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보육교사의 직무역량 자기평가도구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 Assessment Scale for Job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Educare Teachers

이연준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보육교사의 직무역량 자기평가도구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 Assessment Scale for Job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Educare Teacher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보육교사
  • 직무역량
  • 평가 도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86 0

0.0%

' 보육교사의 직무역량 자기평가도구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 Assessment Scale for Job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Educare Teachers' 의 참고문헌

  • 호주와 미국의 역사 교육과정에 나타난 핵심역량 분석
    이미미 비교교육연구, 24(1), 155-180 [2014]
  •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신념에 관한 연구: 목표지향성, 교사효능감 및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교사신념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이경옥 사회과학연구, 8 [2002]
  •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한 보육교사 교육과정 모형 탐색
    김언진 황윤세 열린부모교육연구, 6(2), 17-36 [2014]
  • 핵심역량 모델의 개발과 활용. (민병모, 박동건, 박종구, 정재창 공역.)
    Spencer, L. M. Spencer, S. M. 서울 : PSI 컨설팅(원서 출판 1993) [1998]
  • 학령 후기 아동용 학교적응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조수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 의
    소경희 교육철학연구, 25(3), 1~21 [2007]
  • 특성화고등학교 평가준거 개발
    송달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의 비교에 관한 연구
    유연우 최창호 디지털융합복합연구, 15(10), 103-111 [2017]
  • 탐색적 요인분석 연구의 현황과 제언: 심리학 분야를 중심으로
    김미리혜 김제중 서원진 이수민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9(1). 177-198 [2018]
  • 타당도와 신뢰도
    성태제 서울: 학지사 [2013]
  •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역량제고를 위한 교육요구 분석
    권혁운 한국초등교육학회, 24(2), 115-134 [2011]
  • 초등학교 교사의 핵심역량 탐색
    김경자 이경진 장신호 최진영 한국교육학연구, 15(3), 103-130 [2009]
  • 초등학교 교사의 역량보유도와 발휘도 차이 연구
    최은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역량 평가지표 개발 및 타당화
    이대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초등예비교사들의 교수역량에 대한 자기성찰 및 강화방안
    진성희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20(2), 233-247 [2010]
  •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수준 및 교직경력별 핵심역량 수준 차이 분석
    이경진 장신호 최진영 한국교원교육연구, 25(3). 219-249 [2009]
  • 초등 초임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 분석
    이예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진로교육에 활용되는 자기보고식 심리검사의 faking-good 탐지기능 분석
    어윤경 한국교육평가학회, 19(1), 241-263 [2006]
  •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역량모델 개발
    나영란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중등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에 대한 자기평가와 전문가평가의 비교연구
    백순근 황은희 교육평가연구, 21(2), 53-74 [2008]
  • 중등 신임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도 분석
    강태훈 김갑성 류성창 선미숙 윤홍주 정제영 한국교원교육연구, 26(20), 365-385 [2014]
  •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과 유아교사의 역할
    권귀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4), 47-72 [2018]
  • 전재선유아교사 인성 자기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역량의 특성과 차원
    김민성 박민정 윤순경 윤정일 교육학연구, 45(3), 233-260 [2007]
  • 유치원교원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직무연수모형개발 및 프로그램 운영방안
    문복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유치원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전문성과의 구조 관계 분석
    정은희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분석을 통한 교육과정의 방향성 제고: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권정해 최성열 최은희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2), 67-79 [2015]
  • 유치원과 어린이집 격차 완화를 위한 로드맵 연구: 교사를 중심으로
    김수정 김은영 김혜진 박창현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018]
  • 유치원 초임교사 핵심역량 구인타당화 연구
    박은혜 조운주 육아지원연구, 10(1), 107-131 [2015]
  • 유치원 자율장학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김명순 박은혜 교육과학연구, 33(1), 171-185 [2002]
  • 유치원 수석교사의 효율적인 직무수행을 위한 핵심역량 개발
    조운주 유아교육학논집, 17(2), 117-144 [2013]
  • 유치원 교원평가의 평가준거에 관한 분석 연구
    곽윤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 583-610 [2013]
  • 유치원 교원 핵심역량 구성 방향 탐색
    박은혜 신은수 유영의 이경민 이병호 이진화 조운주 유아교육학논집, 15(5), 203-226. [2011]
  •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박혜경 유아교육학논집, 16(6), 189-211 [2012]
  • 유치원 교사의 직무 전문성 자기평가준거 개발 연구
    김은희 황해익 열린유아교육연구, 11(3), 285-307 [2006]
  •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자기 평가 도구 개발
    백은주 조부경 유아교육연구, 24(4), 95-117 [2004]
  • 유치원 교사의 수업전문성 측정도구 타당화 연구
    김지영 윤진주 아동교육, 21(4), 31-49 [2012]
  •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른 직무수행 비교 연구
    고은미 박순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6), 195-213 [2008]
  • 유치원 교사 핵심역량에 기초한 현직교육 연구 동향 분석
    박지희 염지숙 조형숙 유아교육연구, 34(5). 207-228 [2014]
  • 유치원 교사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임옥경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유아교육현장에서 돌봄의 실천과 한계
    염지숙 유아교육연구, 25(5), 147-171 [2005]
  • 유아교육기관 멘토 교사의 핵심역량 분석
    조혜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14), 183-206 [2010]
  •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교사 역량 척도 개발
    박희경 윤갑정 정계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9). 1-28 [2017]
  • 유아교육,보육정책 변화에 따른 유아교사 전문성 탐색
    오채선 유아교육학논집, 15(5), 249-277 [2011]
  • 유아교육 교원역량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강민정 김경철 김효단 열린유아교육연구, 21(3), 149-173 [2016]
  • 유아교사의 행복과 역할수행능력과의 관계
    이경민 이경애 최윤정 유아교육연구, 32(6), 489-503 [2012]
  •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배진오 이연승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1), 333-354 [2014]
  • 유아교사의 직무환경과 핵심역량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오봉숙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유아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정선아 조대연 유아교육연구, 33(1), 299-321 [2013]
  • 유아교사의 직무모형 개발 및 직무수행 실태분석
    김환남 한국보육학회지, 16(3), 87-114 [2016]
  •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 분석
    이수련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221-239 [2013]
  • 유아교사의 인성과 사회적 관계의 관련성 연구
    부성숙 최선미 육아지원연구, 12(1), 5-17 [2017]
  •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및 창의적 인성의 관계
    박영태 이경님 하수연 미래유아교육학회, 16(1), 275-298 [2008]
  • 유아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교사신념,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권량희 이진희 한국아동교육학회, 24(2), 93-107 [2015]
  • 유아교사의 교사-부모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연구: 의사소통 어려움와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배율미 조유진 유아교육학논집, 18(1), 323-340 [2014]
  • 유아교사용 수업역량 평가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김연수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유아교사 효능감 척도 개발 연구
    김선영 서소정 아동학회지, 31(4), 91-110 [2010]
  • 유아교사 직무수행 효능감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정유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유아교사 전문성의 대안적 탐색
    곽윤숙 직업교육연구, 33(1), 159-177 [2014]
  • 유아교사 교수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정미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유아 교실에서의 교사 협력: 2교사제 교사들의 내러티브
    김희연 오문자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277-296 [2009]
  • 요인분석의 기초
    이순묵 경기: 교육과학사 [2000]
  • 요인분석에서 목표회전의 적용 가능성 탐색
    김수영 임경민 한국심리학회지, 38(3), 377-400 [2019]
  •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 역량”에 대한 이해
    안지령 열린부모교육연구, 9(2), 245-263 [2017]
  • 예비교사의 교직인성 자기점검도구 개발 연구
    김경령 서은희 한국교원교육연구, 31(1), 117-139 [2014]
  • 영유아교사의 직업의식과 윤리
    방유선 염지숙 유아교육학논집, 17(5), 229-249 [2013]
  • 영유아교사 인성 평가 도구 개발 및 교육 강화 방안
    김길숙 김은설 이민경 육아정책연구소 [2015]
  • 영유아 교사론
  •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남연정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영아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선미 이승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8(6), 153-180 [2013]
  •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김지은 안선희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197~216 [2009]
  • 영아교사 전문성 척도 개발 연구
    김정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이론과 실제
    구수연 박찬옥 이옥임 서울: 정민사 [2010]
  • 연구방법론
    성태제 시기자 서울: 학지사 [2006]
  • 역량평가
    이홍민 서울: 리드리드출판 [2009]
  •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과 비판적 쟁점분석:내재된 가능성과 딜레마를 중심으로
    박민정 교육과정연구, 27(4), 71-94 [2009]
  •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심사 및 교사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정다우리 한국영유아보육학, 0(81), 49-70 [2013]
  • 어린이집 교사 핵심역량 모델링
    김보배 박한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7), 147-167 [2017]
  •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탁진국 서울: 학지사 [2007]
  • 실천적 지식의 일상적 속성에 비추어 본 역량 (competence) 의 의미: 지 식기반사회? 사회기반지식!
    손민호 교육과정연구 24(4). 1-25 [2006]
  • 보육의 전문성과 보육교직원의 양성체계에 대해서
    조부경 한국보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39-48 [2015]
  • 보육교직원 인성교육 프로그램 및 인성평가 문항 개발.
  • 보육교직원 인성교육 및 평가 사업 현황과 개선방안
    신유정 장혜진 조용남 한국보육진흥원 이슈분석 제27호 [2018]
  • 보육교직원
    박진옥 서영숙 서혜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4), 5-28 [2014]
  • 보육교사의 직무에 대한 내용분석
    강문숙 황해익 한국보육지원학회지, 4(2), 57-80 [2008]
  •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임영미 정희정 한국보육학회지, 16(4), 77-105 [2016]
  • 보육교사의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그리고 가정연계 효능감이 부모-교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
    김유정 박지혜 안선희 아동학회지, 33(5), 71-89 [2012]
  • 보육교사의 보육 현장 핵심역량 인식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요구 조사 연구
    박경진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보육교사 평가척도 개발에 대한 연구
    이영순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보육교사 적성검사 도구 개발
    김혜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보육교사 인성론
  • 미국과 캐나다의 유아교사 핵심역량 분석과 교육적 시사
    유영의 교육사상, 25(2), 153-177 [2011]
  • 미국 InTASC 핵심교사기준이 교사역량 탐구: 교사역량 기반 교사양성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백남진 온정덕 교육과정연구, 35(3), 29-57 [2017]
  • 리커트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의 사용
    장승민 한국심리학회, 34(4), 1079-1100 [2015]
  • 델파이 방법
    이종성 교육과학사 [2001]
  • 대인관계증진프로그램을 통한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역량의 변화
    김경미 홍길회 한국육아지원학회, 13(1), 245-269 [2018]
  •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송지준 21세기사 [2014]
  • 국가직무능력표준, www.ncs.go.kr
  • 국가법령정보센터. www.law.go.kr
  •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 쓰기, 서울
    김민규 김주환 홍세희 커뮤니케이션북스(주) [2009]
  •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홍세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47-65 [2000]
  • 교육계획에 내재된 유치원 교사의 수업전문성 탐구
    박찬옥 홍찬의 유아교육학논집, 19(5), 5-28 [2015]
  • 교사평가시스템연구
    김이경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5]
  •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인식
    부재율 성병창 이경화 한경임 수산해양교육연구, 21(1), 78-95 [2009]
  • 교사의 인성교육 전문성에 관한 연구
    김하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교사양성과정 내실화를 위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일과운영 및 교사의 직무분석
    권미경 김은영 조혜주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012]
  • 교사 전문성의 재개념화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김옥예 24, 139-159 [2006]
  • 교사 전문성 맥락에서 본 유아교사의 “돌봄” 실천의 의미- 장애유아통합어린이집 사례를 중심으로-
    남명자 유아교육학논집10(4), 201-232 [2006]
  • 고등학생의 대학 전공 선택 프로그램 모형 개발
    이건남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각 국의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자질향상 및 전문성 제고방안(일본, 싱가포르, 대만, 영국, 뉴질랜드)
    신동주 염지숙 장혜진 국무조정실 영유아교육보육통합추진단 [2018]
  • ‘돌봄’의 관점에서 유아교사 삶의 특성
    이가형 정선아 한국교원교육연구, 32(4), 307-326 [2015]
  • The challenge to care in schools : 추병완, 박병춘, 황인표 역(2002). 배려교육론
    Noddings, N. 서울: 다른 우리 [1992]
  • The Competent manager : A model for effetive performance
    [1982]
  • The Challenge to Care in Schools : an Alternative Approach to Education
    [1992]
  • Tests of significance in factor analysis
    3 , 77-85 [1950]
  •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28 ( 1 ) , 1-14 [1973]
  • Teachers matter : attracting , developing and retaining effective teachers
    https : //www.oecd.org/edu/school/34990905.pdf .
  • Requirements for an assessment procedure for beginning teacher : Implications from recent theories on teaching and assessment
    104 ( 2 ) , 242-272 . [2002]
  • Professionalism and the preparation of earlyChildhood education practitioners
    89 ( 1 ) , 1-17 [1993]
  • Pennsylvania core knowledge competencies for early childhood & school-age professionals
  • OECD 교육 2030 참여연구: 역량개념틀 타당성 분석 및 역량개발을 위한 교육체제 탐색
  • OECD 2030 교육 2030 참여 연구: 역량의 교육 정책적 적용 과제 탐색
  • Non-Graphical solutions for Cattell ’ s scree test
    9 ( 1 ) , 23 ? 29 . [2013]
  • New York Works for Children(2012). Core body of knowledge. New York state’s core competencies for early childhood educators. Retrieved from https://www.earlychildhood.org/pdfs/CoreBody.pdf on November 3, 2019.
  • New Mexico Early Childhood Higher Education Task Force(2011). Common core content early childhood educator. Retrieved from http://newmexicokids.org/wp-content/uploads/Common_Core_Content_Apr2011.pdf on November 3, 2019.
  • New Amos 16.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김계수 한나래 [2007]
  • Nevada ’ s core knowledge areas and core competencies for early care and education program
  • Nebraska ’ s core competencies for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 Love , love and more love forChildren
    16 , 861-872 . [2000]
  •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 A Holistic Model of Competence
    [2003]
  • Kansas and Missouri(2011). Core Competencies for early childhood and youth development professionals. Retrieved from https://health.mo.gov/safety/childcare/pdf/corecompetencies.pdf on November 3, 2019.
  • Instrument development in the affective domain ( 2nd ed )
    [1993]
  • Identifying generic skills through curriculum mapping : A critical evaluation
    23 ( 3 ) 329-346 [2004]
  • Handbook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1980]
  • From knowledge to action : Shaping the future of curriculum development in Alberta
    [2012]
  • Editorial
    16 ( 2 ) , 131-133 [2008]
  •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s toolkit
  • Competencies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Exploring the student teachers views
    7 ( 3 ) , 2768-2786 [2015]
  • Competence-based Education and Training
    30 ( 3 ) , 361-376 [1996]
  •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 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10 ( 7 ) , 1-9 [2005]
  •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배병렬 청람 [2011]
  • A quantitative apporach to content validity
    28 ( 4 ) [1975]
  • 2019 어린이집평가매뉴얼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2019]
  • 2019 어린이집평가매뉴얼
    한국보육진흥원 한국보육진흥원 [2019]
  • .The role of attitudes and beliefs in learning to teach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 2nd ed.
    pp . 102-119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