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가사 문학에 나타난 음식 소재의 이념적 배경과 시대적 변모

한경란 2020년
논문상세정보
' 가사 문학에 나타난 음식 소재의 이념적 배경과 시대적 변모'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가사
  • 도교적 이념
  • 불로장생
  • 사회교화
  • 생계
  • 유교적 이념
  • 음식
  • 일상
  • 자기수양
  • 정신적 지향
  • 탈속
  • 향락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12 0

0.0%

' 가사 문학에 나타난 음식 소재의 이념적 배경과 시대적 변모' 의 참고문헌

  • 한국고전번역원(http://www.riss.kr)
  • 정용수 번역, 『(국역) 소문쇄록』
    조신 국학자료원 [1997]
  • 이혜승 옮김, 『문화철학』
    모이세이 카간 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 신혜원 옮김, 『식탁 위의 쾌락』
    하이드룬 메르클레 열대림 [2005]
  • 서진영 옮김, 『음식문화의 수수께끼』
    마빈 해리스 한길사 [1997]
  • 김영식 옮김, 『박물지』
    장화 홍익출판사 [1998]
  • 김동욱 옮김, 『국역 잡기고담』
    임매 보고사 [2014]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 구자옥 외 역주, 『齊民要術』
    가사협 농촌진흥청 [2006]
  • 趙 翼, 『浦渚集』 崔 ?, 『簡易集』
  • 朴敬伸 譯註
    [1998]
  • 『李朝魚物廛硏究』
    林仁榮 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1977]
  • 『禮記』 『小學』
  • 『練藜室記述』 李奎報
  • 『聾巖集』 憑虛閣 李氏
  • 『論語』 『孟子』
  • 『한국의 전통명주-다시 쓰는 주방문』
    박록담 코리아쇼케이스 [2005]
  • 『한국민속학학술총서 08』
    한국민속학회 민속원 [2008]
  • 『한국문학통사』
    조동일 3, 지식산업사 [2008]
  • 『한국문학의 이해』
    김흥규 민음사 [1986]
  • 『한국문학의 이해』
    김흥규 민음사 [2007]
  • 『한국문학강의』
    조동일 길벗 [2013]
  • 『한국가사문학주해연구』
    임기중 1∼20권, 아세아문화사 [2005]
  • 『한국가사문학연구』
    정재호 태학사 [1996]
  • 『한국가사문학사』
    류연석 국학자료원 [1994]
  • 『조선후기 가사문학 연구』
    고순희 박문사 [2016]
  • 『조선 후기 문학의 성격』
    성호경 서강대학교출판부 [2010]
  • 『음식디미방』柳得恭, 『京都雜誌』
    安東張氏 安東張氏
  • 『다시 찾는 우리 역사』
    한영우 경세원, <게우사>,박순호 소장본 [2016]
  • 『국문학 개론』
    김광순 새문사 [2003]
  • 『가려 뽑은 가사』
    박연호 현암사 [2015]
  • 『韓國歌辭選集』
    이상보 집문당 [1984]
  • 『閨閤叢書』 宋浚吉
  • 『進宴儀軌』 『靑丘永言』
  • 『農事直說』 『新增東國輿地勝覽』
  • 『谿谷漫筆』 鄭 逑
  • 『牧民心書』 鄭 蘊
  • 『歌辭文學의 硏究』
    류연석 국학자료원 [2003]
  • 『松巖集』 李 瀷
  • 『松巖集』 金正喜
  • 『東溟集』 鄭經世
  • 『東國歲時記』
  • 『朝鮮王朝實錄』 『承政院日記』
  • 『於于集』 柳成龍
  • 『抱朴子』
  • 『惺所覆 ? 藁』 洪萬選
  • 『孤舟集』 鄭麟趾
  • 『大學衍義』 『列子』
  • 『四佳詩集』 申 欽
  • 『史記』 『後漢書』
  • 『古文眞寶』 『太平廣記』
  • 『三國史記』 『高麗史節要』
  • 『18세기 가사전집』
    이상보 민속원 [1991]
  • 『(증보판)한국고전시가론』
    정병욱 신구문화사 [1999]
  • 「화전가에 나타난 여성의 놀이 공간과 놀이적 성격-‘음식’과 ‘술’의 의미를 중심으로-」
    유정선 『한국고전연구』18 한국고전연구학회 [2009]
  • 「한국에서 다른 식물로 인식되는 중국 문학 속 식물- 薇,荇菜,茱萸,?, 柏의 경우」
    팽철호 『중국문학』81, 한국중국어문학회 [2014]
  • 「한국 고전산문 속의 음식 표상과 그 생활사적 의미」
    서인석 『돈암어문학』28, 돈암어문학회 [2015]
  • 「한국 고전문학과 술 문화」
    정병헌 『한국어와 문화』3,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08]
  •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식욕과 판타지」
    강명관 『고전문학연구』32, 한국고전문학회 [2007]
  • 「천풍가 연구」
    유정선 『이화어문논집』 15, 이화어문학회 [1997]
  • 「조선후기 문학에 나타난 음식문화 특성-판소리 다섯 마당을 중심으로-」
    김미혜 정혜경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22,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7]
  • 「조선후기 문학과 회화에 나타난 한국음식문화 연구 ?판소리소설, 풍속화, 기속시를 중심으로-」
    김미혜 호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식품영양학 전공) [2007]
  • 「조선시대 망자를 위한 음식:국상을 중심으로」
    이욱 『종교문화비평』29 [2016]
  • 「조선시대 도교적 생태자연학과 생활산림서류 문헌의 전개」
    김일권 『도교문화연구』48, 한국도교문화연구학회 [2018]
  • 「조선시대 고문헌에 나타난 소고기의 식용과 금지에 대한 고찰」
    김승우 차경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30,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5]
  • 「제주 전통음식의 사회문화적 의미」
    허남춘 『탐라문화』26,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05]
  • 「정훈 가사에 나타난 이념과 현실의 정서적 형상화」
    이승남 『韓國思想과 文化』44,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 「정철과 박인로의 문학인식 대비연구」
    김용직 『한국문학』13, 한국문학 [1992]
  • 「전환기 가사에 나타난 현실과 이념, 그 정서적 형상화」
    이승남 『한국문학연구』58,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8]
  • 「임진왜란의 경험과 가사문학의 변모」
    류해춘 『우리문학연구』17,우리문학회 [2004]
  • 「유선들의 풍류와 소통-<수운잡방>을 통해 본 16세기 한 사족의 문화정치학」
    이숙인 『대동문화연구』80,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 「오봉 이호민의 시문학 연구」
    정경훈 『한문고전연구』15, 한국한문고전학회 [2007]
  • 「오봉 이호민의 생애와 사상」
    추제협 『동아인문학』33, 동아인문학회 [2015]
  • 「시조문학과 신선」
    김명희 『시조학논총』30, 한국시조학회 [2009]
  • 「술과 문학」
    장덕순 『한국식문화학회지』4,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89]
  • 「성리학적 본질은 어떻게 현실을 주재하는가?」
    정용환 『哲學硏究』 101, 대한철학회 [2007]
  • 「석주의 시민의식의 자유, 저항성의 국면과 그 역사적 의미-16∼17세기 초 서강지역과 사대부들의 의식성향과 연계하여」
    이동환 『문학작품에 나타난 서울의 형상』, 한국고전문학회 [1994]
  • 「상춘곡: 추상의 의미」
    김대행 『한국시가문화연구』5, 한국고시가문학회 [1998]
  • 「사화기 은일가사 <낙지가>와 <서호별곡>의 관념성과 작가의식」
    최상은 『한민족어문화』65, 한민족어문학회 [2015]
  • 「빈과 낙에 대한 성찰」
    김경호 『유학연구』34,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 「북새곡에 나타난 북관의 풍경과 관직자의 감성」
    최미정 『한국학논집』53,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3]
  • 「박인로의 <노계가>에 나타난 강호 인식의 양상과 그 의미」
    최현재 『한민족어문학』65, 한민족어문학회 [2013]
  • 「단산별곡의 작품 실상과 현대적 의미」
    김기영 『어문연구』 85, 어문연구학회 [2015]
  • 「누항사의 우의성과 그 의미」
    박연호 『개신어문연구』28, 개신어문학회 [2008]
  • 「구전설화에 나타난 음식의 상징성」
    배윤경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24,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9]
  • 「관동별곡의 형상화와 정철의 신선의식」
    성호경 『고전문학연구』37 [2010]
  • 「고전시가에 나타난 음식의 양상과 그 의미-시조를 중심으 로」
    조성진 『한국고전연구』32, 한국고전연구학회 [2016]
  • 「고전시가에 나타난 술의 문학적 의미 고찰」
    황병익 『한국시가문화연구』37, 한국시가학회 [2016]
  • 「강복중 시가문학의 담론 양상」
    육민수 『국제어문』74, 국제어문학회 [2017]
  • 「가사 관동별곡의 종착지 ‘월송정 부근’과 결말부의 의의」
    성호경 『국 문학연구』22 [2010]
  • 「高應陟의 詩歌文學 硏究」
    송재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4]
  • 「靑丘永言 硏究(Ⅰ)-衣 食 住를 中心으로」
    양중해 『제주대학논문 집』12, 제주대학 [1980]
  • 「辭說時調와 雜歌에 표현된 微物의 의미와 시적 기능」
    임재욱 『어문연구』45,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7]
  • 「賞春曲과 不憂軒集 硏究」
    최강현 『홍대논총』16 [1984]
  • 「淸狂者朴士亨의 <南草歌>硏究」
    김귀석 『국어문학』65, 국어문학회 [2017]
  • 「新羅時代 飮食의 硏究-三國遺事를 中心으로 하여-」
    윤서석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1, 新羅文化宣揚會 [1980]
  • 「古典에서의 일상생활과 문학 : 문학생활화의 방식을 중심으로」
    권순긍 『한국문학교육』7, 한국문학교육학회 [2001]
  • 「卞鍾運 文學의 主題意識 硏究」
    김홍매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伯夷 談論의 義理論과 文章論 : 조선시대 백이 담론의 전개와분기」
    이라나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仰亭 宋純의 自然詩 硏究」
    김성기 『남명학연구』10, 경상대학교남명학연구소 [2000]
  • 「<영삼별곡>에 나타난 탐문의 특징적 형상화와 의미」
    최규수 『열상고전연구』18, 열상고전연구회 [2003]
  • 「<미암일기>분석을 통한 16세기 사대부가 음식문화 연구」
    김미혜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28,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3]
  • 「<금오신화>의 작품 구성 원리와 만남의 변주」
    이주영 『어문연구』40, 어문연구학회 [2012]
  • 「18∼19세기의 사대부 가사에 나타난 일상성의 양상- 노년, 여성, 가족의 코드를 중심으로」
    박경주 『국문학연구』, 국문학회 [2006]
  • 「18,19세기의 음식취향과 미각에 관한 기록-심노승의 <효전산고>와 <남천일록>을 중심으로-」
    안대회 『동방학지』169, 연세대학교국학연구원 [2015]
  • 「17세기 은일가사 연구」
    김정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17세기 남원지방 재지사족의 동향과 정훈의 시가」
    권순회 『어문논집』39, 안 암어문학회 [1999]
  • 「16세기 사림파 문인의 문학사회학적 인식 지평과 문학생성 공간의 연구」
    정출헌 『동양한문학연구』24 [2007]
  • 「16세기 <어부가>와 <오륜가>, 그 표현의도와 수사학」
    류해춘 『시조학논총』34 [2011]
  • 「16,7세기 조선 문인지식층의 강남열(江南熱)과 서호도(西湖圖)」
    정 민 『고전문학연구』22, 한국고전문학회 [2002]
  • 「15세기 자연시가에 나타나는 녹색담론」
    류해춘 『국학연구론총』17,태민국학연구원 [2016]
  • Diet Consciousness and Current Literary Trends
    Iss . 3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