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자치경찰제 도입에 따른 신임경찰 교육훈련방안 연구 :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박건찬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자치경찰제 도입에 따른 신임경찰 교육훈련방안 연구 :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미국연방과 주정부의 행정
  • 교육훈련
  • 델파이 조사
  • 신임경찰
  • 자치경찰제
  • 중앙경찰학교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24 0

0.0%

' 자치경찰제 도입에 따른 신임경찰 교육훈련방안 연구 :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지방분권촉진위원회. , 「지방분권백서」
    서울: 지방분권촉진위원회 [2013]
  • 중앙경찰학교. , 「중앙경찰학교 30년사」
    중앙경찰학교 [2017]
  • 제주자치경찰단
    ‘자치경찰 활동의 목표 설정 및 평가’년 2월) [2018]
  • 문재인 정부의 광역단위 자치경찰제에 관한 고찰
    황문규 「한국지 방자치학회보」, 29(4): 23-54 [2017]
  • 교육연구방법
    김병성 서울: 학지사 [1996]
  • 경찰개혁위원회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권고안’년 11월 7일) [2017]
  • 『행정학 사전』
    이종수 (개정판), 서울: 대영문화사 [2009]
  • 「행정학개론」
    이 진 서울: 시스컴 [2019]
  • 「행정학」
    임 혁 서울: 시대고시기획 [2019]
  • 「지방자치학」
    최창호 서울: 삼영사 [2009]
  • 「선행정학」
    김중규 서울: 애드민 [2014]
  • 「사회과학 조사방법론」
    채서일 (제3판), 서울: 학현사 [2003]
  • 「비교수사제도론」
  • 「비교경찰제도론」(제3판)
  • 「델파이 분석 방법」
    김병욱 서울: 으뜸사 [2015]
  • 「경찰행정학」
    이황우 서울: 법문사 [1994]
  • 「SPSS 척도화 분석과 비모수적 방법」
    허명회 서울: SPSS 아카데미 [2006]
  • “한국의 자치경찰제 모형에 관한 이론적 탐색”
    조성택 「한국경 찰학회보」, 9: 207-228 [2005]
  • “한국과 독일경찰의 신임순경 교육에 관한 비교연구”
    이상열 「한국치안행정논집」, 19(3): 3-30 [2009]
  • “한국 자치경찰제도의 이상적 모델”
    이기춘 「지방자치법연구」, 18(1): 29-66 [2018]
  • “한국 자치경찰의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
    김종수 신승균 「한국 경호경비학회지」, 16: 1-19 [2008]
  • “한국 와이너리의 관광자원 개발 연구: 델파이 기법과 계층 적 의사결정방법(AHP)으로”,
    전진아. 경희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2018]
  • “한국 신임경찰공무원 교육훈련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 구”
    배철수 「박사학위논문」,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5]
  • “한국 경찰조직의 신임순경 교육훈련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김무형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 “프랑스, 미국, 일본의 자치경찰제와 비교법적 검토”
    유주성 「동 아법학」, 80: 39-77 [2018]
  • “프랑스 행정경찰 개념의 역사적 변천과 시사점”
    오승규 「경찰 법연구」, 14(1): 236-250 [2016]
  • “프랑스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에 관한 연구”
    봉유종 「자치경찰연 구」, 11(2): 140-160 [2018]
  • “캐나다의 경찰조직에 관한 연구”
    서헌원 「자치경찰연구」, 11(2): 161-185 [2018]
  • “최근 독일 경찰교육과정의 내용과 시사점: 신규입직 기본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임준태 「한국경찰학회보」, 20(3): 305-342 [2018]
  • “참여정부의 자치경찰법안과 문재인정부 자치경찰 도입안 의 주요쟁점 심층비교분석
    이훈재 「한국경찰연구」, 17(3): 173-202 [2018]
  • “지방정부의 자치분권 요구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대한민국 시도지사협의회의 대정부정책건의과제를 중심으로”
    엄태호 전영준 「한국 지방자치학회보」, 30(2): 123-144 [2018]
  • “지방자치제 이후 공무원 교육훈련 발전과정 연구”
    정찬동 「인 력개발연구」, 10(2): 65-82 [2008]
  • “지방자치경찰제도의 도입에 관한 연구”
    박기석 이기호 「경찰 대학논문집」, 경찰대학 [2001]
  • “지방자치 활성화를 위한 자치경찰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일선 경찰공무원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최진혁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 교 행정대학원 [2016]
  • “지방분권화와 자치경찰제의 도입”
    최응렬 「한국치안행정학회 학술세미나 자료집」, 18-43 [2003]
  • “지방분권의 제2도약으로서 대한민국의 자치분권 추진과제 에 관한 연구”
    최진혁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9(3): 55-84 [2017]
  • “지방분권에 관한 비교헌법적 분석”
    고문현 「토지공법연구」, 51: 419-446 [2010]
  • “지방분권 강화를 위한 자치경찰제에 관한 연구”
    강선주 「박사 학위논문」,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2]
  • “지방공무원교육원의 교육훈련 발전방안”
    이상묵 조석주 「연 구보고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9]
  • “지방공무원 교육훈련제도 개선방안”
    김귀영 「한국인사행정학 회보」, 8(1): 31-54 [2009]
  • “지방경찰학교 신임순경 적응교육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김태곤 최응렬 「한국경찰학회보」, 10(3), 323-359 [2008]
  • “중앙정부 주도형 정책결정의 비효율성에 관한 연구: 공공 기관 지방이전 정책을 중심으로”
    민인경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 원 [2008]
  • “중앙과 지방의 상생을 위한 지방분권”
    최병대 「의정연구」, 19(1): 5-38 [2013]
  •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의 효율적 방안”
    김봉구 「공공정책연 구」, 31(1): 253-284 [2014]
  • “자치경찰제도의 도입방향과 모델”
    이영남 「한국유럽경찰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7: 9-26 [2018]
  • “자치경찰제도의 도입방향과 모델”
    이영남 「자치경찰연구」, 10(1): 3-24 [2017]
  • “자치경찰제도 도입의 제고 방안”
    이진홍 「입법정책」, 5(1): 225-255 [2011]
  • “자치경찰제도 도입에 따른 신임경찰교육의 방향 성에 관한 연구: 델파이 기법을 중심으로”
    박건찬 최응렬 「한국경찰학회보」, 21(3): 53-88 [2019]
  • “자치경찰제도 도입에 관한 연 구”
    남승하 송상훈 이미애 이현우 「정책연구」, 3: 1-125 [2009]
  • “자치경찰제도 도입 정부(안)에 관한 지방자치 부합성 검 토”
    김원중 「지방자치법연구」, 18(1): 343-364 [2018]
  • “자치경찰제 도입의 실천적 문제점 분석”
    이정열 「석사학위논 문」,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 “자치경찰제 도입에 따른 국가-지방간 경찰사무의 배분과 경찰조직 개편방안”
    한상우 「자치경찰」, 경찰혁신기획단 [2003]
  • “자치경찰제 도입에 관한 비교연구”
    이미애 이현우 「한국정책 연구」, 10(2): 247-272 [2010]
  • “자치경찰제 도입모델에 관한 검토 : 문재인 정부 하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곽영길 「치안정책연구」, 32(1): 7-42 [2018]
  • “자치경찰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실시방안”
    이용우 「지방자치」, 159: 24-33 [2001]
  • “자치경찰법(안)의 일반적 고찰”
    김원중 「법학연구」, 22: 69-91 [2006]
  • “자치경찰 도입에 따른 국가경찰의 역할 검토”
    김원중 김윤영 「치안정책연구」, 29(1): 99-131 [2015]
  • “일본의 자치경찰제도에 대한 연구”
    최돈수 「자치경찰연구」, 11(2): 225-244 [2018]
  • “일본 및 독일의 신임순경 교육훈련제도의 특징 및 시사 점”
    김무형 「한국경찰연구」, 8(2): 3-30 [2009]
  • “일본 광역단위 자치경찰제도에 관한 연구”
    신현기 「자치경찰연 구」, 10(1): 25-51 [2017]
  • “일본 경찰제도에 관한 연구”
    김민정 「자치경찰연구」, 10(2): 14-30 [2017]
  • “우리나라 자치경찰제도 설계를 위한 실증적 준거틀”
    안영훈 「자치경찰연구」, 1(1): 39-72 [2008]
  • “영국지방자치경찰의 새로운 패러다임”
    김학경 이성기 「경찰 학연구」, 12(1): 147-174 [2012]
  • “영국경찰제도의 구조와 특징에 관한 연구”
    신현기 「한국유럽행 정학회보」, 7(1): 3-26 [2010]
  • “영국 경찰의 거버넌스 구조의 변화과정에 대한 연구”
    여개명 「치안정책연구」, 33(2): 265-298 [2019]
  • “역대정부 지방분권과제와 성과에 대한 평가”
    김홍환 정순관 「지방행정연구」, 32(1): 3-34 [2018]
  • “신임경찰관의 입직동기와 교육훈련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박재풍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 “신임 자치경찰의 효율적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 : 중앙경찰학교 신임자치경찰 교육 분석을 중심으로”
    곽영걸 한진태 「자치경찰연 구」, 4(1): 27-60 [2011]
  • “스위스의 경찰제도에 관한 연구”
    황정용 「자치경찰연구」, 11(2): 245-266 [2018]
  • “선진 외국의 신임순경 교육훈련제도의 문제점”
    김무형 백석기 「한국치안행정논집」, 6(2): 245-278 [2009]
  • “보건분야 공무원 교육훈련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 구”
  • “범죄정보공개의 정책적 효과 : 영국의 Open Crime Map이 범죄율 및 부동산 가격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이혜인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 “박근혜 정부의 자치경찰 도입방안 검토 : 지방자치발전 종 합계획을 기초로”
    이승준 「강원법학」, 44: 503-534 [2015]
  • “바람직한 자치경찰제의 모형에 관한 연구”
    최종술 「한국행정학 보」, 33(2): 141-161 [1999]
  • “미국의 자치경찰제도에 관한 연구”
    윤호연 「자치경찰연구」, 6(4): 68-117 [2013]
  • “미국의 경찰제도와 국방법집행기관에 관한 연 구”
    양현호 최진욱 「자치경찰연구」, 8(3): 28-54 [2015]
  • “미국의 경찰제도에 관한 고찰”
    김환권 「자치경찰연구」, 10(2): 31-47 [2017]
  • “미국과 영국의 신임경찰관 교육훈련의 특징과 함의”
    박동균 「한국경찰학회보」, 12(2): 5-33 [2010]
  • “미국 경찰의 조직체계와 인사관리에 관한 연구”
    김영길 「자치 경찰연구」, 11(2): 120-139 [2018]
  • “문재인 정부 자치경찰제 도입방향 및 향후 전망”
    신현기 「자치 경찰연구」, 11(1): 3-24 [2018]
  • “독일 자치경찰제도에 관한 연구”
    신현기 홍의표 「자치경찰연 구」, 6(1): 3-32 [2013]
  • “델파이(Delphi)와 IPA 분석을 통한 민간조사원의 업무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장정범 「박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2015]
  • “델파이 기법(delphi)과 계층적 의사결정 방법(ahp)의 적용을 통한 전통 정원의 보존 상태 평가지표 개발”
    안진성 「박사학위논문」, 성균관 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부의 자치경찰제에 대한 실태 분석”
    신현기 「자치경찰연구」, 6(4): 3-34 [2013]
  • “기초단위 자치경찰 모델을 위한 제언”
    정세종 「한국민간경비학 회보」, 17(1): 281-210 [2018]
  • “교육분야 지방행정체제의 재설계: 교육자치분야를 중심으 로”
    김찬동 「서울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17 [2011]
  • “관광산업의 e-CRM 활동 척도개발을 위한 연구”
    황수영 「박사 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8]
  • “공무원교육 50년 평가와 발전방향”
    김신복 「행정논총」, 37(2): 119-145 [1999]
  • “경찰지방자치의 방향 : 경찰지방자치의 본질”
    심익섭 「지방행 정」, 52(597): 16-23 [2003]
  • “경찰제도의 시대적 변화와 자치경찰 도입유형에 관한 연 구”
    조계표 「한국행정사학지」, 42: 1-25 [2018]
  • “경찰의 핵심가치 교육훈련에 대한 연구”
    곽영걸 「박사학위논 문」,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2]
  • “Delphi/AHP를 활용한 검도 경기력 결정요인 분석과 평가 모형 개발”
    박상섭 「박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 “21세기 지방자치의 현대적 경향 : 영국과 프랑스의 지방자 치의 진화”
    최진혁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7(3): 1-29 [2015]
  • “2020 지방재정 그랜드 디자인 : 지방분권촉진에 따른 지방재정 구조개선 방향”
    서정섭 이상용 이창균 이효 「연구보고서」, 한국 지방행정연구소 [2010]
  • The performance of forecasting groups in computer dialogue and face to face discussions
    [1975]
  • The Delphi Method : Techniques and Applications . tourism industry ’ s structural dimensions and wine tourism product ,
  • The Delphi Method : Substance , Context , A Critique and Annotated Bibliography
    5 ( 1 ) : 57-71 . [1971]
  • Sandford BA : The Delphi technique : making sense ofConsensus
    12 : 1-8 [2007]
  • Managing Delphi surveys using nonparametric statistical techniques
    28 ( 4 ) : 763-774 . [1997]
  • Important distance education practice . A Delphi study of adminstration and coordinators of distance education programs in higher education
    [1997]
  • Group Techniques for P rogram Planning : A guide to nominaland Delphi P rocesses
    [1975]
  • Expert opinions in forecasting : The role of the delphi technique .
    30 : 124-144 . [2001]
  • Delphi Method Applied to Tourism ” , Tourism Marketing and Management Handbook
    95-98 [1989]
  • An evaluation of Delphi
    40 ( 2 ) : 131-150 . [1991]
  •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 ( 4 ) : 563-575 . [1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