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Bollnow 교육인간학에서 유아-교육자의 관계본질과 교육적 의의

최은주 2020년
논문상세정보
' Bollnow 교육인간학에서 유아-교육자의 관계본질과 교육적 의의'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육학
  • bollnow
  • 교육인간학
  • 교육적 관계
  • 교육적미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2 0

0.0%

' Bollnow 교육인간학에서 유아-교육자의 관계본질과 교육적 의의' 의 참고문헌

  • 훗설의 감정 분석과 하이데거의 기분 분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종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8]
  • 현상학적 시간의 교육적 함의. 석사학위논문
    예철해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7]
  • 현대철학의 이해
    이규호 서울: 제일출판사 [1977]
  • 현대철학의 이해
    이규호 서울 : 민영사 [1995]
  • 현대의 비판적 교육이론
    김정환 서울: 박영사 [1988]
  • 현대교육철학
    오인탁 서울: 서광사 [1990]
  • 한국인의 욕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점식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 한국문화: 예(禮)담론의 전개 및 예학(禮學)의 교육인간학 적 재구성
    고요한 한국사상문학연구, 28, 265-295 [2005]
  •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간에 대한 선택요인과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석사학위논문
    이명환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하이데거의 형이상학적 근본기분에 관한 연구. 석사학 위논문
    김진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 하이데거의 철학이론
    백승균 서울: 박영사 [1980]
  •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한상연 경기: 서광사 [2012]
  • 하이데거의 공포와 불안 개념에 대한 연구: 자기 존재 상실에서 자기 존재 확인으로. 석사학위논문
    박근배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2]
  • 하이데거와 윤리학
    박찬국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2]
  • 하이데거 존재의 의미
    오희천 서울: 종문화사 [2012]
  • 하이데거 ‘근본기분’에 대한 이해와 중독에 대한 새로 운 해석. 석사학위논문
    박보경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5]
  • 포스트모던 관점을 통한 한국의 유아 인성교육 담론 분석
    장경은 한국영유아보육학, 77, 1-20 [2013]
  • 축제와 지역정체성의 재구성 ‘예술축제’에서 ‘관광축제’로
    고원규 실 천민속학연구, 35, 17-51 [2011]
  • 최동희 역. 실존철학
    Bollnow, O. F. 서울: 이성과 현실 [1989]
  • 초등학교 교육공간에 대한 교육적 논의. 석사학위논문
    김정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 철학적 교육학 입문
    김계현 김병길 진주: 가람 [1994]
  • 참된 만남과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교육
    강선보 대구교육, 33, 1-22 [2001]
  • 집의 교육인간학: 전통한옥을 중심으로
    윤재흥 한국교육사학, 25(2), 53-73 [2003]
  • 진리의 양면성
    백승균 서울: 서광사 [1994]
  • 존재론: 현사실성의 해석학
    김재철 이기상 서울: 서광사 [2002]
  • 잃어가고 있는 유아 교실의 이야기나누기시간의 의미 찾기-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의 관점으로-
    임부연 정진성 유아연구, 1, 574-575 [2013]
  • 인식의 해석학
    백승균 서울: 서광사 [2005]
  • 인격과 인간교육: 훔볼트의 인간과 교육이론
    정영근 서울: 문음사 [1994]
  • 인간학적 교육학
    한상진 경기: 양서원 [2006]
  • 인간관계론
    권기덕 서울: 형성출판사 [1980]
  • 인간관계론
    권연옥 서울: 학문사 [1997]
  • 인간관계론
    유기현 서울: 무역경영사 [1983]
  • 인간관계론
    조남두 서울: 동문사 [2007]
  • 인간관계 훈련의 실제
    이형득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83]
  • 인간관계 심리의 이론과 실제
    문미란 정진선 서울: 시그마프 레스 [2005]
  • 인간과 공간에 관한 교육인간학적 연구
    김계현 교육철학, 12, 1-14 [1994]
  • 인간과 공간
    이기숙 서울: 에코리브르 [2014]
  • 이규호 역(1967). 현대철학의 전망-철학과 교육학 및 시문학
    Bollnow, O. F. 서울: 한국교육철학회 [1966]
  • 유치원 행사에 대한 현황 및 교사의 인식. 석사학위논 문
    김마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인성교육 프로 그램
    교육과학기술부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1]
  • 유아와 환경: 유아기 지속가능성을 위한 교육
    김진환 서울: 학 지사 [2014]
  • 유아교육현장 들여다보기: 포스트모던적 양상을 중심으로
    전연우 조희숙 한국보육지원연구, 11(1), 435-459 [2015]
  • 유아교육학개론
    신옥순 서울: 학지사 [1994]
  • 유아교육에 있어서 보르노(O. F. Bollnow)의 사상
    박해미 기전여자대학 논문집, 21, 139-151 [2001]
  •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Ⅵ
    연세대학교 교육철학연구회 서울: 교육과학사 [2002]
  •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Ⅵ
    교육철학연구회 서울: 교육과학사 [2002]
  • 울타리의 교육인간학적 의미 연구. 박사학위논문
    윤재흥 연세 대학교 대학원 [1998]
  • 울타리와 우리의 교육인간학
    윤재흥 파주: 한국학술정보 [2006]
  • 우리 옛집 사람됨의 공간
    윤재흥 경기: 집문당 [2004]
  • 오인탁 정혜영 역. 敎育의 人間學
    Bollnow, O. F. 서울: 문음사 [1990]
  • 오대와 후삼국, 고려초기 관계사
    김재만 대동문화연구, 17, 169-207 [1983]
  • 어린이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탐구의 의미-Bollnow와 Langeveld를 중심으로-
    정혜영 교육의 이론과 실천, 17(1), 95-120 [2012]
  • 어린이 놀이의 교육인간학적 의의. 박사학위논문
    김윤종 동아대 학교 대학원 [2012]
  • 어린이 낙서의 교육인간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김선희 동아 대학교 대학원 [2013]
  • 어린이 그림책에 관한 교육인간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백승화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 아동발달
    조복희 서울: 교육과학사 [2006]
  • 실존철학의 인간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정영수 교육문화연구, 2, 95-110 [1996]
  • 실존철학과 교육학
    윤재흥 서울: 학지사 [2008]
  • 신뢰
    윤종석 서울: 복있는사람 [2009]
  • 시간과 공간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연구: Bollnow의 교육 이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김미환 계명대학교 대학원 [1997]
  • 성공적인 커리어를 위한 인간관계의 이해와 실천
    최애경 서울: 청람 [2006]
  • 생태적 패러다임에 기반한 유아 환경교육 공간디자인 모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김미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 사랑의 受業論
    박병학 서울: 교육과학사 [1997]
  • 사람됨의 뜻-철학적 인간학-
    이규호 서울: 좋은날 [2000]
  •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 2
    안삼환 서울: 믿음사 [2009]
  • 분위기와 학습의 만남: 교육적 분위기의 교육학적 의의
    강기수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학술논문집, 20-30 [2016]
  • 볼르노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고찰. 박사 학위논문
    권영숙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 볼노프(O.F.Bollnow)의 인간학적 교육학에 나타난 교 적 분위기 연구. 석사학위논문
    정지윤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1]
  • 볼노오(O.F.Bollnow)사상의 철학교육적 함의. 석사학위 논문
    이혜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5]
  • 볼노 현대 교육 고전의 이해
    정혜영 서울: 이대출판부 [1984]
  • 보르노의 교육 사상에 나타난 아동 교사론에 관한 연 구. 석사학위논문
    정지숙 공주교육대학교 대학원 [1994]
  • 보르노(O.F.Bollnow)의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정혜영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1981]
  • 보르노(O. F. Bollnow)의 인내에 관한 교육 인간학적 접 근
    강기수 교육철학, 19, 183-197 [1998]
  • 문화적 권위주의와 학교교육
    조용환 기독교 사상, 33(10), 24-35 [1989]
  • 만남의 교육철학
    강선보 서울: 원미사 [2005]
  • 마르틴 부버의 “만남”의 교육철학에 관한 연구. 박사학 위논문
    강선보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9]
  • 루소와 페스탈로치의 자연주의 유아교육사상 비교 연구. 석사 학위논문
    이인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3]
  • 독일 교육학 안에서 ‘교육 인간학’의 성립과 전개에 관 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정혜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0]
  • 노올(H. Nohl)의 ‘교육적 관계’에 관한 연구
    정기섭 교육문화 연구, 10, 341-354 [2004]
  • 기분에서 이해되는 삶과 세계: 딜타이, 볼노오 그리고 하이데거를 중심으로
    김재철 철학논총, 30, 191-222 [2002]
  • 교육학에 있어서의 인간학적 비교방법론 시론
    오인탁 교육철학, 2, 131-151 [1980]
  • 교육학과 인간학(하)
    한숭홍 서울: 새교육 [1984]
  • 교육학과 인간학
    하영철 허재윤 서울: 형설출판사 [1977]
  • 교육적 분위기
    강기수 경기: 양서원 [2013]
  • 교육적 관계에서의 권위에 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손미란 인하 대학교 대학원 [2013]
  • 교육자의 신뢰에 관한 교육인간학적 연구
    강기수 한국교육사 상연구, 27, 1-13 [2003]
  • 교육인간학의 형성조건: Bollnow의 사상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오인탁 연세대학교 대학원 [1969]
  • 교육인간학
    정혜영 서울: 학지사 [2005]
  • 교육의 인간학
    오인탁 정혜영 서울: 문음사 [2005]
  • 교육의 역사적 철학적 기초
    강기수 부산: 세종출판사 [2004]
  • 교육의 실제에 있어서 권위와 그 시사점. 석사학위논문
    송철규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5]
  • 교육에 있어서의 권위
    강준모 학생생활연구, 12, 23-46 [1985]
  • 교육사회
    김구호 서울: 동문사 [2006]
  • 교육사상에서의 ‘교육적 관계’ 비교: Pestalozzi의 인간존재방식에 근거한 교육사상의 관점에서
    김철 교육의 이론과 실천, 20(3), 47-67 [2015]
  • 교육사 교육철학의 이론과 실제
    손인수 서울: 문음사 [1998]
  • 교육과 사상
    이규호 서울: 배영사 [1985]
  • 교육과 교사의 권위
    신차균 교육논총, 10, 57-75 [1991]
  • 교육공간과 시설 설비
    유향산 서울: 교육과학사 [2002]
  • 교육 현상으로서 “교육적 인간관계” 이론에 대한 연구
    김 철 교 육의 이론과 실천,10(1), 1-24 [2005]
  • 교사의 권위 실추와 대책에 관한 연구: 학교 현장의 경험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원주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 관계의 심리학
    이철우 서울: 경향미디어 [2008]
  • 관계의 교육학: 교육적 분위기의 이해
    강기수 한국교육사상연구, 2, 173-184 [2012]
  • 공간과 거주의 현상학-볼노오의 공간이해를 중심으로
    김재철 철학논총, 56, 367-391 [2009]
  • 골목과 이웃의 교육인간학
    윤재흥 교육철학, 27, 73-90 [2002]
  • 건강한 인간관계
    박문태 울산: 울산대학교 출판부 [2010]
  • 개정유치원교육과정총론
    교육과학기술부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9]
  • 개인의 공간
    김정태 이경회 서울: 기문당 [1987]
  • 和田修二 こどもの人間学, 박선영 노명희 옮김(1982). 어린이의 인 간학
    서울: 아름다운세상 [1982]
  • 個人의 空間
    Sommer, R. 技文堂 [1976]
  • “교사의 권위와 학교교육의 위기”
    류방란 교육사회학연구, 11(3), 57-77 [2001]
  • ‘존재와 시간’의 사유
    이상백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4]
  • ‘가르친다는 것’의 의미
    김선영 정광순 서울: 학지사 [2012]
  • What ’ s Happiening in British Classrooms
    [1967]
  • Wesen und Wandel der Tugenden
  • Teacher , and Task
    [1995]
  • Sein und zeit
    [1926]
  • Sein und Zeit
    [1927]
  • Sein und Zeit
    [1979]
  • School Building and EducationalChange
    [1976]
  • Ruthless TRUST , a division of HarperCollins Publishers Inc , 10 East 53rd Street
    New York [2000]
  • Pädagogische Anthropologie auf empirischermeneutischer Grundlage .
    13 , 575-596 . [1967]
  • Pädagogische Anthropologie
    [1982]
  • Pädagogik in Selbstdarstellung
    [1976]
  • Philosophie der Erkenntnis: Das Vorverstandnis und die Ergahrung, 백승균 역(1993). 인식의 해석학: 인식의 철학 Ⅰ
    Bollnow, O. F. 서울: 서광사 [1981]
  • Peters의 권위개념 분석과 교육. 석사학위논문
    김해경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 Pestalozzi
    [1965]
  • P dagogik in anthropologischer Sicht. 오인탁 정혜영(2005), 교육의 인간학
    Bollnow, O. F. 서울: 문음사 [1971]
  • Otto. F. Bollnow 교육사상에서 본 집의 교육인간학적 기능
    김계현 교육철학, 5, 41-45 [1991]
  • Ontologie Hermeneutik der Faktizität.rankfurta
    [1988]
  • O.F.Bollnow의 인간학적 교사론. 박사학위논문
    장승우 동아대 학교 대학원 [2015]
  • O.F.Bollnow의 신뢰에 대한 교육학적 연구
    강기수 교육사상연 구, 11, 1-15 [2002]
  • O.F.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의 교육인간학적 기능에 관한 연구: 신뢰와 안정감을 중심으로
    강기수 열린교육연구, 11(2), 25-43 [2003]
  • O.F.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 문
    박진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 O.F.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의 교육자의 미덕에 관한 연구: 신뢰와 인내를 중심으로
    강기수 한국교원교육연구, 20(3), 5-22 [2003]
  • O.F.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에 나타난 유아교육 사상. 석사학위논문
    최은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O.F.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에 나타난 유아교육 론 탐구
    최은주 미래유아교육학회, 25(3), 271-288 [2018]
  • O.F.Bollnow 시간관계에 관한 교육 인간학적 접근
    강기수 부산교육학연구, 11(2), 3-18 [1998]
  • O.F.Bollnow 교육적 분위기의 교육학적 의의
    강기수 동아대철 학연구, 4-18 [2016]
  • O.F.Bollnow 교육인간학에서의 ‘시간관계’의 본질과 그 교육학적 의의. 박사학위논문
    강기수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7]
  • O. F.Die Lebensphilosophie
    [1978]
  • O. F. ( 1970b )Die Pädagogische Atmosphäre
    4 . Aufl. , Heidelberg
  • O. F. ( 1970a )Philosophie der Erkenntnis , 7 Aufl.
  • O. F. ( 1964b ) . Existenzphilosophie . 3.Aufl.
  • O. F. ( 1958a )
  • Neue Geborgenheit : Das Problem eine Überwindung des Existentialismus
  • Mensch und Raum. 이기숙 역(2011). 인간과 공간
    Bollnow, O. F. 서울: 에코리브르 [1963]
  • Mensch und Raum , 7 . Aufl.
    [1994]
  • Martin Heidegger
    [2001]
  • M. ( 1941 ) . H. Lipps
  • M nchen, 19-36, 이을상 역, 현대의 철학적 인간학
    서울: 문원출판사 [1994]
  • Lewis.(1940). Equipping the Classroom as a Learning and Teaching L-aboratory, The American Schoolboard Journal, CL Ludwig Binswanger.(1968). Das Wesen der Stimmungen. 4. Aufl. Frankfurt
  • Lane, Tripp. Relationships a mess worth making, 이명숙 역(2008). 관계가 주는 기쁨
    서울: 미션월드라이브러리 [2006]
  • Kant und das Problem der Metaphysik
    [1929]
  • J. H. ( 1932 ) . Sämtliche Werke , hrsg . v. A. Buchenau , E. spranger u. H. Stettbacher
    14 . Bd.
  • Instonctional Media ( 3rd eds )
    [1989]
  • Homer Lane의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배수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 Heidegger ’ s Beingn and Time
    [2006]
  • H. Nohl의 역사‧해석학적 교육학에 관한 연구
    정기섭 한독교육 학연구, 7(2), 1-16 [2002]
  • H. Nohl의 교육학의 자율성 이론에 관한 고찰
    정기섭 한독교육 학연구, 7(1), 17-30 [2002]
  • H. Nohl의 교육학 이론 관점에서 본 학교교육의 시사점
    김 철 교육의 이론과 실천 18(1), 17-35 [2013]
  • Gesammelte Schriften
    9 : Paedatgogik [1954]
  • Five faces of trust : an empirical confirmation in urban elementary schools
    9 , 184-208 [1999]
  • Existenzphilosophie. 최동희 역(1996). 실존철학이란 무엇인가
    Bollnow, O. F. 서울: 서문당 [1949]
  • Erwagungen zum einer Philosophie der Erkenntnis . Zeitschr
    22 , 510 .
  • Equipping the Classroom as a Learning and Teaching L-aboratory , The American Schoolboard Journal , CL Ludwig Binswanger.Das Wesen der Stimmungen
    4 . Aufl . Frankfurt [1968]
  • Emergence of Humanized Facilities of Enable Recovery of Student Humanity at the Holiday Inn Crowne Plaza in Atlanta
    [1991]
  • Einführung in die existenzphilosophie
    [1977]
  • Einfuhrung in die philosphische Padagogik .
    [1973]
  • Education
    [1907]
  • Die paedagogische Bewegung in Deutschland und ihre Theorie
    [1949]
  • Die anthropologische Betrachtungsweise in der Pädagogik , Neue Padagogische Bemühungen 23
    [1975]
  • Die anthropologische Betrachtungsweise in der P dagogik, Essen. 허윤재 하영철 역(1994). 교육학에 있어서 인간학적 고찰방식
    Bollnow, O. F. 서울: 형설출판사 [1965]
  • Die Stellung des Menschen im Kosmos
    7 . Aufl. , Bern [1966]
  • Die Pädagogische Bewegung in Deutschland und ihre Theorie
    [1988]
  • Die Philosophische Anthropologie und ihre methodischen Prinziien
  • Die P dagogische Atmosph re. 강기수역(2013). 교육적 분위기
    Bollnow, O. F. 파주: 양서원 [1964]
  • Die Menschenerziehung
    [1951]
  • Die Lebensphilosphie F.H . Jacobis , 2 . Aufl. , Stuttgart
  • Die Grundbegriffe der Metaphysik : Welt , Endlichkeit , Einsamkeit
    [1983]
  • Der Wissenscharakter der Pädagogik
    [1969]
  • Der Erfahrungsbegriff in der Pädagogik
    14 , 221-252
  • Dayrimger, Richard. The Heart of Pastoral Counselomg : Healing Through Relationship, 문희경 옮김, 관계 중심 목회상담
    서울: 솔로몬 [2006]
  • Das dialogische Prinzip
    [1962]
  • Das Verhältnis zur Zeit : Ein Beitrag zur pädagogischen Anthropologie .
  • Das Nachholen des Versäumten , 'MaB und Vernessenheit des Menschen , Philosophische Aufsätze
    [1962]
  • Darmstadt. 이기상 역 실존철학
    서울: 서광사 [1989]
  • Conditio Humana
    [1964]
  • Co. 이기상 역 존재와 시간
    서울: 까치 [1998]
  • Building For School and Community ( Ⅲ. U.S. )
    [1976]
  • Buber와 Bollnow의 인간관과 교육관-실존적 만남으로서의 교육을 중심으로
    김 철 교육사상연구, 23, 149-171 [2009]
  • Bollnow의 인간이해에 있어서의 실존주의와 인간학: 실존과 일상, 주체와 타자의 어울림
    윤재흥 지성과 창조, 10, 59-88 [2007]
  •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에 대한 한국 대학생들의 인 식연구. 박사학위논문
    안 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 개념을 통해 본 어린이-교 사 관계론. 석사학위논문
    이현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2]
  •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개념을 통해 본 어린이 – 교사 관계론
    유혜령 이현주 열린유아교육연구, 8(4), 293-315 [2004]
  • Bollnow 시간론의 교육적 함의
    예철해 중등교육연구, 53, 1-23 [2005]
  • 30분에 읽는 하이데거
    전대호 서울: 랜덤하우스중앙(주)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