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청소년 사이버폭력 예방에 관한 법적 연구

박춘화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청소년 사이버폭력 예방에 관한 법적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사회문제
  • AI빅데이터
  • 사이버 따돌림
  • 사이버폭력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56 0

0.0%

' 청소년 사이버폭력 예방에 관한 법적 연구' 의 참고문헌

  • 헌법학원론
    권영성 경기 파주 : 법문사 [2003]
  • 헌법학원론
    정종섭 서울 : 박영사 [2013]
  • 헌법학. 1. 헌법총론⋅국가조직론
    김백유 서울 : 한성 [2016]
  • 헌법학
    성낙인 경기 파주 : 법문사 [2014]
  • 헌법주석. 1, 사단법인 한국헌법학회편
    정극원 서울 : 박영사 [2013]
  • 한국헌법론
    허영 서울 : 박영사 [2016]
  • 한국인터넷진흥원, 사이버폭력 유형화를 위한 조사 연구보고서, 한국정보화진흥원, “사이버불링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NIA V-RER -14008, 2014 [2016]
  •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윤리문화실태조사 [2011]
  • 한국인터넷진흥원
    사이버불링에 대한 이해와 대응방안 [2013]
  • 한국인터넷진흥원
    국내 사이버폭력 현황 및 대응방안 연구 [2016]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정보화 역기능 예방 동향 및 정보통신윤리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CR -8, 2014 [2014]
  • 한국 인터넷진흥원 국내외 사이버폭력 사례 및 각국의 대응방 안
    정한라 [2013]
  • 학교폭력의 예방과 상담 – 이론과 실제
    송재홍 서울 : 학지사 [2013]
  • 학교폭력의 개념,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편,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 2
    정종진 서울 : 학지사 [2013]
  • 학교폭력 심각성에 대한 학생 및 교사들의 인지도 연구
    이태훈 한국형 사정책연구원 [2005]
  • 학교촉력의 분쟁조정과 회복적 사법
    도중진 대검찰청 형사법연구회 발표자료집 [2012]
  • 특별법 입법체제 개선방안
    박영도 서울 : 한국법제연구원 [2012]
  • 청소년폭력예방재단 학교폭력문제연구소편, “학교폭력 예방의 이론과 실제”
    경기 파주 : 학지사 [2014]
  • 청소년 사이버범죄 유형별 원인 및 통제요소에 관한 통합적 연 구
    이성식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권 22호, 2008 [2007]
  • 청소년 문화
    박진규 서울 : 학지사 [2003]
  • 주요국가의 강력범죄 발생추세 비교분석
    최인섭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4]
  •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사이버폭력과 인터넷 윤리 실태조사 보고서 [2006]
  • 인터넷윤리실천협의회, U 시대의 인터넷 윤리
    경기 파주 : 이한출판사 [2008]
  • 인간의 존엄 : 헌법이론적 연구
    김병곤 서울 : 교육과학사 [1996]
  • 옮김,저스틴패친⋅사미어힌두자, 사이버폭력 앞 의 아이들 : 청소년을 위한 사이버불링 대응 매뉴얼
    김대희 김용련 문경숙 서울 : 상상 박물관 [2015]
  • 온라인 성폭력범죄의 변화에 따른 처벌 및 규제 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김수아 장다혜 18-AA-01 [2018]
  • 온라인 성폭력범죄의 변화에 따른 처벌 및 규제 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배국진 정유진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의 동향과 전망 [2007]
  • 사이버불링의 현황과 대응방안에 관한 고찰
    방형인 KHU 글로벌 기업 법무 리뷰, 10권 2호 [2017]
  • 사이버불링의 이해와 대책
    김경희 김봉섭 안성진 오인수 이창호 조윤오 경기 파주 : 교육과학사 [2015]
  • 사이버불링에 대한 이해와 대응방안
    김봉섭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 사이버공간의 사회심리학
    이성식 전신현 서울 : 집문당 [2009]
  • 방송통신위원회⋅한국인터넷진흥원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요약보고서 [2013]
  • 방송통신위원회
    사이버폭력실태조사 [2017]
  • 디지털미디어시대 리스크 현실과 진단
    송해룡 조항민 경기 파주 : 한 국학술정보 [2014]
  • 교육부, 학교폭력근절 최종 보도자료, 2018.
    교육부 학교폭력근절 최종 보도자료 [2018]
  • 高石浩一 “少年期の対人関係の問題について: 特に ‘いじめ’ との関連 から”, 京都大学教育学部紀要, 1988.
  • 警察庁, “2013(平成25年)上半期の出会い系サイト等に起因する事犯の現状 に対策についていじめに起因する事件の検挙補導”, 2014.
  • 警察庁 (大阪府), 少年非行情緒, 2012.
  • 藤桂⋅遠藤寛子.1,“ネットいじめ被害時における遮断的対処がもたらす短 期的および長期的影響”, 筑波大学 立正大学, 2016.
  • 竹内和雄, “心とからだの健康 : 子どもの生きる力を育む”, 2014.
  • 稲垣応顕,“登校拒否生徒の孤独感に関する一考察, 上越教育大学障害児童 教育実践センター紀要”, 1995.
  • 石川県 教育センター, “いじめに繋がる言葉の地図”, 2015.
  • 相庭和彦・金子淳嗣,“リスク社会における学校安全に関する考察”, 新潟 大学教育学部研究紀要 第 10 巻,第2号, 2017.
  • 白井京, “韓国におけるインターネットへの法的規制”, 外国の立法, 30(3), 2009.
  • 田村修一,“小学校における‘いじめ’の被害者⋅傍観者の被援助志向 性”, 日本教育工学会論文誌, 39, 2016.
  • 田実潔, “いじめや不登校経験に関する意識調査 ─教職志望との関係性 ─”, 北星論集, 57(2), 2018.
  • 浅田瞳․原清治, “ネットいじめの啓発効果に関する実証的研究”, 仏教大 学総合研究所紀要, 2018.
  • 法務省, “平成25年における人権侵犯事件」の状況について”, 2013.
  • 池谷孝司, “スクールセクハラなぜ教師のわいせつ犯罪は繰り返されるの か”, 新聞研究, 2016.
  • 水野君平, “小学生のスクールカースト、グループの所属、教師との接触 といじめ被害の関連”, 心理科学, 38(1), 2017.
  • 植田みどり, “イギリスにおけるいじめと体罰―学校の安全と規律維持の 取り組み―”, 比較教育学研究, 第47号,2013.
  • 森田洋司・清永賢二 ,『いじめ―教室の病い』,金子書房, 1986.
  • 森田洋司,『世界のいじめ各国の現状と取り組み』金子書房,1998.
  • 森田洋司,『いじめの国際比較』, 金子書房. 2001.
  • 松本麻人, “韓国におけるいじめ対策―政府の取組の特徴と課題”,比較教 育学研究, 第47号,2013.
  • 東川玲, “情報の自由規制“保護に関する現代的課題-プロバイダ責任法制 に関する各国制度及び判例等の比較による示唆”,京都大学, 2018.
  • 村山恭朗, “一般小中学生におけるいじめ経験と養育行動の関連に関する 横断的検証”, Journal of Health, 31(1), 2018.
  • 杉森伸吉, “いじめの構造 第3回 いじめと教師のリーダーシップの関 係”,Child Research Net 掲載, 2012.
  • 望田研吾, “諸外国のいじめ問題と,フィンランドと英国の防止への取組 み”, 教育と医学, 716(2),2013.
  • 日本弁護士連合会, “いじめ防止対策推進法‘3年後見直し’に関する意 見書”, 2018.
  • 日本共産党東京都議会議員団, “東京都いじめ防止対策推進条例案および ‘基本方針案’‘総合対策案’に関する申し入れ”, 2014.
  • 文部科学省,“青少年インターネット環境の整備等に関する検討会”,報告書, 2010.
  • 文部科学省,“平成30年度 児童生徒の問題行動⋅不登校等生徒指導上の諸課 題に関する調査結果について” , 令和元年, 2018.
  • 文部科学省,“ネット上のいじめに関する対応マニュアル⋅事例集”, 2019.
  • 文部科学省,“いじめ総合対策【第2次】(案)」に対する意見”, 2016.
  • 文部科学省,“いじめの重大事態の調査に関するガイドライン”,平成29年, 2017.
  • 文部科学省, 初等中等教育局児童生徒課, 2011.
  • 文部科学省, “平成23年度‘児童生徒の問題行動等生徒指導上の問題に関す る調査’について”, 平成22年, 2010.
  • 文部科学省, “平成22年度「児童生徒の問題行動等生徒指導上の諸問題に関 する調査」について”,平成23年, 2011.
  • 文部科学省, “いじめ防止対策推進法,基礎資料と対応のポイント”, 2014.
  • 戸田典樹, “学校教育における社会福祉機能導入の必要性 :‘大津中学い じめ自殺事件’を題材にして”, 神戸親和女子大学大学院研究紀要, 14, 2017.
  • 岩手県 教育委員会, “スクールセクハラの有意点”, 2016.
  • 岡田好史,“カナダノバスコシア州におけるサイバー安全法の概要”, 2014.
  • 小野田正利, “親はモンスターじゃない!”, 学事出版, 2008.
  • 小野淳․斎藤冨由起, “サイバー型いじめ(CyberBullying)の理解と 対応に関 する教育心理学的展望”, 千里金襴大学紀要, 2008.
  • 大貫隆志, “指導死を考える講演会逐語録”. 高知大学教育学部研究辐告, 77, 2017.
  • 大石剛一郎, “いじめ事件における法的責任について (いじめ・体罰の法 的責任)”, 青少年問題, 1993.
  • 堀出雅人, “小学校と中学校における情報モラル教育の 現状と課題― イ ンターネット利用に関する家庭でのルール作りを中心に”, 佛教大学 大学院紀要, 教育学研究科篇 第47号, 2019.
  • 厚生省. “2014 児童虐待の定義と現状 セクハラの実体”, 2015.
  • 千代原亮一, “インターネットにおける匿名言論の保護”, 大阪成蹊大学 研究紀要, 第3巻第1号, 2005.
  • 加藤弘通, “いじめ被害の実態と教師への援助要請 : 通常学級と特別支援 学級の双方に注目して”, 子ども発達臨床研究, 8, 2014.
  • 内閣府,“青少年の携帯電話にフィルタリングを普及させるための緊急対 策”,平成 23 年3月8日, 2011.
  • 内閣府, “青少年インターネット環境整備法・関係法令”, 2019.
  • 内閣府, “若者年のインターネット利用環境実態調査”, 2013.
  • 内閣府, “平成25年,上半期の出会い系サイト等に起因する事犯の現状に対 策についていじめに起因する事件の検挙補導”, 2014.
  • 児玉奈々,“多文化社会カナダのいじめ対策の動向と特質”, 日本比較教育 学会, 第50回大会発表要旨集録, 2014.
  • 佐藤結美, “名誉毀損罪の再構成(1): プライヴァシー保護の観点から”, 北大法学論集, 62(5): 204[1]-157[48], 2012.
  • 井樋三枝子, “アメリカの州におけるいじめ対策法制定の動向”,外国の立 法, No. 252,2012.
  • 三枝好恵⋅本間友巳, “ネットいじめの実態とその分析”, 京都教育大学教 育実践研究紀要, 11(1), 2011. 
  • 三枝好恵⋅本間友巳, “‘ネットいじめ’の実態とその分析 ―‘従来型い じめ’との比較を通して―” , 京都教育大学, 2010.
  • ダン・オルヴェウス他“オルヴェウス・いじめ防止プログラム学校と教師 の道しるべ”, 小林公司,横田克哉監訳,現代人文社,2013.
  • ⋅한국교육학술정보원⋅한국교총, “년 사이버폭력 예방 및 정보통신윤리 교원연수 자료집”
    교육부 교육자료 TM 2014-51, 2014 [2014]
  • “형법에 의한 인격권 보호와 명예훼손법제”
    황태정 비교형사법연구, 제14권 제2호 [2012]
  • “현장중심 학교폭력 개선을 위한 법 제도 구축방안”
    이승현 경 제인문사회연구회 [2013]
  • “현장 중심 학교폭력 대책, 붙임-1 현장중심 학교폭력대책 Q&A”
    교육부 및 관련부처합동 [2013]
  • “해외 주요국의 사이버폭력 관련 법제도 분석”
    김솔 오영환 INTERNET & SECURITY FOCUS April [2014]
  • “한국폭력대책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박찬걸 소년보호연구, 제15호 [2010]
  • “한국의청소년게임중독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 “한 중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연구”
    유연연 중원대 박사논 문 [2019]
  • “학교현장에서 발생하는 사이버폭력 실태와 대처방안에 대한 고찰”
    정한호 소년보호연구, 제20호 [2012]
  • “학교폭력의 원인과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김범수 한남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09]
  • “학교폭력예방정책 문제정의의 변화와 정책수단의 선택”
    정시영 고 려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학교폭력예방에 관한 연구”
    김난주 동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학교폭력예방법과 동법 시행령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성기 교육 법학연구, 제20권 제2호 [2008]
  • “학교폭력실태조사 결과 요약보고서”
    푸른나무청예단 [2013]
  • “학교폭력대응에 관한 헌법적 고찰”
    김갑석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학교폭력과 경찰 대응에 관한 연구”
    장양식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9]
  • “학교폭력 학생부 기재, 학부모 - 교장 싸움 급증”
    오마이뉴스 [2013]
  • “학교폭력 피해학생 보호를 위한 입법 및 정책방안”
    이덕난 현안 보고서 Vol. 109, 국회입법조사처 [2010]
  • “학교폭력 예방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법적 연구”
    정향기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사이버볼링(Cyberviolence)에 대 한 연구 - 미국의 법적 대응의 특징과 법제 도입을 위한 검토를 중심으로”
    안순철 이주형 분쟁해결연구, 제11권 제1호 [2013]
  •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법제 연구 : 경찰의 대응방안과 헌법 정책을 중심으로”
    김형섭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법․제도적 정 비 방안 연구”
    송병규 이진국 이천현 조병인 한국교육개발원⋅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6]
  • “학교폭력 예방 및 효율적 대처 방안을 위한 회복적 사법의 실 천”
    이인곤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 “학교사고의 법적책임에 관한 연구 - 판례를 중심으로“
    오석규 홍익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촉법소년 및 형사미성년자의 적정 연령에 관한 연구”
    권다희 중앙 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 범죄 및 법정심리학 [2018]
  • “초등학생들의 사이버비행에 있어서 일상긴장, 낮은 자기통제 력, 인터넷 사용시간의 영향작용 - 세 이론의 검증을 중심으로”
    이성식 형사정책연구, 제20권 제1호 [2009]
  • “초등학교 저학년 사이버 언어폭력 예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이은호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청소년의 폭력피해경험, 폭력용인태도와 사이버폭력 가해행동의 관련성”
    김경은 윤혜미 한국아동복지학, Vol. - No. 39 [2012]
  • “청소년의 인터넷관련 문제행동 실태분석 : 전국청 소년 문제행동 실태조사 심화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2001]
  • “청소년의 사이버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비행친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경은 미래청소년학회, Vol. 10 No. 4 [2013]
  • “청소년의 사이버폭력에 관련된 생태체계 변인의 영 향”
    김경은 윤혜미 청소년복지연구, Vol. 14 No. 1 [2012]
  • “청소년의 사이버폭력에 관련된 생태체계 변인 탐색”
    김경은 충북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피해에 관한 연구”
    남재성 장정현 한국범죄심 리연구, 7(3) [2011]
  •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유발요인에 관한 연구 : 개 인성⋅사이버폭력 피해경험⋅윤리의식을 중심으로”
    성동규 사이버커뮤 니케이션학보, 19집 [2006]
  • “청소년의 사이버비행에 관한 연구”
    한종욱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1]
  •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실태조사”
    이창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과 사이버폭력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 효과”
    김경은 미래청소년학회, Vol. 9 No. 4 [2012]
  • “청소년따돌림에 대한 형사정책적 대응방안”
    노성호 이승현 연구총 서, 13-AA-11 [2014]
  • “청소년들의 집단따돌림과 집단 괴롭힘 피해 경험에 따른 심리 적 부적응 및 학교 부적응”
    김혜원 청소년학연구, 18권 5호 [2011]
  • “청소년 인터넷중독 진단척도 개발(Ⅰ)”
    강만철 오익수 교육심리 연 구 [2001]
  • “청소년 아이디 도용 실태설문”
    한국소비자연맹 [2012]
  • “청소년 사이버폭력 발생 구조 분석을 통한 지능정보사회의 사이 버 위기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진상기 입법과 정책, Vol. 10 No. 2 [2018]
  • “청소년 사이버비행의 문제점과 그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한종욱 경찰대학교 청람, 제17호 [2001]
  • “청소년 사이버불링 실태 및 대응방안연구”
    신나민 이창호 허은빈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 “청소년 사이버볼링 실태 및 대응방안 연 구”
    신나민 이창호 허은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 “창의적 문제 해결방법을 활용한 사이버불링 예방교육 프로그 램”
    김부경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지역사회요인의 학교폭력피해에 대한 공간적 영향력 분석”
    최선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중학생이 경험한 학대와 방임이 학교 내 대 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로”
    김서현 임예림 정익중 한국청소년연구, Vol. 25 No. 4 [2014]
  • “정보화사회의 기본권과 질서유지 - 정보보안과 경호안전을 중 심으로”
    조병윤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정보화 사회의 기본권과 질서유지 : 정보보안과 경호안전을 중심으로”
    김평보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입법학 연구의 방향 설정 - 순수절차주의의 한계와 입법이론 -”
    심우민 한국법정책학회 [2012]
  • “일본의 청소년이 안전하게 안심하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의 정비 등에 관한 법률”
    김경석 최신외국법제정보, 한국법제연구 원 [2019]
  • “인터넷중독 정도에 따른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2]
  • “인터넷상 명예훼손죄에 관한 고찰”
    정 완 Law & technology, Vol. 5 No. 3 [2009]
  • “인터넷 통신언어와 청소년 언어문화”
    박호관 양명희 이정복 서울 : 한국문화사 [2006]
  • “인터넷 통신언어 예절의 교육방안 모색”
    임상수 윤리연구, 제99호, 한국윤리학회 [2014]
  • “인터넷 사용 조절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을 위 한 연구”
    권정혜 권희경 한국심리학회, 제21권 제3호 [2002]
  • “외국의 청소년 사이버불링 대응방안 및 개입 프로그램 고 찰”
    조윤오 경찰학연구소/경찰학논총, 제10권 제3호 [2015]
  • “온라인 성폭력범죄의 변화에 따른 처벌 및 규제 방 안”
    김수아 장다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8-AA-01 [2018]
  • “안전권 실현을 위한 입법정책”
    홍완식 유럽헌법연구, 제14호, 유럽 [2013]
  • “아동 청소년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이행 연구 - 한국 아동 청소년 인권실태”
    김영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7]
  • “스토킹행위의 형사법적 규제와 스토킹행위의 유형화에 대한 고 찰”
    이건호 형사정책연구, 제15권 제1호 [2004]
  • “스토킹(stalking) 방지를 위한 선제적 행정 경찰 작용에 관한 연구”
    이성용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3]
  • “스토킹 범죄 규제의 입법에 관한 연구”
    이창무 동국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5]
  • “스마트폰을 이용한 청소년 사이버폭력 가해경험에 관한 연 구”
    박옥식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스마트폰 이용에서 사이버폭력의 그 원인들 및 인터 넷 윤리의 통제 효과에 대한 통합적 검증 연구”
    이성식 정하영 한국정보진흥 원 [2013]
  •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교 연구 : 싸이월드, 페이 스북, 트위터 간의 이용 동기와 만족 비교”
    김유정 언론과학연구, Vol. 13 No. 1 [2013]
  • “소셜 미디어 문화의 형성과 표현의 자유”
    김현수 법학논고, 제6집 [2014]
  • “성폭력관련법”
    조인섭 한국성폭력상담소 성폭력전문상담원 교육자 료집 [2006]
  • “성인들의 사이버폭력에 관한 연구”
    김동욱 전대성 한국자치행정 학보, 제30권 제3호 [2016]
  • “선생님을 위한 청소년 사이버폭력 이 해와 대처 요령”
    한국정보화진흥원ㆍ행정안전부 [2012]
  • “서울 가정폭력경험과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가해 행동 관계에 서 학교폭력의 매개효과”
    김경은 한국가족복지학, Vol. 18 No. 1 [2013]
  • “사이버폭력에 대한 입법방향 연구”
    양동철 법조협회 [2006]
  • “사이버폭력에 대한 사이버특성과 영성지능의 영향”
    김기문 충남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사이버폭력실태조사요약보고서”
    방송통신위원회⋅KISA한국인터넷진흥원 [2014]
  • “사이버폭력과 그 대책”
    신동준 이명진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 20호 [2006]
  • “사이버폭력 동향과 연구과제 : 사이버폭력의 정의및 유형을 중심으로”
    김계현 두경희 정여주 상담학연구, Vol. 13 No. 4 [2012]
  • “사이버음란물의 형사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
    이철호 목포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06]
  • “사이버블링(Cyberbullying)에 관한 미국의 법제 분 석”
    최유진 홍승희 한국법제연구원, 비교법제연구 현안분석, 12-20-7 [2012]
  • “사이버불링의 이해와 법률적, 교육적 대응 책”
    김국현 문성학 임상수 한국윤리교육학회 학술대회 [2013]
  • “사이버불링의 이해와 대응”
    김봉섭 이원상 임상수 한국정보화진 흥원, 정보문화 이슈리포트, 13-01호 [2013]
  • “사이버불링에 대한 이해와 대응방안”
    김봉섭 이원상 임상수 정보 문화이슈리포트, 13-01,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 “사이버불링에 대한 법률적 대응책의 허와 실”
    임상수 윤리연구, 제 91호, 한국윤리학회 [2013]
  • “사이버불링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 및 대응방안 연구”
    최숙영 컴 퓨터 교육학회지, 17권 6호 [2014]
  • “사이버불링(Cyber Bullying)의 현황과 과제”
    조희정 한국 인터넷 자 율정책기구 [2012]
  •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불안의 매개효과와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최진오 한국위기관 리논집, 11권 5호 [2015]
  • “사이버불링 피해가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우울감의 매개효과”
    조윤오 청소년학연구, 20권 10호 [2013]
  • “사이버범죄의 수사상 문제점과 대책에 관한 연구”
    유백준 조선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08]
  • “사이버공간의 모욕행위와 형사책임 - 사이버모욕죄 신설 논의 를 중심으로 -”
    류인모 경찰학논총, 제12권 제1호 [2017]
  • “사이버공간에서의 범죄피해 - 개인 인터넷 사용자를 중심으로 - ”
    이민식 연구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 “사이버 언어폭력의 원인과 방지대책”
    이성식 형사정책, 제18권 제2 호 [2006]
  • “사이버 언어폭력 의도에 관한 연구”
    우형진 이정기 사이버 커뮤니 케이션 학보, 제27권 1호 [2010]
  • “사이버 불링을 통한 학교폭력의 실태와 대응방안에 관한연구”
    곽영길 오세연 한국치안행정논집, 103호 [2013]
  • “사이버 불링에 대한 윤리교육의 대응”
    임상수 윤리연구, 제81호 한 국윤리학회 [2011]
  • “사이버 불링 특별법에 대한 제안”
    이주형 분쟁해결포럼 [2012]
  • “사이버 따돌림(cyberbullying) 방지와 학생의 표현의자유 - 미 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이종근 유럽헌법연구, Vol. 17 No. - [2015]
  • “범죄피해자 통합적 지원 네트워크에 있어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경찰의 역할 제언”, 「범죄피해자보호와 경찰의 역할」
    백일홍 한 국피해자학회 경찰청 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2016 [2016]
  • “반사이버불링 교육을 위한 체계적 접근”
    임상수 윤리연구, Vol. 1 No. 100 [2013]
  • “미래 청소년보호의 바람직한 방향”
    배규한 한국청소년연구 [2014]
  • “미국법상 학교 성폭력 사고에 대한 민사책임의 귀속 원리 ”
    이수광 이재목 財産法硏究, 제8권 [2011]
  • “또래 간 사이버 괴롭힘 피해자의 어려움 및 도움 요인에 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비교”
    박경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디지털 소비자의 기본권 ‘잊힐 권리’”
    김승열 신동아, 통권 659 호 [2014]
  • “도덕과 교육을 통한 사이버불링(Cyber bullying) 예방 방안”
    추병완 교육과정평가연구, 17(1) [2014]
  • “대학생의 사이버불링 원인에 관한 연구 : 스마트폰의 세이용 환경으로 문자, SNS 인터넷접속의비교
    이상식 전신현 형사정책연구, 103 호 [2015]
  • “권리범위확인 심판제도 운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박영규 이상정 정보법학, 제21권 제3호 [2017]
  • “국내 사이버폭력 현황 및 대응방안 연구”
    손민지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
  • “국내 SNS의 이용현황과 주요 이슈 분석”
    이윤희 [2013]
  • “국가 사이버 안전법제의 방향에 관한 연구”
    정준현 단국대학교 법학 논총, 제39권 제4호 [2015]
  • “가해자와의 관계가 사이버폭력피해자의 정서와 인지에 미치는 영향“
    두경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가족기능이 청소년의 폭력비행에 미치는 영향과 인터넷게임 중독의 매개효과 검증”
    조춘범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SNS상의 청소년 사이버 따돌림 실태 및 대책”
    성윤숙 년도 단 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연례학술대회 발표집, 2013 [2013]
  • “SNS 환경에서의 범죄현상과 형사정책적 대응에 관한 연구”
    박성훈 윤해성 한국형사정책연구원보고서 [2013]
  • “SNS 사용문화가 청소년의 학교폭력 및 사이 버폭력에 미치는 영향”
    가상준 김강민 임재형 분쟁해결연구, 제11권 제1호 [2008]
  • “21C 정보사회와 하이테크 범죄의 양상”
    조병인 한국공안행정학회, 국제학술세미나 자료집 [1999]
  • Through a Glass Darkly : Education with Zero Tolerance
    [2000]
  • Spirituality at work : AConceptualizationand measure.
    9 ( 2 ) [2000]
  •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추이분석
    김윤회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3]
  • Responding to School Violence :Confronting theColumlane Effect
    [2013]
  • PsychologicalConsequences ofCyber bullying experiences among Turkish secondary schoolChildren
  • On the evalut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1988]
  • Multiful intelligence in the classroom
    [1994]
  • Mobile Phones , and Scams can Threaten your Security
    [2011]
  • Enhancing Online Safety for Children Amendment Bill
    [2017]
  • Der Rechtsstaat in der Zwickmühle
    [2011]
  • Cyber-crime - how much is there a and what is anyone doing about it ?
    19 ( 11 ) [2019]
  • California Department of Education . ( n.d. )What is cyberbullying ?
    [2013]
  • Bullying at school :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1993]
  •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Education, 2014.
    [2014]
  • Bailey, J. “Time to Unpack the Juggernaut?: Reflections on the Canadian Federal Parliamentary Debates on Cyberbullying”, Dalhousie Law Journal , 37(2), 2014. ChristopherMaag, A Hoax Turned Fatal Draws Anger but No Charges N.Y. Times, Nov. 28, 2007.
  • "한일 학교폭력 실태 비교연구"
    이진아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