』
    김원용 혜안 [2004]
  • 세계체계 시각에서 본 국제결혼의 위계적 공간구조화
    한준희 고려대학교 학위논문 [2009]
  • 방사겸 평생일기,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http://www.koreanhistory.or.kr/)
  • 미주 한인사회의 초기 구국운동과 한민족의 정체성 : 년대 한인 교회를 중심으로
    윤경로 한국기독교와 역사 20, 2004 [1910]
  • 미국 한인 교회의 역사와 찬양대의 현황
    공기태 문숙희 한국문학과 예술 제5집 [2010]
  • 미국 한인 개신교회의 사회적 책임
    옥성득 한국기독교와 역사 29 [2008]
  • 미국 종교 흐름의 구조
    김종서 종교와 문화 20 [2011]
  • 문화, 의례와 정치변동 : 한국의 민주적 전환
    박선웅 한국사회학 32집 봄 호 [1998]
  •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설과 기업욕구단계설의 비교연구
    김영수 經營論叢第 29輯 [2008]
  • 로스앤젤레스 한인교회에 대한 비교역사 사회학적 연구
    박동욱 재외한인연 구 8 [1999]
  • 로버트 무스, 문무홍 역, 『조선에 살다』
    제이콥 푸른역사, 2008 [1900]
  • 대학생의 인정욕구와 사회불안의 관계
    김나래 이기학 한국심리학회지 28(4) [2016]
  • 노치순 민혜숙 옮김, 『종교 생활의 원초적 형태2판』
    E. Durkheim 민영사 [2017]
  • 기독교가 한국여성의 개화에 미친 영향
    정요섭 아시아여성연구 6 [1968]
  • 국제사회봉사회 https://www.lssmn.org/
  • 국외 입양아들의 특성과 변화
    김재윤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52 No.4 [2009]
  • 국민의 헌법적 의미
    조한상 법학연구 48권 [2012]
  • 경제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이 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서혜은 한양대학교 학위논문 [2009]
  • 경제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과 미디어 이용의 관계
    강성민 경희대학교 학 위논문 [2011]
  • 高承濟, 『韓國移民史硏究』, 章文閣, 1973.
  • 高宗年間(1863∼ 서적 刊行양상과 그 성격-『朝鮮王朝實 錄』을 중심으로-
    신경미 Homo Migrans Vol.16, 2017 [1907]
  • 韓末기독교인의 민족의식 형성과정
    이만열 한국사론 1 [1973]
  • 韓日近代初期新宗敎運動과 舊體制變革의 論理構造
    朴承吉 경북대학교 학위논문 [1991]
  • 韓國開化期의 基督敎系女學校의 女性敎育에 관한 考察
    許芳 成均館大學 校學位論文 [1984]
  • 韓國混血兒에 對한 一考
    任貞彬 이화여자대학교 학위논문 [1967]
  • 韓國人의 하와이 移民
    최창희 국사관논총 9 [1989]
  • 韓人의 美洲移民과 抗日運動
    오세창 민족문화논총 6 [1984]
  • 開化期의 女性敎育
    이항재 인문과학논총 1권 [1995]
  • 鄭觀應, 『易言 海國圖志』, 以文社, 1979.
  • 趙一文譯註,『朝鮮策略』
    黃遵憲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7]
  • 美洲지역 韓人社會의 動向과 祖國獨立運動
    윤병석 斗溪李丙燾博士九旬紀念 韓國史學論叢 [1987]
  • 玄圭煥, 『韓國流移民史(下)』, 三和印刷出版部, 1976.
  • 徐光云, 『美州韓人70年史』, 僑胞政策資料第15輯, 海外僑胞問題硏究所, 1973.
  • 在美韓人의 定着過程에서의 宗敎의 役割: 하와이의 韓人社會와 기 독교를 中心으로
    유동식 연세논총 24 [1988]
  • 國外韓國人의 歷史와 文化, 社會에 관한 基礎的硏究(Ⅰ) - 美洲 韓人社會의 成立과 民族運動
    尹炳奭 한국학연구 2 [1990]
  • 吳天錫, 『韓國新敎育史』, 現代敎育叢書出版社, 1964.
  • 『해외 한인사 : 1945-2000』
    김 게르만 황영삼 한국학술정보, 2010 [2010]
  • 『해외 입양과 한국 민족주의』
    이삼돌 소나무 [2008]
  • 『한호일보』
    년 12월 13일 [2012]
  • 『한인 이주의 역사』
    김 게르만 박영사 [2005]
  •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역사』
    김희영 도상윤 바른숲 [2018]
  • 『한국천주교 사목 지침서 해설』
    정진석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95]
  • 『한국일보』
    년 11월 26일; 2018년 9월 13일 [2007]
  • 『한국인의 이주노동자와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 이담, 이 전, 『미국에 살고 있는 한인』
    윤인진 한울 애틀랜타 한인회 한인이민사편찬 위원회, 2001 [2010]
  • 『한국인의 대미인식』
    류영익 민음사 [1994]
  • 『한국의 사회동향 』
    김석호 통계청, 2012 [2012]
  • 『한국여성사 Ⅱ』
    정세화 梨花女子大學校韓國女性史編纂委員會 [1972]
  • 『한국사론39 : 미주지역 한인이민사』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2003]
  • 『한국기독교회사』
    민경배 연세대학교출판부 [1993]
  • 『한국기독교의 역사Ⅰ』
    한국기독교사연구회 기독교문사 [1989]
  • 『한국근현대사사전』
    한국사사전편찬회 가람기획 [2005]
  • 『한국근대여성의 미주지역 이주와 유학』
    김성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출 판부 [2018]
  • 『한국근대교육사』
    손인수 연세대학교출판사 [1971]
  • 『한국 사회의 다민족 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연구』
    황정미 한국여 성정책연구원 [2007]
  • 『한국 기독교 사회 운동사』
    민경배 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 『한국 교회 어디로 가고 있나』
    이원규 대한기독교서회 [2008]
  • 『한국 개신교사』
    백낙준 연세대학교출판사 [1973]
  • 『하와이의 한인들』
    로버타 장 웨인패터슨 눈빛출판사 [2008]
  • 『하와이의 한인과 교회』
    유동식 한들 [2006]
  • 『하와이, 멕시코, 남미로의 한인이민』
    강건영 선인 [2017]
  • 『하와이 한인사회의 성장사1903 -1949』
    로버타 장 이선주 이화여자대학 교출판사, 2014 [2014]
  • 『하와이 한인 移民과 독립운동 : 한인 교회와 사진 신부와 관련하 여』
    오인철 전일실업(주)출판국 [1999]
  • 『하와이 이민 100년 그들은 어떻게 살았나』
    이덕희 중앙M&B [2003]
  • 『하와이 대한인국민회 100년사』
    이덕희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3]
  • 『하와이 移民史略-人脈을 통해 본 삶의 現場記』
    신성려 고려대학교 민 족문화연구원 [1988]
  • 『피에르 부르디외』
    김동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 『포와유람기』
    한규무 현순 한국사 시민강좌 42 [2008]
  • 『크리스쳔투데이』
    년 10월 9일; 2015년 1월 1일; 2018년 1월 12일 [2012]
  • 『코리안 디아스포라』
    윤인진 고려대학교출판사 [2005]
  • 『코리안 디아스포라:이주루트와 기억』
    임채완 북코리아 [2013]
  • 『코리아타운과 한국문화』
    임영상 북코리아 [2012]
  • 『종족과 민족: 그 단일과 보편의 신화를 넘어서』
    김광억 아카넷 [2005]
  • 『종교사회학의 이해』
    이원규 나남 [2015]
  • 『종교, 상징, 인간』
    유요한 21세기북스 [2014]
  • 『전통상례』
    임재해 대원사 [1990]
  • 『재외한인연구의 동향과 과제』
    윤인진 북코리아 [2011]
  • 『재외한인과 글로벌 네트워크』
    임채완 전형권 한울 [2006]
  • 『재외동포』
    이광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재미한인교회 75년사』
    김택용 생명의 말씀사 [1979]
  • 『인간과 종교』
    이원규 나남 [2006]
  • 『이민교회』
    전중현 한들 [2018]
  • 『우리나라 입양의 실태분석』
    김만지 정기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3]
  • 『역사 속으로 떠나는 배낭여행』
    김영기 북코리아 [2005]
  • 『아메리카의 한인들 : 초기이민 편』
    라철삼 코리안 라이프 [2011]
  • 『신한민보』
    년 10월 27일 [1909]
  • 『세계의 한인이주사』
    윤인진 나남 [2013]
  • 『세계의 한민족 : 총관』
    이광규 통일원 [1996]
  • 『사학논총/全海宗博士華甲紀念史學論總編輯委員會編』
    최영호 일조각 [1979]
  • 『북미주 한인의 역사 (상,하)』
    유영렬 국가편찬위원회 [2008]
  • 『미주한인이민 100년사』
    한미동포재단 三和印刷出版部 [2002]
  • 『미주한인공동체 이야기 : 고난과 영광의 100년(상)』
    이선주 크리스천 헤 렐드 [2006]
  • 『미주지역의 한인사회와 민족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국학자료원 [2013]
  • 『미주지역 한인이민사』
    김영목 국사편찬위원회 [2003]
  • 『미주 한인의 민족운동』
  • 『미국 이민사회의 교회와 가정』
    장윤성 양서각 [1986]
  • 『미국 속의 한국인』
    민병갑 유림문화사 [1991]
  • 『매일신보』
    년 6월 13일; 6월 14일; 6월 16일 [1914]
  • 『매일경제 MBK』
    년 1월 25일 [2019]
  • 『록키산맥에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이정면 최혁 도서출판 줌 [2003]
  • 『독립신문』
    오영섭 에 나타난 미국인식, 한국민족운동연구 통권 67 [2011]
  • 『독립신문』
    1896년 5월 12일; 1896년 9월 5일; 1896년 10월 16일; 1896년 11월 24일; 1899년 2월 27일; 1899년 5월 26일
  • 『대한 그리스도인 회보』
    3권 7호, 1899년 2월 15일; 5권 9호, 년 2월 28일 [1901]
  • 『다문화 사회의 이해』
  • 『내리교회 110년사』
    인천 내리교회 기독교대한감리회 내리교회 [1995]
  • 『나도 한국의 딸 (I am Also a Daughter of Korea)』
    송전기 미래문화사 [1988]
  • 『글로벌 디아스포라와 세계의 한민족』
    임영언 허성태 북코리아 [2016]
  • 『근대한국 국제정치관 자료집-제1권 개항 대한제국기』
    장인성 서울대 학교출판문화원 [2012]
  • 『그리스도 신문』
    5권 1호, 년 1월 3일 [1901]
  • 『국민일보』
    년 3월 6일; 2019년 6월 23일 [2018]
  • 『국민보』
    년 3월 17일 [1914]
  • 『구한말 한인 하와이 이민』
    공정자 오인환 인하대학교출판사 [2004]
  • 『경향신문』
    년 6월 23일; 1952년 11월 13일 [1952]
  • 『개화기 한국과 세계의 상호 이해』
    이배용 국학자료원 [2003]
  • 『개화기 조선과 미국선교사 : 제국주의 침략, 개화자강, 그리고 미국 선교사』
    류대영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4]
  • 『개항기 인천의 문화접변과 시각적 모더니티』
    강성우 인천:보고서 [2016]
  • 『龍潭遺祠硏究』
    尹錫山 민족문화사 [1987]
  • 『韓國近代女性運動史硏究』
    박용옥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4]
  • 『韓國近代女性史』
    박용옥 정읍사 [1975]
  • 『韓國移民史』
    강신표 한국연구원 [1980]
  • 『韓國移民史』
    이구홍 중앙신서 [1979]
  • 『近代韓美交涉史』
    김원모 홍성사 [1984]
  • 『美洲地域에서 韓國獨立運動特性』
    윤병석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3]
  • 『檀山社會와 韓國移住民』
    강신표 韓國硏究院 [1980]
  • 『布哇遊覽記』
    현순 日韓印刷株式會社 [1909]
  • 『尹致昊日記』1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1973]
  • 『大韓每日申報』
    년 11월 10일-17일자 [1906]
  • 『在美韓國人』
    이광규 일조각 [1992]
  • 『在美韓人의 獨立運動』
    방선주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989]
  • 『國外韓人社會와 民族運動』
    윤병석 일조각 [1990]
  • 『保健社會統計年報』, 년, 1965년, 1967년. 보건복지부
    保健社會部 『국외입양인 실태조사(정책보고서 2013-74)』, 2013 [1962]
  • 『The Structure and Social functions of Korean immigrantChurches in the United States』
    [2000]
  • 『The Korean DiasporaSanta Barbara』
    [1977]
  • 『Korean Picture Brides : ACollection of Oral Histories』
    [2002]
  • 『Historical Statistics of Hawaii』
    [1977]
  • 『Entrepreneurship and religion : Korean immigrants in Houston , Texas』
  • 『A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in Modern Times : 1800 to the Present』
    [1993]
  • 『2018 보건복지 통계연보』
    保健社會部 『보건복지 통계연보』, 2018 [2018]
  • 「美俗拾遺」, 『박정양전집(朴定陽全集)』6권
    한국학문헌연구소 편 아세아 문화사 [1984]
  • 「儒學經緯」, 『신기선전집(申箕善全集)』下
    한국학문헌연구소 편 아세아문 화사 [1981]
  • in Asian Americans : Contemporary Trends and Issues』
    [1995]
  • b, 사진신부 결혼에 올인하다 2
    이경민 황해문화 57 [2007]
  • a, 사진신부 결혼에 올인하다 1
    이경민 황해문화 56 [2007]
  • Yuh Ji-Yeon, 임옥희 역, 『기지촌의 그늘을 넘어 : 미국으로 건너간 한국 인 군인아내들 이야기』
    삼인 [2007]
  • What It Means to Be Christian : The Role of Religion in the Construction of Ethnic Identity and Boundary Among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s
    59 ( 3 ) [1998]
  • Wayne patterson, 『The Korean Frontier in America』, Unversity of Hawaii press, Honolulu, (국역: 정대화 역, 『아메리카로 가 는 길 : 한인 하와이 이민사 1896-1910』
    들녘, 2003.) [1988]
  • Wayne patterson, 『The Ilse : First-Generation Korean Immigrants in Hawaii, -1973』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0. (국역: 정 대화 역, 『하와이 한인 이민 1세 : 그들 삶의 애환과 승리 (1903-1973)』, 들녘, 2003.) [1903]
  • Totten, George O, Schockman, H. Eric, 변주나 옮김, 『위기의 코리아 타 운 : 년 로스앤젤레스 폭동 후 한국계 미국인 사회 』
    다해, 2003 [1992]
  • The Structure and Social functions of Korean immigrant churches in the United States
    [1992]
  • The Korea Review in monthly installments http://hompi.sogang.ac.kr/ant -honyKoreaReview/index.html
  • Riot , Remembrance , and Rebuilding : Some Longer-Term Aftereffects of Sa-I-Gu
    38 ( 1 ) , [2012]
  • Religion and Ethnicity in America
    83 ( 5 ) [1978]
  • Min Pyong Gap, A Four‐Decade Literature on Korean Americans: A Review and a Comprehensive Bibliography
    재외한인연구 21호 [2010]
  • LA한인타운의 확장 : LA한인교회들의 분열을 중심으로
    정근하 신학과 실 천 통권 제 56호 [2017]
  • LA폭동 20년 - 미국 한인사회 진단
    장태한 신동아 제633호 [2012]
  • Kim ill-soo, 『New urban immigrants : the Korean community in New York 』, Princeton, N.J
    : Princeton University Press, (국 역: 안정석 외 2인 역, 􋺷뉴욕한인사회􋺸, 로출판, 1990.) [1981]
  • Kim Young-Hum, 박무성 이형대 역, 『미국의 아시아 외교 100년사』
    신 구문화사 [1988]
  • Jew』 , Garden City
    [1983]
  • Immigration , religion , and intergroup relations :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American experience. ” in Donald Horowitz and Gérard Noiriel , eds. , 『Immigrants in Two Democracies : French and American Experiences』
    [1992]
  • From an Ethnic Island to a Transnational Bubble : A Reflection on Korean Americans in Los Angeles
    38 ( 1 ) [2012]
  • F.H Harrington, 『God Mammon and the Japanese』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Madison, (국역: 이광린 역, 􋺷개화기의 한 미관계􋺸, 일조각, 1973.) [1944]
  • Ethnic identity in adolescents and adults : review of research
    108 [1990]
  • Choy Bong-youn, 『Korans in America』, Nellson Hall Inc. (국역: 최봉윤, 『미국 속의 한국인』
    종로서적, 1983.) [1979]
  • Cheung, King-Kok, Three Korean American Dreams : Performing the Model Minority in Chang-rae Lee's Native Speaker
    코기토 55 [2000]
  • A. and Tilley J. , British National Identity and Attitudes towards Immigration
    [2005]
  • <하와이 한인 이민사(가제)>
    김도형 (미간행 원고본)
  • 3 1운동과 하와이 한인사회의 동향
    김도형 한국근현대사연구 21 [2002]
  • 2인, 『아이들 파는 나라-한국의 국제입양 실태에 관한 보고 서』
    전홍기혜 오월의 봄 [2019]
  • 2인, 『LA 4 29 폭동의 실상』
    차종환 밝은 미래재단 [2003]
  • 21세기 다문화현상과 한인의 민족정체성
    박명규 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 강 연 [2008]
  • 1880-90年代親美開化派의 改革活動硏究
    한철호 한림대학교 학위논문 [1996]
  • .The Forms ofCapital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