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만성질환을 가진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재편성

천순미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만성질환을 가진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재편성'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결혼이주여성
  • 근거 이론
  • 만성질환
  • 재편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306 0

0.0%

' 만성질환을 가진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재편성' 의 참고문헌

  • 학업을 통한 결혼이주여성의 자기성장과정에 관한 연구
    박미숙 교육문 화연구, 25(2), 833-855 [2019]
  • 충북 지역 결혼이주 여성 출신국가별 건강행태, 건강상태, 보건의료이용 실태 비교
    김현숙 김희자 이효정 전미양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 지, 13(8), 3500-3512 [2012]
  • 질적연구수행하기
  • 질적연구 방법론
  • 지연경, 양숙자, 안지숙, 박민희. (2012).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초점집단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간호과학회 학술대회, 283-283.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308808
  • 중년기 결혼이주여성의 노후준비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미숙 채은희 문화교류연구, 8(1), 203-210 [2019]
  • 조영아.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김희정 다문화 콘텐츠연구, 24, 99-140 [2017]
  • 장한나, 문신용.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QOL) 도 농간 비교분석
    윤기찬 사회과학연구, 42(2), 343-367 [2016]
  •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한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 련행동 군집유형과 영향요인
    김혜경 유승현 조원섭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2(5), 17-31 [2015]
  • 일 대학병원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여성의 산과적 결과 비교
    문희 이은숙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3), 279-287 [2018]
  • 여성결혼이민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2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를 중심으로
    강희선 윤지원 여성건강간호학회 지, 21(1), 32-42 [2015]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박정숙 서인주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Korean J Adult Nurs), 27(2), 198-210 [2015]
  • 안현미. (2017).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증진관련 연구 동향. 한국모자보건학회 학 술대회 연제집, 155-155. http://www.dbpia.co.kr/Article/NODE07277000
    안현미 [2017]
  • 안지숙, 양숙자. (2015).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측정도구 개발. 지역사회 간호학회지, 26(4), 330-341. http://dx.doi.org/10.12799/jkachn.2015.26.4.330
  • 안나원, 한영란. (2018). 결혼이주여성의 생식건강행위 영향요인: 계획된 행위 이론의 적용.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2(3), 468-481.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585453
  • 신경림, 김미경 공역. 근거이론연구방법론
    현문사 [2003]
  • 송주은. 한국이주 중국여성의 어머니 됨에 관한 근거이론 연 구
    노은하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1(3), 166-175 [2017]
  • 보건 복지 Issuse & Focus
    김혜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 방문간호사가 지각하는 다문화가족의 건강교육 요구
    강영실 홍은영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8(3), 445-459 [2014]
  • 다문화와 평화 한국남성과 결혼한 이주여성의 초기 결혼생활 적 응에 관한 연구: 경기도 남부지역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최미혜 성결대학교 다 문화평화연구소 12(3), 2018. 12. 108-132 [2018]
  • 다문화여성의 건강상태, 건강행위 및 보건의료이용 실 태
    심문숙 정진영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8(2), 200-210 [2014]
  • 다문화가족지원서비스 전달체계 개편 방향
    정재훈 한국다문화가족지원 센터협회 포럼자료집 [2016]
  • 다문화가족 여성과 아동의 건강실태 및 건강서비스 지원방안 연구
    김혜련 백소혜 여지영 정진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 다문화가정 이주여성 의 가족 적응 경험
    강은정 김송순 박현주 방지수 변상희 양진향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1), 36-47 [2012]
  •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출신 국가에 따른 식생활 행동 조사
    김정현 이명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1(1), 53-64 [2016]
  •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모형
    권오윤 박경숙 박현옥 디지털융복합연구, 16(1), 357-369 [2018]
  •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 관련 경험
    이봉숙 성인간호학회지, 22(5), 477-487 [2010]
  • 다문화 가정의 모자 보건 및 복지 현황과 정책제안
    이지은 정혜원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0(2), 95-102 [2016]
  •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활동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이형하 한국사회복지학, 62(3), 219-245 [2010]
  •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정보 커뮤니케이션: 충남 금산군 거주자들의 미디어와 대인커뮤니케이션 채널
    이희중 전오열 사회과학연구, 41(2) [2017]
  • 농촌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사회참여활동 태도가 미치는 효과
    양순미 농촌사회, 20(1), 233-263 [2010]
  • 국제결혼현황
    여성가족부, 6-18. [2018]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배우자 지지, 건강교육 요구와 삶의 질
    김혜자 여 성건강간호학회지, 14(1), 5-11 [2008]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08). https://www.korean.go.kr/front/search/searchAllList.do
    [2008]
  • 국내 여성 결혼이주이민자의 출신국가별 건강행위와 관련 요인
    양숙자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2(1), 66-74 [2011]
  •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류한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8), 345-356 [2016]
  • 결혼이주여성의 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김은경 박동숙 임해영 한국 가족복지학, 65호, 5-37 [2019]
  •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정보 탐색과 인구사회학 적 영향요인
    안지숙 양숙자 한은주 Health & Nursing (구 간호과학), 28(1), 27-38 [2016]
  •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중재 연구 동향 분석
    김미옥 안현미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2), 245-256 [2016]
  •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지지, 자기효능감, 건강문해력,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강초희 한영란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7(3), 202-212 [2016]
  • 결혼이주여성 이혼경험 연구
    박미정 엄명용 한국사회복지학, 67(2), 33-60 [2015]
  • 결혼이주여성 근로자의 일 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 향
    이현주 장동헌 지역사회연구, 24(3), 1-21 [2016]
  • 결혼이주여성 가족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민성혜 이민영 전혜정 최혜영 한국가족복지학, 14(2), 5-27 [2009]
  • 결혼이주여 성의 지각된 건강상태와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건강문해력,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여성건강지식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강소연 김명미 박성희 이희영 전미영 채영란 한국생활 환경학회지, 26(2), 273-282 [2019]
  • 결혼이주여 성의 건강증진행위 및 한국어 능력과 건강상태 간의 관계
    강말순 유미영 이경순 전미양 채경숙 황정희 한국산학기 술학회 논문지, 15(9), 5683-5692 [2014]
  • 결혼이주 일본여성의 만성질환 시부모 돌봄 경험
    김미영 양복순 최미숙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2), 255-265 [2014]
  • 결혼이주 여성의 문화적 역량,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삶의 질
    정명실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1(1), 36-45 [2015]
  • 결혼이민여성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변화에 대한 탐색: 다문화가족 실태조사(2009년, 2012년)를 중심으로
    조금준 조은주 다문화사 회 연구, 7(2) [2014]
  • 강하라. (2019). 유아기 첫 자녀를 둔 다문화 가족 어머니들의 자녀양육 경험에 대한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http://lib.ewha.ac.kr/search/detail/CATTOT000001997678
    [2019]
  • ‘국내 이주민 유전체 역학조사’를 통해 본 국내 이주민들의 몸과 건강
    박상희 경제와사회, 110, 332-384 [2016]
  • orgId=101 & tblId=DT_1JD1502 & vw_cd=MT _ZTITLE & list_id=A12_2015_1_10_20 & seqNo= & lang_mode=ko & language=kor & o bj_var_id= & itm_id= & conn_path=MT_ZTITLE
  • http://dx.doi.org/10.5762/KAIS.2014.15.9.5683
  • http://dx.doi.org/10.14400/JDPM.2013.11.12.631
  • W. Salvaging quality of life in ethically diverse patients with advanced HIV/AIDS
    7 , 75-97
  • Vietnamese women immigrants ' life adaptation ,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15 ( 4 ) :243-253 . [2007]
  • Uncertainty and price theory
    73 ( 1 ) , 116-130 [1959]
  • Transcultural nursing : an overview
    32 ( 2 ) : 72-73 . [1984]
  • Theoretical Sensitivity : Advances in the Methodolody of Grounded Theory
    [1978]
  • The survey of multiculatural family and its policy issues
    26 ( 9 ) , 1-8 [2010]
  • The study on the self-esteem , family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of married women immigrated
    54 [2011]
  • The method . In P. L. Munhall & C. O . boyd ( Ed . ) , Nursing research : A qualitative perspective
    19 ( 2535 ) , 180-212 [1993]
  • The health actual condition of the multicultural family
    [2009]
  • The experience of health care in pregnancy and childbirth among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17 ( 3 ) , 243-255 [2011]
  • The Change of the Oral Health Status after Applying the D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14 ( 1 ) , 206-213 [2013]
  • Study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immigrant women by marri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Korean language ability and health status
    [2008]
  • Strategies to reduce risk factors of non-communicable disease in South Korea
    33 ( 4 ) [2016]
  • Status and policy of reproductive health of marital immigrant women in Korea
    [2008]
  • Socioeconomic adaptation and welfare policy fo immigrant women on marriage
    24 , 109-133 [2008]
  • Social support , Stress and Practice of prenatalCare in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21 ( 4 ) . [2010]
  • Pregnancy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 A Qualitative Meta-synthesis
    20 ( 2 ) , 79-89 . [2019]
  • Perceived health status , health behavior and marital satisfact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25 ( 2 ) . 174-86 [2011]
  • Nursing Research : A Qualitative Perspective
    1726 [2001]
  • Naturalistic inguiry .
    [1985]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보건복지부 [2014]
  • Meta-analysis about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21 ( 4 ) , 342-354 [2015]
  • Mental Health Beliefs , Practices , and Knowledge of Chinese American Immigrant Women
    18 ( 3 ) , 173-189 . [1997]
  • Maternity & Women 's Health Care . 8th ed
    [2004]
  • Maternal and child Health in Muti-Cultural Family in Korea and Policy Suggestion
    20 ( 2 ) , 96-98 [2016]
  • Korean immigrant women and the renegotiation of identity
    [2009]
  • Jeong, G. H., Koh, H, J., Kim, K. S., Kim, S. H., Kim, J. H., Park, H. S., et al. (2009). A survey on Health management of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ostpartum of immigrant women in a multicultural famil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 (4), 261-269.
  • Intercultural relations in plural societies
    40 ( 1 ) , 12-21 [1997]
  • Heart disease prevention practices among immigrant Vietnamese women .
    17 ( 8 ) , 1293-1300 . [2008]
  • Health statu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health policy recommendations ( 2012-10 )
    [2012]
  • Health status , Health Care Utilization and Related Factors among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24 ( 2 ) , 323-335 [2010]
  • Health problems and policy challenges of multicultural families
    185 , 1-8 [2013]
  •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f 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s
    22 ( 1 ) , ,18-26 [2008]
  • Health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among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by Ethnicity
    22 ( 8 ) , 66-74 [2011]
  • Health Barriers for female Marrige Migrants in Korea, and Health Policy Recommendations
    Kim H. J. Lee S.L IOM 이민정책연구보고 서 [2013]
  • Grounded theory methodology : Its uses and processes
    12 ( 1 ) [1980]
  • Feasibility of a targeted breast health education intervention for Chinese American immigrant women
    40 ( 4 ) . [2013]
  • Ethnography and issue sinmix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design
    [2005]
  •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of Pregnancy and Delivery on Pregnancy related Knowledge , Newborn Care Knowledge , and Postpartum Care Self-efficacy of Marriage Immigrant Women
    40 ( 1 ) , 78-87 . [2010]
  • Effective evaluation :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
    [1992]
  • Difficulties of health behavior of the migrant inter-marrige women
    11 ( 12 ) , 631-637 [2013]
  • Civic Multiculturalism and the myth of liberal consent ,
    1 ( 3 ) , 1-30 [2001]
  • Chronic Illness Impact and Intervention. 김남초, 공은숙, 김춘길, 김희경, 송미순, 안수연 등 공역. 만성질환 영향과 중재
    Pamala, D. L. 정담 미디어. 281-283 [2017]
  • Chinese female marriag mmigrants ' dietary life after immigration to Korea : comparison between Han-Chinese and Korean-Chinese
    19 ( 4 ) , 317-327 . [2014]
  • C 시 거 주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강상현 김상희 김혜옥 서한별 이아람 정규혁 한국간호교육학 회 학술대회, 83-83 [2019]
  •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 4th Ed.
    [2015]
  •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 3rd ed.
    [2008]
  •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 Grounded Theory Procedure Techniques
    [1998]
  • Analysis and evaluation of conceptual models of nursing ( 2nd ed. )
    392 [1989]
  • An analysis of articles for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women related to health
    35 ( 2 ) , 134-150 [2010]
  • A study on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Report No . : Policy Paper 11-1351000-000625-01 [2009]
  • A study on Changes of the Effect of Factors to Married Immigrant Women ’ s Health
    7 ( 2 ) , 1-8 [2014]
  • A Study on the International migrant women 's health and maternal health
    20 , 51-6 [2006]
  • A Study no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contrcept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14 ( 4 ) , 323-332 . [2008]
  • 2019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삶의 만족도에 관 한 연구
    전리상 조홍중 한국융합학회지, 10(2), 277-284 [2019]
  • 2018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국가통계포털 [2018]
  • 2018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9]
  • .FinalComprehensive Global Monitoring Framework for NCDs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