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일부 중년여성의 신체 및 정신적 건강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f Some Middle-aged Women

김진근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일부 중년여성의 신체 및 정신적 건강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f Some Middle-aged Wome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산림치유
  • 산림치유 프로그램
  • 생활만족도
  • 신체 및 정신적 건강
  • 중년여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38 0

0.0%

'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일부 중년여성의 신체 및 정신적 건강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f Some Middle-aged Women' 의 참고문헌

  •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산림치유 정의, 대상, 자원. https://www.fowi.or.kr/user/c ontents/contentsView.do?.cntntsId=39. 2019.10.18.
    [2019]
  • 폐경기와 갱년기 증상에 따른 중년여성의 보완대체요법 사용실태.
    한명숙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폐경기 증후군
    한인권 대한내과학회지. ;61(2):577-582 [2001]
  • 치유의 숲길 조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김기원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2(4):57-66 [2009]
  • 치유의 숲 프로그램 개발
  • 치유의 숲 산림관리기법에 관한 연구
    이연희 국민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치유요소의 특성과 산림치유에의 활용에 관한 이론적 고찰
    김기원 한국인 간식물환경학회지. ;9(4):111-123 [2006]
  • 질환 환자의 보완대체의 학 이용과 그 결정요인
  • 직장인의 도심 숲길 걷기 프로그램 이 건강증진행위, 신체적 건강,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김성재 박세운 방경숙 송민경 이인숙 대 한간호학회지. ;46(1):140-148 [2016]
  • 중년여성의 죽음 의미 발견을 위한 영화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 과 검증
    김준형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중년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상태
    성미혜 손혜영 윤자원 정신간호학회지. ;14(2):186-194 [2005]
  • 중년여성의 우울과 건강증진 생활방식에 관한 연구
    고정은. 동남보건대학 논문집. ;20(2):97-113 [2002]
  • 중년여성의 문제음주 수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자 아존중감의 다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송진영 보건사회연구. ;34(4): 523-553 [2014]
  • 중년여성 환자의 입원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와 가족 지지의 조절 효과.
    황미선 단국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중년여성 우울증 완화를 위한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김정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중년기 여성의 회복 탄력성이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우울에 미 치는 영향
    이성주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제5차 산림기본계획∼2017). 2008
    산림청. 산림청. [2008]
  • 이상이, 이신재. 한국 성인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
    강재헌 김남순 문옥륜 윤태호 정백근 예방의학회지. ;35(1):1-12 [2002]
  • 영국 그린짐 프로 그램의 운영사례 조사를 통한 국내도입 방안
    박범진 박충희 유영민 이정도 정다워 최승희 홍성준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2(2):43-51 [2018]
  • 여성 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상매 최수일 한 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7):203-214 [2012]
  • 스트레스와 나의 건강
    박순영 광주 서구 보건소식. ;11(84):7-9 [1999]
  • 숲을 이용한 건강: 치유프로그램 개발
    산림청. 연구보고서 [2011]
  • 숲속에서의 경관감상이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영향: 일본 아츠키시의 현장 실험결과
    宮岐郞文 박범진 한국임학회지. ;97(6):634-640 [2008]
  • 숲속 걷기 명상이 중년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광현 마음챙김 한국명상치유학회지. ;1(1):75-97 [2010]
  • 숲 체류시간에 따른 생리적 반응의 비교 분석
    안득수 정나라 휴양 및 경 관계획 연구소 논문집. ;6(2):45-51 [2012]
  • 수도권 거주 중년여성의 숲 체험 경험이 행복과 긍 정심리에 미치는 영향
    김범수 김혜영 이숙정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7(3):65-73 [2013]
  • 성인 여성장애인의 우울의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권복순 박현숙 한국사회복지학. ;57(1):169-192 [2005]
  • 성인 여성의 숲 방문 빈도와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반 응 사이의 관계. 한국환경생태학회
    김윤희 학술대회논문집. ;25(2):58 [2015]
  • 생활 스트레스에 대한 인간의 생리적 반응과 타액 코르티 솔과의 관계
    김동수 박세권 대한인간공학회지. ;26(1):11-18 [2007]
  • 생리적 요인과 생활습관이 폐경 후 여성의 골밀도에 미치 는 영향
    송정자 최윤희 한국영양학회. ;40(6):517-525 [2007]
  • 산림휴양 활동을 이용한 숲치유의 실험적 접근: 경관감상과 산책을 중심으로.
    박범진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산림활동이 우울증 환자들의 호전에 미치는 영향: 산림치유 프로그램 집단과 병원 프로그램 집단, 산림욕 집단, 대조군 비교 연구
    김원 박상미 우종민 임성견 한국임학회지. ;101(4):677-685 [2012]
  • 산림치유활동이 여성의 갱년기 증상 완화 및 정신건강 회복에 미치는 효과
    김주연 신창섭 연평식 조미나 인간식물환경학회지. ;18(4): 319-325 [2015]
  •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중년기, 노년기 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 향.
    김주연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호철 조성훈 홍상순 동의신경정신과학학회. ;24(1).63-74 [2013]
  • 산림치유프로그램 효과검 증. 경북: 국립산림치유원
    강재우 박충회 안미영 이동수 이범 이정원 경북: 국립산림치유원 연구보고서. ;18(01):41-52 [2018]
  • 산림치유프로그램 개발
    하시연 월간산림(11월호) [2010]
  • 산림치유의 이해
  • 산림치유의 스트레스 회복 효과 비교
    김주연 박현수 신창섭 연평식 한국 산림휴양학회지. ;18(1):13-24 [2014]
  • 산림치유를 적용할 수 있는 대상 및 질환
    김원 박상미 우종민 이영준 한 국산림휴양학회지. ;16(1):35-42 [2012]
  • 산림치유기반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생리. 심리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박창은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9]
  • 산림의 피톤치드 요법이 인체 생리대사에 미치는 영향
    이보구 이형환 한 국자연치유학회지. ;1(1):14-20 [2012]
  • 산림의 지형별 경사도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이 50대 여성의 BDNF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신민자 신창섭 이미옥 이재순 최아람 최종환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9(1):109-115 [2015]
  • 산림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효과 활용사례 분석: 일본 산 림테라피 인증을 중심으로
    유리화 정성애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3(2):45-51 [2009]
  • 산림운동이 중년여성의 HDL-C, LDL-C과 TG 농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엄석주 최종환 충북대학교 평생체육연구소 논문집. ;22;73-80 [2010]
  • 산림방향 물질이 인체생리에 미치는 영향
    김시경 신원섭 연평식 이정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4(2):85-91 [2010]
  • 산림내 호수 주변 에서의 산책과 경관감상이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심리적 영향
    박범진 송초롱 이주영 한 국임학회지. ;104(1):140-149 [2015]
  • 산림과 도심에서의 조망 및 보행활동이 인체의 생 리,심리에 미치는 효과
    김경남 지경배 한갑수 한국환경과학회지. ;21(5):605-611 [2012]
  • 산림경험이 참여자의 불안감과 우 울감에 미치는 영향
    김시경 신원섭 연평식 이정희 주진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1(1):27-32 [2007]
  • 산림 피톤치드 효능을 활용한 자연치유 효과에 관한 연구
    이보구 동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산림 및 도시경관이 인간감성에 미치는 영향.
    엄판도 상명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산림 경험이 인체생리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신원섭 연평식 이정희 한국 산림휴양학회. ;15(1):73-78 [2008]
  •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중년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 는 영향
    김순안 김승용 노인복지연구. ;52:109-129 [2011]
  • 북미지역 산림치유프로그 램. 서울: 국립산림과학원
  • 면역기구와 피톤치드
    강하영 산림(통권). ;471:76-80 [2005]
  • 만성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추출에 관한 이론적 고 찰
    한영란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27-48 [1997]
  • 독일과 스위스의 산림치유 정책, 연구 동향과 시사점. 서울: 국립산림과학원
    박수진 서정원 산림과학속보. ;16:15-18 [2015]
  • 노인의 생활특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임창희 성신여 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기혼여성의 우울 증상과 도움 추구 태도에 관한 통합모형 검증.
    김희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기(氣)체조가 중년기 성인의 심혈관계질환 위험요인과 혈관 염증 요인에 미치는 영향
    김은정 김지선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1(3):211-218 [2013]
  •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한 산림치유 현상 분석.
    오경희 충북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국내 산림치유프로그램의 구성 활동 내용 분석
    박수진 유리화 이으뜸 홍수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5(2):101-109 [2011]
  • nature of the view from home : Psychological benefits
    33 ( 4 ) :507-542 [2001]
  • Towards an integrative framework
    15:169-182 [1995]
  • The emergence of metabolic syndrome with menopause
    88 ( 6 ) :2404-2411 . [2003]
  • Subjective age : A test of five hypotheses
    32 ( 3 ) :312-317 . [1992]
  • Shinrin-yokutaking in the atmosphere of the forest ) in an old-growth broadleaf forest in Yamagata prefecture
    26 ( 2 ) :135-142 . [2007]
  • Shemanski L. Association of postmenopausal estrogen use withCardiovascular disease and its risk factors in older women
    88 ( 1 ) :216-371 . [1993]
  • Sheehy G. New passages: Mapping your life across time. New York: Random House. 1995.
  • Selective attention and heart rate responses to natural and urban environments
    23 ( 2 ) :125-134 . [2003]
  • Seeland K. Restoration and stress relief through physical activities in forests and parks
    6 ( 4 ) :213-225 . [2007]
  • MacKerron G. Mourato S. Happiness is greater in natural environments. Global Environmental Change. 2013;23(5):992-1000.
  • Kirkevold M. Therapeutic horticulture in clinical depression : A prospective study
    23 ( 4 ) :312-328 . [2009]
  • Kagawa T. The influence of urban green environments on stress relief measures : A field experiment
    38 ( 1 ) :1-9 . [2014]
  • KFRI 산림정책 이슈: 산림치유 동향과 발전방안
    박수진 박찬우 이정희 서울: 국립산림과학원 [2013]
  • Happiness is in our nature : Exploring nature relatedness as a contributor to subjective well-being
    12 ( 2 ) :303-322 . [2011]
  • HDL-C and cardiovascular disease
    383:618-625 [2014]
  • Geriatric depression scale ( GDS ) :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5:165-172 [1986]
  • Garling T. Tracking restoration in natural and urban field settings
    23 ( 2 ) :109-123 . [2003]
  • Effect of forest bathing trips on human immune function
    15 ( 1 ) :9-17 . [2010]
  • Dasgupta P. Human well-being and the natural environmen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 Cognitive behavior stress management increases benefit finding and immune function among women with early-stage breast cancer
    56:1-8 [2004]
  • Biological psychiatry : Third Edition
    25 ( 7 ) : 589-590 . [2010]
  • Age-related effects in T-cell activation and proliferation .
    28 ( 4 ) :313-321 . [1993]
  • 12주간의 산림 운동이 중 년여성의 혈중지질, SOD, 멜라토닌에 미치는 영향
    김태성 김현주 류근호 신창섭 연평식 최종환 한국산림휴양학 회지. ;20(4):81-90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