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신라 횡혈식석실묘의 수용과 전개 = The Acceptance of the Stone Chamber Tombs and their Spread

황종현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신라 횡혈식석실묘의 수용과 전개 = The Acceptance of the Stone Chamber Tombs and their Spread'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다양성
  • 문화적 선택
  • 사회적 전략
  • 수용
  • 신라
  • 왕경
  • 지방
  • 확산
  • 횡혈식석실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589 0

0.0%

' 신라 횡혈식석실묘의 수용과 전개 = The Acceptance of the Stone Chamber Tombs and their Spread' 의 참고문헌

  •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撫順市博物館 遼寧撫順市施家墓地發掘簡報 考 · , 2007, 「 」『 古』2007-10.
  • 洛東江 中流 東岸의 古墳築造集團에 대한 硏究
    윤천수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횡혈식 횡구식석실분의 봉분 조성 방식 검토-백제와 주변세계
    홍보식 진인진 [2012]
  • 호우총, 은령총의 구조와 성격
    김용성 호우총 은령총 발굴 60주년 기념 심포지엄, 국립중앙박물관 [2006]
  • 한성기 횡혈식석실분의 출현과 전개-동아시아 고분문화와 백제 왕릉의 위상
    조가영 백제역사유적 국제학술회의.백제학회.한성백제박물관. [2018]
  • 한반도 남부와 일본열도에서 횡혈식석실묘의 수용 양상과 배경
    김낙중 한국고고학보85, 한국고고학회 [2012]
  • 한강유역 횡혈식석실분의 계통과 축조유형
    김지현 경북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17]
  • 한강유역 신라고분의 현황과 특징 연구
    皇甫慶 文化史學 27號, 한국 문화사학회. [2007]
  • 한강유역 신라고분의 전개과정
    김진영 백산학회, 白山學報 第79號 [2008]
  • 한강유역 신라 석실묘의 구조와 성격
    김진영 先史와古代 제27호, 한국고대학회 [2007]
  • 하남 감일동고분군의 석실구조와 축조집단 - 백제고분군의 위상
    박신영 하남역사박물관,하남 역사정체성 찾기 학술대회 [2019]
  • 하남 감일동고분군의 석실구조와 축조집단 - 백제고분군의 위상
    성정용 하남역사박물관,하남 역사정체성 찾기 학술대회 [2019]
  • 하남 감일동 백제고분군의 위상-감일동 고분군 출토유물의 성격과 편년 직구호를 중심으로
    한지선 하남역사박물관 하남 역사정체성 찾기 학술대회. [2019]
  • 포항지역 횡혈식석실묘의 성격과 그 의미
    황종현 韓國上古史學報 第81號, 한국상고사학회 [2013]
  • 포항지역 목관묘와 목곽묘 성격- 흥해지역을 중심으로
    신영애 포항의 역사와 문화 학술대회자료집 [2017]
  • 포항중성리비를 통해 본 麻立干 시기 신라의 분쟁처리 절차와 六部 체제의 운영
    노중국 한국고대사연구59, 한국고대사학회 [2010]
  • 포항 중성리신라비의 발견과 그 의의 냉수리비의 재음미를 겸하여-신발견 포항 중성리 신라비에 대한 역사학적 고찰
    이문기 포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고대학회 [2009]
  • 평안남도 대동군 화성리 쌍곽분 정리보고
    과학원 및 민속학연구소 고고학 자료집 제1집, 과학원출판사 [1958]
  • 평성시 지경동 고구려무덤 발굴보고
    박창수 조선고고연구 제4호,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1986]
  • 통일신라의 장묘제
    홍보식 통일신라시대 고고학, 제28회 한국고고학 전국대회 한국고고학회 [2004]
  • 통일신라시대 토기의 연구현황과 과제
    尹相悳 통일신라시대 고고학 제28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한국고고학회 [2004]
  • 토기로 본 동천동 고분군의 편년과 제양상- 경주 동천동 고분군의 조사 성과와 과제
    이동헌 한국문화재재단 [2019]
  • 탑평리유적과 신라 충주 탑평리유적의 발굴과 그 의의
    황인호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13]
  • 충주지역 신라 석실묘의 구조와 계보
    오재진 연구논문집 제4호, 중앙문화재연구원 [2008]
  • 충주지역 누암리 하구암리 고분의 위계분석
    김종구 신라사학보40, 신라사학회 [2017]
  • 초기 고대국가의 국가구조와 정치운영- 부체제론을 중심으로
    노태돈 한국고대사연구17, 한국고대사학회 [2000]
  • 지표조사보고서 『忠州 下九岩里古墳群』
  • 지표조사 및 발굴조사보고서 『忠州 樓岩里古墳群』
  • 중부지역에서 백제와 고구려 석실묘의 확산과 그 의미- 횡혈식석실분의 수용과 고구려 사회의 변화
    성정용 동북아역사재단 [2009]
  • 중국고고학 수.당.주
    제동방 사회평론 [2012]
  • 중국 당대 황제릉 연구
    유향양 추교순 서경문화사 [2012]
  • 조영 E -1호 축조 및 유물 부장에 대하여-압독국 최초의 돌방무덤 조영 E -1호분 Ⅱ
    김대욱 경산시립박물관 [2014]
  • 장제와 묘제를 통해 본 가야와 중국 남조.경남의 가야고분과 동아시아
    권오영 학연문화사 [2011]
  • 임당유적을 통해 본 경산지역 고대 정치체의 형성과 변천
    장용석 야외고고학 제3호,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07]
  • 임당유적 원삼국시대 목관묘 임당의 고분과 생활유적
    김수남 韓國上古史學會 35編, 학연문화사 [2000]
  • 임당 고총에서 확인된 가족 순장 고대 인골 연구와 압독국 사람들
    김대욱 영남대학교박물관 [2019]
  • 일제강점기의 신라고분조사연구에 대한 검토
    차순철 文化財 제39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 일제강점기 고고학조사와그 성격(日帝强占期 考古學調査와 그 性格)
    이성주 제21회 영남고고학회 학술발표회 [2012]
  • 일제 강점기 경주 신라고분의 발굴조사
    吉井秀夫 신라고분 발굴조사 100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6]
  • 일본인의 신라고분 조사
    김용성 先史와古代 제33호, 한국고대학회 [2010]
  • 이강래 역, 삼국사기
    김부식 한길사 [2011]
  • 의성지역 금공위세품의 제작기법과 연대 한국고대사 속의 召文國
    이한상 경북 의성군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원. [2010]
  • 의성 금성산고분군 무덤 형식의 기원과 전개
    김희철 의성 금성산고분군 의성조문국박물관, 재 성림문화재연구원 [2015]
  • 의 와 에 관한 , 百濟 橫穴式石室墓 型式分類 對外傳播 硏究 博物
    홍보식 館硏究論叢 釜山直轄市立博物館 [1993]
  • 의 새 신라고고학의 제문皇南大塚雙墳 積石木槨墳硏究 指標
    이종선 한국고고학회 [1996]
  • 영남 동해안 지역의 신라 토기문화 4~6세기- 영남 동해안 지역의 문화와 사회
    이한상 동북아역사재단 [2009]
  • 영남 동해안 지역의 삼국시대 고분문화-4~6세기 영남 동해안 지역의 문화와 사회
    홍보식 동북아역사재단 [2009]
  • 영남 동해안 지역의 농경 및 어로 문화 4~6세기 영남 동해안 지역의 문화와 사회
    金在弘 동북아역사재단 [2009]
  • 신라후기양식토기의 편년
    崔秉鉉 嶺南考古學59, 영남고고학회 [2011]
  • 신라의 횡혈식석실묘 보급과 그 의미 동아시아 고분문화와 백제 왕릉의 위상
    황종현 백제역사유적 국제학술회의 백제학회 한성백제박물관. [2018]
  • 신라의 화장묘 수용과 전개
    홍보식 韓國上古史學報 第58號, 한국상고사학회. [2007]
  • 신라의 진출과 의미 한국고대사탐구
    皇甫慶 安城地域 25, 한국고대사탐구회. [2017]
  • 신라의 至都盧葛文王 한국고대사
    윤진석 攝政55, 韓國古代史硏究 학회 [2009]
  • 신라왕도의 범위에 대하여
    김용성 新羅文化 28집,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6]
  • 신라고총과 고총체계의 관점
    김용성 嶺南考古學70, 영남고고학회 [2014]
  • 신라고분 발굴조사 100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술심포지엄.
  • 신라 철제 무기로 본 동해안 고분 축조 집단의 군사적 성격 -4~6세기 영남 동해안 지역의 문화와 사회
    우병철 동북아역사재단 [2009]
  • 신라 적석목곽분의 연구와 금관총
    박광열 考古學志제20집, 국립중앙박물관 [2014]
  • 신라 왕릉의 새로운 비정
    강재현 야외고고학 제15호,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2]
  • 신라 왕릉의 새로운 비정
    김용성 야외고고학 제15호,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2]
  • 신라 왕경 6부의 경계에 대한 연구
    박성현 大邱史學 第134輯, 대구사학회 [2019]
  • 신라 십이지신장상 호석 능묘의 변천
    김용성 韓國古代史探究22, 한국고대사탐구회 [2012]
  • 신라 석실분 수용의 사회 문화적 배경과 문화
    김선주 韓國思想 第54輯,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 신라 문화 연구-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皇甫慶 주류성 [2009]
  • 신라 대장식구의 전개와 의미
    김도영 한국고고학보107, 한국고고학회 [2018]
  • 신라 능원의 의의
    김용성 民族文化論叢제53집,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3]
  • 석촌동 고분군의 축조 양상 검토-고분 분포를 중심으로
    조가영 韓國上古史學報 第75號, 한국상고사학회 [2012]
  • 서울 방이동고분군 3호분의 구조와 편년 교류와 교통의 고고학
    윤정현 제43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한국고고학회 [2019]
  • 새로운 신라사회의 출현과 6세기 금석문과 신라사 연구의 진전
    주보돈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한국고대사학회 [2018]
  • 삼국유사
    일연 을유문화사 [2014]
  • 북사리 호묘 대금구의 연대와 제작지 파악
    김재열 박세은 천마고고연구 1회 정기발표회 자료집 [2010]
  • 백제고분군의 위상
    하남역사박물관 하남 역사정체성 찾기 학술대회
  • 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 긴급발굴조사보고 Ⅲ
  • 무덤연구의 새로운 시각
    권오영 제51회 역사학대회 한국고고학회 [2008]
  • 목탄과 인골의 탄소연대측정치가 지시하는 방이동 3호분의 연대 교류와 교통의 고고학
    성기석 제43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한국고고학회 [2019]
  • 목탄과 인골의 탄소연대측정치가 지시하는 방이동 3호분의 연대 교류와 교통의 고고학
    김명진 제43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한국고고학회 [2019]
  • 동해안지역의 5~6세기대 신라분묘 확산양상
    이한상 嶺南考古學32, 영남고고학회. [2003]
  • 동해안지역 신라고분에 대한 연구
    손정미 영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덕업일신 망라사방의 표방- 신라의 체제정비와 영토확장
    박성현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 경상북도 [2016]
  • 대련리고분군 수습조사보고서, 2015, 경주 황성동 590 번지 유적
  • 대련리고분군 수습조사보고서, 2010b, 『포항 국도대체우회도로 유강 대련 건설구간내』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文化遺蹟發掘調査報告書 自明里 鶴田里 大蓮里遺蹟 [2010]
  • 대련리고분군 수습조사보고서, 『JCT 대구 포항간 고속도로 연일 건설공사구간 내 포항 대련리 유적』
  • 대련리고분군 수습조사보고서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浦項 』 [2000]
  • 대련리고분군 수습조사보고서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 Ⅰ Ⅲ』 浦項 鶴川里遺蹟發掘調査報告書 [2002]
  • 대련리고분군 수습조사보고서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達成 汶山里 古墳群 地區 『 Ⅰ 』 [2004]
  • 대련리고분군 수습조사보고서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浦項市 虎洞 埋立場 擴張敷地 內 浦項 虎洞 『 쓰레기 遺蹟Ⅰ Ⅰ 』 ( ) 지구 [2005]
  • 대련리고분군 수습조사보고서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浦項 江沙里 『遺蹟 』 [2007]
  • 대련리고분군 수습조사보고서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 Ⅱ 』 浦項 大甫里遺蹟 [2009]
  • 대련리고분군 수습조사보고서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浦項 南松里 遺蹟』 Ⅱ Ⅲ [2011]
  • 대구 지역 고대의 형성과 변천
    이희준 政治體 嶺南考古學 第26號, 嶺南考古學會. [2000]
  • 달성지역 삼국시대 성곽의 검토-달성의 유적과 유물 흙에서 찾은 달성의 역사
    조효식 달성군.경북대학교박물관 [2015]
  • 김권구 역, 2006, 과거읽기 최근의 고고학 해석방법들
    허트슨 스코트 호더 이안 학연문화사 [2006]
  • 금성산고분군 출토 신라 장신구의 특징-의성 금성산고분군의 역사적 가치와 특수성 검토
    김재열 의성 금성산고분군 사적지정을 위한 학술대회 [2018]
  • 궐수형철기를 통해 본 진.변한 정치체의 상호작용 대등정치체 상호작용 모델의 적용(peer polity interaction model)
    禹炳喆 金玟澈 韓國上古史學報 第65號 , 한국상고사학회 [2009]
  • 과 의 서울 경기권 편년수립 漢城百濟期 聚落 土器遺物群 變遷樣相 을 위하여
    한지선 中央考古硏究 第12號, 中央文化財硏究院 [2013]
  • 고분으로 본 신라의 장송의례와 그 변혁
    김용성 中央考古硏究 第15號 中央文化財硏究院 [2014]
  • 고대사회 의성의 향방 의성 금성산고분군의 역사적 가치와 특수성 검토
    주보돈 의성 금성산고분군 사적지정을 위한 학술대회 [2018]
  • 고대 압독국 사람들의 DNA 분석 - 고대 인골연구와 압독국 사람들
    정충원 영남대학교박물관 [2019]
  • 고대 압독국 사람 뼈 집단의 생물인류학적 특성 복원-고대 인골 연구와 압독국 사람들
    우은진 영남대학교박물관 [2019]
  • 고대 경주 지역의 홍수 가능성과 인간 활동
    황상일 대한지리학회지 제42권 제6호, 대한지리학회 [2007]
  • 고구려 횡혈식석실분의 매장 프로세스- 횡혈식 석실분의 수용과 고구려 사회의 변화
    권오영 동북아역사재단 [2009]
  • 고고학으로 본 신라의 한강유역 지배방식
    홍보식 百濟硏究 제50집,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9]
  • 고고자료로 본 신라의 강릉지역 진출
    심현용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고고자료로 본 신라육부의 범위와 성격
    조성윤 新羅六部 제2호, 신라문화유산연구 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18]
  • 경주지역 횡혈식석실묘 연구
    박진혜 考古廣場 제15호, 釜山考古學會 [2014]
  • 경주지역 횡혈식 석실의 등장과 전개
    이혜정 嶺南考古學 第67號, 嶺南考古學會. [2013]
  • 경주지역 신라 횡혈식석실분의 계층성과 고분 구조의 변천
    崔秉鉉 한국고고학보, 한국고고학회 83 [2012]
  • 경주시 용강동 82번지 석실분 발굴조사보고 Ⅳ
  • 경주 황성동지역 삼국시대 석실분에 대하여
    최순조 신라문화유산연구 제2호, 재 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18]
  • 경주 충효동고분군의 조영시기와 계통
    주홍규 古文化94,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9]
  • 경주 충효동고분군 발굴조사보고의 해제 및 조사성과 검토
    주홍규 漢 江考古』14, 한강문화재연구원 [2018]
  • 경주 율동 산 3-14번지 유적 2107년도 소규모 발굴 조사 보고서
  • 경주 율동 산 2-6번지 단독주택 신축부지 내 유적 국비지원 발굴조사 약보고서
  •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형성과정과 신라 마립간기 왕릉의 배치
    崔秉鉉 한국고고학보 90, 한국고고학회 [2014]
  • 경주 용강동 239-2번지 유적 2016년도 소규모 발굴 조사 보고서
  • 경주 신라 횡혈식석실분 출토 기와의 주인공 문제
    조성윤 경주문화 19호, 경주문화원 [2013]
  • 경주 신당리 산 7번지 내 1호 석실분
    계림문화재연구원 高麗文化財硏究院 漣川 江內里遺蹟 [2013]
  • 경주 보문동 고분군 축조집단에 대한 검토
    차순철 慶州文化硏究 第7輯, 慶州大學校 文化財硏究所 [2005]
  • 경주 보문동 338번지 유적 2013년도 소규모 발굴조사 보고서
    한국문화재보호재단 경북 Ⅸ - 2-311 [2015]
  • 경주 동천동 산13-2번지 유적 승삼마을 진입로 확 , 2013a, - 『포장공사구간-』
  • 경주 동천동 373번지 단독주택 신축부지 내 문화유적 소규모 국비지원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 경주 동천동 343-4번지 일원 공동주택 신축부지 내 「 유적 매장문화재 정밀발굴조사 약보고서」
  • 경산지역 석실묘의 전개양상
    김대욱 嶺南考古學 41, 영남고고학회 [2007]
  • 경산시립박물관 압독국 최초의 돌방무덤 조영 호분 , 2014, E -1 『 Ⅱ 』
  • 경산 지역 고대 정치체의 성립과 변천
    이희준 嶺南考古學 第34號, 嶺南考古學會. [2004]
  • 강원 영동지방의 신라화에 대한 검토, 강원고고학의 새로운 쟁점과 시각
    박수영 2009년 강원고고학회 추계학술대회 [2009]
  • 가야지역 횡혈식석실의 출현배경: 묘제 변화의 제측면에 대한 예비고찰
    山本孝文 百濟硏究 34,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1]
  • 가야 횡혈식석실의 성립과 전개
    김준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龍 慶山 林堂遺蹟 新羅 古墳 殉葬者 身分 硏究 出土 人骨 미토콘드리아 DNA 中心으로
    河大龍 한국고고학보 79, 한국고고학회 [2011]
  • 齊藤忠 慶州 於 忠孝里盜掘古墳 調査 昭和十一年度古蹟調査報 , 1937, 「 」『 に ける の 告 朝鮮總督府 』 .
  • 金冠塚 被葬者 性格의 再考
    尹相悳 考古學志 제22집, 국립중앙박물관 [2016]
  • 達城지역의 고분문화 횡혈식석실을 중심으로-달성의 유적과 유물 흙에서 찾은 달성의 역사
    이재환 달성군.경북대학교박물관 [2015]
  • 趙東湜 燕岐 松院里 百濟 漢城期 古墳群 第 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發 , 2008, 32 「 」 表要旨 韓國考古學會 , .
  • 裝身具 5~6世紀 昌寧地域의 政治的 動向로 본 한국고대사 속의 창녕
    이한상 창녕군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원 [2009]
  • 藤井和夫 慶州古新羅古墳編年試案 神奈川考古 , 1979, 6. 「 」『 』
  • 聖林文化財硏究院 浦項 烏島里 新羅墓群 , 2008, 『 』
  • 考古資料 6~7世紀 新羅로 본 漢江流域의 支配
    李承勳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義城 大里里 古墳群
    [2016]
  • 統一新羅 開始期 印花紋土器 曆年代의 資料 確保를 위하여
    이동헌 한국고고학보81, 한국고고학회 [2011]
  • 皇南大塚 論爭 可能性을 둘러싼 또 하나의 황금의 나라 신라의 왕릉 황남대총
    咸舜燮 국립중앙박물관 [2010]
  • 百濟初期古墳에 대한 再考
    金元龍 歷史學報62 [1974]
  • 百濟 橫穴式石室墳의 展開過程에 대하여
    강현숙 韓國考古學報 34, 한국고고학회 [1996]
  • 漢陽大學校博物館 二聖山城三次發掘調査報告書 , 1991, 『 』
    [1991]
  • 漢江流域 新羅古墳 硏究 :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김진영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漢城地域 百濟 橫穴式石室墓 硏究-서울 방이동 가락동 석실묘를 중심으로
    李賢淑 百濟學報 제10호, 백제학회 [2013]
  • 浦項 大覺里 遺蹟
    [2009]
  • 江南地域 石室墳 性格 新羅 地方石室墳 硏究
    崔秉鉉 숭실사학 10. 숭실대학교 사학과 [1997]
  • 樹枝形立華飾冠의 系統
    박보현 嶺南考古學4, 영남고고학회 [1987]
  • 林堂地域 高塚 成立 展開 韓國의 과 임당의 고분과 생활유적
    김용성 上古史學會 編, 학연문화사 [2000]
  • 東 潮 高句麗考古學硏究 吉川弘文館 , 1997, . 『 』
    [1997]
  • 朝鮮總督府 大正五年度古蹟調査報告書 , 1916a, 『 』
  • 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
    [1942]
  • 朝鮮古蹟圖譜 五
  • 朝鮮古蹟圖譜 三
  • 有光敎一 慶州忠孝里石室古墳調査報告 昭和七年度古蹟調査報告 第二 , 1937, 「 」『 』 冊 朝鮮總督府 , .
  • 曺永鉉 新羅 加耶 橫口 橫穴式石室墳 月刊 考古學 , 2000, 7, 「 ? ? 」『 』 の シャナル NO461.
  • 普門洞合葬墳 築造年代의 慶州 普門洞合葬墳
    尹相悳 국립경주박물관 [2011]
  • 昭和二年度古蹟調査報告
    [1935]
  • 昭和七年度古蹟調査報告 第二冊310
    [1937]
  • 昌寧地域의 新羅高塚과 그 意義
    김용성 新羅史學報제22호, 신라사학회 [2011]
  • 日帝强占期 慶州地域 橫穴式 石室墳에 調査 대하여- 일제강점기 고고학조사와 그 성격
    尹相悳 제21회 영남고고학회 학술발표회 [2012]
  • 新羅의 垂飾附耳飾과 系統 變遷
    金宇大 한국고고학보89, 한국고고학회 [2013]
  • 新羅王陵 再檢討 古墳硏究 (1)
    강인구 학연문화사 [2000]
  • 新羅後期樣式土器 統一樣式土器 硏究
    홍보식 伽耶考古學論叢,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3 [2000]
  • 新羅 王京 古墳 石室墓: 신라 왕경의 구조와 체계의 분포와 체계 변화 출현기를 중심으로
    김대환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27,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6]
  • 新羅 漢江流域 領域化 過程의 硏究
    尹星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7]
  • 新羅 橫穴式石室墳 硏究 慶州地域과 漢江流域의 比較
    金昊鎭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新羅 橫穴式 石室 硏究-慶州 周邊地域 中心으로
    이혜정 동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新羅 樹枝形帶冠 展開過程 硏究
    咸舜燮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 新羅 智證의 卽位過程에 대한 硏究
    박성천 慶州文化硏究 第6輯, 경주대학교 문화재연구소 [2003]
  • 新羅 初期 石室墳 樣相 新羅 地方石室墳 硏究 韓國考 의의
    崔秉鉉 古學報 44, 한국고고학회 [2001]
  • 新羅 中古期의 村制 成立과 地方社會構造
    金在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文化公報部 慶州皇吾里第一 三三?皇南里第一五一?古墳發掘調査報告 , 1969, · 『 』
  • 慶州西岳地域 地表調査報告書
  • 慶州芳內里古墳群 출토유물
  • 慶州芳內里古墳群 본문
  • 慶州地域 古墳調査 硏究
    김대환 이청규 類學硏究 제10집,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연구회. [2000]
  • 慶州三陵石室古墳 傳神德王陵
    朴日薰 美術資料8, 국립박물관 [1963]
  • 慶州 龍江洞 園池遺蹟 發掘調査 고고학을 통해 본 가야
    김재철 하진호 제23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한국고고학회 [1999]
  • 慶州 花谷里 生産遺蹟
    [2012]
  • 慶州 花谷遺蹟 出土 기와의 需給과 歷史的 意味
    이동주 嶺南考古學 第67號, 嶺南考古學會 [2013]
  • 慶州 皇南大塚의 曆年代와 新羅 陵園의 形成過程
    박천수 新羅文化47,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6]
  • 慶州 東川洞 산 13-2번지 일원 승삼마을 진입로 확 포장공사구간 내 유적 출토에 대한 경주 동천동 산 13-2번지 유적 37 號墓 耳飾 檢討」『 - - ( ) . 승삼마을 진입로 확 포장공사구간
    이한상 계림문화재연구원 [2013]
  • 慶州 出土 新羅 編年 평기와의 試案
    조성윤 경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慶山地域 古墳 裝身具의 硏究
    김재열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慶山 林堂地域 橫穴式 橫口式石室墳의 임당의 고분과 생활유적
    李漢周 학연문화사韓國上古史學會 編 [2000]
  •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 造永 號墳- E -1 Ⅱ
  •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 造永 地域 - 1B -, Ⅲ
  •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 林堂 號墳- 5 6, Ⅶ
  • 慶北大學校博物館 義城郡 鶴尾里古墳 ? 『 』 , 2002,
  • 慶北大學校博物館 大邱 花園 城山里 號墳 , 2003, 1 『 』
  • 尹武炳 朴日薰 慶州 西岳里 石室墳 發掘調査 考古學 韓國考古學會 ? 「 」『 』 , 1968, 1, .
  • 尙州 靑里 6~7世紀 石室墳에 대한 硏究
    김진형 慶州大學校 大學院 석사학위논문 [2007]
  • 大邱 旭水洞古墳群 石室墓의 검토 6~7세기 영남지방의 고고학
    황종현 제10회 영남고고학회 학술발표회 [2001]
  • 大正六年度古蹟調査報告書
    [1920]
  • 土器 大邱에 의한 慶山地域의 古代墳墓 編年
    김용성 韓國考古學報 35, 韓國考古學會 [1996]
  • 國立慶州博物館 慶州市 文化遺蹟分布地圖 慶州市 ? 『 』 , 2008, - -
  • 唐式 帶裝飾具-한반도의 전개와 의미
    崔正凡 한국고고학보 106, 한국고고학회. [2018]
  •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吉林集安高句麗墓葬報告集 科學出版社 , 2009, . 『 』
  • 召文國 支配勢力 학미리고분군과 조문국의 친족집단 변화의 과
    홍보식 親族集團,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의성조문국박물관. [2014]
  • 古墳文化 嶺南地域 를 통해 본 6~7세기대의 사회변화을 중심으로
    홍보식 韓國古代史論叢, 韓國古代社會硏究所 7 [1994]
  • 南韓地域 高句麗古墳 構造特徵 歷史的 意味
    崔鍾澤 한국고고학보 81, 한국고고학회 [2012]
  • 伊藤秋男 韓國慶州古墳群 石室墳 編年 古代文化 , 1973,「 」『 』 にわける の について 25-11.
  • 今西龍 大正五年度 古蹟調査報告 古蹟調査報告 朝鮮總督府 , 1916, . 「 」『 』
  • 乾川休憩所新築敷地 發掘調査報告書
  • 中部內陸高速道路 忠州區間 文化遺蹟 試 發掘調査 報
    한국문화재보호재단 『告書 學術調査報告書 第103冊 』 [2001]
  • 中部內陸高速道路 忠州區間 文化遺蹟 發掘調査 報告
    한국문화재보호재단 『書 學術調査報告書 第111冊 』 [2001]
  • 中央文化財硏究院 忠州 下九岩里遺蹟 , 2010, 『 』
  • 三國時代의 玄風地域 土器 地域相
    박천수 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20, 周年 紀念論叢 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 [2000]
  • 三國時代 慶山地域 積石木槨墓 硏究
    길가은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三國時代 律令의 考古學的 硏究
    山本孝文 서경문화사 [2006]
  • 『驪州 梅龍里遺蹟』
  • 『驪州 梅龍里 山 古墳群 發掘調査報告書 4-25 번지』
  • 『梁山金鳥塚 夫婦塚』
  • 『하남감일 공공주택지구 내 문화재 발굴 시굴 조사 약 보고서』
  • 『일제강점기 신라고분 발굴조사관련 자료집』
  • 『여주 상리 매룡리고분군 정밀지표조사보고서』
  • 『여주 상리 고분 년도 발굴조사 보고서(94~97)』
  • 『여주 매룡리 용강골고분군 발굴보고서』
  • 『여주 매룡리 용강골고분군 발굴보고서Ⅱ』
  • 『신라왕릉』
  • 『신라고분 환경조사 분석보고서 』
  • 『신라고분 기초학술조사연구 Ⅰ~ Ⅳ』
  • 『달성 쌍계리 유적Ⅰ~Ⅲ』
  • 『달성 성하리 유적Ⅰ~Ⅵ』
  • 『냉수리고분 』
  • 『교내 학생복지관부지유적Ⅰ』
  • 『경주 조전리 율동 유적』
  • 『경주 장산고분군 분포 및 측량조사보고서』 上 下
  • 『경주 율동 산 3번지 일원 전원주택 신축부지 내 문화재 지표조사 보고서』
  • 『경주 율동 산 2-19번지 유적 2016년도 소규모 발 굴조사 보고서ⅩⅢ』
    금오문화재연구원 한국문화재재단 [2018]
  • 『경주 소현리 유적 Ⅰ』
  • 『경주 사라리 525번지 유적』
  • 『경주 금관총 발굴조사 보고서 국역 』
  • 『陜川苧浦里 地區遺蹟 E』
  • 『達城 舌化里古墳群 Ⅱ』
  • 『義城郡 文化遺蹟 地表調査 報告』
  • 『燕岐 松潭里 松院里 遺蹟』
  • 『浦項 龍興洞 新羅墓』
  • 『浦項 仁德洞遺蹟 포항 철강공단 냉천간 도로개설 예정구간 발굴조사 보고서』
  • 『浦項 仁德山遺蹟 포항 인덕산 절취공사 제 1공구 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 『新羅六部體制硏究』
    전덕재 일조각 [1996]
  • 『文字 』 로 본 新羅
  • 『憲康王陵補修收拾調査報告書 』
  • 『慶州龍江洞苑池遺蹟』
  • 『慶州龍江洞古墳 發掘調査報告書』
    문화재연구소 문화재연구소 [1990]
  • 『慶州隍城洞石室墳 』
  • 『慶州地區 古墳發掘調査報告書 第2輯』
  • 『慶州 路西洞 雙床塚 馬塚 一三八號墳 調査報告』
  • 『慶州 龍江洞 古墳群 番地 遺蹟 』-229 225 224 -
  • 『慶州 龍江洞 古墳群 Ⅰ, Ⅱ』
  • 『慶州 芳內里 古墳群 』
  • 『慶州 牟粱 芳內里 都市遺蹟』
  • 『慶州 東川洞遺蹟 發掘調査報告書』
  • 『慶州 望星里古墳群 栗洞古墳群 Ⅲ~Ⅳ』
  • 『慶州 普門洞合葬墳』
  • 『慶山 林堂遺蹟』
  • 『尙州 新興里古墳群』
  • 『中原 樓岩里 古墳群』
  • 『中原 樓岩里 古墳群 發掘調査報告書』
  • 『中原 樓岩里 古墳群 發掘調査報告書』
  • 『1994 국립경주박물관연보』
  • 『 신라고분 정밀측량 및 분포조사 연구보고서』
  • 『 達城 城下里 遺蹟Ⅰ』
  • 「흥해우회 국도건설공사구간 내 유적 매장문화재 발굴 조사 약식 보고서」
  • 「현풍지역 삼국시대 석곽묘 연구」
    강승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한성시기 백제 횡혈식석실분의 수용」
    김기범 『百濟硏究』 40,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4]
  • 「한강 유역 횡혈식 석실분의 성격: 여주 지역을 중심으로」
    강봉원 『先史와古代』 제15호, 한국고대학회 [2000]
  • 「하남 금암산 고분군 학술발굴조사 약식보고서」
  • 「하남 금암산 고분군 정비사업부지 내 문화재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 「하남 감일동 백제고분군의 발굴조사 개요와 성과」
    강태홍 『백제고분군의 위상 하남역사박물관 하남 역사정체성 찾기 학술대회. 』 [2019]
  •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 진입도로 개설공사부지 내 유 적 발굴조사 구역 자문회의 자료집 (2 ) 」
  • 「포항시 마산리 149-4번지 유적 2011년도 소규모 발굴조사 보고서」
    한국문화재보호재단 『경북 Ⅸ 』 [2013]
  • 「포항 중성리 신라비 고찰」
    한국고대사학회 제113회 한국고대사학회 정기 발표회 자료집. [2010]
  • 「임당 고총 동물부장 연구: 조류 부장 양상을 중심으로」
    고은별 『한국고고학보』106, 한국고고학회 [2018]
  • 「고속국도 제29호선 성남~구리 건설공사구간 구간 내 문화유적 1차 발굴조사 약보고서」(2)
  • 「고속국도 제29호선 성남~구리 건설공사구간 구간 내 문화유적 1차 발굴조사 약보고서」(1)
  • 「고구려의 돌칸흙무덤」, 『조선고고학전(1) 중세편 진인진』 30- 7
  • 「경주 율동 산 2-18번지 소규모 유적 2016년도 발굴조사 보고서」
    서라벌문화재연구원 한국문화재재단 [2018]
  • 「경주 동천동 354번지 유적 2011년도 소규모 발굴조사 보고서」
    한국문화재보호재단 『경북 Ⅶ 』 [2013]
  • 「경산지식산업지구 진입도로 개설공사부지 내 구역( 2) 」
    화랑문화재연구원 소월리유물산포지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 [2019]
  • 「경산 대동57-1번지 유적」
    진흥문화재연구원 『2015년도 소규모 발굴 조사 보고서14 - 2-』, 경북 한국문화재재단 [2017]
  • 「蠶室地區遺蹟發掘調査報告」
    蠶室地區遺蹟發掘調査團 『韓國考古學報』3, 한국고고학회. [1977]
  • 「蠶室地區遺蹟發掘調査報告」
    蠶室地區遺蹟發掘調査團 『韓國考古學報』 4, 한국고고학회. [1978]
  • 「浦項 中城里新羅碑 」 발견기념 학술심포지엄.
  • 「新羅古墳硏究에 있어서의 몇 가지 補正」
    강인구 『先史와古代』 1, 한국고대학회 [1991]
  • 「慶州龍江洞石室墳發掘調査」
    문화재관리국 『한국미술』 제94호 , 考古美術 사학회. [1967]
  • 「慶州普門洞古墳發掘調査」
    문화재관리국 『한국미술』제101호, 考古美術 사학회. [1969]
  • 「6세기 금석문과 신라사회」
    한국고대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8]
  • 「 제2호 迎日郡 冷水里 興谷里 一帶 地表調査 年報 」
  • Ⅱ 永川 華南里 新羅墓群 石室墓
    [2013]
  • [13] 崔新建(2004), "文化認同及其根源”, 北京師範大學學報, Vol.4
  • E -2 - 「 Ⅱ 」『 ⅩⅢ 조영 호 출토 철기 검토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 造 永 號墳 嶺南大學校博物館 E -2 - . Ⅱ 』
    황종현 [2016]
  • E -1 - 「 Ⅱ 」『 ? 조영 호분 출토철기 고찰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 造永 E -1 . Ⅱ 』 號墳 嶺南大學校博物館
    황종현 [2015]
  • E - 「 Ⅲ 」『 ? 경산 조영 호분 출토 철기 고찰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 造永 號墳 嶺南大學校博物館 E -4 . Ⅲ 』
    황종현 [2014]
  • 906-5 慶州 隍城洞 石室墳 番地
  • 8세기 신라의 불교사상과 문화
    정병삼 新羅文化 25,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5]
  • 7세기 후반 신라불교의 사상적 경향
    정병삼 불교문화연구 제9호, 불교학연구회. [2004]
  • 7세기 초 신라 고분 출토 바둑알과 그 의미
    이희준 嶺南學 제24호,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3]
  • 6世紀 新羅 地方統治體制 整備過程, 韓國 古代社會地方支配
    주보돈 신서원 [1997]
  • 6~7세기 경주지역 신라토기 편년 한반도 고대문화 속의 울릉도 토기문화
    尹相悳 동북아역사재단 [2010]
  • 6~7세기 新羅土器 相對編年 試論
    尹相悳 韓國考古學報 45, 한국고고학회 [2001]
  • 6~7세기 小金剛山 일대의 집단묘역 형성과 그 배경
    방용철 新羅史學 25호, 신라사학회 [2012]
  • 5~6세기 중엽 新羅 漢江流域 高句麗와의 관계-신라의 진출과 관련하여
    주보돈 北方史論叢11호, 동북아역사재단 [2006]
  • 5~6세기 의성지역 고분의 특성과 의의의 한국고대사 속의 의성군
    이재환 高塚召文國,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0]
  • 5~6세기 신라의 慶山地域 政治體 冠
    김재열 新羅史學報 제20호, 신 라사학회 [2010]
  • 5~6世紀 新羅의 邊境支配方式
    이한상 韓國史論,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95]
  • 4~6세기 신라의 동해안 지역 진출과 지방 지배 방식- 4~6세기 영남 동해안 지역의 문화와 사회
    홍승우 동북아역사재단 [2009]
  • 4~5세기 신라 고분 피장자의 服飾品 着裝 定型
    이희준 韓國考古學報 第47輯 ,한국고고학회 [2002]
  • 1917a , 大正五年度古蹟調査報告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