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시진핑 시기 중국의 新국제질서 구축시도에 관한 연구 : 신형대국관계 제기의 배경과 전망을 중심으로

이돈구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시진핑 시기 중국의 新국제질서 구축시도에 관한 연구 : 신형대국관계 제기의 배경과 전망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국제적 관계
  • xi-jinping
  • 대외정책
  • 미-중 관계
  • 시진핑
  • 신국제질서
  • 신형국제관계
  • 신형대국관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68 0

0.0%

' 시진핑 시기 중국의 新국제질서 구축시도에 관한 연구 : 신형대국관계 제기의 배경과 전망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헨리 키신저 (이현주 역). 『세계질서』
    (서울: 믿음사) [2016]
  • 한국일보
    “차이메리카의 끝”. https://www.hankookilbo.com/Ne ws/Read/201907041584026105?did=NA&dtype=&dtypecode=&prnew sid=(검색일: 2019. 09. 01) [2019]
  • 패트릭 모건 (민병오 역). 『국제안보: 쟁점과 해결』
    (서울: 명인문화사) [2005]
  • 파이낸셜뉴스. “한일 갈등
    한중일 협력으로 풀자… FTA RCEP 타결 속도전”. http://www.fnnews.com/news/201908211738405441 (검색일: 2019. 09. 05) [2019]
  • 케네스 월츠 (박건영 역). 『국제정치이론』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2000]
  • 즈비그뉴 브레진스키 (김명섭 역). 『거대한 체스판: 21세기 미국의 세 계 전략과 유라시아』
    (서울: 삼인) [2017]
  • 중앙일보. “싱가포르 국부 리콴유
    중국 미래를 보는 몇 가지 예 언. https://news.joins.com/article/17413264(검색일: 2017. 03. 07) [2015]
  • 중국중앙공산당사연구실 (홍순도 외 역). 『중국공산당역사』
    (서울: 서교출판사) [2016]
  • 중국의 ‘화평굴기’론 연구: 논쟁과 함의를 중심으로
    김애경 「국제 정치논총」, 제45권 제4호, pp. 215-234 [2005]
  • 중국망
    “중국 영향권으로의 진입이 세계적인 흐름으로”. http:// www.cmnews.kr/webzineNews/342907(검색일: 2019. 08. 20) [2017]
  • 중국망
    “Obama-Trump geopolitics changing US attitudes tow ard China, world”. http://www.china.org.cn/opinion/2018-09/11/co ntent_63372657.htm(검색일: 2019. 03. 01) [2018]
  • 중공중앙문헌연구실. 『시진핑, 개혁을 심화하라』
    (서울: 성균중국연 구소) [2014]
  • 조지 프리드먼 (K전략연구소 역). 『21세기 지정학과 미국의 패권전 략』
    (서울: 김앤김북스) [2018]
  • 조선일보. “당황한 중국
    대미전략 원점 재검토해야”. http://news.c 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22/2019012201929.html(검색일: 2019. 10. 02) [2019]
  • 월간조선뉴스룸
    “美中무역전쟁 주도권은 중국 손안에 없다”. h ttps://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D&nNewsNu mb=201810100037&page=1(검색일: 2019. 08. 31) [2018]
  • 연합뉴스. “美장성 中
    지부티와 10년간 군기지 사용계약…中시 인(종합)”. https://www.yna.co.kr/view/AKR20151126002651071(검 색일: 2016. 06. 08) [2015]
  • 연합뉴스. “IMF
    중국이 일대일로에 뿌린 부채 폭탄에 골머리”. https://www.yna.co.kr/view/AKR20181122120200009(검색일: 2019. 08. 05) [2018]
  • 연합뉴스
    “[시진핑집권2기] ②中'신형 국제관계'는…도광양회 유소 작위→분발유위”, https://www.yna.co.kr/view/AKR20171024049500083 (검색일: 2019. 08. 02) [2017]
  • 알렉산더 웬트 (박건영 외 역). 『국제정치의 사회적 이론』
    (서울: 사 회평론) [2009]
  • 알렉산더 V. 판초프 외 (심규호 역). 『마오쩌둥 평전』
    (서울: 믿음사) [2017]
  • 아주경제
    “첨단 중국몽엔 중국혼이 없다”, https://www.ajunews.c om/view/20191022091526412(검색일: 20198. 10. 30) [2019]
  • 시진핑 시대의 중국 대외정책 전망
    하도형 「국제관계연구」, 제17 권 제1호, pp. 119-145 [2012]
  • 세계일보
    “中신형 국제관계 구축”… 외교예산 15% 늘렸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022&aid=0003255818(검색 일: 2019. 08. 01) [2018]
  • 성균중국연구소. 『일대일로 다이제스트』
    (서울: 다산) [2015]
  • 서울경제. “美
    中과 경제대화도 중단 무역전쟁 악화일로”. https:/ /www.sedaily.com/NewsView/1OOOQIG0TT(검색일: 2019. 9. 2) [2017]
  • 샨시우파, 왕샤오훼이 (손상하 역). 『등소평과 21세기 중국의 전략』
    (서울: 유스북) [2005]
  • 매경이코노미
    “美우선주의에 버티는 中무역전쟁 격화에 韩 답답 ”. http://news.mk.co.kr/v2/economy/view.php?year=2018&no= 640734(검색일: 2018. 12. 01) [2018]
  • 로버트 코헤인 (이상환 외 역). 『헤게모니 이후』
    (고양: 인간사랑) [2012]
  • 로버트 S. 싱 (이청 역). 『오바마 이후 미국의 세계 전략: 강력한 미 국의 복원』
    (서울: 에코리브르) [2017]
  • 국민일보
    “[신중국 70년] 수천만명 아사→G2 강국→‘중국몽’ 패권 야심”.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3768276&code =61131111&cp=nv(검색일: 2019. 10. 01) [2019]
  • 龙静. 2017. “新型大国关系理念与中欧关系”. 国际关系研究.
  • 黄微滋. 2017. “中美新型大国海洋关系构建研究”. 长江论坛.
  • 马俊池. 2015. “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的问题问题与对策”. 郑州大学.
  • 雷宇. 2015. “建设中美新型大国关系的目标与路径研究”. 吉林大学.
  • 陈志敏. 2013. “新型大国关系的形态分析”. 国际观察.
  • 钱文荣. 2015. “构建红梅新型大国关系面临的挑战和前景”. 军事文摘.
  • 钱尹鑫. 2017. 新型大國關係?美「中」兩國在南海的地緣戰略角力. 展望與探 索.
  • 钮菊生. 2017. “以国家利益为最高准则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 常熟理工学院 学报.
  • 钮菊生. 2013. “合作共赢的新型大国关系前瞻”. 唯实.
  • 钟飞腾. 2015. “超越地位之争:中美新型大国关系与国际秩序”. 外交评论(外 交学院学报).
  • 钟飞腾. 2014. “新型大国关系、共同发展与中国外交新理念”. 国际论坛.
  • 金灿荣. 2015. “如何构建中美新型大国军事关系”. 现代国际关系.
  • 金灿荣. 2014. “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的复杂性与助力”. 领导科学.
  • 郭震远. 2013. “台湾问题对中美发展新型大国关系的影响”. 国际问题研究.
  • 郭真. 2016. “新型大国关系视野中的中美新型军事外交关系探析”. 社会主义研 究.
  • 郭兵云. 2015. “走出修昔底德陷阱——关于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的思考”. 华
  • 邵育群. 2015. “中美“新型大国关系”构建及对两岸关系和平发展影响“. 台湾研 究集刊.
  • 邓淑娜. 2016. “中美构建网络空间新型大国关系探析”. 燕山大学学报(哲学社 会科学版).
  • 达巍. 2013. “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的路径选择”. 世界经济与政治.
  • 辛懿. 2014. “简论中国对美公共外交在中美新型大国关系中的作用”. 学术探索.
  • 赵骏. 2015. “国际法视角下新型大国关系的法律框架”. 法学.
  • 赵晓春. 2013. “未来中美关系和国际秩序的可能性描绘——构建新型大国关系 的三个重大理论问题”. 人民论坛∙学术前沿.
  • 谷钰. 2014. “现实主义视域下的中美新型大国关系建构”. 河南大学.
  • 谭吉华. 2014. ”中美构建新型大国关系的理论基础和实现途径初探“. 当代世界 与社会主义.
  • 许莞璐. 上海社. 2015. “中美新型大国关系构建中的战略博弈与前景分析”. 上 海社会科学院.
  • 裴文超. 2017. “新型大国关系:理论内涵与建设路径”. 外交学院.
  • 袁鹏. 2015. “台湾变局与中美新型大国关系”. 台湾研究.
  • 袁贵仁. 2015. “深化中美教育交流与合作,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 考试.
  • 袁征. 2015. “中美新型大国关系构建:理想与现实”. 和平与发展.
  • 袁伟华. 2015. “权力转移、新型大国关系与战略机遇期”. 国际关系研究.
  • 葛昕. 2015. “从国际货币博弈透视新型大国关系建构”. 国际论坛.
  • 胡勇. 2015. “冷战后中美关系定位演变与新型大国关系构建”. 国际展望.
  • 肖刚. 2014. ”超越旧模式:试论新型大国关系的若干基础“. 战略决策研究.
  • 罗小军. 2015. “从经济外交看中美新型大国关系的建设”. 世界知识.
  • 罗小军. 2014. “新型大国经济关系的生成改革开放以来的中美经济”. 复旦大学.
  • 石冬明. 2016. “西方关于中国崛起对中美关系影响的研究述评——兼评西方对 “中美新型大国关系”的认知“. 国外社会科学.
  • 石冬明. 2013. “身份视角下的中美新型大国关系建构”. 华中师范大学.
  • 王聪悦. 2015. “中美对“新型大国关系”的认知差异浅析”. 国际关系研究.
  • 王生. 2016. “中美新型大国关系的构建:基础与障碍——基于对外战略核心理 念的分析”. 国际观察.
  • 王海滨. 2014. “新型大国关系与全球资源治理:以动态资源关系理论为视角”. 战略决策研究.
  • 王晴. 2015. “论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 湘潭大学.
  • 王岩. 2016. “中国共产党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思想研究述评”. 传承.
  • 王大山. 2014. “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及中国对策”. 河南大学.
  • 燕雪. 2016. “中美新型大国关系的构建:理论、障碍与前景”. 华中师范大学.
  • 熊亮. 2015. “试析制度现实主义对中美新型大国关系和国际法的影响优先出 版”. 东方论坛.
  • 潘超伟. 2016. “打破“修昔底德”陷阱,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 邢台职业技术 学院学报.
  • 潘忠岐. 2017. “中国人与美国人思维方式的差异及其对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 的寓意“. 当代亚太.
  • 毕颖. 2013. “解析十八大报告的“新型大国关系”. 福建商业高等专科学校学报.
  • 段伟伟. 2017. “中美新型大国关系建构的三重动力”. 中学政治教学参考.
  • 梁强. 2015. “习近平访美,眺望新型大国关系”. 南风窗.
  • 林迎娟. 2017. “新型大国关系理念下中美气候合作:挑战与对策”. 未来与发展.
  • 杨洁勉. 2013. “新型大国关系:理论、张略和政策建构”. 国际问题研究.
  • 杨庆龙. 2017. “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基于国际政治社会学的视角”. 国际观 察.
  • 杨庆龙. 2017. “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国际共生论的视角”. 国际展望.
  • 杨冬云. 2016. “中印新型大国关系的战略构建”. 社会科学文摘.
  • 李靖. 2017. “关于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的思考”. 海军工程大学学报.
  • 李蒙爱. 2014. “构筑中美新型大国关系研究”. 延边大学.
  • 李燕燕. 2017. “新型大国关系视角下的中美核安全合作”. 烟台大学学报(哲学 社会科学版).
  • 李海龙. 2103. “解析“新型大国关系”. 中共四川省委省级机关党校学报.
  • 李海龙. 2014. “新型大国关系”建构路径分析“. 长白学刊.
  • 李海龙. 2013. “解析“新型大国关系”. 湖南工程学院学报(社会科学版).
  • 李海龙. 2013. “新型大国关系“”的概念、依据和建构路径“. 攀登.
  • 李海龙. 2013. “十八大报告中的“新型大国关系”解析”. 济南职业学院学报.
  • 李海东. 2013. “新型大国关系推动中美关系健康发展”. 紫光阁.
  • 李景治. 2016. “一带一路”建设与中国新型大国外交“. 新视野.
  • 李景治. 2013. “中国和平发展与新型大国关系的构建”. 新视野.
  • 李文. 2012. “稳定性体系下的新型大国关系”. 毛泽东邓小平理论研究.
  • 李志斐. 2014. “非传统安全治理与新型大国关系构建”. 教学与研究.
  • 李开盛. 2013. “东亚史建构中美新型大国关系的“试验场”. 学习月刊.
  • 李刚. 2016. “一带一路”视野下的新型大国关系考察“. 西部学刊.
  • 李刚. 2016. “一带一路”与新型大国关系构建“. 宁夏党校学报.
  • 李伟涛. 2014. “论日本因素对中美构建新型大国关系的影响”. 社会主义研究.
  • 李乐. 2015. “冲突转变视角下中美新型大国关系的构建”. 延边大学.
  • 曹鹏. 2016. “中美新型大国关系的提出与构建”. 北京印刷学院学报.
  • 曹杨. 2013. “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的障碍及中国的对策”. 东北大学.
  • 晏振乐. 2014. “中美建立新型大国关系探析”. 新西部.
  • 时殷弘. 2014. “构建新型大国关系的宏观思考”. 前线.
  • 支继超. 2013. “国际体系转型视阈下中美新型大国关系构建研究”. 吉林大学.
  • 性与实践性”. 延安大学学报(社会科学版).
  • 徐汉滨. 2016. “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的可行性、困境和对策”. 浙江万里学院 学报.
  • 彭程瑞. 2013. “以中美新型大国关系助力实现中国梦——中美新型大国关系研 究综述”. 学理论.
  • 张颖. 2015. “美国智库视域下的中美新型大国关系”. 国际观察.
  • 张琰. 2015. “中美新型大国关系的构建:认知分歧与战略动力”. 山东大学.
  • 张新平. 2014. “中美新型大国关系研究述评”. 现代国际关系.
  • 张政文. 2014. “美国战略调整与中美新型大国关系的构建”. 唯实.
  • 张建. 2013. “试论中美新型大国关系的构建”. 国际关系研究.
  • 张建. 2013. “试论中美新型大国关系的构建”. 东北亚学刊.
  • 张加博. 2015. “地缘政治视域中的中俄、中美新型大国关系”. 华中师范大学.
  • 张凤. 2015. “美国战略界关于新型大国关系的主要观点评述”. 国际研究参考.
  • 尹京子. 2015. “近年来中美新型大国关系研究成果述评”. 当代世界与社会主义.
  • 尤琳. 2015. “新型大国关系框架下构建中美新型军事关系的必要性与可行性分 析”. 海军工程大学学报(综合版).
  • 尤琳. 2015. “新型大国关系框架下中美军事外交面临的机遇和挑战——基于国 家利益视角”. 理论月刊.
  • 姜博瑞. 2015. “中美新型大国关系构建研究”. 兰州大学.
  • 周方银. 2013. “中美新型大国关系的动力、路径与前景”. 当代亚太.
  • 周敏凯. 2014. “美国亚太再平衡战略和中美新型大国关系建构的理论思考”. 中 国浦东干部学院学报.
  • 吴心伯. 2014. “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评估与建议”. 复旦学报(社会科学 版).
  • 吴心伯. 2014. “引领中美新型大国关系的构建”. 国际展望. 夏立平. 2017. “全球共生系统理论与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 美国研究.
  • 叶淑兰. 2015. “超级第三者”:日本对中美构建新型大国关系的认知优先出版 双语出版“. 东北亚论坛.
  • 卫灵. 2016. “习近平外交新思维:倡导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 福建理论学习.
  • 包淳亮. 2019. 細讀「注定一戰」: 美「中」能夠避開修昔底德陷阱的幾種原 因. 展望與探索.
  • 刘骞. 2013. “大国关系“路向何方”?——“新型大国关系的内涵与发展趋势”学术 研讨会综述“. 美国研究.
  • 刘雨辰. 2013. “中美新型大国关系的道路及挑战”. 江南社会学院学报.
  • 刘鑫. 2015. “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研究”. 山东师范大学.
  • 刘莹. 2015. “政治文化视域下的中俄新型大国关系”. 前沿.
  • 刘清才. 2016. “中美新型大国关系走向合作共赢探索”. 黑龙江社会科学.
  • 刘建飞. 2017. “构建新型大国关系中的合作主义”. 中国社会科学.
  • 刘建飞. 2016. “习近平治国理政之新型大国关系”. 哈尔滨市委党校学报.
  • 刘卫东. 2017. “对特朗普政府推进中美“新型大国关系”立场的评估“. 当代世界.
  • 刘丹. 2015. “中俄新型大国关系构建探析”. 俄罗斯学刊.
  • 全球化. 2017. “两条腿一个圈”:习近平的新型大国战略” 郑永年.
  • 傅培瑞. 2014. “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面临的问题及对策”. 东北大学.
  • 倪世雄. 2104. ”漫谈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 辽宁大学学报(哲学社会科学) 版.
  • 余伟. 2017. “温特建构主义视域下中美新乡大国关系的建构研析”. 牡丹江大学 学报.
  • 何文姬. 2015. “新型大国关系理念与和平共处五项原则的世界观设计——关系
  • 任海平. 2015. “不断推进中美新型大国关系向前发展——第七轮中美工商领袖 和前高官对话综述”. 全球化.
  • 于洪君. 2013. “中美构建新型大国关系的意义与前景”. 国际问题研究.
  • 中师范大学研究生学报.
  • 『현대중국의 제국몽: 중화의 재보편화 100년의 실험』
    전인갑 (고양: 학고방) [2016]
  • 『현대 국제관계이론과 한국』
    우철구 (서울: 사회평론) [2013]
  • 『탈냉전기 동북아의 국제관계와 정치변화』
    서진영 (서울: 오름) [2003]
  • 『중국의 외교 전략과 국제질서』
    김재철 (서울: 폴리테이아) [2007]
  • 『중국의 신외교전략과 한중관계』
    이영중 (파주: 나남) [1998]
  • 『중국의 꿈: 중국이 지향하는 강대국 초상』
    이정남 (서울: 아연 출판부) [2018]
  • 『중국의 굴기와 미국의 전략』
    신성원 (서울: 행복에너지) [2012]
  • 『중국의 국제정치 및 대외정책과 주요 국가들의 대중 국 전략』
    구재회 배정호 (서울: 통일연구원) [2012]
  • 『중국의 국내정치와 대외정책』
    이태환 (파주: 한울) [2006]
  • 『중국의 국가대전략 연구』
    이희옥 (서울: 폴리테이아) [2007]
  • 『중국외교론』
    김영문 (서울: 법문사) [1990]
  • 『중국외교 150년사: 글로벌 중국으로의 도정』
  • 『중국연구방법론』
    정재호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 『중국, 미국 그리고 동아시아: 신흥강대국의 부상과 지역질 서』
    김재철 (파주: 한울) [2015]
  • 『중국 신형국제관계의 본질과 함의』
    김한권 (서울: 국립외교원 외 교안보연구소) [2018]
  • 『중공대외정치론』
    김동성 (서울: 법문사) [1988]
  • 『중견국 책략: 미 중 사이 한국의 스마트 외교』
    김우상 (서울: 세창) [2016]
  • 『외교: 원리와 실제』
    G. R.Berridge (심양섭 역). (서울: 명인문화사). 215 [2014]
  • 『세계 경제패권전쟁과 한반도의 미래』
    김택환 (파주: 김영사) [2019]
  • 『미 중 관계와 한반도의 미래』
    이태환 (파주: 한울) [2013]
  • 『미 중 관계 연구론』
    정재호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 『동아시아의 전략적 지역주의: 중-일경쟁과 중견국가의 역할 』
    최영종 (서울: 아연출판부) [2016]
  • 『동아시아 거버넌스: 지역 국가 지방에 대한 다층적 접근』
    이제민 차창훈 (서울: 오름) [2004]
  • 『강대국 정치와 한반도: 미 중의 패권경쟁』
    남궁영 (서울: 오름) [2016]
  • 『21세기 중국이 가는 길』
    조영남 (파주: 나남) [2009]
  • 『21세기 중국 외교정책: ‘부강한 중국’과 한반도』
    서진영 (서울: 폴 리테이아) [2006]
  • 「머니투데이」
    “中‘국가안전위원회’‘ 포괄적 국가안보관’에 대한 전 방위적 분석”. https://m.mt.co.kr/renew/view.html?no=20140420121588 18106#_enliple(검색일:2019. 10. 23) [2014]
  • “현대 중국의 대전략 변화 고찰 : 신 중국 성립 이후 역대 영 도자의 사상을 중심으로”
    최경식 「군사학연구」, 제3권, pp. 121-167 [2005]
  •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한중협력”
    이상현 「전략연구」, 제20권 제4호, pp. 69-104 [2013]
  • “한미동맹과 한중관계에서 사드(THAAD) 논란이 갖는 의미”
    박휘락 「국제관계연구」, 제 21권 제1호, pp. 33-63 [2016]
  • “한국에서의 중국정치 연구의 재 고찰: 자료, 방법론 및 담론을 중심으로”
    정재호 「국제정치논총」, 제 45권 제2호, pp. 103-129 [2005]
  • “투키디데스의 이중함정: 중국의 부상과 현대국제정치학”
    김태현 「국제정치논총」, 제57권 제2호, pp. 7-49 [2017]
  • “체제전환과 중국의 새로운 이데올로기 모색”
    이희옥 「국제정치논 총」. 제45권 제1호, pp. 201-225 [2005]
  • “지정학적 관점에서 본 시진핑 시기 중국외교”
    서정경 「국제정치논 총」, 제55집 제2호, pp. 225-257 [2015]
  •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전의 외교노선변화와 그 함의”
    이원준 「중앙 사론」, 제44권, pp. 343-383 [2016]
  • “중앙국가안전위원회 주석에 시진핑 국가주석 임명”
    인민망 ht tp://kr.people.com.cn/203072/203278/8522488.html(검색일: 2019. 10. 21) [2014]
  • “중앙국가안전위원회 신설과 중국 국가안보관의 변화”
    허재철 「한국 동북아논총」, 제 72권, pp. 113-130 [2014]
  • “중미관계에 대한 중국의 인식: ‘이익 상관자’, ‘G2’와 ‘신형강 대국관계’를 중심으로”
    이정남 「현대중국연구」, 제15권 제1호, pp. 33-66 [2013]
  • “중국화평굴기론(中国和平굴起论): 그 전개와 변형에 대한 담 론 분석”
    박병석 「현대중국연구」. 제10권 제2호, pp. 73-122 [2009]
  • “중국특색의 사회주의의 전개 과정: 마오노선과 덩노선의 비 교를 중심으로”
    서창호 「한국정치학회보」, 제29권 제1호, pp. 563-582 [1995]
  • “중국특색사회주의 변천 연구”
    곽덕환 「동아인문학」, 제44권, pp. 129-150 [2018]
  • “중국의 한국 사드(THAAD)배치에 대한 인식과 대응”
    이기현 「국 제관계연구」, 제23권 제2호, pp. 41-65 [2018]
  • “중국의 집단지도체제: 협상의 정치리더십”
    이동수 「현대사회와 정 치평론」, 제12권, pp. 1-26 [2013]
  • “중국의 중앙국가안전위원회‘ 설립에 관한 연구”
    김순수 「민족연구」, 제 63권, pp. 4-35 [2015]
  • “중국의 일당체제와 민주화: 당의 민주적 요소를 중심으로”
    윤지혜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 53-76 [2008]
  • “중국의 외교정책결정 구조 변화 및 한반도에 대한 시사점”
    신종호 「경기연구원」, CEO Report 제33권, pp. 1-24 [2009]
  • “중국의 신형대국관계 제기에 대한 일고찰”
    차창훈 「한국정치학회 보」, 제48권 제4호, pp. 5-25 [2014]
  • “중국의 신세계질서 인식과 구상”
    전병곤 「중국학연구」, 제12권, p p. 49-74 [1997]
  • “중국의 신뢰구축조치에 대한 정책과 실천”
    유동원 「21세기 정치학 회보」, 제18권 제1호, pp. 207-228 [2008]
  • “중국의 시각에서 본 신형대국관계의 현황과 과제”
    박광득 「한국동 북아논총」, 제74권, pp. 5-24 [2015]
  • “중국의 부상과 해양군사전략 재편”
    정재홍 「인차이나브리프」, 제 253권, pp. 1-13 [2013]
  • “중국의 부상과 책임대국론 : 서구와 중국의 인식적 차이를 중심으로”
    한석희 「국제정치논총」, 제44권 제1호, pp. 191-210 [2004]
  •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협력”
    차창훈 「현상과인식」, 제34권 제4 호, pp. 149-168 [2010]
  • “중국의 대외정책”
    안병준 「계간사상」, pp. 174-203 [1989]
  • “중국의 대외정책 및 지역경제 통합전략과 한국”
    임반석 「한국동북 아논총」, 제50권, pp. 53-84 [2009]
  • “중국의 대외정책 결정과정에서의 공산당의 역할”
    김애경 「현대중 국연구」, 제15권 제2호, pp. 1-42 [2014]
  • “중국의 대외전략 변화와 한반도 정책”
    이상숙 「한국국제정치학회 기타 간행물」, pp. 21-36 [2011]
  • “중국의 대외인식과 대외정책: 마오쩌둥(毛泽东)과 덩샤오핑 (邓小平)의 전쟁관과 평화관을 중심으로”
    이정남 「평화연구」, 제13권 제 1호, pp. 87-120 [2005]
  • “중국의 대미정책”
    김호준 「중국연구」, 제14권, pp. 31-49 [1995]
  • “중국의 다극화전략, 다자주의외교, 그리고 동북아시아 안보”
    한석희 「국제지역연구」, 제11권 제1호, pp. 349-374 [2007]
  • “중국의 굴기(The rise of China)-겸손과 오만사이”
    황재호 「국제정 치논총」, 제49집 제 5호, pp. 383-390 [2009]
  • “중국의 국가전략이념과 대외관계”
    이원봉 「정치정보연구」, 제11권 제1호, pp. 321-348 [2008]
  • “중국의 공세적 외교정책”
    김재철 「한국과국제정치」, 제28권 제4 호, pp. 29-59 [2012]
  • “중국의 강대국화 전략과 한국의 과제”
    세종연구소 [2019]
  • “중국의 강대국 대외정책”
    김재철 「국가전략」, 제11권 제3호, pp. 113-140 [2005]
  • “중국식 발전의 사상적 특징: 마오쩌둥(毛泽东)과 덩샤오핑(邓 小平)의 다선적 사회주의발전관”
    신봉수 「한국정치학회보」, 제46권 제2 호, pp. 31-50 [2012]
  • “중국미국의 군사전략 변화와 동아시아 안보전망”
    이원우 「21세기 정치학회보」, 제23권 제2호, pp. 251-275 [2013]
  • “중국공산당의역할인식 변화”
    서진영 「아세아연구」, 제30권 제2호, pp. 223-273 [1987]
  • “중국공산당의 정치권위: 형성, 변화, 그리고 전망”
    신봉수 「한국정 치학회보」, 제49권 제5호, pp. 223-241 [2015]
  • “중국공산당 지배질서와 정치발전: 구조, 자원, 엘리트를 중심으 로”
    김인 「중국학연구」, 제58권, pp. 535-553 [2011]
  • “중국공산당 제17차 전당대회 이후 권력구조와 정부정책”
    이상빈 「유라시아연구」, 제6권 제1호, pp. 33-52 [2009]
  • “중국 집단지도체제 권력승계의 제도화와 19차 당대회이후의 변화: 새로운 게임규칙의 모색인가?”
    이정남 「중소연구」, 제42권 제2호, p p. 7-42 [2018]
  • “중국 정치지도체제의 제도화에 관한 연구”
    김정계 「동아인문학」, 제18권 제18호, pp. 345-378 [2010]
  • “중국 정치 이데올로기 변화연구”
    남종호 「국제지역연구」, 제13권 제1호, pp. 191-211 [2009]
  • “중국 정당의 발생 및 발전”
    김진환 「중국학연구」, 제49권, pp. 18 9-217 [2009]
  • “중국 사회주의의 미래: 중공 지도이데올로기의 변용과정을 중심으로”
    김정계 「현대사상」, 제5권, pp. 149-182 [2009]
  • “중국 대외정책의 전환에 관한 연구: '조화세계(和谐世界)'의 제기와 전략적 의도를 중심으로”
    하도형 「동아연구」, 제54권 제 54호, p p. 167-191 [2008]
  • “중국 대외관계의 역사적 변화와 한일관계”
    정귀화 「한국민족문 화」, 제17권, pp. 33-67 [2001]
  • “중국 국가정체성의 변화”
    김태환 「국제관계연구」, 제15권 제2호, pp. 163-191 [2010]
  • “중국 공산당의 성장과 그 과제”
    곽덕환 「동아인문학」, 제42권, p p. 163-186 [2018]
  • “중국 공산당 100년을 읽다”
    이희옥 「남북물류포럼 학술대회 자료 집」, pp. 5-21 [2016]
  • “중국 경제의 진화: 국가발전에서 글로벌 거버넌스 변화의 도 구로”
    유희복 「아태연구」, 제26권 제2호, pp. 44-95 [2019]
  • “중국 경제개혁 심화에 내재된 제도적 제약: 영도소조, 혼합 소유제, 정치화된 기업지배 구조”
    여유경 「한국과 국제정치」, 제85호, p p. 201-228 [2014]
  • “중국 19차 당대회의 경제분야 결정 내용과 시사점”
    KOCHI [2017]
  • “중공의 대소정책”
    최창윤 「아세아연구」, 제22권 제2호, pp. 67-11 0 [1979]
  • “중 미 양국의 '신형대국관계'에 관한 연구 : 도날드 트럼프 시대의 중미관계를 중심으로”
    한인희 「한중사회과학연구」, 제15권 제1 호, pp. 1-36 [2017]
  • “제 10장 모택동(毛泽东)의 민족주의와 대외정책 ”
    한주희 「통일전 략」, 제6권 제1호, pp. 291-325 [2006]
  • “정치에서의 권위문제: 한나 아렌트의 권위개념에 관한 고찰”
    박혁. 「21세기정치학회보」, 제19권 제3호, pp. 73-96 [2009]
  • “전후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구성과 중국”
    이삼성 「한국정치학회 보」, 제50권 제5호, pp. 163-189 [2016]
  • “적(敌)에서 암묵적 동맹으로 : 데탕트 초기 미국의 중국 접 근”
    마상윤 「한국정치연구」, 제23권 제2호, pp. 313-337 [2014]
  • “월츠의 신현실주의에 대한 웬트의 구성주의의 도전”
    양준희 「국제 정치논총」, 제41권 제3호, pp. 25-46 [2001]
  • “역할이론의 발전과 국제관계”
    유동원 「국제정치논총」, 제57권 제3 호, pp. 7-49 [2017]
  • “아태지역에서의 G2체제: 미중협력과 갈등 가능성 평가”
    김성한 「전략연구」, pp. 107-138 [2013]
  •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의 의미 및 시사점”
    이성량 「사회과학 연구」, 제22권 제2호, pp. 55-74 [2015]
  • “아시아와 중국의 아시아”
    이성우 「국제정치논총」, 제54권 제2호, pp. 243-271 [2014]
  • “신형대국관계론과 아시아 신안보 개념”
    이지용 「외교안보연구소」, pp. 1-30 [2015]
  • “신형대국관계 전략의 기원과 난제”
    이영학 장루이좡 「성균차이나 브리프」, 제2권 제1호, pp. 90-96 [2014]
  •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Neoliberal Institutionalism) 로 본 미국과 중국의 기후변화 협력”
    조가희 최동주 「국제지역연구」, 제21권 제 4호, pp. 131-154 [2017]
  • “신자유주의 시각에서 본 미중 경제협력”
    서정경 「국제정치논총」, 제49권 제1호, pp. 143-172 [2009]
  • “신국제질서에서 평화와 안보를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
    임운택 「한 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pp. 211-220 [2004]
  • “신 동북아 안보환경과 한중협력”
    황재호 「전략연구」, 제64호, pp. 5 -26 [2014]
  • “시진핑의 중국몽과 정체성 정치”
    홍건식 「국제정치논총」, 제58권 제1호, pp. 99-146 [2018]
  • “시진핑의 제도적 조정을 통한 권력과 정당성 강화”
    여유경 「아태 연구」, 제25권 제4호. pp. 171-198 [2018]
  • “시진핑의 방한으로 본 중국의 한반도 전략과 한중관계”
    김진호 「중국과 중국학」, 제23권, pp. 145-176 [2014]
  • “시진핑시기 중국외교정책 분석”
    유동원 「대한정치학회보」. 제25집 제4호, pp. 89-116 [2017]
  • “시진핑(习近平)의 중국몽(中国梦): 팍스시니카(Pax-sinica) 구상과 그 한계”
    이정남 「아세아연구」, 제61권 제4호, pp. 165-192 [2018]
  • “시진핑(习近平) 政权(정권)의 新型大国关系(신형대국관계)의 政治经济的(정치경제적) 小考(소고)”
    이월영 「대한정치학회」, 제22권 제1 호, pp. 109-132 [2014]
  • “시진핑 지도부의 등장과 중국의 대외정책: ‘지속’과 ‘변화’의 측면을 중심으로 ”
    박병광 「전략연구」, 제60호, pp. 139-170 [2013]
  • “시진핑 시대의 중국 외교 전망: 중국 공산당 제 18차 당대회 의 정치보고를 중심으로”
    조영남 「한국과국제정치」, 제29권 제2호, pp. 2 03-231 [2013]
  • “시진핑 시대, 중국의 동아시아 정책”
    강준영 「중국과 중국학」, p p. 173-196 [2015]
  • “시진핑 시대 중국의 대외정책”
    이장원 「한국동북아논총」, 제76권, pp. 49-70 [2015]
  • “시진핑 시대 중국의 군사력 평가와 전망”
    황재호 「전략연구」, 제62 호, pp. 5-33 [2014]
  • “시진핑 시기 중국의 대외전략 변화와 한반도 정책에 대한 영향”
    신종호 「통일정책연구」, 제25권 제2호, pp. 131-157 [2016]
  • “시진핑 시기 중국의 ‘강대국 외교(大国外交)’와 미중 무역분쟁”
    서정경 원동욱 「국가전략」, 제25권 제1호, pp. 33-62 [2019]
  • “시진핑 시기 중국의 ‘강대국 외교(大国外交)’와 미중 무역분쟁”
    신종호 원동욱 「국가전략」, 제2권 제1호, pp. 33-62 [2019]
  • “시진핑 ‘신시대’ 외교 전략: ‘중국식 강대국외교’와 ‘신형국제 관계”
    이동률 「나라경제」, 제19권 제11호, pp. 21-43 [2017]
  • “세계체제의 재편과 중국의 도전: 중국적 세계관의 동향”
    박사명 「한국정치학회보」, 제29권 제3호, pp. 577-606 [1996]
  • “서구 시각에서 본 남중국해를 둘러싼 중국의 패권주의 연 구”
    김희열 「탐라문화」, 제42권 제42호, pp. 215-252 [2012]
  • “새로운 형태의 강대국 관계” 구상과 미-중관계 ”
    김재철 「중소연 구」, 제37권, 제3호, pp. 19-48 [2013]
  • “사드와 AIIB를 둘러싼 미중관계와 한국”
    이기완 「국제정치연구」, 제18집 제1호, pp. 331-346 [2015]
  • “북핵문제의 대한 중국의 정책”
    이시형 이원봉 「정치정보연구」, 제7권 제1호, pp 161-187 [2004]
  • “북핵문제 해법을 위한 패러다임의 전환”
    정준오 「전략연구」, 제25 권 제1호, pp. 47-103 [2018]
  •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의 모색”
    함택영 「현대북한연 구」, 제17권 제2호, pp. 260-295 [2014]
  • “북핵 문제의 현황 및 전망과 향후 대책”
    최강, 최명해. 「전략연 구」, 제15권 제3호, pp. 152-181 [2008]
  • “북한의 세 차례 핵실험과 중국의 대북한 정책 변화 분석”
    이영학 「국제정치논총」, 제 53권 제4호, pp. 191-223 [2013]
  • “북 중 신지도부의 교체 이후 양국 관계 변화분석: 대미외교 공조를 중심으로”
    오일환 「중국과 중국학」, 제28권, pp. 109-132 [2016]
  • “미중관계의 과거, 현재, 미래: 협력자 혹은 경쟁자”
    주형민 「평화연 구」, 제19권 제1호, pp. 75-123 [2011]
  • “미중 데탕트와 소련: 국제정세 인식과 대응”
    강윤희 「EAI 국가안 보패널연구보고서」, NSP Report 73, pp. 1-23 [2014]
  • “미국의 대아시아 정책의 변화와 중국의 대응”
    김석우 장숙인 「아 태연구」, 제23권 제4호, pp. 5-31 [2016]
  • “미국의 대(对)중국 외교안보 전략”
    신성호 「전략연구」, pp. 31-63 [2013]
  • “미국과 중국의 군사전략 대결의 구성주의적 분석”
    김관옥 「국제정 치연구」, 제17권 제1호, pp. 114-136 [2014]
  • “미 중 패권경쟁의 이론적 논쟁 재조명”
    김관옥 「대한정치학회보」, 제24집 제2호, pp. 1-26 [2016]
  • “미 중 신형 대국관계와 한반도”
    이태환 「신아세아」, 제21권 제1 호, pp. 50-73 [2014]
  • “미 중 군사대화의 배경과 함의”
    이영길 「정세와 정책」, 3월호, pp. 4-6 [2005]
  • “미 중 간 신형대국관계는 지속 가능한가?”
    김진용 「동북아문화연 구」, 제40권, pp. 339-363 [2014]
  • “모택동과 중국적 사회주의의 건설”
    장공자 「사회과학연구」, 제23 권 제1호, pp. 137-161 [2006]
  • “마오저뚱(毛泽东)시기 중국의 대외전략과 정책 : 건국 후 - 60년대 말”
    김옥준 「중국학논총」, 제27권 제27호, pp. 237-265 [2009]
  • “동아시아 판의 변화와 한중 관계의 동태적 전환”
    이희옥 「동향과 전망」. pp. 51-82 [2017]
  • “동아시아 지역통합에 있어서 중일 관계의 양면성”
    변창구 「한국동 북아논총」, 제55권, pp. 5-23 [2010]
  • “동맹이론과 한국의 동맹정책”
    전재성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제47권 제2호, pp. 63-94 [2004]
  • “대소일변도정책의 결정배경에 관한 연구”
    지재운 「중국연구」, 제1 5권, pp. 58-79 [1994]
  • “냉전시기 중국 핵개발 사례를 통해 본 북핵 문제의 현재와 미래”
    박태균 주재우 「역사비평」, pp. 321-353 [2019]
  • “글로벌 신뢰 구축을 위한 외교정책 모색: 신뢰 유형을 중심 으로”
    주미영 「정치정보연구」, 제17권 제1호, pp. 49-76 [2014]
  • “군사동맹의 지속성: 세력균형론(Balance of Power)과 세력전 이론(Power Transition)”
    황영배 「한국정치학회회보」, 제29권 제3호, pp. 333-358 [1995]
  • “국제질서의 변화와 중국 대외전략에 대한 담론 검토 : 중국 내부 논의 분석을 중심으로”
    김애경 「아시아리뷰」, 제2권 제2호 [2012]
  • “국제관계에서 신뢰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검토”
    김창의 「社会 科学硏究」, 제39권 제1호, pp. 239-263 [2015]
  • “구성주의 국제정치이론의 의미와 한계”
    신웅희 「한국정치학회보」, 제32권 제2호, pp. 147-168 [1998]
  • “과욕과 현실적 제약의 딜레마: 중국의 FTA 경험”
    정환우 「현대중 국연구」. 제9권 제2호, pp. 173-211 [2008]
  • “공공재이론의 관점에서 본 패권안정이론: 한계와 대안을 중심 으로”
    김욱 「국제정치논총」, 제40집 제4호, pp. 27-44 [2000]
  •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집단지도체제와 파벌 연구: 시진핑 시 기 변화와 함의를 중심으로”
    최지영 「한국동북아논총」, 제22권 제1호, p p. 5-27 [2017]
  • “中国의 对美外交关係变化硏究”
    곽덕환 김용대 「동아인문학」, 제 24호, pp. 433-460 [2013]
  • “‘중앙국가안전위원회‘를 통해서 본 시진핑의 국가안보 관”
    이장원. 장지아, 「한중사회과학학회」, 제 17권 제 1호, pp. 175-200 [2019]
  • “The US-China Trade War: A Timeline”
    China Briefing http s://www.china-briefing.com/news/the-us-china-trade-war-a-time line/(검색일: 2019. 09. 25) [2019]
  • “JPI 정책포럼: 미중관계의 정상화와 대만”
    제주평화연구원 [2011]
  • “G2시대의 중국은 동북아에서 패권을 추구하는가?”
    배현우 「국방과 기술」, 제422권, pp. 70-85 [2014]
  • “3개대표론과 중국사회주의의 변화”
    이희옥 「중국학연구」, 제26권, pp. 461-480 [2003]
  • “21세기 중국의 외교정책과 외교”
    송영우 「중국연구」, 제21권, pp. 5-29 [2002]
  • “21세기 중국의 대외전략과 한국의 전략적 선택”
    EAI외교안보센터 [2006]
  • “21세기 중국의 대외인식과 외교정책: 연속성과 변화”
    류동원 「대 한정치학회보」, 제11집 2호, pp. 1-23 [2003]
  • “21세기 전략환경변화와 중국의 군사전략”
    박창희 「중소연구」, 제3 2권 제3호, pp. 45-71 [2008]
  • “21세기 미 중 관계의 결정요인”
    김호준 「대한정치학회회보」, 제10 집 제3호, pp. 315-337 [2003]
  • “21세기 동아시아의 지정학: 미국의 동아태지역 해양패권과 중미관계”
    이삼성 「국가전략」. 제13권 제1호, pp. 5-32 [2017]
  • “21세계질서와 미중 관계”
    이지용 「KINU」, 여름호, pp. 99-109 [2015]
  • “2013년 북핵문제에 따른 중국의 대북정책 변화 가능성”
    총성의. 「정치정보연구」, 제17권 제1호, pp. 99-121 [2014]
  • “19세기 유럽협조체제(The Concert of Europe)에 나타난 강 대국 정치를 통해 본 21세기 중국의 신형대국관계”
    신성호 「국제정치논 총」, 제54권 제3호, pp. 141-175 [2014]
  • “1970년대 중국의 반소외교”
    김옥준 「한국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1호, pp. 67-85 [2009]
  • https://www.whitehouse.gov/
  • https://www.thediplomat.com/
  • https://www.defense.gov/
  • https://media.defense.gov/2019/Jul/01/2002152311/-1/-1/1/DEPARTMENT-O F-DEFENSE-INDO-PACIFIC-STRATEGY-REPORT-2019.PDF
  • http://www.xinhuanet.com
  • http://www.worldbank.org
  • http://www.ustreas.gov/initiatives/us-china/U.S Department of Treasury/
  • http://www.uscc.gov/U.S.-china Economic and Security Review Commisi on/
  • http://www.un.org/
  • http://www.stat.gov/
  • http://www.mofa.go.kr/
  • http://www.imf.org
  • http://www.gov.cn
  • http://www.chinatoday.com/
  • http://www.aiib.org/
  • http://stat.kita.net/
  • http://news.cctv.com/
  • Xi jinping ’ s Major country Diplomacy : The Role of Leadership in Foreign Policy Transformation
    Vol . 28 , No . 115 , pp . 1-14 [2018]
  • Whither China : From Membership to Responsib ility ? ” . Remarks to National Committee on U.S.-China Relations
    [2005]
  • When will the chinese people be free ?
    Vol . 18 , No . 3 , pp . 38-52 . [2007]
  • Washington D.C : The Brookings Institution
    [1972]
  • War and Change in World Politics
    [2007]
  • US-China Relations in the 21st Century : Power Tran sition and Peace
    [2006]
  • Twenty Years ’ Crisis , 1919-1936 : An Introduction to th e Study of International Relations
    2nd ed [1946]
  • Theories of International Balancing , the rise of China , and Political Alignments in the Asia Pacific
    Vol . 12 , pp . 15-48 [2014]
  • The ‘ China Threat ’ Issue : Major Arguments
    Vol . 36 , No.8 , pp . 758-771 . [1998]
  • The war ledger
    [1980]
  • The tragedy of great power politics
    [2001]
  • The United States and the great powers : World poli tics in the twenty-first century
    [2004]
  • The US Rebalance towards the Asia-Pa cific : Really Realist ?
    Vol . 3 , issue . 3 , p p. 291-306 . [2016]
  • The Sino-Soviet Conflict
    [1962]
  • The Rise and Fall of the Great Powers : Economic Change and Military Conflict from 1500 to 2000
    [1989]
  • The Return of Geopolitics : The Revenge of the Revisionist Powers
    Vol . 93 , No . 3 , pp . 69- 79 [2014]
  • The Rebalance and Asia-Pacific Security Building a Principled Security Network
    Vol . 95 , No . 6 . [2016]
  • The Problem of a Rising Power : Sino-America n Relations in the 21st Century
    Vol . 7 , Issue 2 , pp . 7-39 . [2009]
  • The Origins of Alliance
    [1987]
  • The Historiography of International Relations : Martin Wight in FreshConversation with Duroselle and Morgenthau ''
    Vol . 40 , No . 2 , p. 249-267 . [2018]
  • The Diplomat
    “2018: China Vows to Be the Keeper of International Order: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makes a resolution on international affairs during his New Year’s speech”. https://thediplomat.com/2018/01/2018-china-vows-to-be-the-keeperof- international-order/(검색일: 2018. 08. 09) [2018]
  • The 19th Party Congress : Ringing in Xi Jinping ’ s New A ge
    Issue 55 , pp . 1-22 [2018]
  • Systems in Crisis : New Imperatives of High Po litics at Century 's End .
    [1991]
  • Strategic Capitalism : the new economic strate gy for winning the capitalist cold war
    [2012]
  • South China Morning post
    “Explained: South China Sea disp ute”. https://www.scmp.com/week-asia/article/2186449/explained-s outh-china-sea-dispute(검색일: 2019. 03. 04) [2019]
  • Soft Power : The Means to Success in World Politics
    [2004]
  • Security : A new Framework for Analysis
    [1998]
  • SBS뉴스. “종말모드 VS 전진배치 모드
    사드레이더의 심각한 오해”.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3909 62&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검색일: 2019. 07. 24) [2016]
  • RoleConceptions , order transition and institutional balanci ng in the Asia-Pacific : a new theoretical framework
    Vol . 72 , No . 2 , pp . 92-109 [2018]
  • Role theory inter national relations : Approaches and analyses
    [2011]
  • Rising to theChina ’ sChallenge :China ’ s Grand S trategy and International Security
    [2004]
  • Rethinking Foreig n Policy Analysis : States , Leaders , and the Microfoundations of Behavioral International Relations
    [2010]
  • Power transition , institutions , andChina ’ s rise in East Asi a : Theoretical expectation and evidence ''
    Vol . 304 , pp . 639-682 . [2007]
  • Power and Responsibility inChinese Foreign Policy
    [2001]
  • One-Party Rule and the Question of Legitimacy in Contemporary China : preliminary thoughts on setting up a ne w research agenda
    Vol . 17 , Iss ue 54 , pp . 191-204 [2007]
  • New approaches in China ’ s foreign policy : The postcold war era
    Vol . 33 , No . 3 , pp . 237-251 . [1993]
  • National role conceptions in the study of foreign policy.
    Vol . 14 , No . 3 , pp . 233-309 [1970]
  • How China Sees America : The Sum of Beijing ’ s Fears
    Vol . 91 , No . 5 , pp . 32- 47 [2012]
  • How Asia Works : Sucess and Failure in the World ’ s Most Dynamic Region
    [2013]
  • Explaining Chinese Foreign Policy towar d North Korea : navigation between the Scylla and Charybdis of proliferation and instability
    Vo l. 17 , No . 56 , pp . 401-423 . [2008]
  • Ending the Strategic Holiday : US Grand Str ategy and a “ Rising ” China
    Vol . 18 , pp . 181-189 [2004]
  • Discussion of China : A responsible great power
    Vol . 10 , No . 26 , pp . 27-32 . [2001]
  • Diplomacy
    [1994]
  • Culture Realism : Strategic Culture and Gra nd Strategy in Chinese History
    [1995]
  • Cooperation under the Security Dilemma
    Vol . 30 , Issue 2 , pp . 167-214 [1978]
  • Communism and Political Culture Theory
    Vol . 15 , No . 2 , pp . 127-138 . [1983]
  • Chinese Foreign Relations : Power and Policy Si nce the Cold War .
    [2010]
  • Chinese Foreign Policy in Transition
    [2004]
  • China ’ s rising power , the U.S. rebalace to Asi a , and implications for U.S-China relations
    Vol . 50 , No . 3 , pp . 19-55 . [2014]
  • China ’ s Strategic partnership diplomacy : engaging with a changing world
    No . 8. pp . 1-20 [2014]
  • China ’ s Second Continent : How a million Mig rants are building a New Empire in Africa
    [2014]
  • China ’ s Search for a New Type of Great Pow er Relationship
    Vol . 12 , Issue . 17 , pp . 12-17 [2011]
  • China ’ s Peaceful Rise to Great-Power Status
    Vol . 84 , No . 5 , pp . 18-24 . [2005]
  • China ’ s Party Congress : Power , Legitimacy , and I nstitutional Manipulation
    [2015]
  • China ’ s Grand strategy
    pp . 1-14 [2015]
  • China ’ s Approach to Confidence-Building Meas ures
    pp . 1-24 [1999]
  • China since Tiananmen : The Politics of Transiti ons ,
    [2001]
  • China Today. 2017. “构建中美新型大国关系”.
  • China Pursues Traditional Great-Power Statu s
    Vol . 38 , Issue 2 , pp . 157-175 . [1994]
  • China Goes Global .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 Denghua Zhang . 2018 . A tango by two superpowers : China-US cooperat ion in trilateral aid and implications for their bilateral relations
    Vol . 26 , No . 2 , pp . 181-200 . [2013]
  • China Engages Asia : Reshaping the Regi onal Order
    Vol . 29 , No . 3 , pp . 64-99 .
  • China : a responsible great power
    Vol . 10 , No . 26 , pp . 17-25 . [2001]
  • China 's ‘ new type of Great Power r elations ’ : a G2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
    Vol . 92 , No . 4 , pp . 773-794 . [2016]
  • China 's Search for a Grand Strategy : A Rising Great Power Finds Its Way
    Vol . 90 , Issue 2 , pp . 68- 79 [2011]
  • China 's Foreign Policy Think Tanks : institutional evo lution and changing roles
    Vol . 24 , Issue 93 , pp . 531-553 . [2014]
  • Chi na ’ s International Roles : Challenging or Supporting International Order ?
    [2017]
  • Beijing and Washington must work Together for Lon g-term Peace in the Taiwan Strait
    [2003]
  • Ancient Chinese Though , Modern Chines Power
    [2011]
  • Anarchy is what states makes of it : the social construction of power politics
    Vol . 4 6 , No . 2 , pp . 391-425 . [1992]
  • Alliances and Asymmetry : An Alternative to t he Capabilities Aggregation Model of Alliances
    Vol . 35 , No . 4 , pp . 904-933 . [1991]
  • Age of Ambition : Chasing Fortune , Truth , and Faith in the New China
    [2014]
  • After Victory : Institutions , Strategic Restraint , Rebuilding Order after Major Wars
    [2001]
  • A New Model of Big Power Relations ? China–U S strategic rivalry and balance of power in the Asia–Pacific
    Vol . 24 , Issue 93 , pp . 377-397 [2015]
  • A Fragile Relationship : The United States and Ch
    [1992]
  • 21세기 중국의 외교정책: 국내외적 환경변화와 전략과 목표를 중심으 로
    차창훈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29집 제1호, pp. 163-203 [2007]
  • 1995. International Politics : A Framework for Analysis-7th ed
  • 1989. International institution and state power : Essa ys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 . “북한과 중국체제의 정치문화 비교”
    임채완 劉娑, 「국제정치논총」, 제54권 제5호, pp. 303-339 [2014]
  • (차혜정 역). 『시진핑, 국정운영을 말하다』
    시진핑 (서울: 와이즈베리) [2015]
  • (이우재 역). 『중국의 세계전략』
    예쯔청 (파주: 21세기북스)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