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중국 시피펀(CP粉)의 한류 팬덤 문화 연구

김정은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중국 시피펀(CP粉)의 한류 팬덤 문화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동남아문학
  • CP粉
  • CP粉的中國特色粉絲特徵
  • CP粉的普遍粉絲特徵
  • CP粉都
  • 叙媛
  • 微博
  • 微博“敘媛”超話
  • 韓流
  • 韓流粉都
  • 쉬위안
  • 시피펀(CP粉)
  • 시피펀(CP粉) 팬덤
  • 시피펀(CP粉)의 보편적 팬 특성
  • 시피펀(CP粉)의 중국적 팬 특성
  • 웨이보
  • 차오화
  • 한류
  • 한류 팬덤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66 0

0.0%

' 중국 시피펀(CP粉)의 한류 팬덤 문화 연구' 의 참고문헌

  • 히라타 유키에․전오경 옮김, 『아시아를 잇는 대중문 화: 일본 그 초국가적 욕망』
    岩渕功一 서울: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2004]
  • 홍세영, 「[2017 KBS 연기대상] 김영철·천호진 공동대상…‘쌈마이’ 최다 수상(종 합)」, 『스포츠 동아』, 2018년 1월 1일, http://sports.donga.com/3/all/20180101/87973362/1
    홍세영 [2017]
  • 한국의 시피펀에 대한 인식, http://me2.do/5Gb0M5s5
  • 한국에서 열애설에 대한 인식,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rama_new2&no=4450284
  • 한국 팬의 팬 텍스트와 공유 게시물, https://m.weibo.cn/5269070785/4328883224131635
  • 한국 자료 번역 게시물, https://m.weibo.cn/5517025523/4171542453636156
  • 하한주 百度百科, https://baike.baidu.com/item/哈韩族/2556568?fr=aladdin
  • 프로게이머 남남CP 차오화, https://www.weibo.com/p/1008087a2ee085045c217994f8132a5096f0e3/super_index
    [2179]
  • 페이스북 국뷔 갤러리, https://www.facebook.com/%EB%B0%A9%ED%83%84%EC %86%8C%EB%85%84%EB%8B%A8-%EA%B5%AD%EB%B7%94-%EA%B0% A4%EB%9F%AC%EB%A6%AC-575833782607634
  • 팬픽 음지화 예시,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3&dirId=3021401&docId =319771299&qb=7JWE7J2064+M7Yys7ZS967O06riw&enc=utf8&section=kin&rank =2&searcho_rst=0&spq=0
    [2140]
  • 팬 텍스트 2, https://m.weibo.cn/3102126652/4319609341540704
    [2126]
  • 팬 텍스트 1, https://m.weibo.cn/5772581928/4339357039303808
    [1928]
  • 투*, 「생일인데 결국 그렇게 된 거구나 야오왕」, https://blog.naver.com/shoxx80?Redirect=Log&logNo=221468849153
    [2146]
  • 커플팬 검색, 문***, 「대전 카리타스 커플팬 할인매장」, https://blog.naver.com/lux8638/220648571282
    [2064]
  • 최종철 옮김,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下)』
    Bourdieu, Pierre 서울: 새물 결 [2006]
  • 최종철 옮김,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上)』
    Bourdieu, Pierre 서울: 새물 결 [2006]
  • 차원현․채호석․배개화 옮김, 『고삐 풀린 현대성』
    Appadurai, Arjun 서울: 현실 문화연구 [2004]
  • 차오화 커뮤니티 추천 카테고리, https://m.weibo.cn/6924342877/4354754077228124
  • 차오화 설명, 搜狐娱乐圈同学, 「新浪微博推出“超级话题”,开闢话题新模式」, http://m.sohu.com/a/87110202_320150
    [2015]
  • 징시(晶茜)차오화, https://www.weibo.com/p/1008088fbaf3dc5883d30ea346099e2daa9c22/super_index
  • 지위안 CP 톄바, https://tieba.baidu.com/f?kw=%E5%9F%BA%E5%AA%9Bcp
  • 지위안 CP 웨이보 게시글, https://m.weibo.cn/6094726423/4387715702949047
  • 지우위안 시피펀, 李**, https://m.weibo.cn/6438278295/4423038504367618
  • 중국에서의 한류 드라마 영향에 관한 연구
    김수진 서울: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4]
  • 주은우 옮김, 『스타-이미지와 기호』
    Dyer, Richard 서울: 도서출판 한나래 [1995]
  • 조장은 옮김, 「국가, 팬덤, 그리고 근대성 문제―제이 초우(Jay Chou, 周傑倫) 사례 연구를 통해」
    앤소니 펑 서울: 새얼문화재단, 『황해문화』, 제61호 [2008]
  • 조애리 외 옮김, 『문화코드, 어떻게 읽을 것인가? - 문화연구 의 이론과 실제』
    Baldwin, Elaine 파주: 도서출판 한울 [2008]
  • 정인혜, 「도 넘은 아이돌 팬덤 문화...음란물과 다름없는 ‘알페스’ 만연」, 『시빅뉴 스(Civic News)』, 2018년 5월 1일, http://www.civic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350
    정인혜 [2018]
  • 점*, 「‘아이돌 미스터리∼1탄. 비게퍼는 존재하는가」, https://kpopkillsgirl.tistory.com/12
  • 잘못된 분석에 대한 오류 정정 게시물, https://m.weibo.cn/5890601265/4197023739206708
    [1970]
  • 자**, 「알페스를 하는 당신이 잊지 말아야 할 점」, https://blog.naver.com/gagi180929/22157422945
    [2157]
  • 잉쥔부부 차오화: https://www.weibo.com/p/100808bc6d9cf452961af4b533799a48cef3bb/super_index.
  • 이지영, 「‘한밤’ 여진구, 커플팬 등장에 여무룩 “연애하고 싶다”」, 『OSEN』, 2015 년 9월 10일, http://osen.mt.co.kr/article/G1110243626
    이지영 [2015]
  • 이익성 이은호, 『TV읽기』
    Fiske, John 서울: 현대미학사, :1997 [1994]
  • 이미영, 「박서준·김지원에 설렜다...2017 드라마 빛낸 커플 열전」, 『조이뉴스24』, 2017년 10월 31일,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111/0000501847
    이미영 [2017]
  • 이경숙 정영희 옮김, 『문화연구사전』
    Chris Barker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 의미 왜곡 게시물과 댓글, https://m.weibo.cn/5517025523/4133158084117111
  • 유허우 팬픽 사례, https://m.weibo.cn/6976304077/4409628571568823
  • 유허우 팬픽 게시물, https://m.weibo.cn/1907734867/4428842409802395
    [1907]
  • 유허우 차오화, https://www.weibo.com/p/1008080bad142931316d1bcf01b80a696f0937/super_index
    [1924]
  • 유상철, 「중국서도 H.O.T. 열풍...베이징콘서트 표 동나」, 『중앙일보』, 2000년 1 월 31일, https://news.joins.com/article/3872701
    유상철 [2000]
  • 윈짜이 시피펀의 한국 팬픽 구매 게시물과 팬픽에 대한 ‘윤재’의 사인, https://m.weibo.cn/2824817804/4396225124414014
  • 위키백과 「노사모」, https://ko.wikipedia.org/wiki/%EB%85%B8%EC%82%AC%EB%AA%A8
  • 웨이보 차오화 서비스 소식, 比搞君, 「超级话题之下,比搞教你玩转品牌微博营销!」, https://www.douban.com/note/564837492
  • 올드팬의 게시물, http://media.weibo.cn/article?id=2309404153125857552050
    [2050]
  • 온리전(Only展), https://ko.wikipedia.org/wiki/%EC%98%A8%EB%A6%AC%EC%A0%84
  • 영상 분석글, https://media.weibo.cn/article?id=2309404164923969129502
  • 영상 분석글 관련 움짤 게시물, https://m.weibo.cn/5517025523/4166141444503073
  • 영상 분석글 게시물, https://m.weibo.cn/5517025523/4164923972648037
  • 열애설 부정을 믿지 않는 ‘다선’의 인터뷰 분석글, https://m.weibo.cn/5505918038/4140757012877041
  • 열애설 부정에 대한 반응과 게시물 댓글 반응, https://m.weibo.cn/5743749620/4268266048139626
  • 싼류의 길(三流之路) 차오화, https://www.weibo.com/p/10080879a299333f29314bdd1db80d8d970b06/super_index
  • 신미래, 「[TV포커스] ‘우리 결혼했어요’ 리얼리티 제대로 보여주세요...‘예능판 막장 드라마’」, 『톱스타뉴스』, 2015년 6월 25일, http://www.topstar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6896
    신미래 [2015]
  • 시피펀과 춘펀의 관계를 나타내는 게시물, https://m.weibo.cn/1677257567/4267970614529687
    [1924]
  • 시피펀 의미 왜곡 게시물, https://m.weibo.cn/1857403202/4300917832736981
  • 시피펀 사탕 캐기 게시물과 댓글, https://m.weibo.cn/status/4201284158193168
    [2012]
  • 시피펀 追의 용법, https://m.weibo.cn/status/4346593022469774
  • 시피펀 站의 용법, https://m.weibo.cn/status/4298706859388917
  • 시피펀 嗑의 용법, https://m.weibo.cn/status/4332822456192319
    [1923]
  • 스타의 별칭 사용 사례, https://m.weibo.cn/6061185207/4323450287545026
  • 스타-팬덤 CP ‘눙탕’ 차오화, https://www.weibo.com/p/1008083025d4823e3dd28e 8d155377ccc2f9e7/super_index
  • 쉬위안 폰 배경화면사진 공유 게시물, https://m.weibo.cn/5517025523/4158436922991638
  • 쉬위안 커플과 솽쑹부부의 비교 사진, https://m.weibo.cn/6365794756/4317593156959885
  • 쉬위안 차오화, https://www.weibo.com/p/100808024809a1890986410acb53068593e7a5/ super_index.
  • 쉬위안 차오화 개설 알림 게시물과 댓글, https://m.weibo.cn/5517025523/4132465499223068
  • 쉬위안 시피펀의 팬픽, https://m.weibo.cn/status/4148684536631148
  • 쉬위안 시피펀의 CP 열애 공개를 원하는 게시물, https://m.weibo.cn/5318140835/4325164629662352
  • 쉬위안 시피펀의 <쌈, 마이웨이> 제작발표회 분석글, https://m.weibo.cn/5517025523/4141133979995086
  • 솽쑹부부 차오화 및 소개, https://www.weibo.com/p/1008084d44163e8c39aa3b9b20a92a1704912b/super_index
  • 송송홀릭 코리아 클럽, https://cafe.naver.com/kyo1122
  • 송민호-피오 CP 조합, https://m.weibo.cn/status/4378101691630833
    [1924]
  • 소녀시대 팬픽 카페, http://cafe.daum.net/soulpiction
  • 샹성 배우 남남CP 차오화, https://www.weibo.com/p/1008082af73c3b416104473bdd02ce10d255a6/super_index
  • 사탕 생산을 촉구하는 게시물, https://m.weibo.cn/1784713233/4340690823325404
  • 분석글의 집단적 즐기기, https://m.weibo.cn/5890601265/4198055567923580
    [1980]
  • 분석글, http://media.weibo.cn/article?id=2309404153125857552050
    [2050]
  • 분석글 포스팅 게시물, https://m.weibo.cn/5517025523/4153125856467055
  • 봉황천사TSKS, https://weibo.com/u/1855152373
  • 백선기 옮김, 『문화연구와 담론분석: 언어와 정체성에 대한 담화』
    Barker, Chris Galasiński, Dariusz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 배효주, 「열애설 부인 뒤집은 송송커플, 누가 돌을 던지랴」, 『뉴스엔』, 2017년 7 월 5일,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707051004536710
    배효주 [2017]
  • 박형식 차오화: https://www.weibo.com/p/100808ca0d0814576095a939eb33be2120b43f/ super_index
    [2120]
  • 박찬하, 「유승호, ‘커플팬 많이 오셨나’」, 『스타뉴스』, 2015년 12월 24일, http://star.mt.co.kr/stview.php?no=2015122419362116 769&outlink=1&ref=http% 3A%2F%2Fsearch.naver.com
    박찬하 [2015]
  • 박성일 옮김, 『대중문화와 일상, 그리고 민족정체성』
    Edensor, Tim 서울: 도서출 판 이후 [2008]
  • 박서준 차오화: https://www.weibo.com/p/1008084eca1924584c23f5397036f19f8532c0/super_index
    [1924]
  • 박보영 차오화: https://www.weibo.com/p/1008088b635b2edf2f9d677a528c1f965cef9e/super_index
    [2120]
  • 박민영 차오화: https://www.weibo.com/p/100808e1a65c6f8becae1f3a7f421f1ee178e2/super_index
    [1924]
  • 박만준 옮김, 『대중문화의 이해』
    Fiske, John 서울: 경문사, :2005 [2002]
  • 박만준 옮김(2006), 『대중문화와 문화연구』
    Storey, John 서울: 경문사, : [2002]
  • 바이두 톄바의 오락‧스타 분류 카테고리, http://tieba.baidu.com/f/index/forumclass
  • 바이두 쉬위안부부 톄바: http://tieba.baidu.com/f?ie=utf-8&kw=%20%E5%8F%99% E5%AA%9B%E5%A4%AB%E5%A9%A6&fr=search&red_tag=o3573040943
  • 문지연, 「“이혼해줘” 팬들 맴찢한 ‘우결’ 커플 4」, 『뉴스에이드』, 2016년 11월 8 일,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5439852& memberNo=22401813&vType=VERTICAL
    문지연 [2016]
  • 멍뭉커플 차오화: https://www.weibo.com/p/100808e0a327f023540097366ab2471127a07f/super_index
  • 멍뭉커플 공식블로거의 게시물, https://m.weibo.cn/6185439473/4374742120918701
    [2120]
  • 디지털편집국 뉴스팀, 「시청률로 본 2017 올해의 드라마 BEST 15」, 『비주얼다이 브』, 2017년 12월 21일,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 volumeNo=11448604&memberNo=22846622&vType=VERTICAL
    [2017]
  • 디지털뉴스팀, 「“난 예쁜 척 아니라 예쁘게 태어나” 아이유 애교 동영상에…“심장 아 나대지마”」, 『동아닷컴』, 2017년 10월 25일,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71025/86941102/2
    [2017]
  • 뉴팬의 게시물, https://m.weibo.cn/6365794756/4329172681808663
  • 네이버 차오화(超話), https://zh.dict.naver.com/#/userEntry/ad95d9f29e8361c9c14a5ff8eed9582f
  • 네이버 오픈 사전 송송커플, https://ko.dict.naver.com/#/search?query=%EC%86% A1%EC%86%A1%EC%BB%A4%ED%94%8C&range=all
  • 네이버 국어사전 뇌피셜, https://ko.dict.naver.com/#/entry/koko/6d21b616e45a422384dbf9ba28ff60f6
  • 남혜연, 「박서준 “김지원과 열애 NO. ‘태후’보고 ‘괜찮은 여성’이라 외쳤다”」, 『스 포츠서울』, 2017년 8월 11일, http://www.sportsseoul.com/news/read/540939
    남혜연 [2017]
  • 나병철 옮김, 『문화의 위치: 탈식민주의 문화이론』
    Bhabha, Homi 서울: 소명출 판, :2005 [2002]
  • 김진선, 「韓예능은 왜 중국을 넘보게 됐는가」, 『MBN』, 2014년 9월 25일,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057/0000462671
    김진선 [2014]
  • 김종국-송지효 멍중(懵鍾)SpartAce 차오화, https://weibo.com/p/1008085288ca7b8d2397edf43463b61f026797
    [2013]
  • 김종국 윤은혜 웨이보 시피펀, 海**, https://m.weibo.cn/status/4415396507324925
    [2013]
  • 김종국 윤은혜 웨이보 시피펀, 搞**, https://m.weibo.cn/6219659855/4411044401120742
    [2196]
  • 김종국 윤은혜 웨이보 시피펀, M**, https://m.weibo.cn/1254713213/4402452646065588
    [2013]
  • 김종국 윤은혜 시피펀에 대한 설명, https://baijiahao.baidu.com/s?id= 1600455007366435845&wfr=spider&for=pc&isFailFlag=1
    [2013]
  • 김연종 옮김(2006), 『문화 연구 입문』
    Tuner, Graeme 서울: 도서출판 한나래, : [1995]
  • 금강심과 인내심 게시물, https://m.weibo.cn/2817906702/4256794727259748
  • 권택영 엮음, 민승기 이미선 권택영 옮김, 『욕망이론』
    Lacan, Jacques 서울: 문예 출판사 [1994]
  • 권수경 옮김, 『집단지성-사이버 공간의 인류학을 위하여』
    L vy, Pierre 서울: 문 학과지성사 [2002]
  • 곽현수, 「박서준-김지원, 드라마 속 가장 케미 좋은 커플 1위」, 『스포츠 동아』, 2017년 12월 29일, http://sports.donga.com/3/all/20171229/87953058/1
    곽현수 [2017]
  • 고재열, 「박재범 기적 비결은 무엇?」, 『시사인』, 153호, 2010년 8월 24일, https://news.v.daum.net/v/20100824130125288
    고재열 [2010]
  • 강태완 김선남 옮김, 『커뮤니케이션학이란 무엇인가』
    Fiske, John 서울: 커뮤니케 이션북스 [2001]
  • 감정 분석 데이터와 프로세스 및 결과물 종합 링크,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dQlMMmvfpoLbiVd9Pq1Y0-7iiI21Vqzn
  • 黄淑贞, 『成年女性粉丝中的性别政治』, 南京: 南京大學碩士學位論文, 2011.
  • 黄怡, 『新媒介環境中粉丝群體的身份认同建構―EXO網络粉丝群個案研究』, 成都: 四 川师範大学硕士学位论文, 2015.
  • 魏瑋, 「浅析中国K-POP微博粉丝站现象—以新浪微博粉丝站为例」, 『现代交际』, 第 12期, 长春: 吉林省社会科学院, 2018.
  • 高燕, 『中韩娱乐真人秀节目叙事模式对比研究』, 西安: 陝西師範大學碩士學位論文, 2016.
  • 雲度, 『注意力革命』, 蘇州: 古吴轩出版社, 2016.
  • 陶瑞丽‧冯百侠, 「植入式廣告营销的新境界―整剧植入」, 『河北联合大学学报(社会科 学版)』, 第5期, 唐山: 河北联合大学, 2014.
  • 陳研利, 『「韓流」過境下的迷文化:探討「迷」群與網路科技的互動模式』, 臺灣: 國 立國立中山大學, 2012.
  • 陳瑾嫻, 『「韓」流襲臺— 臺灣青壯年韓劇觀賞對偶像崇拜及消費行為之研究』, 臺灣: 國立臺灣藝術大學, 2017.
  • 陳佩鈺, 『臺灣韓流偶像迷群對應援文化的實踐與認同』, 臺灣: 國立臺灣師範大學, 2013.
  • 陈霖, 『新媒介與青年亚文化: 迷族: 被神召唤的尘粒』, 苏州: 苏州大学出版社, 2013.
  • 陈璐, 「情感劳动與收编: 关於百度贴吧K-pop粉丝集资应援的研究」, 『現代交际』, 第12期, 長春: 吉林省社会科学院, 2018.
  • 陈海岩, 「韩剧国内再掀高潮的传播学分析―以《来自星星的你》为例」, 『心事』, 成 都: 科幻世界杂誌社, 2014.
  • 陈曦, 『“K-pop粉丝”虚拟社区的建構和维系―基於百度“神话吧”的個案研究』, 福州: 福建師範大学硕士学位论文, 2015.
  • 金聖华, 『本土心理学视域下的偶像崇拜—以李敏镐的中年女性粉丝为研究对象』, 長春: 吉林大學博士學位論文, 2015.
  • 鄭耀漢, 『从《太阳的後裔》的成功看中国的韩流现象』, 杭州: 浙江大學碩士學位論 文, 2017.
  • 郭瑛霞‧张家寧‧(韓)卞禎敏, 『韩国歌手养成计』, 北京: 中国传媒大学出版社, 2016.
  • 郑佳, 『论韩国k-pop音乐产业发展的特點與影响』, 長春: 吉林藝術學院硕士学位论文, 2017.
  • 邢雪, 「定制與合作:论引进韩国综艺节目模式的方向」, 『新闻知识』, 第1期, 西安: 陝西日报社, 2015.
  • 車英蘭, 「韩流变化趋势與韩流活性化方案—以专家深层访谈为中心」, 『廣告大观(理 论版)』, 第3期, 南京: 江蘇廣播電視總臺, 2016.
  • 赵瑞楠, 「传播学视阈下的“韩流”信息传播初探: 以新浪微博账号“韩国me2day”为例」, 『文化縱橫』, 第1卷第3期, 兰州: 兰州大学新闻與传播学院, 2018.
  • 赵玲玲, 「韩流粉丝群體的爱国主义研究」, 『美與时代(城市版)』, 第1期, 郑州: 河南 省美术学会 郑州大学美学研究所, 2017.
  • 谭玲 郑杨, 「对中国韩剧迷社会层次網络争议的剖析―以“舆论氧化原理”为工具」, 『現 代傳播』, 第12期, 北京: 北京傳媒大學, 2014.
  • 谢毅‧王玉瑋, 『年度音视频经典案例选粹(2015年)』, 廣州: 暨南大学出版社, 2015.
  • 許如婷, 「臺灣K-POP女性「迷/粉絲」的跨國消費與文化想像」, 『傳播與社會學刊』, 第30期, 香港: 國際傳播學會, 2014.
  • 言爽, 『浅析韩国明星综艺节目在中国網络的传播』, 上海: 上海師範大學, 硕士学位论 文, 2010.
  • 覃皓珺‧李子怡, 「纵观影视笔刀锋芒坚守初心―影视文化产业研究者李星文访谈录」, 『创作與评论』, 第8期, 長沙: 湖南省文学艺术界联合会, 2017.
  • 袁平, 「从传受心理解读基腐文化盛行」, 『新闻研究导刊』, 第4期, 重慶: 重庆日报报 业集团, 2016.
  • 蒋淑媛, 「青年迷群自组织舆论场的影响力分析―以青年影迷網络自组织为例」, 『中国 青年研究』, 第3期, 北京: 中国青少年研究中心‧中国青少年研究会, 2014.
  • 蒋德慧, 「網络文化语境下偏纪实性电视真人秀新变」, 『新闻研究导刊』, 第19期, 重 慶: 重庆日报报业集团, 2016.
  • 董暘, 『韩剧攻略:當代韩国电视剧研究』, 北京: 中国传媒大学出版社
  • 胡寧, 「粉都文化中的女性旅游市场探析―以韩流粉都为例」, 『现代商贸工业』, 第21 期, 武漢: 中国商办工业杂誌社, 2013.
  • 胡嘉琦, 「網络韩流粉丝文化传播中的编码决策與解码立场研究―以典型網络用语为 例」, 『科技传播』, 第4期, 北京: 中国科技新闻学会, 2018.
  • 翟晨晨, 『新媒體環境下韩剧迷群體研究―以《来自星星的你》为例』, 南京: 南京大学 硕士学位论文, 2014.
  • 童真, 『韩国电视综艺节目在我国的跨文化传播研究』, 大連: 大連理工大學碩士學位論 文, 2015.
  • 祝东力‧李雲雷, 『热点與前沿:青年文艺论坛2013』, 北京: 文化艺术出版社, 2014.
  • 瓜田, 『趣说字裏行间』, 上海: 上海辞书出版社, 2009.
  • 王敏 李奇伦, 「韩剧粉丝的偶像崇拜现象解读―以《来自星星的你》为例」, 『東南傳 播』, 第9期, 福州: 福建省廣播影视集团, 2015.
  • 王怡琳, 「从“达康书记”走红看大众文化的生产」, 『南方电视学刊』, 第2期, 廣州: 廣 东电视廣东省文化馆(廣东省非物质文化遗产保护中心), 2017.
  • 王德培, 『中国经济2018: 新时代起點』, 北京: 中国友谊出版公司, 2018.
  • 王强, 『电视迷群的價值认同與传媒影响力建構』, 武漢: 華中科技大學博士學位論文, 2015.
  • 王东亮, 「地市媒體體育赛事新闻报道策劃」, 『媒體时代』, 第12期, 武漢: 湖北廣播电 视臺, 2015.
  • 牛昭, 『中韩真人秀节目比较研究』, 开封: 河南大学硕士学位论文, 2014.
  • 温朝霞, 『日韩影视剧在中国的传播及其影响』, 北京: 人民出版社, 2017.
  • 洪婧, 「分析韩剧在中国的传播」, 『大观』, 第11期, 開封: 开封东京文学文化传媒有限 责任公司, 2018.
  • 沈梦可, 『韩国综艺节目对华输出的策略研究―文化折扣视角』, 上海: 上海師範大學, 硕士学位论文, 2018.
  • 汪金汉, 「从“文本盗猎”到“公民参與”:詹金斯的“参與性”媒介受众研究」, 『福建師範大 学学报(哲学社会科学版)』, 第2期, 福州: 福建师範大学, 2016.
  • 汪慧, 『青年文化学』, 杭州: 浙江大学出版社, 2009.
  • 江清湲, 『新媒體语境下中国女性“韩流”粉丝消费文化研究』, 武漢: 華中師範大學碩士 學位論文, 2016.
  • 江佩蓉, 『想像的文化圖景: 韓流與哈韓族在帶灣』, 臺灣: 國立政治大學, 2004.
  • 欧阳友权‧贺予飞, 「網络文学批评的新拓进―2016年網络文学理论批评检视」, 『江海 学刊』, 第2期, 南京: 江苏省社会科学院, 2017.
  • 欧婧, 「论網络新生词的语言生成规律與亚文化特性」, 『天府新论』, 第4期, 成都: 四 川省社会科学界联合会, 2017.
  • 梅衍儂, 『初探韓流下的偶像神話敘事-以Super Junior與E.L.F.的想像關係與情感認同 為例』, 臺灣: 國立政治大學, 2012.
  • 梁立维, 「網络视域下亚文化群體的身份表现研究―以中国韩流粉丝为例」, 『现代视 聽』, 第4期, 济南: 山东省廣播电视学校, 2014.
  • 林汶奎, 『马雲的互联網思维』, 長沙: 湖南科学技术出版社, 2015.
  • 杨畅, 「微博中明星代言廣告的策略」, 『新闻传播』, 第16期, 哈尔滨: 黑龙江省新闻工 作者协会‧黑龙江省新闻研究所‧黑龙江日报报业集团, 2017.
  • 杨玲, 『超女粉丝與當代大众文化消费』, 北京: 首都師範大學博士學位論文, 2009.
  • 杨旦修, 『中国电视剧产业发展研究』, 廣州: 暨南大学出版社, 2015.
  • 杨健, 『自商业: 未来網络经济新形态』, 杭州: 浙江大学出版社, 2014.
  • 杨丽如, 『韩国综艺节目外来语使用研究』, 北京: 中央民族大學碩士學位論文, 2008.
  • 李超, 「“霸道总裁”形象: 當代大众文化中“上等阶层”的想象」, 『天府新论』, 第3期, 成都: 四川省社会科学界联合会, 2017.
  • 李茜茜, 「娱乐节目"CP文化"奇观化解读與反思」, 『新媒體研究』, 第13期, 北京: 中 国科技新闻学会, 2017.
  • 李爱华, 『东北亚合作发展研究』, 蘭州: 甘肃人民出版社, 2012.
  • 李泠玥, 「韩国真人秀综艺节目的中国本土化探析―以《奔跑吧兄弟》为例」, 『西部廣 播电视』, 第6期, 成都: 四川省廣播电视新闻與传播研究所, 2015.
  • 李晓婧, 『我国大学生受众对韩国综艺节目的解读―以《Running Man》爲例』, 太原: 山西大學碩士學位論文, 2015.
  • 李昕茹, 『韩流对當代中国青年群體的影响: 从“金秀贤联合粉丝会”为例』, 濟南: 山東 大学硕士学位论文, 2015.
  • 李响, 「导向批判的可能―以韩剧《太阳的後裔》为例」, 『新闻研究导刊』, 第17期, 重慶: 重庆日报报业集团, 2016.
  • 朱姝, 『想象與展演―K-POP迷的日常实践及其意义生产研究』, 南京: 南京大學碩士 學位論文, 2017.
  • 曹晉‧(英)格雷姆 默多克(Graham Murdock), 『社会性别―市场经济與都市交往实践』, 上海: 復旦大学出版社, 2015.
  • 文学国‧吕静‧张郁达, 『中国青年学者看中国』, 北京: 知识产权出版社, 2014.
  • 数托邦, 『中国娱乐大数据』, 北京: 东方出版社, 2014.
  • 戴颖洁, 『冲突與共谋: 全球模式节目本土化生产的权力博弈』, 蘇州: 浙江大學博士學 位論文, 2016.
  • 徐砺, 「从2014年韩剧热看“粉丝”文化的影响力」, 『視聽縱橫』, 第6期, 青岛: 青岛市 廣播电视学会, 2014.
  • 彭娜, 『中韩综艺节目叙事结構对比分析』, 重慶: 重慶大學硕士学位论文, 2010.
  • 强恩芳 强子涵, 「韩国音乐产业中的应援文化: 起源、发展及作用」, 『中国经贸导刊』, 第2期, 北京: 中华人民共和国国家发展和改革委员会, 2019.
  • 张萌萌, 「综艺真人秀角色化探析―以《running man》、《奔跑吧兄弟》为例」, 『品牌』, 第8期, 太原: 山西省品牌协会, 2014.
  • 张海潮‧白芳芹‧潘超, 『剧领天下(中外电视剧产业发展报告2012〜2013)』, 北京: 中国 民主法制出版社, 2013.
  • 张梦莹, 『传播與文化视阈下的我国韩国综艺节目热研究』, 廣州: 暨南大学硕士学位论 文, 2015.
  • 张梦, 『情感游戏與身份认同: 韩剧字幕组粉丝群體研究―鳳凰天使字幕组为例』, 南京: 南京大学硕士学位论文, 2015.
  • 张树庭, 『视網融合时代的电视节目评估』, 北京: 中国廣播电视出版社, 2012.
  • 张国涛‧郑世明‧崔瑋, 『影像的冲击力: 新世纪中韩电视剧流变研究』, 北京: 中国传媒 大学出版社, 2014.
  • 廣东省作家协会‧廣东網络文学院, 『網络文学评论(第1辑)』, 廣州: 花城出版社, 2011.
  • 崔迪, 『基於跨文化交际视角下的新韩流现象分析研究』, 曲阜: 曲阜師範大學硕士学位 论文, 2016.
  • 崔恩真, 『中韩综艺类真人秀节目比较分析―以《爸爸去哪兒》爲例』, 哈尔滨: 哈尔滨 師範大學硕士学位论文, 2015.
  • 展梦雪, 『偶像崇拜亚文化对旅游意向的影响研究―以中国韩流粉丝为例』, 南京: 南京 師範大學碩士學位論文, 2017.
  • 宋慧献, 「同人小说借用人物形象的著作权问题刍议―由金庸诉江南案谈虚拟角色借用的 合法性」, 『电子知识产权』, 第12期, 北京: 工业和信息化部电子科技情报研究所工 业和信息化部电子知识产权中心, 2016.
  • 宋子然主编, 『100年汉语新词新语大辞典1912年-2011年‧下卷(1978〜2011)』, 上海: 上海辭書, 2014.
  • 宋姸, 「国内十七年韩剧热的传播学分析」, 『辽寧大学学报(哲学社会科學版)』, 第38 卷第5期, 沈陽: 辽寧大学, 2010.
  • 安貞兒, 『韩流的中国青年受众研究』, 北京: 淸華大學博士學位論文, 2015.
  • 孟燁, 「传播学视阈下韩剧在中国热播原因探析―以《太阳的后裔》为例」, 『今传媒』, 第7期, 西安: 陝西人民出版社, 2016.
  • 姜红‧蒋含平, 『媒介 權利 表達新聞傳播與網絡化社會安徽省第7届新聞傳播學科研究 生論壇論文集』, 合肥: 合肥工业大学出版社, 2016.
  • 姜明, 『大众文化视域下的中国粉丝文化研究』, 長春: 吉林大學博士學位論文, 2016.
  • 周思佚, 『韩剧在中国热播的文化传播学分析』, 蘭州: 兰州大学碩士學位論文, 2011.
  • 周伟琳, 「我国的韩剧粉丝生产力研究―以百度贴吧《继承者们》为例」, 『新聞世界』, 第8期, 合肥: 安徽日报报业集团, 2014.
  • 周丽娟‧吕思婧‧王泉, 「审视與批判: 虚拟與现实共存的视频弹幕」, 『今传媒』, 第6期, 西安: 陝西人民出版社, 2017.
  • 吴鼎铭, 『大众文化视域下的中国粉丝文化研究』, 武漢: 武漢大學博士學位論文, 2015.
  • 吴静, 「湖南卫视对微传播的理解與运用」, 『新闻研究导刊』, 第9期, 重慶: 重庆日报 报业集团, 2016.
  • 向晴耒, 『韩国综艺节目的明星推廣機制研究』, 福州: 福建師範大學碩士學位論文, 2013.
  • 卿晨, 『網络社区中粉丝群體的社会认同研究―以韩流粉丝群體为例』, 上海: 华东师范 大学硕士学位论文, 2015.
  • 卢艳秋‧何朝俊, 「韩剧《太阳的後裔》在中国热播的受众心理分析」, 『福建质量管 理』, 第17期, 福州: 福建省质量协会, 2016.
  • 卢丹晖, 「網络流行语"杀马特"的模因解读」, 『红河学院学报』, 第15卷第4期, 蒙自: 红河學院, 2017.
  • 劉莞青, 『臺灣反韓情緒與韓流狂熱: 臺灣韓流迷研究』, 臺灣: 國立政治大學硕士学位 论文, 2015.
  • 劉冠吟, 『臺灣韓流偶像歌迷對韓國應援文化的接收與實踐』, 臺灣: 輔仁大學硕士学位 论文, 2018.
  • 刘雅雲, 『理性與疯狂: 粉丝群體亚文化研究―SJ粉丝为個案』, 合肥: 安徽大学硕士学 位论文, 2016.
  • 刘玲‧杨长春, 「一种新的微博社区用户影响力评估算法」, 『计算機应用與软件』, 第34 卷第7期, 上海: 上海市计算技术研究所‧上海计算機软件技术开发中心, 2017.
  • 刘斌, 『中国动画产业政策及创新研究』, 北京: 中国传媒大学出版社, 2016.
  • 刘娟, 『網络韩剧迷研究』, 哈尔滨: 黑龙江大学硕士学位论文, 2015.
  • 刘凡群, 「外来词"粉丝"及"粉丝"的两副面孔」, 『河北北方学院学报(社会科学版)』, 第 25卷第1期, 張家口: 河北省敎育廳, 2009.
  • 刘凌, 『文化社会学视角下韩流的建构过程: 以韓國電視劇、電視綜藝及K-POP音樂爲 例』, 瀋陽: 瀋陽師範大學硕士学位论文, 2016.
  • 刘冬‧唐魁玉, 「“同人女”群體中的虚拟生活行为析论」, 『牡丹江大学学报』, 第11期, 牧丹江: 牧丹江大学, 2012.
  • 全貞花 李盛楠, 「K-POP受欢迎的因素对韩国国家形象的影响研究」, 『廣告大观(理论 版)』, 第2期, 南京: 江蘇廣播電視總臺, 2016.
  • 倪林峰, 『自明星运营实战:網红经济经典案例+营销方法+打造技巧』, 廣州: 廣东经济出 版社, 2016.
  • 侯敏‧邹煜, 『2014汉语新词语』, 北京: 商务印书馆, 2015.
  • 余瓊, 「从剧文本和传播过程看韩剧迷文化的成功—以《来自星星的你》为例」, 『今传 媒』, 第8期, 西安: 陝西人民出版社, 2015.
  • 余瑞, 「新媒體时代下电视文艺功能的转变與发展」, 『新闻研究导刊』, 第4期, 重慶: 重庆日报报业集团, 2016.
  • 何强, 『中国網络文学出版研究』, 福州: 海峡文艺出版社, 2013.
  • 上海市哲学社会科学规劃办公室‧上海社会科学院信息研究所, 『国外社会科学前沿: 2016第20辑』,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2017.
  • 『해외 언론의 한류보도 분석 연구』
    유세경 윤현선 정수영 홍석경 서울: 한국언론 진흥재단 [2012]
  • 『한류의 확대를 위한 중국의 한류드라마에 관한 연구』
    董棟 부산: 동명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10]
  • 『한류의 중국시장 진출 방안에 관한 연구』
    최등비 서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한류의 중국 진출역사와 현황 및 중국에서의 한류 발전전망』
    린민 서울: 단국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한류의 경제적 효과: 중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중정정 서울: 동국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5]
  • 『한류에 대한 중국 언론의 보도태도분석: <인민일보>, <중국청년보>, <신민 만보>를 중심으로』
    孫悅 전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한류에 대한 언론 및 인터넷 담론 : 티파니 욱일기 논란과 쯔위 대만기 논란 사례분석』
    황벽인 서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한류스타 관광기념품의 선택속성과 스타 팬덤의 동일시 욕구가 구 매만족과 구매 후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DING JINGYI 서울: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한류문화의 활성화를 통한 문화산업 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 중국 내 한 류를 중심으로』
    윤상일 서울: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한류를 통한 한국문화콘텐츠의 중국 진출방안에 관한 연구 : 중국내 한류 드라마를 중심으로』
    나상수 수원: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한류가 중국 음악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EXO 중국 멤버의 탈퇴, 그 후 중국 귀국 및 성장 과정을 중심으로』
    이준의 서울: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한류가 대 중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
    주이남 부산: 동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한류 현상과 담론에 관한 연구: 중국의 한류를 중심으로』
    길현진 인천: 인천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한류 포에버: 중국 대만편』
    심정창 옹가상 장우성 한은경 서울: 한국문화산업교 류재단 [2010]
  • 『한눈에 알아보는 중국의 문화산업 시장』
    류재기 고양: 도서출판 대가 [2014]
  • 『한국 문화상품의 국제경쟁력에 관한 연구: 중국에서의 한류소비의 양태를 중심으로』
    韓朋 전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한국 드라마 시청이 중국 시청자의 자아인식에 미치는 영향: 물질주의 성 향, 이상적 애정관, 문화적 이질감을 중심으로』
    Lin Jie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
  •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선호도가 여행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의 한류 현상을 중심으로』
    이재덕 서울: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한국 대중문화 수용에 따른 중국 청소년의 문화 정체성 변화: 재한 중국 유 학생의 슈퍼주니어 팬덤 분석을 중심으로』
    도영 서울: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한 중 케이팝(K-pop) 소셜 네트워크 팬덤 연구―엑소 (EXO)의 한국 트위 터(Twitter)와 중국 웨이보(Weibo)의 팬덤 비교를 중심으로』
    류핀로 서울: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한 중 연예매니지먼트 산업의 비교분석: 연예인 관리 방식을 중심으로』
    이해주 서울: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한 중 FTA 지각 효과와 한류 인식이 중국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실증연구』
    이중엽 서울: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 『팬덤의 심리학적 접근과 문화연구 제언: 여성 팬덤을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윤유경 채지영 21호,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9]
  • 『팬덤문화』
    홍종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콘셉트 커뮤니케이션』
    이현영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중국인의 한류에 대한 인식 유형 연구』
    리웨이치 대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9]
  • 『중국의 한류에 대한 태도 및 전망에 관한 이론적 연구: 드라마 중심으 로』
    喬春嫣 서울: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중국의 한류 현상이 한국 유학의도에 미치는 영향』
    馬瑞峰 전주: 전북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9]
  • 『중국의 한류 예능프로그램과 프로그램 규제정책에 대한 중국 시청자의 태 도』
    왕쉬에 대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중국의 한류 발전추세에 관한 연구』
    석뢰 대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중국의 한류 미디어 콘텐츠 연구』
    손봉 서울: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중국의 한류 드라마와 여성의 문화소비에 대한 연구』
    은정요 서울: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중국영화의 이해』
    한국 중국현대문학학회 파주: 동녘 [2008]
  • 『중국에서 한류아이돌 팬덤현상이 문화소비에 미치는 영향』
    적아여 서울: 중앙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중국에 있어서 소셜미디어 특성이 아이돌 팬덤 및 브랜드파워에 미치는 영향』
    왕효동 서울: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중국신문의 한류보도 연구: 2000년∼2015년의 기사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팽청 서울: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중국시청자들의 한류드라마 시청행위에 대한 연구』
    He Jing Ru 춘천: 한림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1]
  • 『중국대중문화, 그 부침의 역사: 대중문화 담론과 중국지식인의 변주』
    안인환 서 울: 도서출판문사철: [2012]
  • 『중국내 한류의 현황 분석을 통한 성공요인 고찰: 드라마와 공연을 중심으 로』
    공월정 서울: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중국내 한류드라마의 내적 성공요인에 關한 硏究: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 로』
    閻紅 김해: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중국내 한류 드라마 현황 분석』
    대준 군포: 한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중국내 포맷 수출한 한국 예능프로그램의 현황과 한류의 확장에 대한 영 향』
    하정함 서울: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중국내 '반한류' 및 '반한감정'의 형성에 대한 고찰: 중국 언론의 보도와 네 티즌 반응을 중심으로』
    李曼 서울: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중국과 한국의 문화예술 공동제작 활성화 방안연구』
    형몽연 서울: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중국 한류팬(韓飯)의 K-POP 팬덤 형성요인 IPA 분석』
    왕안열 서울: 중앙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9]
  • 『중국 한류의 성과 평가와 지속적 확산을 위한 종합적 정책 방안』
    양갑용 윤경우 이광수 서울: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2010]
  • 『중국 한류 팬덤의 한국 이주와 초국적 활동』
    Peng Jinni 서울: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7]
  • 『중국 팬들의 한국과 중국 아이돌 그룹의 팬덤 구성과 활동 방 식의 비교 연구: 근거이론을 이용한 TFBoys와 BTS 팬포럼 회원 인터뷰 분석』
    캉푸 서울: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중국 언론의 한류 관련 뉴스 프레임 연구: <인민일보>와 <신민만보>의 비교를 중심으로』
    형력방 서울: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중국 언론의 "한류" 보도에 나타난 프레임 비교분석: <人民日報>, <環球 時報>, <南都娛樂周刊>을 중심으로』
    장희문 부산: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중국 언론의 "한류" 관련 보도에 나타난 뉴스 프레임 연구: 중국 주요 일간지 중심으로(2001〜2010)』
    Li Shuo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중국 언론에서의 한국 드라마 보도 프레임 비교연구: 온라인 뉴스기사와 오프라인 뉴스기사의 비교』
    유이거 인천: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중국 아이돌 그룹 TFBOYS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남진영 서울: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중국 시청자들의 한류드라마 선호요인과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관한 연구: 광저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孔彩姬 부산: 동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중국 문화산업 정책연구 보고서(2013-2014)』
    한국콘텐츠진흥원 서울: 진한엠앤 비 [2013]
  • 『중국 문화산업 장르별 정책 리스트(2013-2014)』
    한국콘텐츠진흥원 서울: 진한엠 앤비, [2015]
  • 『중국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공봉진 이강인 파주: 한국학술정보 [2013]
  • 『중국 내 한류문화의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 영화와 드라마를 중심으로』
    담홍월 서울: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중국 내 한류 현황과 확산 전략: K-POP을 중심으로』
    樊沖 진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중국 내 한류 스타의 웹보메트릭스 분석: 중국 팬클럽 웹사이트 대상으로』
    왕정 대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중국 내 한류 드라마 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별에서 온 그대〉를 중심 으로』
    호해봉 서울: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중국 내 K-POP 팬덤의 형성과 변화 연구』
    조연 서울: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4]
  • 『중국 移入過程을 통해 본 한류방안 연구』
    邢譯方 춘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3]
  • 『중국 80후 세대의 한류 수용과 반한류 인식에 관한 연구』
    유선선 서울: 서울여 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중국 10,20대 한류 여성팬들의 팬픽에서 발견되는 환상성 연구: 엑소 팬픽의 사례연구』
    WEI YUN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재한 중국대학생의 한류드라마 모방행위에 관한 분석』
    동유 서울: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몬 [2011]
  • 『인터넷 팬 커뮤니티 권력구조화에 관한 연구: 디시인사이드 ‘주군의 태양’ 갤러리 사례 분석』
    권지현 부산: 동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인도네시아 한류 수용의 변화와 특성: 한류 팬 커뮤니티 ‘한사모’를 중심 으로』
    박지현 서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영화로 읽는 중국』
    한국 중국현대문학학회 파주: 동녘 [2006]
  • 『아이돌』
    이동연 서울: 이매진 [2011]
  • 『아시아 문화연구를 상상하지』
    이동연 서울: 그린비 [2006]
  •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 시대의 한류: 풀하우스, 강남스타일, 그리고 그 이 후』
    홍석경 파주: 한울아카데미 [2013]
  • 『브라질의 케이팝 팬덤에 대한 현장연구』
    정길화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6]
  • 『반한류 정책에 대한 중국 시청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중국 진출 한류 드라마를 중심으로』
    유가언 서울: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미셸 드 세르트, 일상생활의 창조』
    장세룡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 『미국의 한류 드라마 팬덤에 나타난 여성주의 연구 (American Feminism as Seen Through the Lens of Korean Drama Fandom)』
    후크 메릴린 서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문화자본의 시대-한국 문화자본의 형성 원리』
    이동연 서울: 문화과학사 [2010]
  • 『문화부족의 사회: 히피에서 폐인까지』
    이동연 서울: 책세상 [2005]
  • 『대중문화의 겉과 속』
    강준만 서울: 인물과 사상사 [2013]
  • 『국내 반한류 현상에 대한 연구』
    김성자 창원: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中國의 韓流動向硏究: 韓國TV 드라마를 對象으로』
    谷偉濤 목포: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中國對韓流影視內容的喜愛度硏究』
    이상민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6]
  • 『中國古典文學史(上)』
    허세욱 서울: 법문사, :2003 [1986]
  • 「후(後) 장국영 시대 팬덤의 정체성과 사회문화적 함의」
    오유정 『中國學論叢』, 第60輯, 서울: 高麗大學校中國學硏究所 [2018]
  • 「해외한류실태조사)중국 한류 심층분석」
    정유진 『한류 나우』, 제30호, 서 울: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19 [2019]
  • 「해독 패러다임을 넘어 수행 패러다임으로: 팬덤 연구의 현황과 쟁 점」
    김수아 김수정 『한국방송학보』, 제29권 제4호, 서울: 한국방송학회 [2015]
  • 「한류의 경쟁력과 한계 분석: 중국 내 한류의 전파를 중심으로」
    유보전 『한중인 문학연구』, 제43집, 서울: 한중인문학회 [2014]
  • 「한류를 통한 중국네티즌들의 한국무용에 대한 인식연구」
    김옥순 『무용예술학 연구』, 제27집, 서울: 한국무용예술학회 [2009]
  • 「한류를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한국의 문화산업과 중국의 문화안보」
    이지한 『中國學』, 제65집, 부산: 대한중국학회 [2018]
  • 「한류는 아시아에서 어떤 상태일까?」
    김도훈 『스포츠서울』, 년 7월 21일 [2009]
  • 「한류는 과연 지속될 것인가: 한 중 대중문화 비교」
    신사명 『(계간)예술문화비 평』, 제12호, 광주: 한국예술문화비평가협회 [2014]
  • 「한류 팬덤이 한국제품 구매의도, 만족도 및 한국방문 의도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중국 소비자를 중심으로」
    김명숙 션지아 서울: 현대중국학회, 『現代中國硏究』, 제20집 제1 호 [2018]
  • 「한류 콘텐츠 중국 진출 현황」
    온기홍 『Content + future』, 통권6호, 서울: 방 송콘텐츠진흥재단 [2011]
  • 「한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연구참여자 내용 분석을 중심으 로」
    송정은 윤나래 서울: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문화콘텐츠연구』, 제10호 [2017]
  • 「한류 수용의 로컬 콘텍스트와 글로벌 팬덤의 특성―코리안 커넥션 사례 분석」
    손승혜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10권 제1호, 서울: SBS문화재단 [2012]
  • 「한류 문화산업에 대한 비판적 제언과 전망: 한류 및 중국문화 관 련 문헌의 메타분석과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류웅재 박성순 『우리춤 연구』, 제15집, 서울: 우리춤연구소 [2011]
  • 「한국의 국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에 관한 연 구 :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文春英 허진 광주: 한국지역 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제18권 제4호 [2018]
  • 「한국 프로그램 시청 중국 현지인의 한류에 대한 인식 연구」
    리웨이치 정정주 안성: 한국주관성연구학회, 『주관성 연구』, 제43호 [2018]
  • 「한국 온라인 팬픽의 인물 형상화 방식」
    한혜원 『한국방송학보』, 제27권 4호, 서울: 한국방송학회 [2013]
  • 「한국 수용자의 중국드라마 팬덤 형성과 브로맨스 코드」
    김수아 김수정 『젠더 와 문화』, 제11권 제2호, 대구: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8]
  • 「한국 드라마의 성공 요인과 중국의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 향」
    양혜란 천세학 황순학 천안: 한국문화산업학회, 『문화산업연구』, 제16권 제3호(통권34호) [2016]
  • 「필리핀 K-Pop 팬덤이 K-Pop의 현지화에 미치는 영향―PKCI의 사례를 중심으로」
    송정은 장원호 서울: 한 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9권 제3호 [2015]
  • 「프랑스의 한국 아이돌 문화 여성팬덤과 성 담론에 대한 연구」
    홍석경 『한국언 론학보』, 제56권 제1호, 서울: 한국언론학회 [2012]
  • 「팬픽의 생산과 소비를 통해 본 소녀들의 성 환타지와 정치적 함 의」
    김민정 김훈순 『한국언론학보』, 48권 3호, 서울: 한국언론학회 [2004]
  • 「팬픽션의 생성적 의미 고찰」
    김유나 『인문콘텐츠』, 제44호, 서울: 인문콘텐츠 학회 [2017]
  • 「팬덤의 기호와 문화정치」
    이동연 『진보평론』, 제8호, 서울: 진보평론 [2001]
  • 「팬덤과 페미니즘의 조우: 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팬덤 연구의 성과와 쟁 점」
    김수정 『언론정보연구』, 55권 3호, 서울: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 「팬덤 진화 그리고 그 정치성-서태지 팬클럽 분석을 중심으로」
    김현정 원용진 『한국언론학보』, 제46-2호, 서울: 한국언론학회 [2002]
  • 「팬덤 문화의 생산과 수용방식에 대한 연구: 팬 픽션과 팬 일러스 트레이션 중심으로」
    김대현 임재민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년 3월, 부천: 한국만화애니 메이션학회, 2016 [2016]
  • 「팬과 소통하는 영상작품의 사례 연구: 컨벤션(convention)을 적극 적으로 이용하는 TV 시리즈 <수퍼내추럴(Supernatural)>」
    남명희 유은순 『한국디지털콘텐츠 학회 논문지』, 제16권 제1호, 서울: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5]
  • 「콘텐츠를 활용한 중국어교육 연구」
    박은혜 박정원 이현진 장은영 정연실 서울: 한국중국언어학회, 『중국 언어연구』, 제82집 [2019]
  • 「케이팝(K-pop)의 한국 팬덤에 대한 연구―해외 팬들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베르비기에 마티유 조영한 서울: 한국언론정보학 회,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81호 [2017]
  • 「청년문화, 혹은 소수문화론적 연구에 대하여」
    고길섶 『문화과학』, 20호, 서울: 문화과학사 [1999]
  • 「중국인이 지각하는 한류의 K-POP 속성이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서철현 양진연 『大韓經營學會誌』, 제25권 제4호(통권93호), 서울: 大韓經營學會 [2012]
  • 「중국이 선택한 별, 박서준, 중국에서도 통한다 한류배우 1위의 클라스」
    장윤정 『아주경제』, 년 8월 8일 [2018]
  • 「중국의 한류발전과정 및 문제점」
    喬春嫣 서울: 한양 대학교 중국문제연구소, 『韓中靑年論叢』, 창간호 [2011]
  • 「중국의 한류 수용양상: 선택적 수용, 저항 그리고 변용 및 주변화」
    尹炅雨 서울: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中 蘇硏究』, 제32권 제4호(통권120호) [2009]
  • 「중국의 한국드라마 연구와 수용: ‘별에서 온 그대’ 관련 중 국학술논문 내용분석」
    강필임 손승혜 이귀옥 『中國學報』, 제74집, 서울: 韓國中國學會 [2015]
  • 「중국의 학술문헌을 통해 본 중국한류 15년: 한류 관련 학 술문헌 키워드의 언어네트워크분석」
    강필임 손승혜 이귀옥 『미디어, 젠더&문화』, 제31권 제1호, 서 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 「중국의 시선에서 '한류(韓流)'를 논하다」
    김은희 『담론201』, 제15권 제4호(통 권48호), 서울: 한국사회역사학회 [2012]
  • 「중국의 문화굴기(文化崛起)와 한국 문화산업: 한류는 차이나 머니의 파고 (波高)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
    심두보 『인문사회 21』, 제7권 제4호, 광주: 아시아문 화학술원 [2016]
  • 「중국의 동성애 문화와『品花寶鑑』」
    한종완 『중국인문과학』, 제33호, 서울: 중 국인문학회 [2006]
  • 「중국의 ‘한드’ 팬덤과 초국적 드라마 수용―<해를 품은 달>의 중국 온라 인 팬덤 분석」
    이경숙 『미디어, 젠더 & 문화』, 제23호, 서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 학회 [2012]
  • 「중국에서의 한류와 반한류: 문화접변에서 혼종화로」
    김익기 장원호 『지역사회 학』, 제14권 제2호(통권25호), 서울: 지역사회학회 [2013]
  • 「중국에서의 한류」
    신일 부산: 부산대학교 중국연구 소, 『China 연구』, 제14집 [2013]
  • 「중국에서 보는 한류: 한국드라마를 중심으로」
    안영란 『공연예술저널』, 제17호, 익산: 한국공연예술연구소 [2010]
  • 「중국시장 新한류: 소비자혁신성과 뉴미디어를 통한 한국드 라마 수용을 중심으로」
    김지영 김해룡 사패란 서울: 한국고객만 족경영학회, 『고객만족경영연구』, 제18권 제4호 [2016]
  • 「중국문화권에서의 한류」
    김익기 『大陸戰略』, 제12호, 서울: 大陸戰略硏究所 [2014]
  • 「중국내 한류의 유형별 문화 후광효과에 관한 실증적 접근」
    양뤼 윤성준 한희은 『문화산업연구』, 제13권 제1호(통권28호), 천안: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 「중국내 한국 TV 프로그램 소비에 대한 이론적 배경 연 구: 국제성, 근접성, 현대성을 중심으로」
    Qijun He Sojung Kim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 호(하), 대전: 한국콘텐츠학회 [2016]
  • 「중국과 일본의 한류드라마 수용관점 비교연구」
    박영환 『아시아 아메리카 연 구』, 제10집 2호, 서울: 단국대학교 아시아 아메리카 문제연구소 [2010]
  • 「중국: 중국 ‘한류’ 현상과 활용방안」
    남종호 『국제지역정보』, 통권168호,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0]
  • 「중국 한팬(韩饭)의 K-POP 팬덤 형성요인 IPA 분석」
    권병웅 왕안열 『예술경 영연구』, 제49집, 서울: 한국예술경영학회 [2019]
  • 「중국 한류 예능프로그램의 발전역사에 관한 연구 : 2000년대 이후 의 성과를 중심으로」
    김연식 왕쉬에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제10권 2호, 대구: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 「중국 일간지의 “한류” 보도에 나타난 프레임 분석: 2001 〜 2010년 기간에 보도된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유세경 이석 정지인 서울: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57호 [2012]
  • 「중국 언론의 한류(韓流)에 대한 시각과 대응에 관한 고찰」
    강진석 『中國學硏 究』제75집, 서울: 中國學硏究會 [2016]
  • 「중국 시장 내 예능 프로그램 진출 전략: 예능한류, 중국진출 시사점과 과 제 : 한류 장르 집중 탐구」
    서병기 『한류 now 분기별 한류 심층 보고서』, 제6호, 서 울: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013]
  • 「중국 소비자의 크라우드 펀딩 참여에 있어 지각된 위험, 지각된 이익, 한 류문화콘텐츠의 영향에 관한 연구」
    이한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상), 대전: 한국콘텐츠학회 [2016]
  • 「중국 소비자의 자기일치성과 대중문화 관여도가 한류콘텐 츠 평가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전표 박세정 최지연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 2호, 천안: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6]
  • 「중국 문화국족주의와《紅河谷》」
    조영현 『중국문학연구』, 제46집, 서울: 한국 중문학회 [2012]
  • 「중국 문화 방송 정책 본질 알아야 한류 재현 가능: 중국 한한령 해제 분 위기와 한국 방송의 전략」
    박건식 『신문과 방송』, 통권564호, 서울: 한국언론진흥재 단 [2017]
  • 「중국 대학생들의 한류 콘텐츠 이용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모델과 플로우 이론을 중심으로」
    연보영 이문광 『동서울대학교논문집』, 제39집 제1권, 성남: 동서울 대학교 [2017]
  • 「중국 내 한류콘텐츠의 빛과 그림자-<태양의 후예>를 통해 본 한류 영상 콘텐츠의 중국 진출 모델」
    임대근 『성균차이나브리프』, 제4권 제3호(통권40호), 서울: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성균중국연구소 [2016]
  • 「중국 내 한류 저작권 침해 및 대응방안」
    안성섭 『해외 저작권 보호 동향』, 제 23호(Winter , 서울: 한국저작권단체연합회 저작권보호센터, 2016 [2015]
  • 「중국 내 한류 문화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전략에 관한 연 구」
    강재식 김형재 윤상일 『유라시아연구』, 제8권 제4호(통권23호), 포천: 아시아 유럽미래학회 [2011]
  • 「중국 韓流 연예인 MOU 등이 '작전'의 주요 재료 : 株式영화에 등장하는 '작전'의 실체 : 영화로 본 세상」
    이정현 『月刊朝鮮』, 통권 제471호, 서울: 조선뉴스 프레스 [2019]
  • 「중국 現대중문화의 역사적 의의 및 중국 대중문화로서 지속가능한 韓流 의 모색」
    안인환 『儒學硏究』, 제30집, 대전: 忠南大學校儒學硏究所 [2014]
  • 「일본 드라마 수용자의 인터넷 활용과 문화적 실천」
    윤경원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4호, 서울: 한국방송학회 [2007]
  • 「인터넷 팬덤 문화의 생산과 공유에 대한 연구: 외국영상문 ‘팬 자막’ 제작자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강연곤 강진숙 김민철 『한국방송학보』, 26권 1호, 서울: 한국방송학회 [2012]
  • 「인터넷 팬 커뮤니티에서 갈등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권지현 『지역과 커뮤니 케이션』, 22권 2호, 부산: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8]
  • 「용어 한류(韓流)의 유래」
    임대근 홍유선 광주: 아시 아문화학술원, 『인문사회21』, 제9권 6호 [2018]
  • 「용어 한류(韓流)의 기원」
    임대근 홍유선 광주: 아시 아문화학술원, 『인문사회21』, 제9권 5호 [2018]
  • 「온라인 팬픽에 나타난 스토리 리텔링 연구」
    한혜원 『인문콘텐츠』, 제27호, 서 울: 인문콘텐츠학회 [2012]
  • 「아시아 대중문화 지형과 한국의 대만 드라마 수용의 맥락」
    민인철 심두보 『아 세아연구』, 제54권 2호, 서울: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1]
  • 「스타를 관리하는 팬덤, 팬덤을 관리하는 산업-‘2세대’ 아이돌 팬덤 의 문화실천의 특징 및 함의」
    이나영 정민우 서울: 한국여 성커뮤니케이션학회,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2호 [2009]
  • 「소녀들의 야동, 야오이」
    김성윤 『한겨레21』, 년 11월 3일 [2011]
  • 「사전제작 드라마의 성과와 장르 다양성」
    노동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8권 제7호, 대전: 한국콘텐츠학회 [2018]
  • 「사드 배치 발표 이후 중국 내 한류의 현황과 과제」
    김택규 『성균차이나브리 프』, 제5권 제3호(통권44호), 서울: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성균중국연구 소 [2017]
  • 「빠순이, 오빠부대, 문화운동가?―서태지 팬덤 이야기」
    김이승현 박정애 『여성과 사회』, 제13권, 서울: 한국여성연구소 [2001]
  • 「브라질의 케이팝 수용에 관한 연구」
    정길화 『이베로아메리카』, 제17권 제1호, 부산: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 [2015]
  • 「반(反)한류 정책이 중국 내 한류에 미치는 영향: 한국 TV드라마를 중심으 로」
    황낙건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청주: 한국엔터테인먼 트 산업학회 [2018]
  • 「미국 드라마 수용의 즐거움과 온라인 팬덤―한국의 <프리즌 브레이크> 팬카페 분석을 중심으로」
    이종수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3호, 서울: 한국방송학회 [2008]
  • 「문화산업, 내셔널리즘, 문화공공성―21세기 중국의 문화 경제와 문화민주 화 문제」
    백원담 『마르크스주의 연구』, 제6권 제3호, 창원: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 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09]
  • 「리안(李安)영화와 ‘여성’ 재현의 정치」
    신동순 『비교문화연구』, 제51집, 수원: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 「디지털 시대의 인문학을 다시 생각한다: 인문콘텐츠에서 지식콘텐 츠까지」
    김민형 임영상 『인문콘텐츠』, 제41호, 서울: 인문콘텐츠학회 [2016]
  • 「디시인사이드 ‘주군의 태양’ 갤러리 구성원 유형화를 통한 인터넷 팬 커뮤니티 권력관계 특성연구」
    권지현 김명혜 『언론학 연구』, 제18권 제3호, 서울: 한국지 역언론학회 [2014]
  • 「동아시아 문화정체성의 형성과 텔레비전의 소비―배용준의 일본 팬 커뮤 니티 가족 담론을 중심으로」
    양은경 『한국방송학보』, 제20권 제3호, 서울: 한국방송 학회 [2006]
  • 「그녀들만의 음지문화, 아이돌 팬픽」
    김남옥 석승혜 『Journal of Korean Cultur e』, 37호, 서울: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7]
  • 「才子佳人小說에 보이는 佳人의 刑象小考」
    정동보 『중국인문과학』, 제31호, 서울: 중국인문학회 [2005]
  • 「中출판계의 ‘한류’는 아동도서와 웹툰」
    장진원 『중국』, 제134호, 서울: 아주뉴 스 코퍼레이션‧인민화보사 [2019]
  • 「中華圈大衆文化의 한 面貌, 韓國에서의 “주걸륜(周傑倫)” 읽기」
    김정은 정보영 『한중언어문화연구』, 제22집, 서울: 한국현대중국연구회 [2010]
  • 「“韩流”对當代中国的影响及启示」
    马晓辉 대전: 韓國中國 文化學會, 『中國學論叢』, 제37집 [2012]
  • 「‘중국몽(中國夢)’ 실현을 위한 디딤돌, ‘한류(韓流)’」
    윤 경우 서울: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성균중국연구 소, 『성균차이나브리 프』, 제4권 제3호(통권40호) [2016]
  • 「‘신한류’드라마 <미남이시네요>의 수용 및 소비 방식은 한류 드라마와 어 떻게 다른가?―일본의 인터넷 게시판 분석 및 FGI를 중심으로」
    정수영 『한국언론정 보학보』, 제85호, 서울: 한국언론정보학회 [2017]
  • 「‘별그대’ 광풍 부는 중국 한류의 현장」
    정혁훈 『관훈저널』, 제55권 제2호(통권 제131호), 서울: 관훈클럽 [2014]
  • 「2000년대 韓 中出版著作權交流硏究」
    박몽구 『出版雜誌硏究出版文化學會 報』, 제18권 제1호, 서울: 出版文化學會, [2010]
  • ‧궈웨이‧정정주, 「‘별에서 온 그대’ 시청 중국 유학생의 한류 인식 연구」, 『주관성 연구』, 제29호
    정걸진 안성: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4]
  • “Virtualizing the ‘Korean Wave’: transnationalizing fandom, governance and resistance in Daejangguem”
    Leung Yuk Ming, Lisa 서울: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회 연구보고 서 및 기타간행물』 [2005]
  • “The Cultural Eoconomy of Fandom”, The Adoring Audience-Fan Culture and Popular Media, Lewis, Lisa A. (ed.),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 박명진 외 편역(1996), 『문화, 일상, 대중―문화에 관한 8개의 탐 구』
    Fiske, John 서울: 한나래, [1992]
  • “Subculture, Cultures and Class”, Resistance through Rituals: youth subculture in post-war Britain, London: Hutchinson, ; 박명진 외 편역(1996), 『문화, 일상, 대중―문화 에 관한 8개의 탐구』
  • “Korea vs. K-dramaland: The culturalization of K-dramas by international fans”
    Schulze, M. Acta Koreana, 16(2), 대구: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3]
  • “Hallyu in Mexico and the role of Korean pop idols’ fan clubs”
    Rocha, N. L. 『외국학연구』24호, 서울: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13]
  • “Hallyu across the desert: K-pop fandom in Israel and Palestine”
    Lyan, I. Otmazgin, N. Cross-Currents: East Asian History and Culture Review, 9,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 “Encoding/decoding”, Culture, Media, Language: Working Papers in Cultural Studies, 1972〜1979, London: Hutchinson/CCCS, 1980 ; 임영호 옮김, 『문화, 이데올로기, 정체성: 스튜어트 홀 선집』
    Hall, Stuart 서울: 컬처룩, 2015:2018
  • ‘자기 영역에서 놀기(圈地自萌)’ 촉구 게시물, https://m.weibo.cn/1769603841/4273449365188136
  • ‘자기 영역에서 놀기(圈地自萌)’ 검색, http://www.baike.com/wiki/%E5%9C%88% E5%9C%B0%E8%87%AA%E8%90%8C&prd=button_doc_entry
  • ‘써방’ 요구 글,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604&docId= 332498989&qb=7I2o67Cp&enc=utf8&section=kin&rank=5&search_sort=0&spq=0
  • ‘국뷔’ 온리전, https://blog.naver.com/love5_ehfq/221497399670
    [2149]
  • ‘국뷔’ 온리전 후기,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ove5_ehfq&logNo=221497399670
    [2149]
  • ‘국뷔’ 온리전 협력진 모집 글,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clee1966&logNo=221242573105
    [1966]
  • b잔 영상 등록 알림 게시물, https://m.weibo.cn/5517025523/4192007091406006
    [1920]
  • b잔 동영상 정보 알림글, https://m.weibo.cn/2376516071/4355529960668470
  • Understanding Fandom :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Media
  • Transatlantic connection : K-pop and K-drama fandom in Spain and Latin America
    3 ( 1 ) , U.S.K . Bristol : Intellect [2015]
  • Textual Poachers : Television Fans and Participatory Culture
    [1992]
  • Stuart Hall,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 손유경 옮 김(2006),『지금 스튜어트 홀』
    Procter, James 서울: 앨피, [2004]
  • SimplifiedChinese Text Processing ) 0.12.3
  • Reading the Popular(2nd ed.),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 박만준 옮김(2016), 『대중과 대중문화』
    Fiske, John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 ROLAND, 「CP占领娱乐圈,就要看你谈!恋!爱!」, 『意林』, 第7期, 北京: 长春 市文学艺术界联合会, 2016.
  • Network Culture : Politics for the Information Age
    [2004]
  • K-pop , Indonesian Fandom , and Social Media.
    no . 8 [2011]
  • K-Pop in Latin America : Transcultural fandom and digital mediation
    [2017]
  • K-Pop fans react : Hybridity and the white celebrity-fan on YouTube
    [2017]
  • Jump in the Pool ’ : The Competitive Culture of Survivor Fan Networks ” , Understanding Reality Television
    [2004]
  • Hills, Matt, Fan Culture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02.
    [2002]
  • Fans, Bloggers and Gamers, New York and London: New York University Press, ; 정현진 옮김(2008), 『팬, 블로거, 게이머』
    Jenkins, Henry , 서울: 비즈앤비즈, [2006]
  • Fandom : Identities and Communities in a Mediated World
    [2007]
  • Fan Culture, London: Bloomsbury Publishing Inc., ; 김수정 곽현자 김수 아 박지영 옮김(2016), 『팬덤 이해하기』
    서울: 한울아카데미, [2013]
  • Cultural translation of K-Pop among Asian Canadian fans
    [2017]
  • Convergence culture: Where old and new media collide, New York and London: New York University Press, ; 김정희원 김동신 옮김(2008), 『컨버전스 컬처』
    Jenkins, Henry , 서울: 비즈앤비즈, [2006]
  • CP팬 검색, 이*, 「cp팬 포기 선언한 이유가 그거예요」, https://blog.naver.com/jiannap/220874976209
    [2087]
  • CP팬 검색, 옥**, 「의천도룡기 2019 양소×멸절사태 팬비드-이게 무슨 사약이야? !」, https://mars7910.blog.me/221487617130
    [2019]
  • CP팬 검색, 백**, 「[공지는 아니고....] I’m Fine 잠시 쉽니다/더불어 신세한탄」, https://blog.naver.com/jay51/221510978974
    [2151]
  • CP팬 검색, 바*****, 「[CP팬] 주섬주섬 대충대충 써본다」, https://pi126.blog.me/220717002220
    [2071]
  • CP팬 검색, 「di CP팬 불량」, https://cafe.naver.com/rltn3929/6945
  • CP 카테고리 삭제에 대한 시피펀의 반응, https://m.weibo.cn/3547435242/4355839508563304
  • CP 카테고리 삭제 이유, Y**, https://m.weibo.cn/5897659114/4399813359456024
  • CP 카테고리 삭제 알림 게시물과 댓글, https://m.weibo.cn/6274465503/4354501378738420
  • CP 카테고리 삭제 문의 결과, 一**, https://m.weibo.cn/6525748202/4399796754409664
  • <쌈, 마이웨이> 주연커플 웨이보 실검 등장 정보,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rama_new1&no=2864484
  • <쌈, 마이웨이> 드라마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8C%88_%EB %A7%88%EC%9D%B4%EC%B%A8%9EC%9D%B4
  • <쌈, 마이웨이> 공식 홈페이지, http://program.kbs.co.kr/2tv/drama/ssam/p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