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변시지(邊時志, 1926-2013)의 회화세계 연구 = A Study of Byun Shiji(1926-2013)’s Paintings

안진희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변시지(邊時志, 1926-2013)의 회화세계 연구 = A Study of Byun Shiji(1926-2013)’s Painting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gt
  • 광풍회(光風會)
  • 데라우치 만지로(寺內萬治郞)
  • 변시지
  • 오사카미술학교
  • 점하나&gt
  • 제주시기
  • &lt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99 0

0.0%

' 변시지(邊時志, 1926-2013)의 회화세계 연구 = A Study of Byun Shiji(1926-2013)’s Paintings' 의 참고문헌

  • 호암미술관, ,『호암미술관 소장 한국 근대미술 명품 도록』
    호암미술관 [1992]
  • 허영선, 「원체험적인 제주에의 추구」
    『제민일보』 [1991]
  • 한국미술연구소, 『경성일보미술기사자료집1 - 조선미술전람회』
    한국미술연구소 [2014]
  • 한국근현대미술가기록연구회, 『제국미술학교와 조선인 유학생들 -1945』
    눈 빛, 2004 [1929]
  • 한국근대미술연구소편, 『국전 30년』
    수문서관 [1981]
  • 토머슨 먼로, 『동양미학』
    열화당 [2002]
  • 킴바라세이코(金原省吾)(민병산역), 『동양의 마음과 그림』
    새문사 [2012]
  • 키타자와 노리야키(北澤憲昭), , 「’美術’개념의 형성과 리얼리즘의 轉位 - 메 이지?다이쇼期의‘미술’ 인식에 대하여」
    『美術史論壇』제2호, 1995 [1995]
  • 크리스틴 구스저(강병직 역), 『에도시대의 일본미술』
    예경 [2004]
  • 켐벨(이윤기 역), 『신화의 힘』
    조지프 이끌리오 [2002]
  • 카오루(兒島 薰), 「近代 日本에서 官展의 역할과 주요 作品分析」
    고지마 『美術史 論壇』(제13호), pp.9-40 [2001]
  • 최열, 『한국근대 미술의 역사-1800-한국미술사 사전』
    열화당, 1998 [1945]
  • 최열, 「근대미술의 기점에 대하여」
    『한국근대미술사학』2호, pp. 38-65 [1995]
  • 중앙일보사, 『漢國畵 100年展』
    중앙일보 [1986]
  • 이와사키 요시카즈(강덕희 역), , 『日本近代繪?史』
    예경, 1998 [1998]
  • 이나진, 「나혜석과 근대일본서양화가의 작품에 대한 비교연구-구로다 세이키와 구 메 케이이치로, 아사이 츄를 중심으로」
    『나혜석연구』제5집, pp. 232-274 [2014]
  • 월간미술편, 『서양미술 용어사전』
    월간미술 [2002]
  • 에이지(신동욱 역), , 『미야모토무사시』
    요시까와 고려문화사, 1990 [1990]
  • 에미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왕가-일본서양화에 관하여」
    야마나시 『일본근대 미술-서양화편』 [2010]
  • 에드만, 『예술과 인간』
    어윈 문예출판사 [1984]
  • 아끼꼬(최유경 역)
    마부치 『자포니즘-환상의 일본』, J&C [2004]
  • 셀퀼라즈, 『인상주의』
    모라스 열화당 [2000]
  • 사토도신(佐藤道信), 「근대 일본미술의 미술용어」
    『조형』, 제21호, pp.137-157 [1998]
  • 사토도신(佐藤道信), 「근대 일본 관전의 성립과 전개」
    『한국근대미술사학』, 제15집, pp. 7-24 [2005]
  • 사토도신(佐藤道信), 「近代 日本美術史의 形成과 硏究動向」
    『미술사논단』제10호, , pp. 229-245 [2000]
  • 사람 人 제주
    현송희 「빛과 바람의 화가 변시지」 23:17
  • 벤자민 로울랜드, 『동양미술론』
    열화당 [1996]
  • 벤자민 로울랜드, 『동서미술론-비교미술입문』, (최민,역)
    열화당 [2002]
  • 바실리 칸딘스키(권영필 역), 『예술에 있어서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
    열화당 [1979]
  • 미술관, 『한국의 초상미술-기억을 넘어서』
    전북도립 전북 도립미술관 [2014]
  • 리드(박용숙 역), 『현대회화의 역사』
    허버트 까치 [1990]
  • 리드(박용숙 역), 『현대미술의 원리-현대회화의 조각에 대한 이론』
    허버트 열화당 [1993]
  • 리드(박용숙 역), 『예술의 의미』
    허버트 문예출판사 [1985]
  • 로즈메리 람버트(이석우 역), 『20세기 미술사』
    열화당 [1986]
  • 동경예술대학, 『동경예술대학 백년사
    동경미술학교편』제1권 [1987]
  • 데루카즈(이성미 역), 『일본회화사』
    야키야마 예경 [1992]
  • 다카기 히로시(高木博志), 「近代 日本의 文化財 保護와 古代美術」
    『美術史論壇』, 제11호, pp. 87-102 [2002]
  • 논객 기사
    「가슴 때리는 충격에 그림 속으로 들어갔죠」 인터뷰 기사 [2018]
  • 국립현대미술관, 『이인성 탄생 100주년 기념전』
    국립현대미술관 [2012]
  • 국립현대미술관, 『근대미술연구』
    국립현대미술관 [2004]
  • 국립현대미술관, 『근대를 보는 눈-한국근대미술 ; 유화』
    삶과 꿈 [1998]
  • 국립현대미술관, 『근대를 보는 눈-한국근대미술 ; 수묵 채색화』
    삶과 꿈 [1998]
  • 국립중앙박물관, 『國立中央博物館所藏 日本近代美術-日本畵篇』
    국립중앙박물관 [2001]
  • 괴란 테르본, 『권력의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의 권력』, (최종렬,역)
    백의신서 [1994]
  • 韓 ? の初期美術大 ? と東京美術 ? 校─人的·制度的 ? 連性─ ? , ? ? 美術史 ? ?
    175 [2013]
  • 韓 ? ? 州島から大阪猪飼野へ─聞き取り· ? 後在日コリアンの ? み─ ? , ? ? 人 ? と部落問題 ? ?
    [2014]
  • 集刊行 ? 編集 , 『寺 ? 萬次 ? ? 集刊行 ?
    [1971]
  • 福本拓, 「1920年代から1950年代 初頭の大阪における在日朝鮮人集中地の變遷」, ??人文地理??, 2005.
    [2005]
  • 社團法人光風會
    [1999]
  • 矢野橋村, ?我等の使命?, ??大阪美術?校?友?月報·創刊???, 大阪美術?校, 1927.
    1927
  • 植野健造, 『白馬?と?史主題の??-藤島武二《天平の面影》をめぐって』, 1996.
    [1996]
  • 東京藝術大學藝術資料館
    [1997]
  • 李濟昶氏の作もある」『朝鮮新聞』,1926
    2 . 24 .
  • 川原指水, ?卒業の印象?, ??大阪美術?校?友會·會誌??, 大阪美術?校, 1935.
    [1935]
  • 光風會作品集 刊行會
    [1935]
  • 光風會作品集 刊行會
    [1937]
  • 『화가 변시지』
    오광수 일지사 [1984]
  • 『화가 변시지』
    [1986]
  • 『현대미술의 형성과 비평』
    원동석 미진사 [1985]
  • 『현대미술의 의미를 찾아서』
    김문환 열화당 [1987]
  • 『현대 미학의 향방』
    김문환 열화당 [1987]
  • 『한라일보』
    진선희 [2017]
  • 『한국현대미술가 100인』
    김영호 사문난적 [2009]
  • 『한국현대 예술사대계 Ⅲ』
    이인범 시공사 [2004]
  • 『한국미술사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서』
    윤용이 학고재 [1997]
  • 『한국미술사의 라이벌:감성(感性)과 오성(悟性) 사이』
    이태호 세창출판사 [2014]
  • 『한국근대미술의 한국성』
    윤범모 가나아트 [1995]
  • 『한국근대미술연구』
    이경성 동화출판공사 [1975]
  • 『한국근대미술사상 노트』
    오광수 일지사 [1989]
  • 『한국근대미술사?갑오개혁에서 해방 시기까지』
    홍선표 시공사 [2009]
  • 『한국근대미술-시대정신과 정체성의 탐구』
    윤범모 한길아트 [2000]
  • 『한국 근대미술의 역사-1800-』
    최열 열화당, 1998 [1945]
  • 『한 중 일의 초기 서양화 도입 비교론』
    이중희 얼과알 [2002]
  • 『친일파 99인』
    이태호 (제2권), 돌베개 [1993]
  • 『중국화론으로 본 회화 미학』
    지순임 미술문화 [2005]
  • 『중국화론 선집』
    장언원 미술문화 [2002]
  • 『중국예술정신』
    서복관 동문선 [1990]
  • 『중국예술의 세계』
    마이클 설리반 열화당 [1977]
  •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이태호 학고재 [1996]
  • 『조선시대 화론연구』
    유홍준 학고재 [1998]
  • 『조선미술전람회1-19』
    경인문화사 [1982]
  • 『제주생활사』
    고광민 한그루 [2016]
  • 『제주미술인 조사 자료집(작고작가 양인옥, 변시지)』
    김영호 제주도립미술관 [2014]
  • 『제주문화 예술 60년사』
    제주특별자치도 [2008]
  • 『제주기행』
    고창훈 백산 서당 [1991]
  • 『제주 작가』
    변시지 (제4호), 민족문학작가회 제주도지부 [2000]
  • 『제주 바다를 건넌 예술가들』
    전은자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5]
  • 『일본 근대서양화』
    선승혜 국립중앙박물관 [2008]
  • 『일본 근대미술 서양화편』
    류승진 국립중앙박물관 [2010]
  • 『이어도로 떠난 화가, 변시지』
    기당미술관 [2014]
  • 『이야기 한국현대미술. 한국현대미술이야기』
    오광수 정우사 [1989]
  • 『유럽기행화집』
    삼화출판사 [1982]
  • 『원무』
    서종택 나남출판 [2004]
  • 『운보 김기창 예술론 연구』
    최병식 동문선 [1997]
  • 『우성변시지화업 50년화집』
    도서출판 우석 [1992]
  • 『우성 변시지 삶과 예술』
    예맥화랑 [1992]
  • 『예술의 사회학』
    아놀드 하우저 한길사 [1983]
  • 『예술과 풍토』
    변시지 열화당 [1988]
  • 『열정과 통찰』
    김병택 국학자료원 [2014]
  • 『신사실파-창립60주년 기념자료집』
    이인범 재단법인 유영국미술문화재단 [2008]
  • 『신미술』
    변시지 관동출판사 [1966]
  • 『신기회화집』
    신기회 [1973]
  • 『석도화론』
    김종태 일지사 [1982]
  • 『사진으로 보는 제주사 1』
    제주특별자치도 [2009]
  • 『사람을 사랑한 시대의 예술, 조선후기 초상화』
    이태호 마로니에북스 [2016]
  • 『변시지』
    산업은행 미술도서 [2004]
  • 『변시지』
    대전시립 미술관 [2012]
  • 『변시지-폭풍의 화가』
    서종택 열화당 [2000]
  • 『변시지, 마음의 풍경』
    고향문화재단 [2004]
  • 『변시지 제주풍화집」
    송상일 봅데강 [1991]
  • 『변시지 제주풍화집Ⅲ』
    [1991]
  • 『변시지 제주풍화집I』
    [1986]
  • 『변시지 제주풍화집II』
    [1986]
  • 『바로 보는 한국의 현대미술』
    김달진 발언 [1995]
  • 『미진신서26?한국 근대미술의 형성』
    윤범모 미진사 [1988]
  • 『동양화기법』
    안동숙 미조사 [1981]
  • 『동양화 1000년』
    허영환 열화당 [1978]
  • 『동양과 서양』
    최영진 지식산업사 [1993]
  • 『동아일보』
    김광협 [1981]
  • 『꿈과 멋을 지닌 한국의 예술가들』
    장준석 학연문화사 [2011]
  • 『근대한국미술사의 연구』
    이구열 미진사 [1992]
  • 『근대한국미술가논고』
    이경성 일지사 [1975]
  • 『근대미술논총-청여 이구열 선생 회갑기념 논문집』
    이구열 학고재 [1992]
  • 『근대 한국화의 흐름』
    이구열 미진사 [1993]
  • 『韓國의 傳統色과 色彩沁理』
    하용득 명지출판사 [1989]
  • 『韓國近代美術의 形成』
    윤범모 미진사 [1988]
  • 『韓國近代美術散考』
    이구열 을유문화사 [1972]
  • 『韓國現代美術史-년 이후 한국미술의 전개』
    오광수 열화당, 1979 [1900]
  • 『邊氏大同寶鑑』
    [2010]
  • 『資生堂ギャラリ ? 七十五年史 ( 一九一九-一九九四 )
    [1995]
  • 『第56回 光風會作品集』
    [1970]
  • 『第50回 記念 光風會展 圖錄』
    [1964]
  • 『畵家 邊時志(자료집2편) -1995』
    변시지 시지화가의집 자료기념관 [1985]
  • 『畵家 邊時志(자료집1편) -1985』
    변시지 시지화가의집 자료기념관 [1926]
  • 『畵壇一境』
    이구열 동양출판사 [1968]
  • 『東洋畵論』
    김종태 일지사 [1978]
  • 『東京藝術大學 所藏 名品展』
    [1997]
  • 『東京文化財硏究所』 , 文化財硏究所
    [2002]
  • 『東京人』
    [2006]
  • 『朝鮮美術史硏究』
    윤희순 열화당 [2001]
  • 『朝鮮 美術史 硏究-민족미술에 대한 斷想』
    윤희순 열화당 [2001]
  • 『日本美術館The Art Museum of Japan』
    [1997]
  • 『日本産業經濟新聞』
    7 . 25 . [1951]
  • 『天野三郞畵集』美術年鑑社
    [2009]
  • 『大阪讀書新聞』
    [1953]
  • 『內外タイムス』, 1968. 7.26.
  • 『光風會史』光風會史 編纂委員會
    [1994]
  • 『交差するまなざし : ヨ一ロッパと近代日本の美術』
    [1996]
  • 『一勞永樂』
    안동숙 강청 [1996]
  • 『Yves klein』
    [1995]
  • 『Malevich』
    [2003]
  • 『20세기의 한국미술』
    김영나 예경 [1998]
  • 「회화로 완성한 제주의 풍물시」
    김남수 『월간미술세계』 [1995]
  • 「화풍변화 거듭-고향으로 복귀」
    강경희 『한라일보』 [1993]
  • 「화폭에 담은 여름」
    변시지 『제주신문』 [1985]
  • 「호남화단의 중심에 선 색채 화가」
    전은자 『KBS제주 초대전 양인옥, 색 채의 연금술사』, 제주도립미술관, 2011 [2011]
  • 「현대미술의 동향」
    변시지 『일본 국제 Times』 [1957]
  • 「향토화가가 그리는 제주의 여름풍경」
    변시지 『제민일보』 [1993]
  • 「해방전 오사카미술학교의 조선인 유학생들의 실태와 귀국 후 행방에 대 하여」
    김지영 제32집 [2016]
  • 「해방기-1948) 월북미술가 연구」
    신수경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박사학 위논문, 2015 [1945]
  • 「한국미술사에 있어서 근대성의 논의」
    정형민 『미술사학연구』211호, pp. 57-86 [1996]
  • 「한국미술사 시대구분의 문제」
    권영필 『한국사의 시대구분에 관한 연구』,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1, pp. 41-67 [1995]
  • 「한국근대서양화의 도입과 전개 및 특성에 관한 연구--1945」
    이준기 대구대 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1910]
  • 「한국근대미술사의 특성과 변모: 한국 근대미술사연구를 위한 몇가지 노 트」
    윤범모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994]
  • 「한국근대미술 년대 기점 시론」
    김현숙 『한국근대미술사학』제2집. 1995. pp. 6-37 [1920]
  • 「한국근대기의 여성인물화에 나타난 여성이미지」
    구정화 『한국근대미술사학』제 27집, pp. 105-141 [2001]
  • 「한국근대 미술에서의 나혜석 회화 연구」
    박현숙 경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 문 [2007]
  • 「한국 근대미술의 특성과 변모-한국 근대 수묵화의 한 단면」
    허영환 『미술사 학』8, pp. 21-28 [1994]
  • 「한국 근대미술의 정체성을 추구한 동연사에 관한 연구」
    문위정 홍익대학교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4]
  • 「한국 근대미술에서의 동양주의 연구-서양화단을 중심으로」
    김현숙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한국 근대미술 속의 동경제국미술학교 출신 화가들 : 白牛會와 白牛會 活動」
    박서운숙 『삼성미술관연구논문집』제2집 [2001]
  • 「한. 중 근대회화의 일본 화풍 수용 비교론」
    한정희 『강좌미술사』9호, 1997. pp. 117-145 [1997]
  • 「풍토의 미」
    변시지 『신동아』 6월호 [1976]
  • 「풍토와 예술-변시지화백의 제주풍경」
    오광수 『제1회 변시지 학술세미나』 [2016]
  • 「풍속도」
    이기형 『한라일보사』 [1990]
  • 「폭풍의 화가, 변시지를 만나다」
    황인선 『논객닷컴 연재』, -2018 [2017]
  • 「폭풍의 화가 변시지」
    내고향 이사람 10:58 [#REF!]
  • 「폭풍의 바다에 서다-변시지」
    Tentra123 28:41 특별기획 김유정의 탐라순력도
  • 「폭풍 속에 걸어가는 등이 휜 사내의 뒨모습」
    김순이 『우성변시지화업 50년화 집』, 도서출판 우석 [1992]
  • 「탐라 풍물담아 전시할 미술관 건립에 앞장」
    채영미 『선데이 서울』 [1996]
  • 「초가와 말」
    변시지 『제주신문』 [1981]
  • 「청계 정종여의 해방기 작품과 활동」, 『미술사학보』, 47호, pp. 55-79. 하수봉, 「박수근 회화의 표현기법 연구」
    신수경 명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2016]
  • 「짙은 외로움과 고뇌 화폭마다 배어났다」
    고대경 『제민일보』, 95. 11. 18
  • 「지역문화-특성 살려 활성화 할 때」
    변시지 『동아일보』 [1990]
  • 「조선미술전람회 창설에 대하여」
    이중희 『한국근대미술사학』제3집, pp. 94-146 [1996]
  • 「조선미술전람회 제도에 관한 연구」
    정호진 『미술사학연구』205, pp. 21-48 [1995]
  • 「제주의 빛」
    서종택 『시간의 춤』, 열린 글터 [1999]
  • 「제주와의 만남은 운명이었다」
    김용삼 『월간조선』 [1995]
  • 「제주문화를 이끈다」
    장혜정 『제주신문』 [1990]
  • 「제주도에 귀착한 이색예술」
    이구열 『東亞日報』 [1984]
  • 「제주, 그 영원한 주제를 한평생 그려왔다」
    고대경 『제민일보』, 95. 11. 11
  • 「제주 특유의 삶 화폭에 물씬」
    이창우 『동아일보』 [1991]
  • 「제국미술학교의 조선인 유학생들-1945)」
    전혜숙 『한국근대미술사학』11, 2003. pp. 39-75 [1929]
  • 「제4회 유화 회고전」
    조병화 『경향신문』 [1958]
  • 「전통미술의 수용과 전개」
    윤범모 『한국미술평론가협회 앤솔로지 2집』, pp. 5-35 [1985]
  • 「재일한국인 문제의 기원」
    문경수 ??동아시아연구논총?? 9, pp. 179-198 [1998]
  • 「재일제주인:역사와 전망」
    김동전 ??재일 제주인 삶과 역사??, 제주대학교 재일제 주인센터, pp. 148-153 [2014]
  • 「장발의 생애와 작품활동에 관한 연구 가톨릭 성화를 중심으로」
    조윤경 서울대 학교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0]
  • 「자연지향 구도자적 명상」
    고대경 『제민일보』 [1995]
  • 「일제하 서양화가의 서울방문과 작가 활동」
    윤범모 『한국근대미술사학』제13집 [2004]
  • 「일제하 박물관의 형성과 의미」
    목수현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일제시대의 재조선 일본인 화가 연구」
    김주영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일제시대 동아시아 관전에서의 지방색-조선미술전람회를 중심으로」
    김현숙 『한국근대미술사학』제12집, pp. 45-93 [2004]
  • 「일제시대 ‘조선향토색’ 논의와 회화작품의 제 경향」
    박계리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 「일본 근대미술사학계의 동향(History of Japanese Modern Art)」
    김영나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3, pp. 81-85 [1991]
  • 「일본 근대문학과 미술에서의 풍경의 발견사의 논쟁을 중심으로」
    최유경 『일본 연구』, pp. 293-310 [2012]
  • 「이카이노이야기(猪飼野物 語)의 제주 여성」
    장안순 ??일어일문학연구?? 제67집, pp.299-320 [2008]
  • 「이카이노(猪飼野)’의 재현을 통해 본 재일 코리안 디아스포라 공 간의 로컬리티」
    문재원 박수경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pp. 125-165 [2011]
  • 「이응노 회화 연구」
    김학량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이여름 나의 구상(構想)」
    변시지 『제주신문』 [1975]
  • 「이당미술의 진수 다시본다」
    『경향신문』 면 기사 [1992]
  • 「이달의 전시회: 오광수-비원파 언급」
    오광수 『신동아』 [1977]
  • 「의도된 民族性, 官展 臺灣鄕土色 硏究」
    박계리 『美術史論壇』제13호, pp. 65-106 [2001]
  • 「유화 붓질의 리듬과 센스」
    이흥우 『삶과 꿈』 [1999]
  • 「우즈베크공 독립 2주년 축제 한국미술 1백 92점 소개」
    정장연 『주간 조선』, 93. 10. 21
  • 「우리다운 것이 세계를 이기는 길」
    고대경 『제민일보』 [1995]
  • 「오지호 회화연구-<남향집>에 대한 재검토를 중심으로」
    홍윤리 명지대학교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여름을 간다」
    변시지 『제주신문』 [1983]
  • 「숙명의 제주 바다를 그려왔다」
    고대경 『제민일보』 [1995]
  • 「섬 풍광 화폭에 담는 탐라 화백 변시지」
    한우석 『동아일보』 [1990]
  • 「서화협회연구」
    민용석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2]
  • 「서양화가 변시지의 삶과 예술」
    고대경 『제민일보』 [1995]
  • 「서귀포풍경」
    변시지 『신동아』, , 7월호 [1975]
  • 「서귀포와 변시지 화백의 예술」
    변시지 『서귀포시』 [2013]
  • 「삼다도 풍물 형상화, 제주 변시지 화백」
    이시헌 『동아일보』 [1985]
  • 「빛과 바람의 순례자, 화가 변시지」
    KBS 송년특집 다큐멘터리 (51:44) KBS 방송 , 2008. 01. 02 [2007]
  • 「빛과 바람속 고독한 삶의 모습」
    고대경 『월간미술』, 95. 12
  • 「빛과 바람 속 고독한 삶의 모습」
    고대경 『월간미술』 [1995]
  • 「비원반도지」
    변시지 『신동아』, , 6월호 [1971]
  • 「변시지지상갤러리6 <귀로95>」
    고대경 『제민일보』, 95. 11. 15
  • 「변시지지상갤러리5 <기다림93>」
    고대경 『제민일보』, 95. 11. 14
  • 「변시지지상갤러리4 <태풍95>」
    고대경 『제민일보』, 95. 11. 13
  • 「변시지의 제주풍경 연작에 대한 연구」
    고희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4]
  • 「변시지의 예술」
    오광수 『우성 변시지 화집-삶과 예술』 [1986]
  • 「변시지의 근작-격랑의 구도」
    오광수 『우성 변시지 화집』 [1986]
  • 「변시지」
    23:28
  • 「변시지 지상 갤러리3 <태풍94>」
    고대경 『제민일보』, 95. 11. 10
  • 「변시지 지상 갤러리2 <해촌>」
    고대경 『제민일보』, 95. 11. 9
  • 「변시지 지상 갤러리1 <기다림>」
    고대경 『제민일보』, 95. 11. 8
  • 「변시지 예술에 나타난 의미 해석」
    김유정 『제1회 변시지 학술세미나』 [2016]
  • 「변시지 연보」
    서종택 『예술과 풍토』, 열화당 [1988]
  • 「박생광 화풍 연구-말기작품을 중심으로」
    배정하 동방문화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미국만국박람회에서의 일본: 일본 신화 만들기와 문화정책」
    조은영 『미술사학 보』 제18호, pp. 75-102 [2002]
  • 「문화산책(文化散策)」
    『제주신문』 [1981]
  • 「무거운 분위기에 금욕적 색채 특징」
    신항섭 『경향신문』 [1993]
  • 「메이지 미술과 일본의 ‘근대’: 메이지 미술회를 중심으로」
    오윤정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pp. 128-161 [2018]
  • 「동양근대미술의 제문제」
    이성미 『한국미술사 교육학회』9집, pp. 5-22 [1995]
  • 「동경미술학과 조선인 유학생 연구 - 년~1945년 서양화과 졸업생을 중심으로」
    홍성미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4 [1909]
  • 「대교약졸의 도가미학적 연구」
    마승재 『충남대유학연구소』, pp. 353-371 [2019]
  • 「논란 속의 근대성 : 한국 근대 시각미술에 재현된 '신여성'」
    김영나 『미술사와 시각문화』, 제2호, pp. 8-37 [2003]
  • 「노화가」
    김시태 『제주신문』 [1979]
  • 「노란색에 담은 제주의 원초적 풍경」
    차기대 『한겨레신문』 [1995]
  • 「년도 한국 근현대예술사 구술 채록연구 시리즈 41」
    이인범 『변시지』, 한 국문화예술 진흥원, 2005 [2004]
  • 「년대 한국 전통화단의 새로운 경향과 일본 화풍」
    강민기 홍익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1989 [1920]
  • 「년대 한국 전통화단의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김성희 『근대 한국미술논 총-청여 이구열 선생 회갑기념 논문집』, 학고재, 1992 [1920]
  • 「년대 이후 한국 현대미술에 관한 사회학적 논의: 브르디외(Pierre Bourdieu)의 ‘자본’ 개념을 활용한 사회구조적 분석」
    전영백 『미술사 연구』23, 2009. pp. 397-445 [1960]
  • 「내가 보낸 여름」
    변시지 『제남신문』 [1978]
  • 「나의 제주생활-작가노트」
    변시지 『검은 바다 변시지』, 롯데갤러리, 2010 [1993]
  • 「꿈꾸는 삶은 아름답다」
    변시지 『삶과 꿈』 [1998]
  • 「김환기작」
    『조선일보』 [1936]
  • 「김환기의 <종달새노래할때>에서 <항아리와여인들>(1951)」
    문정희 『미 술사논단』34, 2012 [1935]
  • 「김환기 회화의 진위감식 연구」
    김인아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김환기 작품세계의 전환과정 연구」
    김명숙 명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2013]
  • 「기당미술관 가을 경취 물씬」
    고대경 『제민일보』, , 9. 18 [1995]
  • 「근대 한국 양화의 도입과 전개 및 특성에 관한 연구--1945년」
    김복기 대구 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910]
  • 「그의 삶 그의 꿈 ‘폭풍의 화가 변시지를 아시지요」
    정일근 『삶과 꿈』 [2009]
  • 「고희동의 《양류관음도((楊柳觀音圖)》와 역사화-구로다세이키의 《옛이야 기》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최유경 『일본학연구』제46호, p. 311-334 [2015]
  • 「경성일보미술기사자료집1」
    『조선미술전람회』, 한국미술연구소 [2014]
  • 「검은 서정(抒情)-변시지의 제주 풍화집에서」
    이수익 『현대시』 [1990]
  • 「韓國 博物館制度의 起源과 性格」
    이인범 『美術史論壇』제14호, pp. 35-65 [2002]
  • 「靑年?家金煥基君 二科展에 初入選」
    『東亞日報』 [1935]
  • 「近代 轉換期 韓國畵風의 日本畵 유입과 수용」
    강민기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4]
  • 「第二會 宇城時志作品展」, 『內外タイムス』,1951. 7. 26.
    7 . 26
  • 「現代美術 の 動機」, 『國際外信』, 1957. 9. 27.
  • 「朝鮮美術展覽會의 官展 樣式」
    김현숙 『한국근대미술사학』제15집, pp. 155-184 [2005]
  • 「朝鮮人 最初の 日展 洋? 初入選」, 『日本...新聞』, 1947. 9.
  • 「大邱査仁星君 帝展에 入選 금년 十九세의 고학생으로 天才的 그 前途洋洋」
    『매일신보』 [1932]
  • 「光輝彬彬, 一幅의 畵-조선화가의 처음 얻는 명예」
    『매일신보』 [1916]
  • 「以堂 金殷鎬와 後素會」
    김형순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7]
  • 「三一文化賞, 受賞者의 얼굴들」
    『東亞日報』 [1968]
  • 「’박람회’라는 전시공간: 년 시카고 만국박람회와 조선관전시」
    김영나 『서양 미술사학회』, 제13호, 2000. pp. 75-111 [1983]
  • 「The Noble Ethos of Korean Artist Byun Shi Ji」
    『기당미술관』 [2005]
  • 「KBS 한국 현대사 증언 tv 자서전 25회 -바람의 화가 변시지」
    (KBS 방송 [2011]
  • 「-1940년대 한국 동양화가의 일본화풍-일본화풍의 전개와 수용」
    강민기 『미 술사논단』(제29호), 2009. pp.223-248 [1930]
  • K.해리스(오병남외1 역), 『현대미술-그 철학적 의미』
    서광사 [1988]
  • A.리샤르, 『미술비평의 역사』
    열화당 [1979]
  • A,노이마이어(이경희 역), 『현대미술의 의미를 찾아서』
    열화당 [1989]
  • ?조양규와 송영옥?재일화가의 민족의식과 분단조국?, ??
    윤범모 한국 근현대 미술사 학?? 제18호, pp. 120-136 [2007]
  • ?조선중기 제주유민 실태와 사회적 지위 변화?, ??
    장혜련 역사와 경계??, 제69집, pp. 167-205 [2008]
  • ?년대 부산지역 미술의 경향?, ??
    김미정 한국근현대미술사학??, 제22호, 2011. pp.213-235 [1950]
  • ?년대 부산미술의 향토적 표현에 관한 연구 ? 토벽회를 중심으로?, ??
    송만용 예술연구?? 제1호, 1996. pp. 35-55 [1950]
  • ?근대 제주지역 지식인의 외부세계 소통과 활동?, ??
    김동전 역사민속학?? 제27호, pp. 63-92 [2008]
  • ?개항이후(1876~ 일본 어업의 제주도 진출?, ??
    박찬식 역사와 경계?? 제68집, 2008. pp. 147-176 [1910]
  • ?大阪에朝鮮人十八萬留學生五千三百?, ??
    東亞日報?? [1934]
  • ??혼을 담은 색의 화가 윤재우??
    광주시립미술관 [2010]
  • ??폭풍의 화가 변시지』
    제주섬 문화축제 초대전 [2001]
  • ??코리아 디아스포라??
    윤인진 고려출판부 [2005]
  • ??분단의 경계를 허무는 두 자이니치의 망향가??
    김남일 현실문화연구 [2007]
  • ??부산의 작고 작가6 김윤민??
    부산시립미술관 [2011]
  • ??부산의 작고 작가3 임호??
    부산시립미술관 [2010]
  • ??변시지 폭풍, 갈수 없는 곳, 나를 따르지 마라』
    KBS제주방송총국 [2010]
  • ??백영수 회화 70년??
    광주시립미술관 [2012]
  • ??검은바다 변시지??
    롯데갤러리 [2010]
  • ? 田 ?
    [2007]
  • (김정혜?박정이 역), 「작가 후기」, ??이카이노 이야기??
    원수일 새미 [2006]
  • (강관식 역), 『중국회화이론사』
    갈로 돌베개 [2010]
  • (강관식 역), 『동양화 구도론』
    왕백민 미진사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