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ocial Integr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박은정 2020년
논문상세정보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ocial Integr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가족관계 스트레스
  • 결혼이주여성
  • 문화적응 스트레스
  • 사회 통합
  • 사회적지지
  • 삶의 만족도
  • 지역사회참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603 0

0.0%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ocial Integr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의 참고문헌

  • 혼인이혼통계(각년도)
    통계청 통계청
  • 혼인 이주여성의 출산 및 경제활동과 우울증: 일본,중국, 베트남 아내의 비교
    김두섭 차승은 한국 인구학, 31(3): 131-157 [2008]
  • 한국의 외국인 정책과 사회통합프로그램
    김명현 다문화와 인간, 1(2): 165-197 [2012]
  • 한국의 여성 결혼이주자 정책: 상호 문화주의적 조망과 함의
    김경숙 디지털 융복합 연구, 12(9): 21-33 [2014]
  • 한국의 다문화사회의 특징과 사회통합을 위한 다층적 접근. 한국사회학회
    임형백 사회학대회 논문집: 593-609 [2009]
  • 한국의 결혼이민정책에 관한 연구: 동남아 여성 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안소현 충북대학교대학원 정치외교학과 박사 학위논문 [2015]
  • 한국사회의 반다문화 담론 고찰: 인터넷 공간을 중심으로
    강진구 인문과학연구, 32: 5-34 [2012]
  • 한국과 독일의 사회통합 비교
    전태국 사회과학연구, 53(2): 307-368 [2014]
  • 한국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사회통합의 과제와 방향
    이선영 다문화콘텐츠연구, 25: 103-136 [2017]
  • 한국 이민 다문화 정책 추진체계 현황 및 개선방안
    이상윤 사회과학연구, 25(3): 175-204 [2014]
  • 한국 사회에서 이주여성의 삶과 사회문화적 적응 관련 정책
    김영란 아시아 여성연구, 45(1): 143-189 [2006]
  • 한국 다문화사회에서 사회통합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송영선 공공사회연구, 3(1): 118-149 [2013]
  • 한국 다문화가족실태조사. 2010년 수시 통계품질 진단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 프랑스 동화주의 다문화 정책의 위기와 재편에 관한 연구. 한국 행정학회
    한승준 한국 행정학보, 42(3): 463-486 [2008]
  •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현황
    행정자치부 행정자치부
  • 중도입국 청소년실태조사
    신옥 양계민 무지개청소년센터 [2013]
  • 중도입국 청소년 실태조사. 무지개청소년센터?
    양계민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 정책학 원론
    정정길 대명출판사 [2011]
  • 정부의 ‘여성 결혼이민자가족’ 지원대책 현황과 문제점: 여성 이민자 가족의 사회통합지원 대책을 중심으로
    이호경 다문화 콘텐츠연구, (4): 187-207 [2010]
  •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이문화 요인분석: 이집트 사례를 중심으로
    양경수 정창근 한국 중동학회, 34(1): 134-160 [2014]
  • 이주민 사회통합정책에 관한 연구: 에이거(A. Ager)와 스트랭(A. Strang)의 사회통합 분석틀 적용. 사회과학연구, 24(3): 165-187. (2017). 결혼이민자에 대한 사회통합교육의 실제와 과제
    이성순 기독교사상, 708: 19-26 [2013]
  • 이민자 사회통합정책 기초연구: 결혼이민자와 다문화가족을 중심으로
    김혜순 IMO 이민정책 연구원, 2010-05: 1-45 [2008]
  • 이민자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 제고 방안
    라휘문 한국 정책연구, 11(1): 43-63 [2011]
  • 이민자 사회통합 정책의 현황과 과제: 법무부의 이민 정책 현황과 과제를 중심으로
    길강묵 다문화사회 연구, 4(2): 139-168 [2011]
  • 외국인 사회통합 교육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이민정책에 관한 외부환경 변화와 정책기업가의 활동을 중심으로
    차용호 서울대학교 행정학과 박사 학위논문 [2015]
  • 열린 사회 구현을 위한 외국인 정책 방향
    김남일 한국사회학회 기타간행물, 2007.8: 147-179 [2007]
  •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영향요인에 관한 연 구
    송지현 이태영 사회복지정책, 41(1): 241-266 [2014]
  • 여성 결혼이민자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연구: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강현 대학원 논문대회 우수논문집 [2012]
  •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통합 진전 양상과 정책 수요 분화에 관한 연구
    김이선 이아름 이은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3]
  •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과 임파워먼트: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김민수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5]
  •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영향요인 연구: 서울?경기 및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김연수 보건사회연구, 33(4): 005-038 [2013]
  • 여성 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 효과
    박지영 한국 가족 복지학, 17(4):199-216 [2012]
  • 아시아 거주 한인 CCKs(Cross-Culture Kids)의 문화적응 유형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오인수 이수경 아시아교육 연구, 16(1): 193-219 [2015]
  • 새로운 정책 대상자로써 이주 외국인 여성의 인식 지형: 한국 사회, 한국인, 외국인 정책에 대한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원숙연 정하나 행정논총, 52(1): 303-334 [2014]
  • 사회통합지수 개발 연구
  • 사회통합을 위한 결혼이주여성의 차별 경험 의미화 과정 연구: 자녀의 학교생활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김정희 문화콘텐츠연구, (12): 75-99 [2018]
  • 사회통합: 개념과 측정, 국제비교
    이재열 조병희 한국 사회정책, 21(2): 113-149 [2014]
  • 사회조사
    통계청 통계청 [2018]
  •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교사 및 또래친구 요인의 조절효과
    모상현 청소년문화포럼, 54: 68-93 [2018]
  • 문화 적응 이론의 전개와 현황
    양계민 정진경 한국심리학회, 23(1): 101-136 [2004]
  • 도시화 정도에 따른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통합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분석: 특별 광역시 지역과 도지역 거주자의 비교
    김경범 박철민 한국콘텐츠학회, 18(4): 214-222 [2018]
  • 다부처 관련 정책 현황조사: 다문화 가족지원. 경제?
    김이선 송연숙 정해숙 인문 사회연구회 [2013]
  • 다문화주의에서 시민통합으로 : 네덜란드의 이민자 통합정책
    설동훈 이병하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5(1): 207-238 [2013]
  • 다문화주의에 대한 반격과 영국 다문화주의 정책 담론의 변화
    신지원 육주원 EU 연구, 31: 111-139 [2012]
  • 다문화사회의 통합을 위한 패러다임으로서의 유럽 상호문화 주의에 대한 이론적 탐색
    김태원 유럽 사회문화, 9: 179-213 [2012]
  • 다문화사회의 조기정착을 위한 사회통합 방안에 관한 연구
    박상규 한국 지방 행정학보, 7(2): 79-100 [2010]
  • 다문화가족의 초국가적 가족 관계망과 정책 시사점
    김이선 이아름 황정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 다문화가족의 갈등 양상 사례분석을 통한 지역사회통합방안 연구: 아시아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박충선 배나래 아시아연구, 14(3): 127-149 [2011]
  • 다문화가족 지원서비스 강화방안
    김이선 손현민 신현옥 정해숙 한국건강가정진흥원 [2014]
  • 다문화가정의 사례분석을 통한 사회통합 방안
    김정헌 박명호 복지행정 논총, 20(1): 71-99 [2010]
  • 다문화가정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서산ㆍ태안지역의 농촌 노인과 외국인 며느리의 문화적응을 중심으로
    조한숙 한국 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645-673 [2010]
  • 다문화가정 외국 배우자의 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김혜미 사회복지연구, 44(7): 57-94 [2013]
  • 다문화가정 여성 결혼이민자의 스트레스 유형 분석
    김희경 여성연구, 71(1): 119-158 [2010]
  • 다문화 현상에 대한 사회통합관점에서의 비판적 고찰
    김태원 민족문화논총, 44: 389-423 [2010]
  • 다문화 한부모 가족의 사회통합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장명선 공공사회연구, 5(4): 72-106 [2015]
  • 다문화 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가족 건강성이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곽미정 한국 자치 행정학보, 30(3):355-375 [2016]
  • 다문화 시대의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SNS를 활용한 사회자본 형성을 중심으로
    김희석 동국대학교 윤리문화학과 박사 학위논문 [2017]
  • 다문화 시대 이민자 사회통합 정책 방향에 대한 일고찰: 네덜란드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이현아 인간 환경 미래, 10:151-178 [2013]
  • 다문화 수용성 제고를 위한 실천방안. 2016년 제1차 다문화가족 포럼
    원숙연 여성가족부 [2016]
  • 다문화 가족지원정책의 사각지대 대응방안 연구
    김이선 방미화 주유선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 농촌 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건수 한국 문화인류학, 39(1): 195-219 [2006]
  • 남북한 사회통합의 조건과 전망. 한국 사회학회주최 특별 심포지엄. (2008). 사회통합을 위한 언어정책
    윤인진 새국어생활, 16(1), 83-100 [2001]
  • 기획과 결정을 위한 정책분석론
    노화준 박영사 [2006]
  • 국제결혼이주여성에 관한 법적 제도적 측면 고찰
    박승용 한국 정책연구, vol. 14 No. 3: 107-130 [2014]
  • 국제결혼이민자의 조기 사회통합증진 방안연구: 한국과 독일의 정책 및 사례를 중심으로
    박성범 조용만 국제정치논총, 53(3): 465-502 [2013]
  • 국제결혼의 전 지구적 젠더 정치학: 한국 남성과 베트남 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현미 경제와 사회, 70: 10-37 [2006]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우영희 하규수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6(12): 8535-8549 [2015]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문화적응에 관한 연구
    최운선 아시아 여성연구, 46(1): 141-181 [2007]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자존감 인식에 미치는 영향
    윤희중 한국 글로벌문화학회, 4(2): 45-68 [2013]
  •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계기로 살펴보는 다문화주의 (multiculturalism)와 한국의 다문화 현상
    문경희 21세기 정치학회보, 16(3): 67-93 [2006]
  • 국제결혼 이주여성 가족의 지역사회와의 갈등 양상 및 통합 방향. 한국사회학회
    김성일 이주연 사회학대회 논문집: 241-243 [2006]
  •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연구
    안상수 여성가족부 [2012]
  • 결혼이주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혜경 전혜인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8(4): 413-432 [2013]
  • 결혼이주여성의 한국 사회통합: 정책과 경험 사이에서
    김영옥 다문화사회 연구, 3(2): 123-154 [2010]
  •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소속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비스 접근성과 사회적 접근성을 중심으로
    김솔 인하대학교 다문화 학과 박사 학위논문 [2018]
  •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와 다문화 지원기관의 상호작용
    김숙진 임안나 가족과 문화, 25(2): 234-269 [2010]
  • 결혼이주여성의 아동학대 발생 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양육 스트레스,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관계
    박명숙 이재경 한국 사회복지학, 66(2): 179-202 [2014]
  • 결혼이주여성의 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박은희 조인주 사회과학연구, 28(2):29-54 [2012]
  •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명희 김혜진 유은광 대한간호학회지, 42(2): 171-180 [2012]
  •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만족도: 지역사회 특성과 차별경험을 중심으로
    김한성 이유신 한국 사회학, 47(2): 177-209 [2013]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지지, 문화적응스트레스,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박용한 설염추 성춘향 한수연 교육방법연구, 29(1): 1-23 [2017]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의 질의 관계. 가족과 문화, 22(3): 97-127. (2011),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의 질의 결정요인
    김현숙 김희재 오중환 한국 인구학, 34(1): 27-51 [2010]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연결망과 초국가적 정체성
    김소희 설진배 송은희 아태연구, 20(3): 229-260 [2013]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연결망 특성에 대한 연구
    노연희 박현선 이상균 이채원 한국 사회복지학, 64(2): 159-183 [2012]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수용성 강화와 사회통합
    조희원 분쟁 해결연구, 14(3): 163-189 [2016]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 양상을 통해서 본 사회통합 과제
    김이선 민무숙 이정연 주유선 여성연구, 85(2): 5-43 [2013]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자본이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이영석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박사 학위논문 [2015]
  • 결혼이주여성의 미디어 이용과 문화적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
    주정민 최진희 디아스포라 연구, 8(2): 7-39 [2014]
  •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정서적 고립 및 소외와의 관련성 연구
    이경은 주소희 다문화 콘텐츠연구, 24: 235-273 [2014]
  •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 탄력성, 성역할 태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백진아 서선숙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8): 301-310 [2017]
  •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손은성 한국 가족 복지학, 38: 169-199 [2012]
  •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 정책 수용과정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민가영 사회과학연구, 22(1), 83-104 [2011]
  •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 시민권과 사회통합.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변보기 Humanities, and Sociology, 12(7): 459-467 [2017]
  • 결혼이주여성들의 사회적 자본 수준과 증진방안
    김정훈 임안나 현대사회와 행정, 20(3): 51-87 [2010]
  •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의 다문화사회실험: 최근 다문화 담론의 사회학
    김혜순 한국 사회학, 42(2): 36-71 [2008]
  • 결혼이민자 정착단계별 지원패키지 개발.
    김이선 동제연 이은아 황정임 여성가족부,한국건강가정진흥원 [2014]
  • 결혼이민자 등에 대한 사회통합정책을 둘러싼 부처 간 갈등과 조정에 관한 연구 : 법무부와 여성가족부의 갈등을 중심으로
    황택환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2012]
  • 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사회 경제적 참여에 관한 연구
    이혜림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박사 학위논문 [2017]
  • 결혼 이주 근로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도시 농촌 지역 차이를 중심으로,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여영훈 이현주 Humanities, and Sociology. 11(7): 709-716 [2017]
  • 거주지역의 민족구성이 혼인 이주여성의 차별 경험과 주관적 건강 인식에 미치는 주변 효과
    김두섭 가족과 문화, 27(4): 34-61 [2015]
  •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특성이 결혼이민자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분석: 문화적 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철민 지방 정부연구, 16(3):413-436 [2012]
  • “가계동향조사”
    통계청 통계청 [2018]
  • Understanding and managing Multiculturalism : Some Possible Implication of Research in Canada
    vol.3 , no.1 [1991]
  • Trade-Offs Between Equality and Difference : Immigrant Integration , Multiculturalism and the Welfare State in Cross-National Perspective.
    36 ( 1 ) : 1-26 [2010]
  • The politics of culture in multicultural Korea
    37 ( 10 ) :1583-1604 [2011]
  • The Politics of Citizenship in Europe
    [2009]
  • The Nation-State and Violence
    [1985]
  • The Minority Report : An Introduction to Racial , Ethnic and Gender Relations
    [1999]
  • The Mentally Ill in Community-Based Sheltered Care : A Study of Community Care and Social Integration
    [1978]
  • The Impact of Immigration on the Level and Distribution of Economic Well-Being , pp . 289-313. in Barry R. Chiswick ( ed . ) , The Gateway : U. S. Immigration Issues and Policies
    [1982]
  • The 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 : A Comparative Examination
    3.04236111111111 [1994]
  • The Age of Migration :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in the Morden Work , 3
    [2003]
  • TV 매체가 재현한 다문화사회와 사회통합의 현실: 다문화 가정 구성원과 전문가의 인식을 중심으로
    심영섭 허찬행 언론과학연구, 15(1): 325-363 [2015]
  • Stress , appraisal and coping
    [1984]
  • SocialCohesion : Updating the state of the research
    CPRN Discussion Paper ( No . 22 [2002]
  • Social Support as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1976]
  • Social Pattern in Normal Aging : Findings form the Duke Longitudinal Study
    [1981]
  • Selection , Migration and Integration : Why Multiculturalism Works in Australia ( And Fails in urope )Centre for Independent Studies (CIS ) Australia
    [2011]
  • Selecting by Origin : Ethnic Migration in the Liberal State
    [2005]
  • Rewarding integration ?Citizenship regulations and the socio-cultural integration of immigrants in the Netherlands , France and Germany
    36 ( 5 ) : 773-791 [2010]
  • Reconsidering SocialCohesion : Developing a Definition and Analytical Framework for Empirical Research
    75 ( 2 ) , pp.273-302 [2006]
  • Psychology of acculturation : Understanding individual moving betweenCultures . In R. W. Brislin ( Ed . ) , AppliedCrossCultural psychology ( 232-253 )
    [1990]
  •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 s buffers o f lifeChanges stress
    13 , 99-125 [1983]
  • Politics in the vernacular : Nationalism , multiculturalism andCitizenship
    [2001]
  • Perspectives on Global Development 2012 : social cohesion in a shifting world
    [2011]
  • Participation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ocial Contact of Immigrants in Canada
    [2016]
  • Occupational Mobility for Immigrants in Sweden
    44 ( 2 ) : 57-77 . [2006]
  • Naturalisation Policies in Europe : Exploring Patterns of Inclusion and Exclusion , EUDO Citizenship Observatory Comparative Reports
    [2010]
  • Multicultural challenges in Korea : The current stage and a prospect
    52 ( 2 ) :100-121 [2014]
  • Multicultural Odysseys : Navigating the New International Politics of Diversity
    [2007]
  • Multicultural Citizenship: A Liberal Theory of Minority Rights , Oxford: Clarendon 장동진 외 옮김 (2010), 『다문화주의 시민권』
    Kymlicka, Will 동명사 [1996]
  • Measures of Social Psychological Attitudes
    [1973]
  • Measure and Concepts of Social Support , In Shelon Cohen & Leonard S. ( eds ) . Social Support and Health
    [1981]
  • Mapping Social Cohesion : The State of Canadian Research , CPRN Study
    No . 03 [1998]
  • MIPEX 지수에 의한 다문화사회통합 정책의 비교분석
    김중관 한국 중동학회, 34(1): 1-20 [2014]
  • Introduction : Migration Research and Immigration Policy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26 ( 4 ) : 1069-1076 [1992]
  • Incorporation , transnationalism , and gender : Immigrant incorporation and transnational participation as gendered processes
    39 ( 4 ) : 895-920 [2005]
  • Immigration , acculturation , and adaptation
    46 ( 1 ) . [1997]
  • Immigrants ' social rights in comparative perspective : welfare regimes , forms of immigration and immigration policy regimes
    Vol . 16 , No . 3 . [2006]
  • Family inventory oflife events & changes
    [1981]
  • Family Stress and Coping : A Decade Review
    Family,42 ( 4 ) :855-871 [1980]
  • Development of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s : Preliminary Findings
    [1994]
  • Building and mobilizing informal family support networks . In G. Singer & L. Irvin ( Eds . ) , Support for caregiving families : Enabling positive adaptation to disability ( pp . 121-141 )
    [1989]
  • Birthright Citizenship in the United States : A Global Comparison
    [2010]
  • Beyond the Dutch Multicultural Model , The Coproduction of Integration Policy Frames in The Netherlands
    12 ( 3 ) : 331-348 [2011]
  • An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s : A practical approach to stress management
    2 , 1-33 [1998]
  • An Epidemiological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Factors in Disease Etiology
    [1974]
  • Acculturative Stress Among American Reffugees : Gender and Racial Differences
    31 ( 122 ) . 447-487 [1996]
  • Acculturation : Living Successfully in Two Cultures
    29 ( 3 ) : 697-712 . [2005]
  • 2018년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자치부 행정자치부 [2018]
  •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전기택 여성가족부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