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시 그림책 읽기활동에 나타난 시에 대한 아동의 이해, 태도 및 반응 = Childrens Response to Poetry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and their Change in Understanding and Attitude toward Poetry

김지영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시 그림책 읽기활동에 나타난 시에 대한 아동의 이해, 태도 및 반응 = Childrens Response to Poetry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and their Change in Understanding and Attitude toward Poetr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시 그림책 읽기활동
  • 시그림책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 0

0.0%

' 시 그림책 읽기활동에 나타난 시에 대한 아동의 이해, 태도 및 반응 = Childrens Response to Poetry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and their Change in Understanding and Attitude toward Poetry' 의 참고문헌

  • 활동 중심 시 감상 지도 방안
    박순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화자를 중심으로 한 시 감상의 구체화 교육 연구
    진가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
  • 협동학습을 통한 심상적 접근이 시 표현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조영미 한국교 육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혐동학습을 활용한 시쓰기 태도 방법연구
    정지영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현장 중심의 현대시 교육론
    차호일 한국문화사 [2008]
  • 현대시의 정서 표현과 정서 체험 교육
    유영희 우리말 글 vol..39 [2007]
  • 현대시교육론
    윤여탁 사회평론 [2010]
  • 현대시 해석 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
    최미숙 한국시학연구, 14 [2005]
  • 현대시 이미지 교육방법연구
    김지영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현대시 교육에서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박수경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현대시 교육론
    정재찬 역락 [2017]
  • 현대시 교육 방법에 대한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제22집
    최미숙 국어교육학회 [2005]
  • 학습자 활동 중심의 (영)시 지도법과 언어교육
    조일제 한국문화사 [2005]
  • 학습자 중심의 초등 문학 교육 방법
    신헌재 박이정 [2004]
  • 학습 독자의 시적 체험 특성에 따른 시 읽기 교육 내용 설계 연구
    진선희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표지은 반응중심 시 창작 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의 시 쓰기 양상 연구
    이화여 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페리 노들먼 어린이 문학의 즐거움 2
    시공주니어 [2003]
  • 페리 노들먼 그림책론
    보림 [2011]
  • 최근 동시 교육의 쟁점과 전망
    이향근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겨울 학술대회 [2018]
  • 초등학생의 시 감상문 분석을 통한 시 텍스트 읽기 과정 양상 고찰
    진선희 청 어람어문교육, 31 [2006]
  • 초등학교의 반응중심 문학교육 방법 연구
    이희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999]
  • 초등학교 동화 감상 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곽춘옥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초등국어교육학 개론
    신헌재 박이정 [2015]
  • 초등국어교육의 ‘시 교육’에 관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진용성 한국어문교육 24 [2018]
  • 초등 1 2학년군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시 제재와 아동의 삶 관련성 연구
    김혜진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책읽어주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읽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연경 광주교육대학 교 석사논문 [2007]
  •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 지성 역)
    Creswell, J. W. 서울: 학지사 [2010]
  • 질적연구방법론. Ⅱ
    김영천 아카데미프레스 [2013]
  • 지속적인 읽기 활동을 통한 읽기 태도 신장 방안 연구
    정아영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중학교 시 교육의 실태와 바람직한 교육방법
    김창림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 중학교 시 교육 개선 방안 연구
    김자영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 정현선, 이미숙 초등학교 저학년 문학 수업에 대한 실행 연구
    문학교육학, 21, 113 [2006]
  • 장르 중심 작문 교육의 내용 체계와 교수 학습 원리 연구
    박태호 한국교육원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 자연체험을 활용한 동시 짓기 활동이 언어표현능력과 또 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박미자 서현 정은숙 한국생활과학회지, 21(5), 875-888 [2012]
  • 읽기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옥정인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이준호 역)
    Hume, D. 서광사 [1996]
  • 이종희외 옮김 유아과학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Christine Chaille Lory Britain 교육과학사 [2005]
  • 이야기 그림책의 교육내용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남지현 석사학위논문 [2012]
  • 이안 다같이 돌자 동시 한 바퀴
    문학동네, 2014 [2014]
  • 이성은 아동의 시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반응중심 시 창작 프로그램 개발
    류별아 교육과학연구, 36(1), 263-279 [2005]
  • 유아의 정보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나타난 반응의 의미
    심향분 성균관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09]
  • 유아의 이야기 이해도와 이야기 구성력간의 관계
    고은님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998]
  • 유아의 언어 이해력과 공감능력에 따른 시 그림책 반응 양상 연구. 가톨 릭대학교
    고영순 석사학위논문 [2015]
  • 유아의 그림책 그림텍스트 이해 과정
    박유진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유아 언어교육
    노명완 이차숙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7]
  • 유아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이차숙 교육방법연구 14(2) [2013]
  • 유아 문학 교육
    김세희 양서원 [2001]
  • 유아 문학 교육
    김현희 박상희 학지사 [2003]
  • 우리 동요 동시 이야기
    이재복 서울: 우리교육 [2004]
  • 옮김 아동의 상상력과 창조
    비고츠키 팽열일 창지사 [2001]
  • 영상 매체를 활용한 시 교육 방법 연구
    강은선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08]
  • 영미 동시 텍스트의 최근 경향과 시각화 양상연구
    이향근 건국대학교 동화와 번역연구소 [2013]
  • 어린이시., 조은수 그림 내 동생
    주동민 창비 [2003]
  • 어린이문학의 재발견
    김상욱 창비 [2006]
  • 어린이는 모두 시인이다
    이오덕 양철북 [2017]
  • 어린이 그림책의 색채와 감정효과에 관한 연구
    하현승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2012]
  • 어린이 그림책의 감성 표현을 위한 시각 요소 연구
    한유진 연세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8]
  • 아동의 시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반응 중심 시 창작 프로그램 개발
    류별아 이 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아동문학의 현실과 꿈
    김제곤 창작과 비평사 [2003]
  • 아동문학의 장르와 용어
    김상욱 아동청소년문학연구 4호 [2009]
  • 아동문학의 이해
    신헌재 박이정 [2009]
  • 아동문학비평과 초등문학교육
    임성규 한국문화사 [2008]
  • 아동문학교육론
    선주원 박이정 [2013]
  • 아동문학교육 개정판
    고문숙 양서원 [2015]
  • 아동문학교육
    강문희 학지사 [2001]
  • 아동문학과 교육
    신헌재 박이정 [2007]
  • 아동문학 창작론
    강정규 학연사 [2002]
  • 아동독자의 이야기책 읽기 반응 연구
    이지영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아동 문학 입문
    이원수 서울: 한길사 [2002]
  • 신세니, 조희숙 포스트모던 그림책 파라텍스트의 특성 연구
    유아교육연구. 31(4) [2011]
  • 신세니 포스트모던 그림책 파라텍스트의 특성 및 기능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1]
  • 시정신과 유희정신
    이오덕 굴렁쇠 [2005]
  • 시적 행간의 그림책 표현에 관한 연구 : 어린이 시 그림책 「선생님 과 자」를 통하여
    김유대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논문 [2017]
  • 시적 행간의 그림책 표현에 관한 연구
    김유대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 사논문 [2017]
  • 시적 공감 과정의 학년별 특성 연구
    김경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시적 감성의 교육내용 설계 연구
    이향근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시의 본질적 특성에 따른 시교육 개선에 관한 연구
    김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991]
  • 시와 시그림책에 대한 아동의 반응 분석
    김민정 한국어린문학교육연구 19(4), 117-144 [2018]
  • 시어의 의미 분석. 부산교육대학교
    이국재 석사학위논문 [2007]
  • 시교육의 수용론적 방법 연구
    강현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 시, 주리 그림 흰 눈
    공광규 바우솔 [2016]
  • 시, 유리 그림 대추 한 알
    장석주 이야기꽃 [2015]
  • 시 속의 그림, 그림책 속의 시에 대하여
    박혜숙 이우학 동화와 번역, 18, 105-125 [2009]
  • 시 그림책이 만 5세 유아들에게 미치는 영향
    전연우 조희숙 우리말교육현장연 구 제10집 2호, 19호 [2016]
  • 시 그림책의 장르적 특성에 대한 교육적 고찰
    김미혜 국어 국문학, 165, 183-212 [2013]
  • 시 그림책의 미적 가치와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조용훈 한국 초등국어교육학회 46호 [2011]
  • 시 그림책과 작품집이 주는 의미와 가치. 서평문화 58
    권오삼 한국간행물윤리 위원회. 209-216 [2005]
  • 시 그리맥의 스토리텔링
    최윤정 동화와 번역, 27, 259-284 [2014]
  • 시 교육의 원리와 방법
    선주원 서울: 박이정 [2003]
  • 시 교육의 문제점 분석과 개선 방안 연구
    윤미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시 교육방법 연구
    김주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 시 교육과 감성의 힘
    이향근 청동거울 [2015]
  • 시 감상에서의 시적 공감 양상 연구
    조양희 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상호텍스트성과 텍스트 이해 교육
    김도남 박이정 [2014]
  • 상호텍스트성 중심의 감상 지도 방법 연구
    고지운 청주교육대학교 석사논문 [2010]
  • 상호중심 독서지도
    김자연 청동거울 [2008]
  • 상상력을 활용한 시의 인지적 이해와 정의 교육 연구
    손재권 부경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8]
  • 사고와 표현
    최미숙 사회평론아카데미 [2018]
  • 백석 시의 화자와 표현 기법에 관한 연구
    장도준 한국어문학회. 58호 [1995]
  • 백석 시의 시간 활용 방법 연구
    이경수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백석 시, 김세현 그림 준치가시
    창비 [2006]
  •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방법 연구
    경규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 반응 중심 문학교육 방법과 협동학습을 통합한 시 교수학습 방안 연구
    고윤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반응 중심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한 시 교육 연구
    최지연 숙명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9]
  • 박근아 초등 시 텍스트의 혼합 정서 체험 교육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7]
  • 미디어 시대의 시 텍스트 변화 양상과 시 교육
    최미숙 문학교육학, 24 [2007]
  • 미디어 리터러시. [Media literacy]. (김대희, 임윤경 역)
    Potter, W. J. 서울: 소통 [2016]
  • 문화기호학으로 읽는 문학과 그림
    조용훈 효형출판 [2004]
  • 문학의 이해
    나병철 문예출판사 [2004]
  • 문학반응 활성화를 위한 그림책 그림 읽기 교수 학습 방안 연구
    황미혜 한국교 육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문학교육학의 이론적 범주와 문학교육의 방법?
    최병우 문학교육학, 40, 9-30 [2013]
  • 문학교육과 문학정전의 새로운 관계 맺기
    박인기 한국현대소설학회한국현대소 [2007]
  • 문학 토의를 활용한 시 감상 지도 방안 연구
    장혜미 한국교육원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9]
  • 문학 중심 독서 지도
    김명숙 박영민 한철우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1]
  • 문학 이론과 시교육
    권혁준 박이정 [1997]
  • 문학 반응 활성화를 위한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 개발 연구
    정근수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문학 교수학습 방법의 성찰과 전망?, 국어교육학연구, 제47집
    정재찬 국어교육 학회, 387-409 [2013]
  •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윤여탁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 매체언어를 활용한 시 교육 방법 연구 : 시와 영상의 통합적 수업을 중 심으로
    이재근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매체를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서수영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매체 유형에 따른 시적 반응 양상 연구
    이영자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12]
  • 매체 변환을 활용한 시 감상 교육 연구: 시 그림책 낮에 나온 반달을 중 심으로. 국어교육연구 제43집
    정정순 국어교육학회 [2008]
  • 매체 교육의 수용 현황과 문제점
    김자영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만5세 유아의 은유적 표현을 이끄는 사진활동 경험
    윤혜경 한국교원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7]
  • 마리아 니콜라예바 아동문학의 미학적 접근. 교문사. 외 지음(2011). 그림책을 보는 눈
    마루벌 [2009]
  • 릴리언 스미스 저, 박화목 역 아동문학론
    새문사 [2008]
  • 롤랑 바르트, 김인식 편역 이미지와 글쓰기
    세계사 [2011]
  • 로렌스 자이프, 실비아 판탈레오 포스트모던 그림책
    교문사 [2010]
  • 동시짓기 또래교수 활동을 통한 유아의 동시표현 및 사회적 관계의 변 화
    전윤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동시감상을 통한 수학교육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수학적 태도 및 동시 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홍서연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동시 암송이 아동의 시 감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송향이 한국교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3]
  • 독자반응이론의 관점에서 본 아동학과 대학원생의 그림책 읽기
    나선희 현은자 문학교육학, 31, 119-152 [2010]
  • 독자 반응 조정 중심의 시 교육 연구
    강민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독일어권 그림책의 포스트모던적 특성과 유아의 반응
    정미림 계명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5]
  • 독서지도 어떻게 할 것인가1
    이상진 황정현 서울: 에피스테메 [2008]
  • 독서교육론
    이순영 사회평론 [2017]
  • 독서 지도사 교재편찬위원회 독서 지도의 이론과 실제
    이화 [2004]
  • 독서 교육론
    천경록 박이정 [2012]
  • 다중지능 개발 프로그램을 적용한 시 감상 표현력 신장방안 연구
    이은숙 한신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다중 텍스트 활용이 아동의 시 감상에 미치는 효과
    김민영 한국교원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7]
  •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동시 교육 방법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탁동식 석사학위 논문 [2000]
  • 김영승 시 연구. 한국교육원대학교
    이성수 석사학위논문 [2015]
  •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비평적 미술감상 지도 방안 연구
    박민영 한국교원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이야기 꾸미기 구성활동이 유아의 어휘력, 언어 이해력,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김미경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극놀이의 반복적 경험이 유아 언어 이해력과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한정현 경 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그림책의 장르에 따른 아동의 다시 말하기 반응분석. 성균관대학교
    김민정 박 사학위논문 [2017]
  • 그림책의 그림읽기 수업을 통한 시각 문식성 향상에 관한 연구
    김지영 경기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그림책의 그림읽기
    현은자 마루벌 [2004]
  • 그림책으로 하는 유아 문학 교육
    남규 서정숙 창지사 [2005]
  • 그림책으로 다시 태어난 백석의 시
    김민화 창비어린이, 5(2) [2007]
  • 그림책 파라텍스트
    김정선 조형미디어학, 18(2), 65-70 [2015]
  • 그림책 제재의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수록 양상 연구
    김다혜 광주교육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16]
  •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을 통한 독서지도 효과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김경숙 석 사학위논문 [2008]
  • 그림책 읽기 의미 구성 양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강서희 석사학위논문 [2017]
  • 그림책 읽기 맥락에서 또래 상호작용의 탐색: 소집단 활동 중심 으로
    성소영 심향분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31권 1호 [2011]
  •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의 교사 발문 탐구; 픽션과 논픽션을 중심으로
    심향분 한 국유아교육학회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권 2호 [2014]
  • 그림 청양장
    공광규 한병호 바우솔 [2016]
  • 그림 쨍아
    이광익 천정철 창비 [2008]
  • 그림 영이의 비닐우산
    김재홍 윤동재 창비 [2005]
  • 그림 속 이야기, 시 그림책. 책둥이
    심향분 2월호 [2013]
  • 그림 선생님 과자
    김유대 장명용 창비 [2007]
  • 국어과 중 고등학교의 매체교육 현황과 방향 연구
    오지혜 인하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5]
  • 국어 교육의 이해
    최미숙 서울: 사회평론 [2017]
  • 구성주의와 읽기 교육의 방향. 청람어문교육학. 22
    김명순 금화문화 [2000]
  • 구성주의 관점의 문학교육
    류덕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1]
  •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제2009-41호). 구인환 외(2001). 문학교육론
    삼지원 [2009]
  • 교사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독서태도와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한지효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초등문학교육론』
    신헌재 박이정 [2015]
  • 『시 읽기 교육에서 정서 체험의 구조와 작용 연구』
    민재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
  • 『문학체험연구』
    진선희 박이정 [2006]
  • 『문학교육에서의 태도 교육내용 연구: 초등에서의 서사 텍스트를 중심으로』
    하근희 한국교육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문학 수용에서의 공감 교육 연구』
    김효정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국어교육과 미디어 텍스트』
    박인기 삼지원 [2000]
  • 「현대시의 서정적 체험 교육 연구」
    김남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Words about pictures : The narrative art of children's picture books 그림책론(김상욱 옮김)
    Nodelman, P. 파주: 보림 [2011]
  • Using Poetry across the curriculum : Learning to love language
    [2010]
  • Thought and Language
    [1962]
  • Thephilosophy of poetry
    [2015]
  • The school for the children from two to eight .
    [1976]
  • The role of genre in preschooler 's response to picture books
    34 ( 2 ) , 197-254 . [1999]
  • The essential guide to children ’ s books and their creators
    [2002]
  • The construction of literacy understanding by first and second graders in response to picture storybook read-alouds
    [1996]
  • The Pleasures of children's literature 어린이 문학의 즐거움 1, 2(김서정 역)
    Nodelman, P. 서울: 시공주니어 [2001]
  • The Philososphy of Poetry
    [2015]
  • Teaching with Caldecott books
    [1991]
  • Story and verse for children
    [1952]
  • Sipe 유아교사의 그림책 읽어주기
    Lawrence R. 창지사 [2011]
  • Singularvoices
    [1997]
  • Rosenblatt, L .M. Literature as exploration(5th ed). N Y: The Modern Rosenblatt, L. M. (2006). 탐구로서의 문학. [Literature as Exploration]. (김해리, 엄해영 역)
    한국문화사 [1995]
  • Reading-WritingConnections : Fromtheory to practice
    [1999]
  • Reading-Language Instructions : Innovative . Practices EnglewoodClifts
    [1974]
  • Presenting poetry :Composition , publi-cation and reception
    [1995]
  • Preschool reading attitude scale
    37 ( 1 ) , 93-108 [1988]
  • Poetic designs : An introduction to meters , verseforms , and and figures of speech
    [1997]
  • Mute poetry
    [2013]
  • Musicality in the language of picture books
    39 ( 3 ) , 227-235 [2008]
  • Media and youth : A developmental perspective
    [2010]
  • Literature and the reader : Research in response to literature , reading interests , and the teaching of literature
    [1972]
  • Literature and the child
    [2006]
  • Interest and effortin education
    [1938]
  • How Picture books Work
    [2001]
  • Fiction And The Reading Public
    [1963]
  • F.R. 리비스의 비평연구
    국가연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Evaluating writing : describing , measuring , judging . Urbana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1977]
  • Essentials of Children ` s Literature
    [1999]
  • Elements of writing about a literary work . Urbana , IL
    [1968]
  • Elementary children ’ s literature : The basics for teachers and parents
    [2006]
  • Crossover picturebooks : A genre for all ages .
    [2013]
  • Contentarea Reading ( 3rd ed. )
    [1989]
  • Coats, K. Looking glasses and neverlands : Lacan, desire, and subjectivity in children's literature 아동문학 작품읽기(이미선 옮김)
    서울: 작은 씨앗 [2008]
  • Children'sliteraturein thereading program.New York : InternationalReadingAssociation .
    [1989]
  • Children 's attitudes toward reading : A national survey
    [1995]
  • Can images transform a poem ? when i heard the learn 'd astronomer : An example of a poetry picturebook
    19 , 14-32 [2013]
  • Beckett and musicality
    [2016]
  • Assessing young children 's literacy strategies and development . In S. G. Paris & H. M. Wellman ( Eds . ) , Global prospects for education : Development , culture , and schooling ( pp . 193-227 )
    [1998]
  • ?김세희, 그림책의 이해1?2
    현은자 사계절 [2005]
  •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국어교과서 반영양상연구
    김다혜 고려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