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성폭력범죄 피해자 보호제도에 관한 법적 연구

백영화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성폭력범죄 피해자 보호제도에 관한 법적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사법제도 및 소송법
  • 성폭력범죄
  • 성폭력범죄 피해자 보호제도
  • 성폭력범죄피해자
  • 성희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32 0

0.0%

' 성폭력범죄 피해자 보호제도에 관한 법적 연구' 의 참고문헌

  • 히라라기토키오 저, 조균석 역, 「일본 형사소송법」
    박영사 [2012]
  • 형사정책
    김일수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3]
  • 형사소송법, 그 독자적인 법 목적에 대한 이해”
    홍영기 「저스티스」, 제100 호 [2007]
  • 형사소송법(제11판)
    이재상 조균석 박영사 [2017]
  • 형사소송법
    임동규 법문사 [2018]
  • 형법강의, 법문사, 「형법학」(제3판)
    박상기 집현재, 2016 [2010]
  • 형법각론
    김성돈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6]
  • 형법각론
    임 웅 법문사 [2017]
  • 현대형법학 제1권 –이론과 방법 -
    안성조 경인문화사 [2011]
  • 헌법재판법
    신 평 법문사 [2011]
  • 헌법소송법, 박영사, 헌법학원론
    정종섭 박영사, 2009 [2017]
  •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성폭력범죄 구성요건 정비를 위한 입법정책 연구, 연구총서 (10-28), 박미숙/김은경/김성돈, , 한국 형사입법의 방향과 쟁점에 관한 연구 - 형사입법의현황분석 및 합리적 형사입법을 위한 제언, 한국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4-AA-01, 탁희성, 김대근, 김유근
    김성돈, 2014 [2010]
  • 한국성폭력상담소부설연구소 울림, 한국여성의전화
    성폭력 역고소 피해자 지원을 위한 안내서 [2017]
  • 특별형법
    이주원 홍문사 [2016]
  • 치안정책연구소, 「각국의 성폭력범죄에 대한 대응방안 비교 관찰을 통한」 우리 경찰의 수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모색, -00 책임연구보고서
    정신교, 2013 [2013]
  • 직장성희롱에 대한 형사법적 대응
    김용우 국회사무처 법제실 [2001]
  • 제어, 바브 토우즈, 변종필역, 「회복적 정의의 비판적 쟁점」
    하워드 한국형사정 책연구원 [2015]
  • 역, (宮澤浩一 著) 「피해자학입문」
    장규원 길안사 [1999]
  • 여성가족부, 년 전국성폭력실태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7 [2016]
  • 성폭력 수사에 있어 이차피해과정: 남성경찰관을 중심으로
    양난미 이명신 「여성연구」, 제83권 2호 [2012]
  • 서울신문(2017. 6. 19), “국정기획위 “형사공공변호인 제도 2019년부터 단계적 도입” ”,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61950012 9#csidx8ea0acb3c8bfd6bbe407bed992c37b5(검색일:2019. 10. 15)
    [2017]
  • 서울신문 (2018. 4. 14), “3개월 새 성폭력 역 고소 20건…‘피해자 압박’ 소송 거는 가해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 LSD&mid=sec &oid=081&aid=0002907770&sid1=001 (검색일: 2019. 11.11 )
    [2018]
  • 비동의간음죄 신설 및 형법상 성폭력관련법 체계 검토, 제20차 젠더와 입법포럼
    장다혜 여성정책연구원(미발간) [2018]
  • 법제처, 입법학에 관한 선진 외국의 연구결과 분석과 정책적 활용방안
    배병호 외 2인 [2010]
  • 법적 개념, 여성과 사회 제 9호
    성희롱의 오정진 한국여성 연구소 [1998]
  • 법원행정처
    증인지원업무매뉴얼 [2017]
  • 법무연수원
    범죄백서 [2018]
  • 법무부, 전자감독제도 운영 효과성 분석, 온나라정책연구, 김대진, 최천훈, “성범죄자 신상정보제도의 조직 및 인력 운영 개선 방안 연구” – 외국의 신상정보 제도 운영 사례 중심으로 - , 2017년 법무부 연구용역 보고서
    조윤오, 2017 [2017]
  • 범죄피해자보호기금의 재정건전성 개선을 위한 연구, 「피해자학 연구」, 제24권 제1호
    이정민 조홍종 한국피해자학회 [2016]
  • 범죄심리학
    이상현 박영사 [2002]
  • 디지털 성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 지원 방안 연구
    국회여성가족위원회 연구기관 한국여성변호사회 [2018]
  • 대법원 사법정책연구원, 영국의 양형기준제도 –양형기준제도의 법령 및 현황 -,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총서 -07
    변지영, 2015 [2015]
  • 대검찰청, 성폭력, 가정폭력, 아동폭력 사건 관련 각국의 법제 및 양형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을 통한 국내 양형 등에 관한 개선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박형관, , 즉결심판제도의 문제점 및 경미 사건 처리 특별절차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이진국, 2015 [2015]
  • 대검찰청
    범죄분석, 2018 [2018]
  • 김규남, “성폭력범죄의 실태와 형사사법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07.
    김규남 “성폭력범죄의 실태와 형사사법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07]
  • 국회의안정보시스템,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X1W6R1S 2L2M0P1I4V5B2N2B3I2J4Y7(검색일: 2019. 10. 20.)
    [2019]
  • 국회의안정보시스템,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 Z1F8S0Y3V0Y8U1Q0V3U0L0B6Q3C3C7(검색일: 2019. 11. 20.)
    [2019]
  • 국회의안정보시스템,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 X1W6R1S2L2M0P1I4V5B2N2B3I2J4Y7(검색일: 209. 10. 11.) 대한법률구조공단, 한국여성변호사회.
  • 국회의안정보시스템,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 X1W6R1S2L2M0P1I4V5B2N2B3I2J4Y7(검색일: 2019. 10. 15.)
    [2019]
  • 국회의안정보시스템,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 V1G8U0H3P2P8R1G5H2C1H2D0X9Y6E1(검색일: 2019. 11. 15.)
    [2019]
  • 공역,『Klaus Volk의 독일 형사소송법』
    김환수 박영사 [2009]
  • 경찰청, 피해지원주요단체, http://www.police.go.kr/portal/main/contents.do?menuNo=200-811# (검색일:2019. 10. 20.)
    [2019]
  • 경찰청, 경찰통계자료, 5대범죄발생·검거현황 중 성폭력부분. https://www.police.go.kr/portal/main/contents.do?menuNo=2005492019, (검색일:2019. 11. 11.)
    [2005]
  • 경찰청
    경찰범죄통계 [2017]
  • 黑川智, “犯罪搜査規範の改正について”, 警察學論集52-8, 1999.
  • 高橋則夫, “ドイツの被害者政策”, 現代のエスプリ : 犯罪被害者の權利と對策 336, 1995.
  • 金子 章, “公訴時効制度の存在理由についての一考察―公訴時効制度の見直しをめ ぐる近時の議論を契機として―”, 横浜国際経済法学 第19卷 第3号, 横浜国 際経済法学会, 2011.
  • 野井祏一, “英國の犯罪被害者支援政策と警察の關わり: その發展過程と現狀”, 「警 察學論集」53-3, 2000.
  • 辻脇葉子, “被害者保護と合衆國「性暴力法」改革の現狀”, 「明治大學短期大學紀 要」, 明治大學短期大學, 2002.9.
  • 諸澤英道, “國際被害者學硏究會”, 「ジュリスト」595號, 有斐閣, 1975. , 「被害者の
  • 藤本哲也, 「刑事政策槪論」, 靑林書院, 2003. “犯罪散步道”, 「戶籍時報」, 2005.
  • 福田ますみ, “性犯罪者の再犯防止策についての私論”, 「The Japanese journal of collection」, 矯正協會, 2005.
  • 白取祐二, 刑事訴訟法(第6版), 日本評論社, 2010.
  • 甲斐行夫, “刑事手續における犯罪被害者等の保護に關する從前の法整備等の狀況 と立法的課題”, 「ジュリスト」, 1999.9.
  • 甲斐行夫, “刑事手續における犯罪被害者等の保護に關する從前の法整備等の狀況 と 立法的 課題”, 「ジュリスト」, 1999.
  • 田野尻猛, “被害者等に對する出所情報通知の實施について”, 「刑政」112-4, 2001.
  • 田口守一, “證人尋問の新な形態の導入”, 「現代刑事法」2-11, 2000.
  • 牛山數, “犯罪被害者等基本法の槪要”, 「法律のひろば」, 2005.
  • 深町晋也/渡邊卓也, 性犯罪規制の現代的課題, 札幌学院大学総合研究所 BOOKLET No.10, 2017.
  • 河村博, “犯罪被害者保護關連二法の趣旨と槪要”, 「現代刑事法」2-11, 2000.
  • 水谷規男, 被害者參加人の代理人弁護士は何をすゐゑべき がき, 「刑事弁護 No, 57」, 2009.
  • 權利と對策」, 現代のエスプリ(犯罪被害者その權利と對策), 至文堂, 1995.
  • 橫田信之, “被害者と量刑(2)”, 「判例タイムズ」(第1273号), 2008.9.15.
  • 橋本牧子, “性犯罪に關するコミュニテイ․エデュケーション: 米國の例”,「罪と罰」, 日本刑事政策硏究會, 2006.3.
  • 椎橋隆幸/高橋則夫, 川出敏裕, 「わかりやす犯罪被害者保護制度」, 有斐閣, 2001.
  • 椎橋隆幸(譯)/Erez, Edna(著), “量刑手續への被害者の參加; 量刑の結果そして被害 者の福祉”, 「犯罪被害者と刑事司法」, 成文堂, 1995.
  • 板垣喜代子, “性暴力被害者に二次被害をもたらす要因の硏究”, 「Japanese Journal of Victimology」, 日本被害者學會, 2001.3.
  • 松尾浩也編著, 「逐條解說犯罪被害者保護二法」, 有斐閣, 2001.
  • 松宮孝明, “性犯罪における構成要件論的辯護”, 「刑事辯護」, 現代人文社, 2003.
  • 村井敏邦, “刑事司法における被害者”, 「刑法雜誌」 第40卷第2号, 2001.
  • 日本法務省, 「2003 犯罪白書」, 日本: 法務省, 2003.
  • 新室澾之, “刑事手續への被害者參加”, 「犯罪被害者の硏究」7, 1996. , “刑事節次に おける情報提供”, 「法律時報」第71卷第10号, 日本評論社, 1999.
  • 新垣剛, “ビデオリンク方式による尋問”, 「刑事辯護」, 現代文化史, 2003.
  • 指宿信, “性犯罪における手續的問題點”,「刑事辯護」, 現代人文社, 2003.
  • 影山任佐, “フランスの性犯罪: 最近の動向とその對策”, 「犯罪學雜誌」,日本犯罪學 會, 2006.2.
  • 川出敏裕, “犯罪被害者の刑事手續への參加”, 「Jurist」, 有斐閣, 2005.12.
  • 岩本朗, “强姦․强制わいせつ”, 「刑事辯護」, 現代人文社, 2003.
  • 宮澤浩一,“被害者學の現況”, 「被害者學硏究」創刊號, 日本被害者學會, 1992.
  • 宮澤浩一, 田口守一/高橋則夫, 「犯罪被害者の硏究」, 成文堂, 1996.
  • 宮澤浩一, 國松孝次, 「犯罪被害者對策の現況」, 東京法令出版, 2000.
  • 宮澤浩一, “被害者學の現況”, 「被害者學硏究」創刊號, 1992. , “被害者學入門23”, 搜査硏究558, 1998.「犯罪被害者支援の意義」, 大谷實外編, 東京法令出 版, 2000.
  • 宮澤浩一, “ドイツにおける被害者支援について”, 警察學論集 54-57, 2007.
  • 守山正, “イギリス性犯罪對策の槪要”, 「Crime and delinquency」, 日立みらい財 團, 2006.9.
  • 奧村正雄, “犯罪被害者に對する經濟的支援”, 「現代刑事法」第10号, 2000.
  • 失野惠美, “スウェーデンにおける性犯罪對策-性犯罪規定․性犯罪者對策․被害者對 策の觀點から-”, 「Crime and delinquency」, 日立みらい財團, 2006.9.
  • 太田達也, “被害者に對する情報提供の現況と課題”, 「ジュリスト」, 第1163号, 1999.
  • 大谷直人外, “犯罪被害者の保護”, 「ジュリスト」, 2000.4.
  • 大谷實/齊藤政治, 「犯罪被害者給付制度」, 東京: 有斐閣, 1982.
  • 大谷實, 「被害者の補償」, 學陽書房, 1977.
  • 大月晶代, “犯罪被害者の情報と報道のあり方”, 「レフアレンス」, 2006.
  • 垣剛, “ビデオリンク方式による尋問”, 「刑事辯護」, 現代文化社, 2003.
  • 坪井祐子, “被害者․關係者․第3者の落ち度が量刑に及ぼす影響”, 「判例タイムズ」 (第1223号), 2007.
  • 四方光/黑川浩一“公共の安全-性犯罪者に對する英國の法的對應-”,「警察學論 集」, 立花書房, 2006.10.
  • 吉村眞性, “刑事手續における被害者參加論”, 「被害者學硏究」第19号, 日本被害者 學會, 2009.3.
  • 加藤克佳, “刑事訴訟における犯罪被害者の保護”, 「夏目文雄先生古稀記念論文 集」, 中央日本敎育文化會, 2000.1.
  • 加藤克佳, “刑事訴訟における犯罪被害者の保護”, 「夏目文雄先生古稀記念論文 集」, 中央日本敎 育文化會, 2000.
  • 加藤俊治, “性犯罪に対処するための「刑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の概要”, 刑事 法ジャナール 第53号, 成文堂, 2017.
  • 作田明, “小兒性愛者の犯罪と更生”, 「新しい犯罪心理學」, 世論時報社, 2005.,
  • 佐久間修, “性暴力をめぐる諸問題”, 「警察學論集」, 立花書房, 2005.
  • 三井誠/酒卷匡, 入門刑事手續法(第4版), 有斐閣, 2007.
  • 『헌법학원론』
    권영성 법문사 [2010]
  • 「형사화해제도:법제와 운용실무」
    박광섭 윤민석 충남대학교 출판부 [2007]
  • 「형사조정실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 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절차상 피해자참여 운영현황과 개 선방안:피해자참여제도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박미숙 이진국 연구총서 15-AA-12,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5 [2016]
  • 「형사정책과 사법개혁에 관한 조사․연구 및 평가(Ⅲ)-개정 형사소송법에 대한 평가」
  • 「형사정책과 사법개혁에 관한 조사 연구 및 평가(Ⅲ):개정, 형사 소송법에 대한 평가연구」, 연구총서 09-23
    박미숙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9]
  • 「형사정책」
    신양균 정영석 법문사 [1999]
  • 「형사소송법」, 홍문사, 법무부, 「개정 형사소송법」, 2007. 법무부인권국, 「외국의 범죄피해자 인권」, 법무부인권지원과, 2009. 법원행정처, 「형사소송법 개정법률 해설」
  • 「형사소송법」
    강동욱 황문규 오래 [2013]
  • 「형사소송법」
    신양균 법문사 [2004]
  • 「형사소송법」
    신현주 박영사 [2002]
  • 「형사소송법」
    이은모 박영사 [2012]
  • 「형사소송법」
    진계호 형설출판사 [2000]
  • 「형사소송법(제9판)」
    이재상 박영사 [2012]
  • 「형사소송법(제2판)」
    최영승 피엔씨미디어 [2013]
  • 「형사소송법 개정법률 해설」
    법원행정처 [2007]
  • 「형사사법절차에의 범죄피해자 참여 실질화 방안」
    도중진 박광섭 국회입법조 사처 [2013]
  • 「형사사법절차상 성폭력 피해자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성폭 력 2차 피해 상담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성폭력상담소 [2003]
  • 「형사법의 성편향」
    조 국 박영사 [2004]
  • 「형사법개정연구(Ⅳ)-자유형제도의 정비방안」
    이승훈 한국형사정책연구 [2009]
  • 「형법학연구」
    권문택 박영사 [1985]
  • 「형법총론」, 홍문사, ,「형법각론」
    배종대 홍문사, 2006 [2008]
  • 「형법총론」, 삼지원, 「형법각론」
    박광민 정성근 삼지원, 2006 [2008]
  • 「형법총론」, 박영사, 형법각론」
    김일수 서보학 박영사, 2007 [2006]
  • 「형법총론」, 박영사, 「형법각론」
    박상기 박영사, 2005 [2007]
  • 「형법총론」, 박영사, 「형법각론」
    이재상 박영사, 2009.「형사소송 [2007]
  • 「형법총론」, 박영사, ,「형법각론」, 박영사, 2005.「형사특별법 정 비방안(6)-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
    오영근 한국형사정책 연구원, 2008 [2006]
  • 「형법총론」
    임 웅 법문사 [2005]
  • 「형법총론(제9판)」
    신동운 법문사 [2015]
  • 「형법총론(제8판)」
    이재상 박영사 [2016]
  • 「형법각론」
    김일수 서보학 박영사, , 156면; 류병관,“형사절차상 성폭 력 피해자의 2차 피해자화 방지대책”,「법과 정책연구, 한국법정책학 회, 2006 [2007]
  • 「현대사회와 피해자」
    지광준 더썬 [2006]
  • 「헌법학개론」
    김철수 박영사 [2005]
  • 「한국헌법론(전정12판)」
    허 영 박영사 [2016]
  • 「피해자학」, 형설출판사, 김용세 류병관,「교정단계에서 회복적 사법의 가능성」
    김용세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06-21-09, 한국형 사정책연구원, 2006 [2012]
  • 「피해자학」
    허경미 박영사 [2011]
  • 「피해자학 강의」
    장규원 살림출판사 [2011]
  • 「피해자의견진술제도에 관한 연구」
    김지선 연구총서 08-07, 한국형사정책연 구원 [2008]
  • 「피해자의 책임성과 범죄피해자화이론」
    염건령 최영인 백산출판사 [2005]
  • 「프랑스 법령용어해설집」
    강현철 한국법제연구원 [2008]
  • 「청소년의성보호에관한법률 해설」
    청소년보호위원회 [2000]
  • 「증인신문 절차 및 기법에 관한 연구」
    김정환 김주석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총 서 -12, 대법원 사법정책연구원, 2016 [2016]
  • 「중장기 범죄피해자 보호지원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범죄피해 자에 대한 효과적 지원방안과 범죄피해자 보호기금의 효율적운영방안 연 구를 중심으로」, 법무부 용역과제
    오경식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11]
  • 「정책과정론」
    윤정길 법론사 [1991]
  • 「인권을 외치다」
    류은숙 푸른숲 [2009]
  • 「위험사회와 성폭력」
    심영희 나남출판 [1998]
  • 「여성 수사관제도 연구」
    박미숙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0]
  • 「양형에서 범죄피해자의 역할 제고방안」
    강석구 김재희 박광민 한국형사정 책연구원 [2009]
  • 「실무형사소송법Ⅰ」
    법원공무원교육원 [2013]
  • 「실무 형사소송법」
    김정한 북파일 [2012]
  • 「신형사소송법」
    신동운 법문사 [2014]
  • 「신형사소송법」
    박영사 박영사, 2008 [2005]
  • 「성폭력범죄의 유형과 재범억 제방안」
  • 「성폭력범죄 형사절차상 피해자보호」
    정현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9]
  • 「성폭력 아동을 위한 법률조력인 제도 도입방안」
    원혜욱 법무부 아동정책팀 보 고서, 법무부 [2011]
  • 「법원실무제요 형사(Ⅱ)」
    차한성 법원행정처 [2008]
  • 「법심리학」
    박광배 학지사 [2003]
  • 「범죄학」, 박영사, 「피해자학」
    이윤호 박영사, 2016 [2015]
  • 「범죄피해자학」, 백산서당, 여성특별위원회,「알기 쉬 운 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 「범죄피해자학」
    김용준 백산출판사 [2009]
  • 「범죄피해자와 인권」
    박광민 이상원 법무부인권국 [2008]
  • 「범죄피해자보호기금 재원 다양화 방안에 대한 연구」
    김상겸 조홍종 한국재 정학회 [2015]
  • 「범죄피해자대책론: 형사절차에서의 범죄피해자 보호」, 진리탐구, 「피해자학:범죄피해의 예방과 회복」
    김재민 청목출판사, 2012 [2006]
  • 「범죄피해자 지원전문가 양성방안 연구」
    강석구 형사정책연구원 [2013]
  • 「범죄피해자 지원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김은경 한국형사정책연 구원 [2014]
  • 「범죄피해자 보호방안」
    전수영 한국학술정보(주) [2009]
  • 「범죄피해자 보호 지원 의 이론과 실무 (기본교육)」
    최영신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5]
  • 「범죄피해자 보호 및 지원제도」
    강경래 송기오 한국형사정책연구원,서철원, 미국형법, 법원사, 2005 [2005]
  • 「범죄피해자 보호 및 지원 활성화 방안 연구」
    신원호 교육훈련과제 연구보고 서, 대검찰청 [2016]
  • 「범죄피해자 권리고지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서주연 연성진 법무부 인권구 조과 연구보고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5]
  • 「범죄와 권력남용 피해자에 관한 사법의 기본원칙」
    박종렬 최환석 (General Assembly,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theBasic Principles of Justice for Victims of Crime and the Abuse of Power : Resolution40/34 of 29, Nov [1985]
  • 「범죄심리학」
    홍성일 학지사 [2000]
  • 「범죄수사의 공정성과 인권보장 방안연구」
    서보학 연구보고서 -22, 치안 연구소, 2004 [2004]
  • 「범죄백서」
    법무연수원 [2013]
  • 「범죄 피해자 보호를 위한 피해자 전담경찰관의 역할」
    김학신 -08 책임 연구보고서, 치안정책연구소, 2015 [2015]
  • 「범죄 및 힘의 남용의 피해자를 위한 기본적 사법원리 선언의 적용을 위 한 피해자사법 핸드북」
    손 진 UN 마약통제 및 범죄예방 사무국범죄예방센터 [2008]
  • 「배상명령제도에 관한 연구」
    김정순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2015]
  • 「민사소송의 사실인정과 증인신문기법」
    이순동 진원사 [2009]
  • 「性犯罪の心理」, 河出書房新社, 2006.
  • “회복적사법이념의 경찰단계 구현방안”
    황태정 「범죄피해자보호와 경찰의 역할」,한국피해자학회 경찰청 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2016 [2016]
  • “회복적 사법의 개념과 활용가능성에 관한 소고”,「피해자학연구」, 제12권 제2호, 한국피해자학회, , 29면; 오영근,“범죄피해자보호 법의 효율적 시행방안”
    김용세 「형사정책연구」, 제18권 제3호, 한국형사 정책연구원, 2007 [2004]
  • “회복적 사법과 한국형사사법의 발전방향”
    박윤석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2011]
  • “형사화해제도 도입을 위한 입법론적 연구”
    김용세 도중진 박광섭 한국형사정 책연구원 [2001]
  • “형사피해자의 지위에 관한 소고”
    이용식 「피해자학연구」, 한국피해자학회 [2006]
  • “형사조정제도의 실효성 확보방안 연구”
    윤경희 장규원 「피해자학연구」제16 권 제2호, 한국피해자학회 [2008]
  • “형사조정의 새로운 이해”
    송길룡 「법조」, 제56권 제5호 통권 제608호, 법조 협회 [2007]
  • “형사절차에 있어서 피해자의 지위강화”
    송광섭 「피해자학연구」, 8권, 한국피 해자학회 [2000]
  • “형사절차에 있어서 성폭력범죄 피해자보호에 관한 연구”
    이동주 충남대학교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형사절차상 피해자의 지위”
    박정성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2004]
  • “형사절차상 범죄피해자의 권리보호 및 지원제도”
    김상길 박사학위논문, 대구가 톨릭대학교 [2008]
  • “형사절차상 범죄피해자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양경규 계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형사절차상 범죄피해자 권리보호에 관한 연구”
    김성진 「법과정책연구」,제4 권 제1호, 한국법정책학회 [2004]
  • “형사절차상 범죄피해자 권리보호에 관한 연구”
    장승일 「법학연구」, 제37집, 한국법학회 [2010]
  • “형사 절차상 피해자 및 증인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
    송희진 박사학위논문, 연세 대학교 [1999]
  • “형법상 음란행위의 음란성과 그 판단기준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혜진 비교 형사법연구 제11권 제1호,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09]
  • “현행법상 형사 피해자의 범위”
    박미숙 「피해자학연구」, 제12권 제2호, 한국 피해자학회 [2004]
  • “현행 형사조정제도에 대한 비판적 소고 :경찰수사단계에서의 형사 조정제도의 도입과 관련하여”
    박성철 「법학논문집」제34권 3호 [2010]
  • “헌법상 범죄피해자 구조청구권에 관한 연구”
    송인권 박사학위논문, 대전대학 교 [2000]
  • “한국의 형사조정: 회복적 사법 프로그램인가?”
    김용욱 「형사정책연구」,제19 권제2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8]
  • “한국 피해자학의 발전과 과제”
    김용세 「피해자학연구」제20권 2호 [2012]
  • “피해자학의 현대적 과제”
    박광섭 「공범론과 형사법의 제문제」下卷 (심경 정성근 교수 화갑기념 논문집) [1997]
  • “피해자학의 위치와 전망”
    오재환 「형사정책연구」제2권,한국형사정책연구 원 [1991]
  • “피해자학의 발전과 피해자보호의 최신동향”
    김용세 류병관 「피해자학연구」, 제10권 제1호, 한국피해자학회 [2002]
  • “피해자의 소송법적 지위”,「고시연구」, , ; 백형구,“범죄피해 자의 형사절차상 권리”
    이재상 「고시연구」, 1998 [1988]
  • “피해자의 소송법적 지위”, 「고시연구」, , “형사절차에서의 피해 자보호”
    이재상 「피해자학연구」창간호, 한국피해자학회, 1992 [1988]
  • “피해자변호인제도의 도입방안”
    김성돈 「피해자학연구」제10권 제2호, 한국피 해자학회 [2002]
  • “피해자변호인제도에 대한 고찰: 법률조력인제도를 중심으로”
    신서영 「중소기 업과 법」, 제4권 제2호,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 “진술 조력인 제도에 관한 소고”
    김원아 한영수 「형사정책연구원」, 제28권 2호 [2017]
  • “직장 내 성희롱에 관한 연구”
    정지원 「법원도서관 재판자료」 제118집, 노동법실무연구 [2009]
  • “직장 내 성희롱”
    김엘림 의 법적 개념과 판단기준, 노동법학 제32호, 한국노동 법학회 [2009]
  • “직장 내 성희롱 성폭력 사건처리 매뉴얼”
    여성가족부 [2018]
  • “재판에서의 회복적 사법의 현재와 미래”
    이영훈 「법학논집」, 제14권 제2호,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 “일본의 형사사법절차에서의 피해자의 지위”
    김보현 「국외훈련검사 연구논문 집」, 제26집, 법무연수원 [2011]
  • “일본의 피해자 참가제도와 형사재판의 변화”
    이정민 「피해자학연구」,제17권 제2호, 한국피해자학회 [2009]
  • “일본의 성범죄 처벌규정에 관한 형법개정에 대하여”
    김잔디 형사법의 신동향 통권 제59호, 대검찰청 [2018]
  • “일본의 범죄피해자지원 및 보호”
    강경래 「피해자학연구」, 제14권 제1호, 한 국 피해자학회 [2006]
  • “일본의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동향”
    강석구 「형사정책주요동향」가을 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8 [2008]
  • “우리나라의 범죄 피해자 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노상욱 박종렬 「법학연구」, 제33집, 한국법학회 [2009]
  • “우리나라 범죄피해자지원제도 개선방안 연구”
    전지연 차훈진 「한국범죄심리 연구」, 제9권 제1호 통권 제19호, 한국범죄심리학회 [2013]
  • “영국의 범죄피해자구조제도 : 법제도적 시사점”
    황태정 「형사법의 신동향」, 통권 48호, 대검찰청 [2015]
  • “영국 피해자학의 발전과정과 그 주요 동향”
    이경재 「피해자학연구」, 제6호, 한국피해자학회 [1998]
  • “영국 성폭력사범 위험성 관리체계”
    고민조 「형사정책연구소식」제98호 ,11/12월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6 [2006]
  • “여성에 대한 폭력 관련 서비스 연계방안”
    박영란 성폭력지원체계 확립을 위한 경찰간담회 [1999]
  • “언론에 의한 피해에 관한 소고 –명예훼손을 중심으로”
    박도희 「피해자학연 구」, 제14권 제1호, 한국피해자학회 [2006]
  • “아동 성범죄 방지를 위한 정책 제언 : '조두순 사건'에서 나타 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국회, , 성범죄 처벌법규의 체계 적정비방안
    국회입법조사처 국회입법조사처 정책보고서 제8호, 2012 [2009]
  • “수사 경찰의 피해자 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
    장규원 「한국공안행정학회 보」,제21호, 한국공안행정학회 [2005]
  • “소위 ‘몰래카메라’촬영 및 유포에 대한 형법적 규제에 관한 입법론적 연 구-비교법적 검토를 고려하여-”
    박희영 법제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6]
  • “성희롱의 형사처벌 문제”
    윤상민 「법과 정책연구」 제6집 제2호, 한국법정책 학회 [2006]
  • “성희롱 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규제”
    이수창 「형사법의 신동향」, 통권 제44호 [2014]
  • “성폭력피해자 지원체계 현황과 과제”
    최영애 「피해자학연구」제8호, 한국피 해자학회 [2000]
  • “성폭력특별법과 피해자 보호”,「한국공안행정학회보」,한국공안 행정학회, ,; 조국,「형사법의 성 편향」, 박영사, 2004,; 한인섭, “성폭력 특별법과 피해자보호”
    류병관 박수희 「인권과 정의」, 대한변호사협회, 1994 [2006]
  • “성폭력의 의미구성과 성적자기결정권의 딜레마”
    신상숙 한국여성연구소, 여성과 사회 [2001]
  • “성폭력의 법적문제와 대책”
    한인섭 한국인간발달학회, ⌜인간발달연구⌟ 제3권 제1호 사법학회 [1996]
  • “성폭력범죄의 행위태양에 관한 연구 –미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슬기 형사법의 신동향 통권 제38호, 대검찰청 [2013]
  • “성폭력범죄의 피해보호방안”, 「수사연구」, , “미국의 폭력적 범죄 피해여성에 대한 보호정책 연구”
    허경미 「피해자학연구」, 한국피해자학 회, 2006.4 [2001]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법정형의 문제점 및 개정방향 –제3조 제9조를 중심으로 -”
    김경락 형사법연구 제27권 제1호, 한국형사법학 회 [2015]
  • “성폭력범죄의 실태와 대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형사정책연구 제22권, 제 3호(통권 제87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최근 우리나라의 징벌주의 입법경향에 대한 비판”
    김태명 형사법연구 제24권제3호, 한국형사법학회, 2012 [2011]
  • “성폭력범죄 친고죄폐지의 비판적 검토”
    정신교 「법학연구」, 제16권 제3호, 한국법학회 [2016]
  • “성폭력범죄 처벌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동임 경상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 논문 [2007]
  • “성폭력범죄 처벌규정의 체계적 정비방안”
    이강민 법학논집 제21권 제4호, 이화 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 “성폭력범죄 공소시효 정지 및 연장을 위한 정책제언”
    국회법제사법위원회 한국성폭력상담소 [2008]
  • “성폭력과 성폭력 피해자 심리의 이해”
    조현빈 「한국범죄심리연구」제2권 제2 호 [2006]
  • “성폭력 피해자의 경험”
    공수자 이정숙 「한국정신간호학회지」제13권 제1호, 한국정신간호학회 [2004]
  • “성적 자기결정권의 형법적 의의와 기능”
    김성돈 법학논총 제34권 제2 호,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 “성적 강요죄(독일형법 제177조)의 기본적 구성요건성 - 강간죄 의 일부개정과 유사강간죄의 신설과 관련하여 -”
    신영호 최은하 형사법연구 제27권 제2호, 한국형사법학회 [2015]
  • “성범죄피해자의 실질적 권리보장에 관한 연구”
    정동식 [2006]
  • “성범죄피해자의 실질적 권리보장에 관한 연구-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 보호등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정동식 영남대 행정대학원 [2006]
  •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와 미국 메간법의 비교고찰”
    윤지영 정현미 「이화여자 대학교 법학논집」제12권 제1호 [2007]
  • “성범죄의 현실과 관련 통계의 한계”
    이권능 ISSUE REPORT -07, 다른 백년, 2018 [2018]
  • “성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법관과 일반인의 인식차이”
    이창한 「한국공안행정학 회보」제34호, 한국공안행정학회, 2006 [2009]
  • “성범죄에 대한 미국연방증거규칙의 대응과 도입가능성”
    김일룡 법조 제 651호, 법조협회, 2010 [2010]
  • “사인소추주의의 제도적 현상과 수요가능성,”
    김성규 「외법논집」,제34권 1호 [2010]
  • “범죄피해자지원을 위한 재원 확보방안”
    박순진 장규원 「피해자학연구」,제15 권 제1호, 한국피해자학회 [2007]
  • “범죄피해자지원시스템의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
    강동욱 송귀채 피해자학 연구, 제23권 제2호 [2015]
  • “범죄피해자의 형사절차상 권리”, 「고시연구」, 법무부, “‘형사조정 제도’ 입법화 난항”, 인터넷 법률신문, 2009.3.12. 서혜진,“권력형 성폭력 범죄의 특성과 문제점”
    백형구 「미투 이후의 권력형 성폭력 피해자 보호가 시급하다-형법상 명예훼손죄의 예외조항 신설 등」권력형 성폭력 피해자 지원 및 보호를 위한 심포지엄(2018.4. 6)자료집, 대한 법률구조공단, 한국여성변호사회 [1998]
  • “범죄피해자의 헌법상 기본권보호”
    이효원 「서울대학교법학」, 제50권 제4호, 서울대학교법학연구소 [2009]
  • “범죄피해자의 초상권보호 개선방안”
    전찬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제9권 제4호 [2009]
  • “범죄피해자의 인권보호에 관한 연구”
    김현수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2011]
  • “범죄피해자의 인권보장에 관한 연구”
    소영환 「인권법 연구」제1권 제1호, 한 국방송통신대학교 [2015]
  • “범죄피해자의 심리지원 체계의 개선방안”, 「코바피 해자포럼-범죄피해자 지원 정책 평가와 과제-」, 사)코바피해자포럼, 2017, “범죄피해자지원가의 전문성과 역량강화에 관한 연구”,「피해자 학연구」, 제25권 제1호
    전주대학교 한국피해자학회, 2017 [2017]
  • “범죄피해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연구”
    조선미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2004]
  • “범죄피해자에 대한 원상회복”, 「형사정책연구」, 제2권 제4호 통권 제8 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절차에서의 피해자 보호”
    이재상 「피해 자학연구」, 제1권 제1호, 한국피해자학회, 1992 [1991]
  • “범죄피해자보호에 관한 소고”
    박종렬 최환석 「법학연구」제23집, 한국법학 회 [2006]
  • “범죄피해자를 위한 변호인제도에 대한 헌법적 연구”
    서혜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4]
  • “범죄피해자를 위한 권익보호제도의 실효화 방안 연구 : 특히 범죄피해자 참가제도 및 피해자 조력제도를 중심으로”
    정훈진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2014]
  • “범죄피해자구조금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김현철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5]
  • “범죄피해자 보호제도에 관한 고찰”
    이만종 「피해자학연구」, 한국피해자학회 [2004]
  • “범죄피해자 보호 및 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김호성 박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2011]
  • “범죄피해자 보상에 관한 체계적 연구”
    박광섭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8]
  • “범죄피해자 등에 대한 신변보호제도의 평가와 과제”,「피해자학연구」, 제24권 제1호, 한국피해자학회, , “피해자참가제도의 바람직한 도 입방안”
    박광민 「피해자학연구」, 제18권 제2호, 한국피해자학회, 2010 [2016]
  • “배상명령제도의 실무상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이현석 「형사소송 이론과 실 무」, 제15권 [2013]
  • “배상명령제도의 문제점과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황윤상 박사학위논문, 성균 관대학교 [2012]
  • “민간단체의 범죄피해자 지원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소라 박사학위논문
  • “미국의 피해자 및 증인보호제도에 관한 연구”
    김영철 「해외파견검사연구논문 집」제9집 [1989]
  • “미국의 폭력적 범죄 피해여성에 대한 보호정책 연구”
    허경미 「피해자학연구」, 한국피해자학회 [2006]
  • “미국의 전자감시제도”, 「형사정책연구」제10권 제1호
    정 완 한국형사정책연 구원 [1999]
  • “미국의 범죄피해자 보호제도”
    이기헌 「사회과학논문집」, 제11권, 명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6]
  • “미국의 범죄피해자 보호대책에 관한 고찰”
    김성진 「법과 정책연구」, 한국 법정책회 [2005]
  • “미국 버지니아주 양형제도”
    유태석 국외훈련검사 연구논문집(제26집), 대검찰 청 [2011]
  • “미국 모범형법전에 대한 고찰”
    장규원 비교형사법연구 제9권 제1호, 한국비교 형사법학회 [2007]
  • “미국 강간죄에 있어 ‘저항’과 ‘동의’에 관한 연구”, 비교형사법연구 제9 권 제2호, 한국비교형사법학회, “성폭력 피해자 보호를 위한 증거 제한에 관한 연구 –미국의 강간피해자 보호법(Rape Shield Law)을 중심 으로”
    류병관 법학논총 제28권 제1호,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2007]
  • “디지털 성범죄 관련 정부대책과 개선방안”
    김연수 정준섭 동북아법연구 제11 권 제3호,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8]
  • “독일 형사절차상의 증인 및 피해자보호”
    안경옥 「형사정책」, 제11호, 한국형 사정책학회 [1999]
  • “독일 제2차 피해자권리개혁법의 주요내용 쟁점을 통해 본 국내 피해자 보호 관련 논의의 합리적 방향”
    김성룡 「피해자학연구」, 제18권 제1호, 한국 피해자학회 [2010]
  • “국제법상 범죄피해자의 인권보호”
    장복희 「법조」, 제58권 제10호 통권 제 637호, 법조협회 [2009]
  • “교정단계에서 피해자 보호”
    오영근 「교정연구」, 제28호, 한국교정학회 [2005]
  • “공판절차에서의 피해자보호 방안에 대한 검토-년 개정 형사소송법 률을 중심으로-”
    권순민 「성균관법학」제20권 제2호, 2008 [2007]
  • “경찰의 피해자수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재민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2004]
  • “경찰의 강력범죄 피해자 보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범죄피해자 보호 지원을 위한 경찰활동의 활성화 방안”,「피해자학연 구」, 제19권 제1호, 한국피해자학회, , 정용기, “형사절차상 성폭 력범죄 피해자의 보호”
    김효정 「산업경영논총」,제17집, 용인대학교 산업경영 연구소, 2010 [2011]
  • “경찰수사절차상 성폭력피해자의 인권보호를 위한 연구”
    신주호 법학연구 제21권 제2호,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경찰 수사단계에서 성폭력범죄 피해자 보호방안”,「피해자학 연 구」, 제16권 제2 호, , 107면; 정현미, “성폭력범죄피해 아동 장애인을 위한 진술조력제도”
    김용근 「이화젠더법 학」, 제4권 제1호, 이회 여대 법학연구소, 2012 [2008]
  • “개정형법상 강간죄 유사강간죄 해석론과 입법론”, 형사법연구 제25권제 3호, 한국형사법학회, “사이버성범죄 디지털성범죄 실태와 형사정 책, 이화젠더법학 제9권 제3호,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비 동의 간음죄 입법론의 비판적 검토”
    김한균 형사법의 신동향 통권 제59호, 대 검찰청, 2018 [2013]
  • “개정 형사송송법상의 범죄피해자보호에 관한 연구”
    백승민 「법조」, 제57권 제2호, 법조협회 [2008]
  • “개정 형사소송법상의 피해자진술권 제도에 대한 검토”,「피해자학연 구」, 제17권 제1호
    이승호 한국피해자학회 [2009]
  • “개정 형사소송법상 피해자 보호규정의 평가와 개선방향”
    이승준 「비교형사법 연구」, 제10권 제2호,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08]
  • “강간 피해 고소여성의 성관계 이력의 증거사용 제한 –미국 강간방지법을 중심으로 - ”, 저스티스 통권 제69호
    조 국 한국법학원 [2002]
  • “各國의 輕微事件 處理節次 比較硏究”
    김지헌 해외연수 검사 논문, 대검찰청 [2006]
  • “30년간 성범죄의 변화 –성폭력범죄 관련 형사제재 규정의 변화를 중심 으로 -”
    김용수 법학연구 제27권 제3호,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7]
  • ``Compensation for Victims of ViolentCrime : PossibleChanges to theCriminal InjuriesCompensation Scheme ''
    [1993]
  • ``Community Services for rape survivors : Enhancing psychological well-beingor increasing trauma ? ``
    67 ( 6 ) [1999]
  • Zwischenbericht zur Dunkel feldorschung in Gottingen ''
    [1974]
  • Wesen und Funktion des Strafantrags : eine Studie üer Voraussetzungen und Probleme des Verfahrens bei Antragsdelikten
    [1994]
  • Violent Crime Control and Law Enforcement Act of 1994, title Ⅳ, Pub. L. No.103-322, 1994.
  • Victims Needs , Victims Rights , Policies and Programs for Victims of Crime in Austrailia
    No . 19 [1999]
  • Victimology : Legal Psychological and Social Perspectives
    [1998]
  • Victim Rights Legislation : An assessment of its impact on criminal justice practitioners and victims ,
    [1989]
  •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the Basic Principles of Justice for Victims ofCrime and the Abuse of Power ''
  • Uber Victimologie
    [1970]
  • The Trilogy of Federal Statutes '' , Bureau of Justice Statistics
    [1998]
  • Straftaten gegen die sexuelle Selbstbestimmung
    [2011]
  • Special Issues Raised by Rape Trial
    1585 [2007]
  • Special Evidentiary Issues in Sexual AssaultCases : The Rape Shield Law and Evidence of Prior Sexual Misconduct by the Defendant
    [2009]
  • Shielding Rape Victims in the State and FederalCourt s:A Proposal for the Second Decade
    763 , 796~798 [1986]
  • Sexual Assault andCurrent Mental Health : The Role of Help-Seeking and Police Response
    [2009]
  • Rights of Victims in theCriminal Justice System : Rhetoric or Reality ? ``
    [1995]
  • Report on New Jersey 's GPS Monitoring of Sex Offenders ''
    [2007]
  • Reforming the Law of Rape
    [2017]
  • Rape Survivors Experiences with the Legal and Medical Systems : Do Rape Victim Advocates Make a Difference ?
    [2006]
  • Proposed Model Legislation
    [1986]
  • Program : An Evaluation of 5Years of Electronic Monitoring ''
    [1992]
  • Prior ( False ) Accusations : Reforming . Rape Shields to Reflect the Dynamics of Sexual Assault
    [2013]
  • Policing and Victims ,
    [2002]
  • Penal Populism : The End of Reason
    No . 2017-02 [2017]
  • Noch starkerer Schutz fur Zeugen und andere nicht beschudigte Personen im Strafprozess ''
  • No ” still means “ Yes ” : The failure of the Non-consent ” reform movement in American rape and sexual assult law
    [2012]
  • No Bad Men ! :A Feminist Analysis of Character Evidence in Rape Trial
    664 , 664 [1998]
  • Neil C. Chamelin and Leonard Rerrito , Criminal Investigation
    [2000]
  • National DNA databases-practice and practicability
    [2004]
  • N. J. Stat. Ann.§2C:14-7(West 1994); Jules Epstein, True lies: The Constitutional and evidentiary bases for admitting prior false accusation evidence in sexual assault prosecutions, 24 QLR 609, 2006.
  • Model Penal Code : Sexual Assault and Related Offenses
    [2014]
  • Model Penal Code : Sexual Assault and Related Offenses
  • M. McLeod, Victim participation at sentencing, Criminal Law Bulletin 1986. People v. Benton(Allanah), 294 Mich. App. 191 (2011), People v. Hackett, 421 Mich. 338, 1984.
  • Leg Irons or Liberators ? ``
  • Lamnek , Soziologie des Opfers Theorie : Methoden und Empirieder Viktimologie
    [1986]
  • Kritische Überlegungen zum verhältnis Staatsanwaltschaft–Polizei/Polizei-Staatsanwaltschaft ''
  • Klaus Volk 저, 김환수 외 2인 역,「독일 형사소송법」
    박영사 [2009]
  • Improving Rape Complainants ' Experiences of Police Investigations
    [2008]
  • I. Bennett Capers ,(2013) “Real Women, Real Rape”, UCLA Law Review vol.60, UCLA School of Law, Bevacqua(2000), Rape on the Public Agenda: Feminism and he Politics of Sexual Assault,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 Heike Jung, "Zeugenschutz", 「GA(Goltdammer's Archiv fur Strafrecht)」, 1998, S.324; Weigend, NJW 13, S.16.
  • F. The Collection of Restitution : An often overlooked service to crime victim
    [1992]
  • Elekrronisch uberwachter Hausarrest als Alternaive zur kurzrn Freiheitsstrafe
    [2002]
  • E. Connick , Expanding the victim 's role in the criminal court dispositional process :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1984]
  • Das neue Sexualstrafrecht , Reprint 2011 2005
    Buch . XLVI , 403 S. Hardcover [2005]
  • Criminalizing Revenge Porn
    [2004]
  • Criminal Injuries Compensation Board, Criminal Injuries Compensation Board 34th Report, 1999.
  • Consent , Credibility , and the Constitution:Evidence Relating Sex Offense Complaint 's Past Sexual Behaviors
    44
  • Cognitive reconstruction , hindsight , and reaction to victim and perpetrators
    [1999]
  • Clare/Vaness E. Munro eD. Rethinking Rape Law
    [2010]
  • Chamber v. Mississippi, 410 U.S. 284, 294 1973.
    410 U.S. 284 , 294 [1973]
  • Blackstone 's Guide to the Sexual Offences Act 2003
    [2004]
  • Attorney General Guidelines for Law Enforce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Sex Offender Registration and Community Notification Laws, 2007.
  • A Reassessment and Redefinition of Rape Shield Laws
    [2013]
  • 500 U.S. 145
    [1991]
  • 4인, 「새로운 범죄대응전략으로서 화해조정체계구축(Ⅰ): 형사화해조 정제도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탁희성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8]
  • 3인. 「형사사법절차에서의 범죄피해자 지위강화를 통한 범죄피해자 참여 실질화방안」
    배종대 국회입법조사처 정책연구 용역보고서 [2013]
  • 3인, 「신형사소송법(제3판)」, 홍문사, 법무부
    배종대 「범죄피해구조 금 실무 가이드」, 2014 [2012]
  • 2인,「형사화해제도 도입을 위한 입법론적 연구」
    김용세 형사정책연구원 [2001]
  • 20인, 「범죄피해자 보호지원의 이론과 실무Ⅰ」
    강은영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