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시민사회단체의 변화과정에 나타난 집단학습의 의미

변애경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시민사회단체의 변화과정에 나타난 집단학습의 의미'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
  • 민속지학
  • 민속지학적 연구방법
  • 시민사회단체
  • 지역사회
  • 집단학습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56 0

0.0%

' 시민사회단체의 변화과정에 나타난 집단학습의 의미' 의 참고문헌

  • 활동중심 수업설계 원리 및 전략의 탐색
    박양주 열린교육연구, 20(1), 1-22 [2012]
  • 활동이론에 터한 일터 무형식학습 뿌리내림
    이윤하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활동 이론(Activity Theory)에 근거한 초등교사의 구성주의 교육 실천 분석
    설진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확장학습을 통한 노인학습자의 활동체계 변화과정 과 의미
    김효경 윤창국 평생교육학연구, 20(2), 1-33 [2014]
  • 협력적 지식창출 과정의 규명: 활동이론을 통한 e-learning 설계안 작성 활동의 분석
    이경순 한정선 교육공학연구, 21(1), 29-62 [2005]
  • 현대 지역공동체의 의의와 활성화 방안
    곽현근 사회과학연구소, 23(1), 29-57 [2004]
  • 해방 후 평생학습의 전개과정 분석: 신사회운동 관점에서
    김영경 박지영 이소연 이희수 조연정 한국평생교육, 1(1), 1-43 [2013]
  • 한국적 신사회운동의 위치정립에 관한 연구: 환경운동을 중심으로
    정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7(3), 426-444 [2003]
  • 한국의 시민사회 현실과 유토피아 사이에서
    김호기 도서출판: 아르케 [2001]
  • 한국의 도시 지역공동체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신명호 신중진 양영균 정규호 황익주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 한국의 거버넌스
    박재창 서울: 아르케 [2010]
  • 한국사회단체의 지형과 변화
    정병걸 한국조직학회보, 11(3), 85-111 [2014]
  • 한국사회 시민단체 신뢰위기의 진단과 대안 모색
    정한울 시민과세계, 29, 85-123 [2016]
  • 한국 시민사회의 성찰
    김호기 도서출판: 아르케 [2007]
  • 한국 시민사회의 성장과 학교 인권교육의 과제
    설규주 사회과교육, 44(1), 27-56 [2005]
  • 한국 시민사회의 규모
    박상필 한국비영리연구, 3(2), 5-40 [2004]
  • 한국 시민사회의 갈등과 담론의 왜곡
    윤성이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2(2), 51-71 [2007]
  •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현황과 발전과제
    김영래 NGO연구, 1, 5-33 [2003]
  • 한국 시민사회운동에 관한 연구
    김수철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한국 시민사회를 그리다 - 시민사회단체 기초통계 조사
    공석기 임현진 발행처: 진인진 [2016]
  • 한국 시민사회단체의 대안세계화 운동
    김의동 사회과학연구, 26(4), 371-398 [2010]
  • 한국 시민사회 30년(1987-2017)의 시민참여와 민주주의
    주성수 시민사회와 NGO, 15(1), 5-38 [2017]
  • 한국 시민단체의 기원과 전개 그리고 과제
    채진원 인문사회 21, 7(6), 1089-1111 [2016]
  • 한국 시민단체가 나아갈 방향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성
    박병옥 지역과 전망, 16, 196-217 [2007]
  • 한국 시민단체-시민사회단체, 21세기의 희망인가?
    김광식 서울: 동명사 [1999]
  • 한국 도시공동체운동의 전개과정과 협력형 모델의 의미
    정규호 정신문화연구, 35(2), 7-34 [2012]
  • 학습사회의 교육학
    김신일 박부권 서울: 학지사 [2005]
  • 학습사회를 위한 평생교육론(2판)
    한숭희 서울: 학지사 [2006]
  • 학습동아리활동에 나타난 학습역동: 성인여성학습동아리 사례를 중심으로
    이지혜 홍숙희 평생교육학연구, 8(1), 177-200 [2002]
  • 학습동아리의 성장 과정에 나타난 집단역동 분석
    문이슬 박상옥 평생학습사회, 11(1), 139-170 [2015]
  • 학습도시에서의 주민 교육공동체 운동의 전개
    양병찬 평생교육학연구, 13(4), 173-201 [2007]
  • 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육의 발전: 현장과 학문과 정책의 경우를 중심으로
    윤여각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1-20 [2007]
  • 학습공동체 논의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윤창국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 성과분석 연구
    고영상 김한별 박경호 이세정 이창기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08]
  • 평생학습도시 마을 조성 정책 동향과 과제, 패러다임 대전환: 학습도시로 가는길
    이희수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2]
  • 평생학습과 학습생태계
    한숭희 서울: 학지사 [2001]
  •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의 생태학적 연구.
    박선경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평생교육연구에 있어서의 질적연구방법 선택기준 정립에 대한 소고
    윤창국 평생교육학연구, 19(4), 1-26 [2013]
  •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의 개인 및 조직학습 관련 변인의 다층구조모형
    민상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지역발전: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미산마을을 사례로
    이홍택 정성훈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4), 708-720 [2012]
  • 칠곡군 어로리 인문학 마을의 공동체 형성과정 연구
    이재민 임지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7, 593-608 [2016]
  • 청주시 사직2동 마을만들기 단계별 특성연구
    성순아 이규선 황희연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47(4), 145-157 [2012]
  • 청소년쉼터거주 여자청소년의 자립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정윤영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15]
  • 참여연대 5년의 성찰과 전망: 한국시민운동 21세기 대안을 찾아서
    조희연 참여연대 창립 5주년 심포지움 발표문 [1999]
  •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조용환 교육과학사 [1999]
  • 진로교육과 평생직업교육훈련의 미래
    권대봉 한반도선진화재단, 183-205 [2010]
  • 지자체 마을만들기사업에서 ‘마을학교’의 평생교육적 의미: 서울시 마 을공동체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양병찬 평생교육학연구, 2(1), 1-25 [2014]
  • 지역평생학습공동체 남양주 학습등대의 실천적 해석 연구
    김종선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지역중심 평생교육으로의 회귀: 그 필요성과 전략의 탐색
    이해주 평생학습사회, 7(1), 43-59 [2011]
  • 지역재생을 위한 사회적 기업 육성방안, 지역 발전전략으로서 사회적 기업 관심 높아져
    이은애 부산발전포럼, 125, 44-53 [2009]
  • 지역사회와 학습의 관계 탐색
    박상옥 평생교육학연구, 16(2), 145-164 [2010]
  • 지역사회 네트워크 형성과정의 장애요인과 학습의 의미
    윤창국 평생교육학연구, 15(1), 31-65 [2009]
  • 지역사회 내 NGO와 연계한 평생교육 활동의 기반에 대한 고찰
    김창엽 성낙돈 열린교육실행연구, 14(0), 31-52 [2011]
  • 지역사회 공동체의 이해와 현황분석
    김재경 사회복지경영연구, 2(2), 281-294 [2015]
  • 지역사회 공동체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경희 생활과학논집, 21, 65-79 [2005]
  • 지역사회 개발학
    임상봉 정지웅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 지역발전이론의 비판적 이해와 지역공동체에 관한 탐색적 연구
    손진아 신윤창 한국비교정부학보, 14(1), 217-244 [2010]
  • 지역공동체운동의 학습네트워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최선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지역공동체에서의 주민참여 동기에 관한 연구 - 참여자 유형을 중심으로
    오영안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지역공동체 회복을 위한 마을만들기의 역할과 과제: 수원화성과 행궁동 사람들의 도전을 중심으로
    신중진 정지혜 정신문화연구, 36(4), 60-96 [2013]
  • 지역공동체 평생교육의 개념과 성격에 관한 고찰
    오혁진 평생교육학연구, 12(1), 53-80 [2006]
  • 지역공동체 주도적 마을만들기 사업의 정책추진방안 연구
    전대욱 최인수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2(9), 1-16 [2012]
  • 지역공동체 주도의 발전전략 연구
    박승규 전대욱 최인수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연구과제 [2012]
  • 지역 마을 공동체 만들기 운동의 발전 방안 모색: 충남 홍성군 홍동 풀무마을을 중심으로
    최승호 한독사회과학논총, 19(1), 237-268 [2009]
  • 지식사회에서의 평생학습이론의 지향점 : 엥게스트롬의 확장학습이론(Expansive Learning Theory)을 중심으로
    김경희 평생교육학연구, 17(4), 293-321 [2012]
  • 주민자치회 시범실시에 대한 성과 분석
    김필두 지방행정연구, 28(3), 35-60 [2014]
  • 조직학습의 이론과 논쟁. 삼성경제연구소 편, 학습조직의 이론과 실제. 27-70
    권석균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1996]
  • 조직 정체성의 동태적 구성과 조직 언어: 공무원 노동조합의 조직화 과정사례
    정석창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정부와 주창형NGO 관계유형 및 유형변화에 관한 연구: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소속 주요단체를 중심으로
    송성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전통시장 상인들의 공동자산 구축 과정에서 나타난 집단학습 연구 : 망원시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지숙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작은도서관 종사자의 직무 연구
    윤혜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작은도서관 운동의 평생교육적 의미 분석: 대전지역 ‘알짬마을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양병찬 지희숙 평생학습사회, 7(2). 175-202 [2011]
  • 자기주도학습의 의미에 관한 한 해석
    전현욱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1), 373-392 [2012]
  • 일터에서의 지식창출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활동이론을 통한 P사 S팀의 사례 분석
    박지영 장원섭 Andragogy Today, 14(4), 119-150 [2011]
  • 일제하 이상촌 운동을 통해 본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실천 원리
    오혁진 평생교육학연구, 13(2), 23-47 [2007]
  • 일본의 도시화 과정에서 마을만들기의 전개와 주민참여
    김찬호 도시행정 학보, 13(1), 95-115 [2001]
  • 인천일보, 2017.1.19.일자
    [2017]
  • 이러닝 환경에서 성인의 자기주도성에 따른 학습전략 활용도 차이
    최경애 한국교육, 36(2). 137-163 [2009]
  • 위기의 한국사회
    박재창 서울: 아르케 [2009]
  • 원주 지역 협동조합의 생성과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본 네트워크의 효용
    신명호 이아름 정신문화연구, 36(4), 32-57 [2013]
  • 우울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가 주관적 건강평가에 미치는 영향
    구교만 한국체육학회, 58(1), 319-327 [2019]
  • 우리나라 성인들의 자기주도 학습 활성화를 위한 과제
    장미옥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1(1), 181-200 [2007]
  • 우리나라 마을만들기의 현재와 앞으로의 방향
  • 온라인 학습공동체에 대한 성인교육학적 해석
    정민승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 온라인 사회운동의 출현에 따른 사회운동학습 담론의 확장 가능성
    허준 평생교육학역구, 18(3), 141-165 [2012]
  • 영재를 위한 교수-학습과정 설계와 분석 틀로써의 활동이론
    김종백 조형정 영재와 영재교육, 6(2), 129-148 [2007]
  • 안산신문, 2017.5.4.일자
    [2017]
  • 안산사람들 참좋은 뉴스, 2017.6.29.-7.9.일자
    [2017]
  •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평생교육의 과제
    양흥권 평생교육학연구, 18(2), 103-130 [2012]
  • 신사회운동으로서 한국의 대안 교육운동
    김경식 이병환 교육학논총, 23(1), 1-17 [2002]
  • 신사회운동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박희 사회과학연구, 9, 197-232 [1996]
  • 신사회운동론 관점에서 본 시민사회단체 시민교육 경향과 이념 분석: ‘흥사단 금요강좌’사례를 중심으로
    조규연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신사회운동과 시민사회
    이행봉 지역사회연구, 2(1), 121-156 [1994]
  • 신사회운동 참여자 분석: 누가, 왜, 어떻게 참여하는가
    송호근 한국사회과학, 20(3), 45-74 [1997]
  • 신사회교육론
    오혁진 서울: 학지사 [2012]
  • 시장경제질서와 우리나라 시민단체 활동의 문제점
    권혁철 한국비영리연구, 1(1), 209-247 [2002]
  • 시민운동을 통한 지역공동체 형성과정 연구: 부산YWCA의 차황면 생태마을 조성사례를 중심으로
    유성희 시민사회와 NGO, 6(1), 149-185 [2008]
  • 시민운동과 지역사회운동에 관한 연구
    이장현 평택대학교 논문집, 9(2), 257-273 [1997]
  • 시민사회의 특성과 시민성 교육의 방향
    허수미 사회과교육연구, 17(4), 183-198 [2010]
  • 시민사회의 성장과 시민운동
    유팔무 경제와 사회, 25, 104-121 [1995]
  • 시민사회의 사상-시민정부, 부르주아, 공공영역, 시민사회운동
    오문환 서울: 법무사 [1999]
  •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유팔무 서울: 한울 [1995]
  • 시민사회와 사회운동
    신광영 경제와 사회, 12, 13-36 [1991]
  • 시민사회단체의 특성요인이 마을공동체 활성화 정책에 미친 영향 연구;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박성헌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시민사회단체와 정부의 협력적 거버넌스의 생산성에 관한 연구
    김광휘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시민사회단체에 있어서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혁신에 미치는 영향
    신동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시민사회, 시민운동, 시민단체 : 시민운동 바로보기
    박종찬 서울: 21세기북스 [2001]
  • 시민사회, 사회운동, 신사회운동: 시민운동의 이론적 이해
    신율 서울: 자유기업원 [2001]
  • 시민사회 주도의 지역 평생학습문화 형성 방안
    김민호 평생교육학연구, 8(1), 21-40 [2002]
  • 시민단체와 대응 조직체간 갈등해소를 위한 승승적 PR전략에 관한 연구
    차희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 시민단체 조직분석: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장상미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시민단체 시민교육의 성격에 대한 연구 - 참여연대 사례(1995년∼1999년)를 중심으로
    김창엽 성낙돈 평생교육학연구, 12(3), 97-123 [2006]
  • 시민교육의 확장을 위한 평생교육의 의의: 지역사회기반 시민교육을 중심으로
    이은미 진성미 시민교육연구, 46(3), 195-221 [2014]
  • 세계정치경제론
    김진철 서울: 글바우 [1989]
  • 세계시민교육과 시민단체의 역할
    김민호 제주교육대학교 논문집, 32, 249-267 [2003]
  • 성인교육의 실천적 기초 -이론과 방법-
    배을규 서울: 학지사 [2006]
  • 성미산 마을공동체 형성의 성공요인에 대한 분석: Woolcock의 사회자본 분석틀을 중심으로
    김철회 하혜수 국정관리연구, 11(1), 79-104 [2016]
  • 서울시 성대골 사례를 통해 본 도시 지역공동 체 에너지 전환운동에서의 에너지 시민성 형성 과정
    박종문 윤순진 공간과 사회, 26(1), 79-138 [2016]
  • 생활공동체와 가정관리학의 과제
    차성란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3-20 [2013]
  • 새로운 정부와 시민사회
    윤성이 지역사회, 58, 41-51 [2008]
  • 상업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과 지역 상인 공동체에 관한 연구
    김상일 정창무 허자연 공간과 사회, 26(1), 309-335 [2016]
  • 상록수와 최용신의 생애
    인주승 서울: 홍익재 [1992]
  • 살기 좋은 도시를 위한 지역공동체 복원 방안
    최병두 국토지리학회지, 40(4), 513-528 [2006]
  • 사회적기업과 평생교육학
    강대중 평생교육학연구, 17(1), 1-24 [2011]
  •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역 시민사회의 조건 탐색 춘천시에서 누가 사회적경제를 지지하는가
    이해진 지역사회학, 18(3), 31-68 [2017]
  •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대안적 평생교육
    구혜경 한국학술정보 [2006]
  • 사회적 자본 관점에서의 시민사회단체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석
    윤선영 최운실 평생학습사회, 4(2), 39-70 [2008]
  •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의 대안적 개념화: 쟁점과 과제
    장원봉 시민사회와 NGO, 5(2), 11-43 [2006]
  • 사회교육자로서의 김용기
    황종건 평생교육연구, 7(1), 1-18 [2001]
  • 비정부조직(NGO)의 정치참여에 관한 비교연구
    김영래 공공정책연구, 4, 145-167 [1998]
  • 부천 시 작은 도서관 운동의 학습공동체 연구
    김영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부안 핵폐기장 유치 반대운동에 나타난 공동체학습 과정의 특성
    허준 평생교육학연구, 12(4), 203-223 [2006]
  • 발달장애 성인을 위한 장애인평생학교 교육과정 구성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차세진 황순영 평생교육학연구, 23(4), 163-199 [2017]
  • 민중에서 시민으로: 한국 민주주의를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
    최창집 파주: 돌베게 [2009]
  • 문화역사활동이론을 통한 과학교사의 해외 봉 사활동 분석
    임성민 한재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3), 631-650 [2017]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한 교사의 학교 내 대안교실 운영 활동 분석
    이혜진 열린교육연구, 23(4), 151-179 [2015]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에서 모순 개념의 중요성
    성열관 교육비평, 42, 145-173 [2018]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을 활용한 평생학습도시의 발전전략
    권인탁 평생교육학연구, 14(2), 1-29 [2008]
  • 문화역사 활동이론의 관점에서 교생실습 활동의 분석
    김남수 황세영 한국교원교육연구, 31(1), 141-170 [2014]
  • 문화역사 활동이론을 통한 1년차 서울형 혁신학교의 수업 혁신 활동의 이해
    김남수 이혁규 열린교육연구, 20(4), 359-384 [2012]
  • 문화마을만들기에서의 공동체의식 형성요인 연구: 성남시 우리동네문화공동체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김태영 박수현 여관현 한국지역개발학회, 25(5), 207-230 [2013]
  • 무형식학습이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 조절효고를 중심으로
    이정금 평생학습사회, 13(1), 105-130 [2017]
  • 맑스의 시민사회관 1841∼1848년 기간 중 그의 저작을 중심으로
    나혜심 서울: 한울 아카데미 [1993]
  • 마을만들기의 주민주체와 공동체 활동에 관한 연구 : 부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신선화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마을만들기의 새로운 도전, 마을헌장제정운동
    도시연대 서울: 도시연대 [2000]
  • 마을만들기사업과 평생교육의 협동 가능성 탐색
    양병찬 평생교육학연구, 21(3), 1-23 [2015]
  • 마을기업에 참여한 주민의 평생학습 경험: 노산동 누림마을공동체 사례 중심으로
    마경희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거래비용이론 관점에서
    이기태 하현상 한국정책학회, 25(1), 455-491 [2016]
  • 마을공동체 형성?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집단학습에 관한 연구-성미산마을을 중심으로
    유민선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마을공동체 형성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집단학습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강대중 유민선 평생교육학연구, 19(1), 143-173 [2013]
  • 마을공동체 구축을 위한 주민자치 실천 사례 연구: 나가노현 아치무라 주민자치 활동을 중심으로
    김용련 일본연구, 70(0), 7-28 [2016]
  • 마을 만들기의 전개를 통한아파트 마을공동체의 성장 단계 연구: A군 드림아파트와 육아아파트의 사례
    이재민 지역과 문화, 5(2), 79-98 [2018]
  • 마을 만들기에서 시민단체의 역할: 서울시 북촌 지역을 사례로
    이소영 공간과 사회, 25, 99-130 [2006]
  • 도시생태공동체 형성과정 분석
    박완희 연경환 홍의동 황희연 한국환경정책학회, 22(4), 87-117 [2014]
  • 도시 시민사회의 이해
    조명래 공간과 사회, 16, 149-184 [2001]
  • 도시 속 협동적 연대를 통한 마을경제관계망 만들기: 서울 마포구 성미산마을의 사례
    이경란 한국협동조합학회, 28(2), 143-171 [2010]
  • 대학수업을 위한 활동이론 기반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수업모형 개발
    김연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대학생 ‘학회’의 학습공동체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상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대안운동으로서의 강원지역 사회적 경제
    권종희 엄한진 경제와 사회, 104, 358-392 [2014]
  • 대기업집단의 학습조직과 조직문화, 조직학습, 조직유효성의 관계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다시, 마을이다. 위험 사회에서 살아남기
    조한혜정 서울: 또 하나의 문화 [2006]
  • 남강 이승훈
    김기석 한국학술정보 [2005]
  • 구체제와 프랑스 혁명
    이용재 서울: 일월서각 [1989]
  • 교육소외계층의 평생학습 재참여 및 증대요인에 관한 연구. 미래사회의 학제(Ⅱ). 한국교육학회 2006년 추계 학술대회. 한국평생교육학회
    최명주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5-66 [2006]
  • 공조학습 과정에서 드러나는 경험학습의 특징-연극활동과정을 중심으로
    김경애 평생교육학연구, 13(2), 49-74 [2006]
  • 공동체의 위기와 복원에 관한 탐색적 연구: 향촌공동체와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이명호 동양사회사상학회, 19(1), 87-116 [2016]
  • 공동체운동을 위한 시민성교육 활성화방안
    이미나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보, 3, 167-195 [1998]
  • 공동체운동과 대안적 성인교육
    고병헌 Andragogy Today, 2(1), 71-121 [1999]
  • 공동체요인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 마을기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전지훈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고학력 워킹맘의 일과 육아에 대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적 접근
    구유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경기도 저탄소 녹색마을 중간지원조직 발전방안 연구
    고재경 주정현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2012(12), 1-241 [2012]
  • 결사체 민주주의의 실험
    김의영 한주희 한국정치학회보, 42(3), 143-166 [2008]
  • 개인학습과 조직학습의 이론
    김동환 산업경영연구, 22(2), 183-202 [1999]
  • 「지역사회 실천조직으로서 학습동아리에서의 학습과정」
    박상옥 평생교육학연구, 15(1), 225-259 [2009]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이론적 발전과 평생교육연구에 주는 시사점」
    박상옥 윤창국 평생교육학연구, 18(3),113-139 [2012]
  • “한국 시민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역할”
    박상필 NGO연구, 10(2), 35-68 [2015]
  • “중소기업 R&D 인력의 R&D 성과와 무형식 학습, 학습동 기 및 학습지원환경의 인과적 관계,”
    김진모 황영훈 한국중소기업학회, 36(3), 105-131 [2014]
  • “제도개혁을 위한 신제도주의 이론의 탐색-신제도경제학 이론을 중심으로”
    최낙관 현대사회와 행정, 14(1), 47-71 [2004]
  • “시민사회 그리고 NGONPO의 개념공공성을 중심으로”
    김상준 NGO연구, 1, 37-68 [2003]
  • slections from the Prison Notebooks
    [1971]
  • Workplace learning : Developing a holistic model
    6 ( 1 ) , 18-29 [1999]
  • Vygotsky ’ s theory and the activity-oriented approach in psychology . In J. V. Wertsch ( Eds . ) , Culture , communication , and literach : Vygoskian perpectives ( pp . 35-65 )
    [1985]
  • Understanding learning in social movements : a theory of collective learning .
    18 ( 3 ) , 191-202 . [1999]
  • 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
    [1981]
  • The workplace as a learning environment
    16 ( 6 ) , 306-363 [2004]
  • The silent revolution : Changing values and political styles among western publics .
    [1977]
  • The problem of activity in psychology
    13 ( 2 ) , 4-33 . [1972]
  •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s. (문옥표 역). (2009). 문화의 해석
    Geertz, C. J. 서울: 까치 [2000]
  • The ethnographic interview. CA: Wadsworth. 박종흡(옮김)(2003). 문화기술적 면접법
    Spradley, J. P. 서울: 시그마프레스 [1979]
  • The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 Some aspects of development . In P. H. Sawchik , N. Duarte & M. Elhammoumi ( Eds . ) , Critical pespectives on activity : Explorations across education , work , and everyday life
    pp . 35-51 [2006]
  • The Question of Organizational Consciousness : Can Organizations Have Values , Virtues and Visions ?
    29 ( 3 ) , 271-284 [2001]
  • The JoinersAmerica 's Voluntary Spirit : A Book of Reading , 81-90
    [1983]
  • The Emerging Nonprofit Sector : An Overview
    [1996]
  • The Commons : New Perspective on Nonprofit Organizations and Voluntary Action .
    [1992]
  • Studies of Expansive learning : Foundations , findings and future challenges
    5 , 1-24 [2010]
  • Society versusContext in individual development : Does theory make a difference ? In Y. Engestrom , R. Miettinem R. L. Punamaki ( Eds . ) , Perspective on activity theory ( pp . 70-86 )
    [1999]
  • Self-directed learning
    [1975]
  • Review Article :ChangingConceptions of Lifelong Learning
    pp . 309-315 [1999]
  • Reflections on activity theory
    61 ( 2 ) , 197-210 [2009]
  •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Thousand Oaks, CA: Sage. (조흥식 역). (2015).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Creswell, J. W. 서울: 학지사 [2007]
  • Qualitative Research and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1998]
  • Privatization in Four EuropeanCountries :Comparative Studies in Government-Third Sector Relationships
    [1993]
  • Organizational learning : the contributing processes and the literature
    2 , 88-115 [1991]
  • NPO(비영리조직)의 활성화를 위한 입법 방향
    박영도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1997]
  • NGO와 현대사회
    박상필 서울: 아르케 [2001]
  • NGO로 보는 한국 시민사회의 발달
    강미희 한국사회혁신학회보, 3(1), 77-95 [2012]
  • NGO, NPO, CSO 개념: 국제적 통용과 국내적 적용
    주성수 한국비영리연구, 4(1), 5-37 [2004]
  • Mind in society : The development of high psychological processes ( M. Cole , V. John-Steiner , S. Scribner & E. Souberman Eds , )
    [1978]
  • Max Weber 's Proposal for the Sociolgical Study of Voluntary AssociationsRequoted in Michael O'Neill , The Third America
    1 ( 1 ) : 20-23 [1972]
  • Mass Media Research: An Introducton. (유재천, 김동규:옮김). (2009). 매스미디어 연구방법론 제8판
    Dominick, J. R. Wimmer, R. D. 서울: Cengage Learning [2005]
  • Linking the old and the new : Movement network in the NetherlandsChallenging the political order : New social and political movements in ewstern democracies ( pp . 122-136 )
    [1990]
  • Learning unlimited : Practical strategies and techniques for transforming learning in the workplace
    [1994]
  • Learning in adulthood : A comprehensive guide
    [1999]
  • Learning from everyday lifeThe Routledge international handbook of lifelong learning
    pp . 19-30 [2010]
  • Learning by expanding . An theoretical approach to developmental research Helsinki : Orienta-Konsiltit
    [1987]
  • Learning and development for managers : Perspectives from research and practice
    [2006]
  • K센터의 사례를 통해 본 외국인력지원센터 교육활동체계의 변화과정과 의미
    윤창국 정현경 평생교육학연구, 23(4), 105-135 [2017]
  • Innovative learning in work teams : Analyzing cycles of knowledge creation on practice . In Y. Engestroom , Y .. Miettinen , R. , & Punamaki , R.-L. ( Eds ) , Perspectives on activity theory
    pp . 137-404 [1999]
  • Informal learning
    77 ( 6 ) , 30-34 [1998]
  • Informal and incidental learning in the workplace
    [1990]
  • Ideolgy and New Social Movements. (이복수 역). (1994). 이데올로기와 신사회운동
    Alan scott 서울: 한울 [1990]
  •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1994]
  • HRD담당자의 활동체제 확장에 관한 문화기술지 연구: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중심으로
    김소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Global networks and local milieu : Towards a theory of economic spaceThe industrial enterprise and its environment : Spatial perspectives ( 195-214 )
    [1995]
  • From teams to knots: Activity-theoretical studies of collaboration and learning at work
    Engestrom, Y. Co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장원섭, 구유정 옮김). (2014). 팀의 해체와 놋워킹 활동이론으로 보는 일터의 협력과 학습. 서울 학이시습 [2008]
  • Fetterman, D. M. (1998). Ethnography. Step by step. Sage, Thouseand Oaks, CA. 17.
    17 [1998]
  • Experiential Learning
    [1984]
  • Expansive learning at Work : Toward an activity theoretical reconceptualization
    14 ( 1 ) , 133-156 [2001]
  • Engestrom의 활동이론 관점에서 바라본 자생적 도시마을공동체 활동체계들 간의 역학적 관계 및 참여자의 학습경험 탐색
    전주성 정혜경 교육문화연구, 22(6), 537-563 [2015]
  • Engestrom의 활동 이론에 근거한 지리지식의 협력적 창출에 대한 수업 연구
    이형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Engestrom ’ s version of activity theory : A conservative praxis ?
    20 ( 3 161-177 [2007]
  • Emerging approaches to educational research : Trcaing the sociomaterial
    [2011]
  • Editorial : critical perspectives on activity theory
    61 ( 2 ) , 131-138 [2009]
  • Development as breaking away and opening up : A challenge to Vygotsky and Piaget .
    55 , 126-132 [1996]
  • Confronting Analytical Dilemmas for Understanding Complex Human Interactions in Design-Based Research From a Cultural ? Historical Activity Theory ( CHAT ) Framework
    6 ( 4 ) , 451-484 . [2007]
  • Challenging codes : Collective action in the information age
    [1996]
  • An organizational learning framework : From intuition to institution
    24 ( 3 ) , 522-537 . [1999]
  • Adult Learning and Technology in Working-Class Life
    [2003]
  • Activity theory as a potential framework for human-computer interaction researchContext and consciouseness
    pp . 17-44 [1996]
  • Activity theory , discourse and Bernstenin
    56 ( 2 ) , 121-132 [2004]
  • Activity as object-related : Resolving the dichotomy of indicidual and collective types of activity
    [2005]
  • Across the Great Divide : explorations in collaborative conservation and the American West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