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서울시 생활권계획의 특성과 도입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nstitutional Effects of the Community Plan in Seoul

정성국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서울시 생활권계획의 특성과 도입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nstitutional Effects of the Community Plan in Seoul'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hp분석
  • 계획이론
  • 도시계획체계
  • 도시기본계획
  • 생활권
  • 생활권계획
  • 주민참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51 0

0.0%

' 서울시 생활권계획의 특성과 도입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nstitutional Effects of the Community Plan in Seoul' 의 참고문헌

  • 서울특별시
    「서울 미래 100년 도시계획의 기반 마련」기자설 [2013]
  • 서울시 생활권계획의 운영실태와 개선방향 연구: 도쿄도와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김창기 양재섭 최정민 서울, 7(3):31-50 [2006]
  • 분당신도시, 세종시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국토계 획
    창원시 서울, 46(2):193 -210
  • 명회 자료(2013.4.1.).
    명회 자료 [2013]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서양도시계획사」
    보성각 [2012]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계획론(6정판)」
    보성각 [2016]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단지계획」
    보성각 [2001]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와 도시」
    보성각 [2019]
  • 국토연구원), 「공간분석기법」
    한울아카데미 [2004]
  • 東京都(2009), 「東京の都市づくりVision(改正)」.
  • 東京都 都市整備局(2004), 「都市計劃區域 Master Plan」.
  • 世田谷區(2005), 「世田谷區 都市整備方針」.
  • 「한국 계획 과정에의 비판적 접근(Ⅱ)」
    장욱 국토계획, 서울, 30(2):5-27 [1992]
  • 「패러다임의 관점에서 본 계획이론의 변천」
    이수장 국토연구, 세종, 48(1):3-20 [2006]
  • 「정책학 원론(제4판)」
    백승기 대영문화사.서울특별시(2014) [2016]
  • 「정책학 원론(개정증보판)」
    정정길 대명출판사 [2010]
  • 「일반주거지역 종세분 변경과 도시기본계획 개선에 관 한 연구」
    신동진 국토계획, 서울, 48(6):5-25 [2013]
  • 「인구저성장시대의 도시계획 수립 방안 연구 : 도시기 본계획의 토지이용계획을 중심으로」
    한인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 대전 [2014]
  • 「우리나라 주거지설계에서 생활권개념의 변화와 그 의미」
    이규인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서울, 20(4):79-88 [1997]
  • 「우리나라 자치구 도시기본계획의 개념 정립에 관한 연 구」
    김창석 서울시립대학교 수도권개발연구소 연구논총, 서울, 18(1):1-13 [1992]
  • 「우리나라 신도시 계획에서 생활권 공간구조의 변화 :
    권영상 「우리나라 신도시 계획에서 생활권 공간구조의 변화 : [2011]
  • 「실제 통행에 기반한 생활권 범위 설정과 적용 : 인천 의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오병록 인천학연구, 인천, 23:219-248 [2015]
  • 「시정참여 활성화를 위한 서울시 도시홍보관 구상」
    민현석 정석 서울연구원 [2007]
  • 「시민참여형 도시기본계획 수립에 대한 평가 연구」
    김정헌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서울 [2014]
  • 「시민참여형 도시계획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김도영 이재준 환경논총, 서울, 51:p.131-143 [2012]
  • 「시민참여형 도시계획 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연 구」
    김도영 한상미 수원시정연구원, 수원 [2014]
  • 「시민참여 도시계획의 제도화 방안」
    이상대 정유선 경기개발 연구원 [2015]
  • 「세계 대도시의 도시기본계획 운영방식 비교연구 : 런 던/베를린/뉴욕/도쿄」
    양재섭 서울연구원 [2010]
  • 「서울형 도시계획체계 실행방안 연구」
    양재섭 서울연구원 [2011]
  • 「서울특별시 생활권계획(안) 공청회」
    서울특별시(2017) [2017]
  • 「서울시 생활권계획의 주민참여단 운영과정 분 석」
    남선희 양재섭 국토계획, 서울, 53(1):5-19 [2018]
  • 「서울시 생활권계획의 수립 및 운영방안」
    서울특별시 [2013]
  • 「서울시 생활권계획 수립과정 모니터링」
    남선희 양재섭 서울 연구원 [2015]
  • 「서울시 생활권계획 : 수립과정과 운영 방향」
    남진 양재섭 정성국 도시정보(국토도시계획학회).430:4-24 [2018]
  • 「생활권계획의 안착을 위한 지원체계」
    남진 남진 서울시 심포지엄 자료(3):49-69 [2017]
  • 「생활권계획 참여단 워크숍 운영 매뉴얼」
    서울특별시 [2015]
  • 「생활권계획 주민 품으로 가기 위한 노력과 방법」
    이승주 서 울시 심포지엄 자료(2):31-47 [2017]
  • 「생활권계획 정착을 위한 심포지엄」
    서울특별시(2017) [2017]
  • 「생활권개념의 변화에 따른 주거지 계획의 시기 별 특성변화」
    구자훈 이종화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서울, 20(4):79-88 [2009]
  • 「생활권 이론과 생활권계획 실태 분석 연구 : 도시기본 계획에서의 생활권계획을 중심으로」
    오병록 서울도시연구, 서울, 13(4):1-20 [2012]
  • 「새로운 시작, 서울시 생활권계획의 추진과정과 내용」
    정제호 서울시 심포지엄자료(1):8-30 [2017]
  • 「미국의 도시계획」
    조재성 한울 [2004]
  • 「미국 토지이용계획 및 규제 체계와 주요 법적 쟁점」
    김지엽 토지공법연구, 서울, 50:69-92 [2010]
  • 「도시정책 및 계획의 시민참여방안」
    기윤환 인천발전연구원, 인천 [2016]
  • 「도시재정비촉진계획수립주체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장 위재정비촉진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김만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 학대학원, 석사학위, 서울 [2011]
  • 「도시성장 영향요인을 고려한 도시성장단계 평가기법 개발 : 중심지역과 주변지역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윤병훈 서울시 립대대학원, 박사학위, 서울 [2017]
  • 「도시기본계획의 정책내용 특성에 관한 연구 : 경제․산 업개발계획 부문의 정책을 중심으로」
    신동진 국토계획, 서울, 43(6):7-20 [2008]
  • 「도시기본계획에 따른 서울의 생활권계획 도입 및 운영방안 연구 : 자치구계획을 중심으로」
    김인희 양재섭 서울연구원 [2011]
  • 「도시계획의 지침으로서의 도시기본계획에 관한 연 구」
    이기배 동경공업대, 박사학위, 도쿄 일본 [2008]
  • 「도시계획과정의 정책네트워크 특성에 관한 연구」
    유병권 서 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서울 [2009]
  • 「도시계획과정에서의 참여목적에 따른 주 민참여기법 연구」, 국토계획
    김민선 이륜정 이제선 서울, 2009 [2009]
  • 「도시계획 시민참여 통합그룹 구축 및 운영방안 연 구」
    조임남 서울시 [2015]
  • 「도시계획 비전수립에 있어 시민참여 과 정 및 결과에 관한 시사점 고찰」
    이달별 정주철 하경준 국토계획, 서울, 52(1):5-20 [2017]
  • 「도시계획 개발과정에서 주민참여 시스템으로서 뉴욕시 커뮤니티보드의 운영특성 및 시사점 연구」
    배웅규 서울도시연구, 서울, 8(2):1-18 [2007]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 (2017.10.28.), p.1~23
    남진 남진 정성국 정성국 “도시계획체계에 있어 생활권계획의 역할에 관한 연구” [2017]
  • 「뉴욕시 주거지역의 재생과 보전을 위한 조닝변경의 특징과 시사점 연구」
    김소라 김지엽 배웅규 서울도시연구, 서울, 11(4):67-90 [2010]
  • 「기성시가지 뉴타운의 생활권계획에 관한 연구 : 길음 뉴타운의 소생활권에 대한 계획과 실제의 비교」
    김기호 오병록 도시 설계, 서울, 8(4):37-54 [2007]
  • 「근린생활권 계획방식이 시설이용 및 영역인식에 미치 는 영향」
    오병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서울 [2009]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
    국토교통부 [2017]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해설집」
    국토교통부 [2015]
  • 「국토계획법상 도시기본계획제도의 한계와 개선방안에 관 한 연구」, 국토계획
    문채 서울, 39(5):39-52 [2004]
  • 「계획이론의 탈근대적 전환에 대한 비판적 성찰」
    전상인 국 토계획, 서울, 42(6):7-24 [2007]
  • 「계획이론에의 접근(Ⅰ)」
    장욱 환경논총, 서울, 30:70-86 [1992]
  • 「계획이론(개정판)」
    정환용 박영사 [2009]
  • 「Towards Sustainable Neighborhoods
    [2018]
  • 「The Neighborhood and the Neighborhood Unit」 ,
    24 ( 4 ) . [1954]
  • 「The London Plan : Spatial Development Strategy for Greater London」
    [2004]
  • 「Retracking America : A Theory of Transactive Planning」 ,
    [1973]
  • 「Readings in Planning Theory ( 4th Edition )Wiley Blackwell , Boston . Bezirksamt Mitte Berlin
    [2004]
  • 「Planning Theory」
    [1973]
  • 「Neighborhood Planning Theory , Guidelines , and Research :Can Area
    [2015]
  • 「London Borough of Tower Hamlers Development Plan Documents」
    [2006]
  • 「How To Define Neighborhood」
    24 ( 3 ) :227-228 [1972]
  • 「Core Strategy 2025」 London .
    [2010]
  • 「Buildding InstitutionalCapacity throughCollaborative Approached to Urban Planning」
    30 ( 9 ) : 1531-1546 . [1998]
  • 「AHP분석기법을 이용한 소규모블럭단위 주택개 발 활성화 방안 연구 : 전주 도시재생 테스트베드를 중심으 로」
    권원석 정철모 주거환경, 서울, 13(4):101-111 [2015]
  • 「AHP를 이용한 서울시 자치구의 물리적 육아환 경 평가」
    구자훈 이주림 서울도시연구, 서울, 16(1):137-147 [2015]
  • 「AHP기법을 활용한 태양광 산업체의 경쟁력 평가요소 분석」
    이희천 금오공과대학교, 박사학위, 구미 [2013]
  • 「AChoice Theory of Planning」 ,
    28 ( 2 ) [1962]
  • 「2030서울시 생활권계획 도시계획위원회 심의통과, 보도자료」
    서울특별시(2017) [2017]
  • 「2030서울시 생활권계획 기자설명회」
    서울특별시(2017) [2017]
  • 「2030서울생활권계획 백서」
    서울특별시 [2019]
  • 「2030서울도시기본계획」
    서울특별시 [2014]
  • 「2030 서울생활권계획 지역생활권계획(25권)」
    서울특별시 [2018]
  • 「2030 서울생활권계획 권역생활권계획(5권)」
    서울특별시 [2018]
  • 「2025 서울특별시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서울특별시 [2015]
  • 「2020서울도시기본계획」
    서울특별시 [2007]
  • 「2019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위원회 매뉴얼」
    서울특별시 [2019]
  • 「2018 도시계획 업무편람」
    서울특별시 [2017]
  • 「2011서울도시기본계획」
    서울특별시 [1997]
  • 「2000년대를 향한 서울시 도시기본계획」
    서울특별시 [1990]
  • http://www.towerhamlets.gov.uk, (타워햄릿구 홈페이지)
  • http://www.suwon.go.kr, (수원시청 홈페이지)
  • http://www.seoul.go.kr, (서울시청 홈페이지)
  • http://www.riss.kr,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http://www.nyc.gov, (뉴욕시청 PlanNYC 홈페이지)
  • http://www.naver.com, (네이버)
  • http://www.metro.tokyo.jp, (도쿄도 홈페이지)
  • http://www.law.go.kr, (국가법령정보센터)
  • http://www.kpa1959.or.kr,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959]
  • http://www.incheon.go.kr, (인천시청 홈페이지)
  • http://www.iap2.org,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ublic Participation, 공공참여를 위한 국제협회)
  • http://www.google.co.kr, (구글)
  • http://www.dbpia.co.kr, (DBpia-학술논문서비스)
  • http://www.daum.com, (다음)
  • http://www.cityoflondon.gov.uk, (런던시청 홈페이지)
  • http://www.city.seetagaya.tokyo.jp, (세타가야구 홈페이지)
  • http://www.city.nrima..tokyo.jp, (네리마구 홈페이지)
  • http://www.berlin.de, (베를린시청 홈페이지)
  • http://www.aurum.re.kr(건축도시정책정보센터)
  • http://www.archives.go.kr, (국가기록원)
  • http://urban.seoul.go.kr, (서울시 도시계획포털)
  • http://seoulsolution.kr, (서울정책아카이브)
  • http://planning.seoul.go.kr, (서울시 생활권계획)
  • http://photoarchives.seoul.go.kr, (서울사진아카이브)
  • http://namu.wiki, (나무위키)
  • http://kosis.kr, (국가통계포털)
  • Zhang, Qi & Esther Hiu Kwan Yung & Edwin Hon Wan
  • The Science of Muddling Through .
    19 ( 2 ) . [1959]
  • Population, and Boundary Guide Conceptual Framing?」 Journal of Planning Literature, Texas, 30(1):18-36
  • Perry, Clarence A., 역자 이용근(2013), 「The Neighborhood Unit – 근린주구론」
    커뮤니케이션북스 [1929]
  • Levy, John, 서충원 변창흠 역, 「현대 도시계획의 이해」
    한울 아카데미 [2004]
  • Jacobs, Jane, 1993), 역자 유강은(2010),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개정 판)」
    그린비출판사 [1961]
  • Habermas, Jurgen, 장춘익 역, 「의사소통행위이론 1, 2」, 나남. Howard, Ebenezer(1898), 역자 조재성 권원용(2006), 「To-morrow : a Peaceful path to Real Reform(Garden Cities of To-morrow) - 내일의 전원도시」
    한울아카데미 [2006]
  •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Neighborhood Planning in Transitional Urban China」, Sustainability, Hong Kong, 406: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