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학교 밖 청소년의 노동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abor Work of Out-of-School Youth

김미옥 2020년
논문상세정보
' 학교 밖 청소년의 노동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abor Work of Out-of-School Youth'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giorgi현상학
  • 노동
  • 삶의 성장
  • 학교 밖 청소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29 0

0.0%

' 학교 밖 청소년의 노동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abor Work of Out-of-School Youth' 의 참고문헌

  •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레비나스의 타자의 현상학. ?
    이남인 철학과 현상학 연구?, 28, 1-38 [2006]
  •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과 실제
    신경림 간호학탐구?, 12, 54-56 [2003]
  • 현상학과 질적 연구: 응용현상학의 한 지평
    이남인 서울: 한길사 [2014]
  • 현상학과 감성교육:후설 철학을 중심으로. ?
    박인철 철학?, 129, 177-204 [2016]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www
    nypi.re.kr/
  •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www
    jikimi.or.kr/
  • 한국청소년상담원.?학교밖청소년의 이해 및 개입 방향?.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운영보고대회 자료집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004]
  • 한국직업능력개발원.?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개발 지원방안?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www
    kigepe.or.kr/
  • 학업중단현황 심층분석 및 맞춤형 대책연구
    김선아 류방란 윤철경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0]
  • 학업중단에서 학업복귀까지의 경험에 관한 연구. ?
    박현진 오혜영 지승희 청소년상담연구?, 19(2), 125-154 [2011]
  •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업복귀강화 프로그램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박현진 오혜영 지승희 학교, 9(3), 545-571 [2012]
  •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교 재적응과정 연구. ?
  • 학업중단 청소년의 생활과 욕구. ?
    이진숙 조아미 한국청소년학회?, 21(7). 145-170 [2014]
  •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협의체 구성 및 운영 연구. ?
  •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배경과 복교 후 학교생활에 대한 연구. ?
    김상현 양정호 한국교육문제연구?, 31(1), 81-113 [2013]
  • 학업중단 결정에 대한 학교 밖 청소년의 인식 연구. ?
    이주연 정제영 청소년학연구?, 22(11), 239-267 [2015]
  • 학생부 중심 대입제도 개혁에 대한 쟁점 분석: 학생부종합전형 도입을 중심으로. ?
    이수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4), 923-944 [2018]
  • 학생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에 대한 문화기술지. ?
    김정현 청소년복지연구?, 11(3), 69-98 [2009]
  •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개발 지원방안
    이상준 최동선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 이행의 계층화. ?
    변금선 한국사회복지학회?, 70(3), 113-137 [2018]
  • 학교부적응 학생의 학교 다니기: 전문계 여자 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
    류방란 신희경 교육학연구?, 49(2), 41-72 [2011]
  • 학교밖 청소년의 자립을 위한 미국의 사회적 기업 YouthBuild USA의 성공요인 연구. ?
    박창남 청소년학연구?, 21(8), 513-546 [2014]
  • 학교를 떠나는 아이들, 청소년 상담문제연구보고서 :중도탈락 청소년의 욕구와 심리적 경험 조사. ?
    권해수 안현의 이소영 한국청소년상담원?, 46, 19-31 [2002]
  • 학교 중도탈락 학생의 진로지도 방향. ?
    권이종 한국청소년학회?, 49.9-34 [2009]
  • 학교 중도탈락 청소년의 중퇴 과정과 적응에 관한 탐색. ?
    성윤숙 한국청소년연구?, 16(2), 295-343 [2005]
  • 학교 중도탈락 청소년에 관한 연구 동향 및 과제. ?
    김민정 김혜영 청소년복지연구?, 3(1) 3-22 [2001]
  • 학교 중단 청소년들에 대한 사례연구:진로개발 단계 진입이 가능했던 이유 탐색. ?
    김경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9), 1143-1170 [2016]
  • 학교 밖 청소년의 학교 이탈과 이후 삶이 도전과 성장에 관한 질적연구: 학교 밖 지원사업에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
    명소연 조진옥 청소년상담연구?, 24(2), 75-98 [2016]
  • 학교 밖 청소년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 불안의 관계: 개획된 우연기술의 조절 효과. ?
    문화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 797-815 [2019]
  •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정책 체계화 방안 연구
    백혜정 송미경 신정민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 학교 밖 청소년 이행경로에 따른 맞춤 형 대책 연구Ⅰ
    김강호 성윤숙 유성렬 윤철경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 학교 밖 청소년 유형별 사회적지지, 진로준비행동, 사회적 배제 및 우울 간의 차이. ?
    오은경 청소년시설환경?, 12(2), 65-80 [2014]
  • 통계청 http://kostat
    go.kr/portal/korea/index.action/
  • 청소년의 학업중퇴 적응과정에 대한 현실기반 이론적 접근. ?
    박현선 한국사회복지학?, 53, 75-10 [2003]
  • 청소년의 재학 중 아르바이트 경험이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
    도종수 박창남 청소년학연구?, 14(5), 345-374 [2007]
  • 청소년상담자의 성장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세일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청소년비행에 있어 낙인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연구: 비공식 낙인을 중심으로. ?
    박성훈 박현수 정혜원 한국청소년연구?, 20(1), 227~251 [2009]
  • 청소년비행과 비공식 낙인의 영향: 청소년패널자료의 분석. ?
    이성식 형사정책연구?, 18(3), pp. 1005-1127 [2007]
  • 청소년복지정책 대상 규모 추정: 학교 밖 청소년을 중심으로. ?
    김기현 오병돈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5(4). 31-54 [2013]
  •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 회복 경험연구: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접근. ?
    강선경 이근무 하민정 청소년복지연구?, 8(1), 211-234 [2016]
  • 청소년노동에서 인권의 의미에 관한 연구:중고등학교 재학생의 아르바이트 노동을 중심으로. ?
    박창남 청소년복지연구?, 6(1), 25-36 [2004]
  • 청소년근로보호센터 http://www
    youthlabor.kr/main/index.htm/
  • 청소년과 노동. ?
    엄기호 창비어린이?, 13(2), 19-31 [2015]
  • 청소년 학업 중단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김범구 청소년학연구?, 19(4), 315-337 [2012]
  • 청소년 학교중퇴 의도의 원인에 관한 연구. ?
    도종수 박창남 청소년학연구?, 10(3), 207-238 [2003]
  • 청소년 학교중퇴 의도 결정요인. ?
    조아미 청소년학연구?, 9(2), 1-22 [2002]
  • 청소년 직업가치의 유형 및 변화와 전공 선택 경향에 따른 직업가치 차이
    임은미 진로교육연구?, 23(1), 61-77 [2010]
  • 청소년 아르바이트 참여 경험의 종단적 변화 특성. ?
    유성렬 이경상 한국청소년복지학회 ?, 10(4), 153-175 [2008]
  • 청소년 아르바이트 및 부당 노동 실태 추이 분석. ?
    조금주 청소년학연구?, 17(1), 297-319 [2010]
  • 청소년 아르바이트 관련 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유성렬 한국청소년연구?, 16(1), 255-281 [2005]
  • 청소년 아르바이트 경험과 비행 및 자기존중감, 부모 양육행위와의 관계분석. ?
    조금주 청소년학연구?, 18(1), 1-29 [2011]
  • 청소년 부당 노동의 발달 궤적 및 예측 요인 탐색. ?
    정혜원 조금주 중등교육연구?, 58(3), 425-449 [2010]
  • 청소년 배달노동자의 문제와 개선 방향 검토. ?
    김광민 인권법평론?, 10(1),3-33 [2013]
  • 청소년 멘토링활동이 청소년멘토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
    김진호 황동주 청소년문화포럼?, 45, 137-164 [2016]
  • 청소년 노동인권 지원정책 현황 및 발전방안. ?
    김윤나 법과인권교육연구?, 6(3), 1-21 [2013]
  • 청년유니온 http://youthunion
    kr/
  • 중퇴생, 중퇴 고위험 및 저위험 재학생의 비교: 개인 및 사회환경 변인들을 중심으로. ?
    구본용 신현숙 한국교육심리학회?, 16(3), 121-145 [2002]
  • 죽은 시인의 사회. 감독: 피터 위어. 출연: 로빈 윌리엄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9723120&memberNo=&vType=VERTICAL, 2019. 10.2
    인출 [2060]
  • 주영아 이자영 김태성 김상수 신현수.학교 밖 청소년지원모형 평가와 발전방향. ?
    금명자 청소년상담연구?, 1-175 [2005]
  • 정경은.취약청소년의 자립준비도 분석:두드림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
    조규필 청소년학연구?, 23(3), 267-292 [2016]
  • 정경은 김윤나.비진학청소년 아르바이트 경험 실태와 정책 방안. ?
    임영식 청소년학연구?, 18(12), 583-608 [2011]
  • 전문계 고등학생의 학업성취, 자아개념, 학교적응 및 학교부적응행동 간의 관계. ?
    이규민 이명숙 교육과학연구?, 40(1), 167-193 [2009]
  • 전락북도 청소년 학업중단에 대한 인식 및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분석. ?
    김옥엽 원유미 이연숙 상담학연구?, 5(3), 725-741 [2004]
  •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통한 청소년의 직업선택 요인 분석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
    김미옥 청소년학연구?, 25(12), 85-107 [2018]
  •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학업중단 청소년의 유형 과 특성
    김범구 조아미 한국청소년연구?, 24(3), 5-31 [2013]
  • 자영 업주와 임금근로자의 직업만족도 비교분석. ?
    김우영 김응규 중소기업연구?, 23(3), 29-54 [2001]
  • 이미라.청소년의 진로 결정과 시간제 노동경험과의 인과관계 검증. ?
    청소년학연구?, 17(10), 213-232 [2010]
  • 우리나라 학업중단 청소년에 대한 이해. ?
    금명자 한국심리학회: 사회문제?, 14(1), 209-317 [2008]
  • 우리 스스로 지키는 노동인권 `청소년 유니온`. ?
    김종하 우리교육?, 6, 106-111(6) [2014]
  • 오늘. 년 1월 25일자 기사 “최저임금이 올랐다고? 청소년 알바엔 먼 나라 이야기”, http://www.weekly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63116, 2019. 1. 20
    위클리 인출 [2018]
  • 연합뉴스. 년 10월 7일자 기사 “학교밖 청소년 47% 선입견 편견 때문에 힘들어”https://www.yna.co.kr/view/AKR20191007014900004, 2019. 10
    15 인출 [2019]
  • 여성가족부. 년 9월 30일 보도자료 “아르바이트 청소년의 노동인권과 근로환경 보호해요”http://www.mogef.go.kr/nw/enw/nw_enw_s001d.do?mid=mda700&bbtSn=707645. 2019. 11.10
    인출 [2019]
  • 여성가족부. 년 7월 20일자 기사 “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일부 개정안 입법예고”, http://www.mogef.go.kr/io/ind/io_ind_s033d.do?mid=info309. 2019. 3. 24
    인출 [2017]
  • 여성가족부. 년 4월 25일 보도자료 “2018년 청소년통계”http://www.mogef.go.kr/nw/rpd/nw_rpd_s001d.do?mid=news405, 2019. 4. 27
    인출 [2018]
  • 여성가족부. 년 12월 27일 보도자료 “학교 밖 청소년 75.5%가 학업 진로탐색에 관심 있어: 2018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결과발표, 2019. 3. 3
    인출 [2019]
  • 여성가족부 http://www
    mogef.go.kr/
  • 양국선 장성숙.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된 보호요인 특성 연구. ?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13(3), 127-148 [2001]
  • 아르바이트 경험과 청소년들의 경제의식 및 근로 의식 간의 관계. ?
    구효진 최진선 청소년학연구?. 13(4), 39-71 [2006]
  • 십대‘밑바닥 노동’의 파노라마: 변화하는 청소년 노동의 오늘. ?
    배경내 청소년노동인권네트워크 ?, 13-26 [2014]
  •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중도탈락 개선을 위한 진로지도 및 상담활성화 방안. ?
    김재호 서우석 이광호 정철영 채영병 허영준 직업교육연구?, 26(1), 106-133 [2007]
  • 신아라 김선경 이응택.청소년기 자아정체감과 진로정체감의 종단 연구. ?
    이은경 청소년문화포럼?. 50. 1975-2733 [2017]
  • 서정아 유성렬 이동훈 박예슬.?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모델 개발연구Ⅰ:질적 패널조사를 중심으로?
    윤철경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 서정아 권해수 정찬식.직업전문학교 청소년과 거리 청소년의 생활경험 비교연구:정규학교 중단 후 힘든 점을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연구?, 18(1), 213-245 [2007]
  • 서정아 권해수 정찬석.?학교 밖 청소년의 실태와 정책적 대응방안?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2006]
  • 서울시학교밖지원센터 seoulallnet
    org/
  • 서교출판사
    데미안 헤르만헤세 https://blog.naver.com/seokyobooks/2인출 [2132]
  • 살기 위해 노동한다! 2011년 청소년 배달 노동 실태보고. ?
    이수정 월간복지동향?, 152 [2011]
  • 사무직 근로자의 근로능력과 연령의 관계. ?
    김강호 기업교육과인재연구?, 18(2), 45-62 [2016]
  • 빈곤이 청소년 노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적 연구. ?
    박창남 미래청소년학회지?, 6(1), 73-87 [2009]
  • 비진학청소년의 자립을 위한 사회적 기업 성공요인 분석: 영국의 PM Training을 중심으로. ?
    박창남 청소년복지연구?, 17(3), 215-237 [2015]
  • 복지뉴스. 년 1월 16일자 기사 “학교 밖 청소년 직업훈련학교 참가자 혜택 강”https://www.bokjiro.go.kr/nwel/welfareinfo/livwelnews/news/retireveNewsDetail.do?dataSid=6592280, 2019. 4
    14 인출 [2018]
  • 법제처 www
    moleg.go.kr/
  • 배제의 법칙으로서의 입시제도: 사회적 계층 수준에 따른 대학 입시제도 인식 분석. ?
    문정주 최율 한국사회학?, 53(3), 175~215 [2019]
  • 박은혜 박지현.학업중단 청소년의 학업복귀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접근. ?
    신문희 홍나미 청소년복지연구?, 15(1), 121-153 [2013]
  • 도박중독회복자들의 낙인극복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남성 회복자들을 중심으로. ?
    이근무 이혁구 사회복지학연구?, 50(3), 223-259 [2019]
  • 대학 비진학 청소년의 비진학 사유 및 비진학 사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김지경 정윤미 한국청소년학회?, 22(12), 193-217 [2015]
  • 대전일보. 년 9월 18일자 기사 “ 청소년 근로보호센터 찾아가는 청소년 노동인권 교육”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387645, 2019. 10. 4
    인출 [2019]
  • 뉴시스. 년 11월 20일자 기사 “여가부, 초 중 청소년 학업중단시 지원센터 자동연계 추진http://www.newsis.com/view/?id=NISX20191120_0000835392&cID=10201&pID=10200, 2019. 12.1
    인출 [2019]
  • 뉴스워커. 년 1월 30일자 기사 “최저임금 미준수 부당처우 등 노동사각지대 같힌 청소년들...근로 청소년 노동환경 개선 시급” http://www.newswor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711, 2019. 4. 5
    인출 [2019]
  • 농촌지역 여성 독거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이혁구 하민정 한국사회복지학?, 71(2), 143-174 [2019]
  • 노동자 연대:불안정고용 시대 노동약자들의 승리전략. ?
    유형근 한국산업노동학회?, 25(3), 421-427 [2019]
  • 노동경험이 있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노동의 지지가 미래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 ?
    이선희 학교사회복지학회?, 28(0), 215-244 [2014]
  • 내일뉴스. 년 6월 19일자 기사 “밑바닥 노동에 신음하는 10대 알바, 청소년 노동인권교육 확대 시급”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316744, 2019. 7. 15
    인출 [2019]
  • 꿈드림센터 http://www
    kdream.or.kr/
  • 김충기, 이재창 역(1995). 상담과 심리치료; 이론, 과정, 방법
    Cristiani, T. S. Giorgi, R. L. 서울: 교육과학사 [1990]
  • 국제노동기구(ILO) https://www
    ilo.org/
  • 국민권익위원회 www
    acrc.go.kr/
  •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 국가법령정보센터 www
    law.go.kr/
  • 교육과학기술부.?교육통계서비스?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5]
  • 관계부처합동.?학교 밖 청소년 지원책?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5]
  • 공저 ?질적연구방법론?
    신경림 서울: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 고용노동부홈페이지 http://www
    moel.go.kr/
  • 고용노동부.?2016 한 권으로 통하는 고용노동정책?
    서울: 고용노동부 [2016]
  • 고등학생의 청소년 노동권리 인지 및 침해 경험 관련 요인 분석:청소년 노동권리 보호 방안 탐색을 위하여. ?
    구정화 한국법과인권교육학회?, 10(1), 107-133 [2017]
  • 고등학생과 진로적응훈련 중인 중퇴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 진로장애 및 진로결정의 관계모형 검증. ?
    신현숙 황선미 한국상담학연구?, 8(1), 229-245 [2007]
  • 경기일보. 년 9월 17일자 기사 “새벽까지 근무 가능자 찾습니다. 근로법 비웃는 청소년 추석 단기알바”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mod=news&act=articleView&idxno=1521035, 2019. 5. 3
    인출 [2018]
  • 가출청소년의 학업중단 영향요인과 대책. ?
    김지혜 안치민 한국청소년연구?, 17(2), 133-157 [2006]
  • 가출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육혜련 청소년복지학회?, 16(1), 327-353 [2014]
  • “부모간 폭력 목격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과 학교폭력 가해행동간의 관계.”
    김재엽 김희진 송아영 장용언 한국청소년학회?, 16(10), 1-31 [2009]
  • www
    교육부 moe.go.kr/
  • Writing Qualitative Inquiry . Walnut Creek
    [2008]
  • Tilly, Chris. and Tilly, Charles T.Work Under Capitalism. 이병훈 외 옮김(2006). 자본주의의 노동세계
    서울: 한울아카데미 [1988]
  • The research act :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 ods
    [1978]
  • The paradox of self-stigma and mental illness
    9 ( 1 ) , 35-53 [2003]
  •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in psychology : A modified Husserlian approach
    [2009]
  • The crisis of European sciences and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 An introduction to phenomenological philosophy
    [1970]
  • Tell Them Who I Am : The Life of Homeless Woman
    [1993]
  • T.Work Under Capitalism. 이병훈 외 옮김(2006). 자본주의의 노동세계
    Charles Tilly Chris Tilly 한울아카데미 [1988]
  • Stigma :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35 , 1-9 [2013]
  • Researching libed experience ; Human Scienec of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1990]
  • Reintegrative shaming , republicanism , and policy
    [1995]
  •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2008]
  • Qual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2E. Sage Publication. 조흥식, 정선욱, 김진수, 권지성 공역. (2010). 질적 연구방법론
    Creswell, J. W. 서울: 학지사 [2007]
  • Psychology as a human science : A phenomenologically based approach
    [1970]
  •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신경림 외 역(2004)
    Giorgi, A. 서울: 현문사 [2004]
  •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1985]
  • Occupational choice
    [1951]
  • Negative correlates of part-time employment during adolescence : Replication and elaboration
    27 , 304-313 [1991]
  • Measuring the impact of programs that challenge the public stigma of mental illness
    30 ( 8 ) : 907-922 [2010]
  • Making work ; A perspective from social science . In Paul , R. ( Ed. ) . On Work
    [1998]
  • Life-cycle Jobs
    14 , 1-38 [1995]
  • Language and meaning : Data collection in qualitative Research
    52 ( 2 ) : 137-145 [2004]
  • Husserl, Edmund., Husserliana I. : Cartesianische Meditationen und Pariser Vortrage, hrsg. Stephan Strasser, The Hague: Martinus Nijhoff, 1950, rpt. 1970; 데카르트적 성찰. 에드문트 후설 지음. 이종훈 역(2002)
    한길사 [2009]
  • How stigma interferes with mental health care
    59 ( 7 ) , 614-625 [2004]
  • High school dropouts in the United States
    [2011]
  • Family and Individual Patterns in a Group of Middle-Class Dropout Youths
    37 ( 4 ) , 338-343 [1992]
  • Family Stress Management : A Contextual Approach
    [2002]
  • Factors determining career choice
    28 ( 2 ) :6-20 [1996]
  • Experience and education.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이홍우 역(2007). 민주주의와 교육
    Dewey, J. 서울; 교육과학사 [1916]
  • Employment during high school : Character building or a subversion of academin goals ?
    Vol . 64 , 172-189 [1991]
  • Effects of high school work experience a decade later : evidence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69 , 66-81 [1996]
  • Effective Evaluation ( 4thed )
    [1985]
  • Effect of part-time work on high school mathematics and science course taking
    91 ( 2 ) , 67 ? 74 [2000]
  • Educational research
    [2002]
  • Advances in instructional Psychology , Volume 5 : Educational Design and Cognitive Science
    Vol . 5 [2013]
  • ?현상학과 질적 연구?
    이남인 서울; 한길사 [2015]
  • ?학업중단이후 첫 번째 시간제 취업의 참여실태:기관소속 학업중단 청소년을 대상으로?
    박창남 이경상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545-552 [2004]
  •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I?
    김신영 유성렬 윤철경 임지연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 ?학교를 떠나는 아이들, 청소년 상담문제 연구보고서 46?
    안현의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002]
  • ?학교 청소년의 시간제 노동경험과 적응에 관한 연구?
    김예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학교 밖 청소년의 사이버블링 경험과 저격글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오승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 및 또래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조선경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학교 밖 청소년 이행경로에 따른 맞춤형 대책 연구Ⅱ?
    김강호 성윤숙 유성렬 윤철경 최홍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 ?청소년 직업체험 및 아르바이트 실태조사 연구?
    강영배 김희진 박민경 배경내 안선영 조혜영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 ?청소년 아르바이트 지원실태 및 정책방안모색 연구?
    박창남 이철위 정혜영 서울: 문화관광부 [2000]
  • ?질적 연구방법론 Ⅱ: Method?
    김영천 아카데미프레스 [2014]
  •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의미와 이해의 공명학?
    이근호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29-48 [2011]
  • ?직업교육 위탁 학생들의 노동실습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노동과 직업세계에 대한 인식체계의 변화와 경제교육적 함의?
    김태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중증발달장애인 주 양육자의 돌봄 과정에서 나타난 동반자살 유혹경험 극복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허수경 삼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중고생의 중도탈락 인과모형 검증과 판별척도 개발?
    배영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잠재적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개입프로그램 개발?
    강석영 양은주 이자영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009]
  •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학업중단 청소년의 유형과 심리사회적 특성 연구?
    김범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이 땅에 태어나서: 나의 살아온 이야기?
    정주영 서울: 솔 [1998]
  • ?위기학생의 학교 적응을 돕는 학업중단숙려제 공통운영기준
    교육부 서울: 교육부 [2016]
  • ?에드문트 후설?
    박인철 서울: 살림 [2013]
  • ?양은주.학업중단 위기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 중단의 위험 및 보호요인 탐색: 개념도 연구방법의 활용, ?
    강석영 김한주 이유영 이자영 청소년상담연구?, 18(2), 225-241 [2010]
  • ?아동 상담자의 자기 돌봄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임상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성폭력 2차 피해를 통해 본 피해자 권리?
    이미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2]
  • ?서울 학교 밖 청소년 실태와 정책 진단, 그리고 미래?, 서울:서울특별시
    김승경 윤철경 서울특별시교육청 공동세미나자료집. 1-54 [2019]
  • ?노동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학업중단경험 청소년의 학업복귀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진로신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선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내담자가 체험한 상담자의 자기개방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조병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2013년 비진학청소년 근로환경 실태조사?
    이상준 이수경 한국직업능력 개발원 [2013]
  • 10대 학업중단 청소년의 근로 실태에 관한 심층적 고찰 연구:가출경험 학업중단 청소년을 중심으로. ?
    전경숙 청소년상담연구?, 14(1), 3-21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