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高敞 鳳德里古墳群 築造勢力 硏究

이문형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이문형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Power Group who Constructed the Ancient Tombs in Bongdeok-ri, Gochang
    • 형태사항 205p;: 26cm
    • 일반주기 참고문헌 :184-195 p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2020. 2, 사학과,,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DDC 22, 951
    • 발행지 공주:
    • 언어 kor
    • 출판년 2020
    • 발행사항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주제어 고창,분구묘,봉덕리
    유사주제 논문( 228)
' 高敞 鳳德里古墳群 築造勢力 硏究'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역사
  • 고창,분구묘,봉덕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4 0

0.0%

' 高敞 鳳德里古墳群 築造勢力 硏究' 의 참고문헌

  • 횡혈식 묘제의 연원과 전개 先史와 古代 30
    이남석 韓國古代學會 [2009]
  • 호남문화재연구원
    『全州 馬田遺蹟(Ⅳ) [2008]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역주 삼국사기』4
    주석편(하) [1997]
  •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회-개정신판-』
    사회평론 [2010]
  • 토지주택박물관, ,『개발과 문화재 보존』
    LH사업지구 문화재조사성과도록 [2018]
  • 중앙문화재연구원, ,『마한 고고학개론』
    진인진 [2018]
  • 중부지역에서 백제와 고구려 석실묘의 확산과 그 의미- 횡혈식석실분의 수용과 고구려 사회의 변화
    성정용 동북아역사문화재단 [2009]
  • 서울 江南地域 石室墳의 性格 -신라 지방석실분의 연구 , 崇實史學 10
    최병현 崇實大學校史學會 [1997]
  • 백제의 횡혈식석실분 수용양상에 대하여 韓國古代史硏究 16
    이남석 韓國 古代史學會 [1999]
  • 백제 한성시대 고분연구
    임영진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 백제 초기 횡혈식석실분과 그 연원 先史와 古代 3
    이남석 韓國古代學會 [1992]
  • 묘제의 변천으로 본 한성기 백제의 지방편제과정
    박순발 韓國古代史硏究 [2007]
  • 百濟 橫穴式石室墳의 展開過程에 대하여
    강현숙 『韓國考古學報』第34輯, 韓 國考古學會 [1996]
  • 漢江下流におげる百濟橫穴式石室墳
    윤 환 古文化論叢 20-中 [1989]
  • 漢城時期 百濟 횡혈식석실분의 수용 , ?百濟硏究?, 제40집
    김기범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004]
  • 漢城時代 百濟의 古代文化
    이남석 서경문화사 [2013]
  • 漢城地域 百濟 橫穴式石室墓 硏究 -서울 방이동?가락동 석실묘를 중 심으로- , 백제학보10
    이현숙 백제학회 [2013]
  • 東京堂出版, 1989,『日本古墳大辭典』.
  • 大阪府敎育委員會, 1990,『陶邑·大庭寺遺蹟』Ⅱ.
  • 大阪府敎育委員會, 1989,『陶邑·大庭寺遺蹟』.
  • 『호남지역 청동기시대 취락 연구』
    김규정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호남 서해안지역 3∼5세기 분구묘 연구』
    조규택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5]
  • 『해남 용일리 용운고분-장성 만무리고분 출토유물』
    국립광주박물관 [2004]
  • 『해남 만의총 3호분』
    국립광주박물관 [2009]
  • 『해남 만의총 1호분』
    동신대학교박물관 [2014]
  • 『합천 봉계리고분군』
    동아대학교박물관 [1986]
  • 『함평 예덕리 만가촌고분군』
    전남대학교박물관 [2004]
  • 『함평 금산리 방대형고분』
    전남문화재연구소 [2015]
  • 『한반도 산맥체계 재정립연구-산줄기 분석을 중심으로』
    김영표 국토연구 원 2004-34 [2004]
  • 『한국의 칼』
    국립대구박물관 [2007]
  • 『한국고대의 금속공예』
    이난영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0]
  • 『한국고고학전문사전-고분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 『한국고고학전문사전-고분유물편-』
    국립문화연구소 [2015]
  • 『청주 신봉동고분군』
    충북대학교박물관 [1990]
  • 『청주 신봉동고분군』
    충북대학교박물관 [1995]
  • 『청원 갈산리 유적』
    한겨례문화재연구원 [2016]
  • 『중국과 백제 출토 육조청자의 비교검토』
    이휘달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 『중국고대토기전』
    세계도자기엑스포조직위원회 [2001]
  • 『중국 동진 청자 연구-4세기 백제지역 출토품과 관련하여』
    이정인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정지산』
    국립공주박물관 [1999]
  • 『정읍 은선리고분군』
    원광대학교 마한 백재문화연구소 [2018]
  • 『정읍 영원면 문화유적지표조사 보고서』
    전북문화재연구원 [2005]
  • 『정읍 신정동유적』
    원광대학교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2005]
  • 『정읍 관청리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4]
  • 『전주 안심 암멀유적』
    전주문화유산연구원 [2014]
  • 『장신구 사여체제로 본 백제의 지방지배』
    이한상 서경문화사 [2009]
  • 『일본의 고훈문화』
    국립경주박물관 [2015]
  • 『익산 입점리고분』
    문화재연구소 [1989]
  • 『익산 율촌리 분구묘』
    이영덕 최완규 원광대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2002]
  • 『익산 서두리2 보삼리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13]
  • 『익산 모현동 Ⅱ가 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11]
  • 『익산 모현동 3가유적 1 2』
    호남문화재연구원 [2011]
  • 『익산 간촌리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2]
  • 『용원리유적 C지구 발굴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박물관 [2001]
  • 『용원리 고분군』
    공주대학교박물관 [2000]
  • 『완주 수계리유적 Ⅰ Ⅱ』
    전주문화유산연구원 [2018]
  • 『오산 수청동 백제 분묘군』
    경기문화재단 [2012]
  • 『영원면 은선리 백제고분군-정밀지표조사보고서』
    전라문화유산연구원 [2013]
  • 『영산강유역 고분의 축조 연구』
    한옥민 진인진 [2018]
  • 『영산강유역 고분의 분형과 축조과정 연구』
    한옥민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6]
  • 『영산강유역 고분 연구』
    김낙중 [2009]
  • 『영산강 유역 고분 토기 연구』
    서현주 학연문화사 [2006]
  • 『영광 마전 군동 원동 수동유적』
    조선대학교박물관 [2003]
  • 『연기 송담리 송원리유적』
    한국고고환경연구소 [2010]
  • 『엣센스 국어사전』
  • 『신라후기 고분문화 연구』
    홍보식 춘추각 [2003]
  • 『서해안 고속도로(군산-고창)건설구간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고창예지리 우평리』
    전주대학교박물관 [2002]
  • 『서천 옥북리유적』
    충청문화재연구원 [2007]
  • 『삼국시대 장식대도 문화연구』
    이한상 서경문화사 [2016]
  • 『삼국시대 분구묘 연구』
    강인구 영남대학교출판부 [1984]
  • 『분강 저석리 고분군』
    공주대학교박물관 [1997]
  • 『부안 죽막동 제사유적』
    국립전주박물관 [1994]
  • 『법천리Ⅰ』
    국립중앙박물관 [2000]
  • 『백제토기 탐구』
    박순발 주류성 [2006]
  • 『백제 중방문화와 고사부리성에서 찾다』
    전북문화재연구원 [2011]
  • 『백제 웅진기 영역과 지방통치』
    한성백제박물관 [2018]
  • 『백제 궁륭형 석실의 구조와 변천』
    박신영 [2015]
  • 『백제 武王』
    국립부여박물관 [2011]
  • 『무령왕릉』
    권오영 돌베개 [2005]
  • 『담양 성산리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4]
  • 『담양 서옥고분군』
    호남문화재연구원 [2007]
  • 『남원 유곡리 및 두락리 32호분』
    전북대학교박물관 [2015]
  • 『나주 장등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7]
  • 『나주 복암리 3호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 『나주 덕산리 고분군』
    전남대학교박물관 [2002]
  • 『나주 가흥리 신흥고분Ⅱ』
    대한문화재연구원 [2018]
  • 『군장 산업단지 진입도로(대전-군산) 공사구 간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원광대학교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2005]
  • 『군산 축동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6]
  • 『군산 조촌동 고분군』
    군산대학교박물관 [1996]
  • 『군산 산월리 유적』
    군산대학교박물관 [2004]
  • 『군산 당북리 신관동유적』
    중앙문화재연구원 [2018]
  • 『군산 당북리 신관동』
    군산대학교박물관 [2002]
  • 『국립나주박물관 도록』
    국립나주박물관 [2013]
  • 『광주 하남동유적Ⅰ』
    호남문화재연구원 [2008]
  • 『광주 하남동유적 Ⅰ』
    호남문화재연구원 [2004]
  • 『광주 동림동유적 Ⅳ』
    호남문화재연구원 [2004]
  • 『관창리 주구묘』
    윤세영 이홍종 고려대학교 매장문화연구소 [1997]
  • 『공주 수촌리유적』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
  • 『공주 수촌리고분군Ⅰ』
    충남역사문화연구원 [2013]
  •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전남대학교박물관 [2015]
  • 『고창지석묘상석채굴지지표조사보고서』
    전주대학교박물관 [1999]
  • 『고창의 분구묘-분포 및 측량조사 보고서』
    원광대학교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2000]
  • 『고창, 죽림리 재해 고인돌 발굴조사보고서』
    원광대학교박물관 [2009]
  • 『고창 칠암리고분』
    대한문화재연구원 [2017]
  • 『고창 중월리 문화유적조사보고서』
    원광대학교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1984]
  • 『고창 자룡리 석남리유적』
    전주문화유산연구원 [2013]
  • 『고창 예지리고분』
    호남문화재연구원 [2005]
  • 『고창 암치리 지석묘 발굴 및 지표조사 보고서』
    원광대학교박물관 [2001]
  • 『고창 선동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13]
  • 『고창 부용리 지석묘군』
    호남문화재연구원 [2006]
  • 『고창 봉산리 황산유적Ⅰ Ⅱ Ⅲ』
    대한문화재연구원 [2015]
  • 『고창 봉덕유적Ⅱ』
    호남문화재연구원 [2003]
  • 『고창 봉덕유적Ⅰ』
    호남문화재연구원 [2003]
  • 『고창 봉덕리 고분군(3 4호분) 문화재 시굴조 사 약보고서』
    원광대학교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2019]
  • 『고창 만동유적』
    김건수 이영덕 호남문화재연구원 [2004]
  • 『고창 만동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4]
  • 『경주 하구리유적』
    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13]
  • 『가야고분 축조기법Ⅰ』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2]
  • 『高敞의 周溝墓 -신덕리Ⅲ-A,도산리,성남리 ⅢⅣ,광대리 유적-』
    원광대학교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서해안 고속도로(군산-고창)건설구간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Ⅰ [2005]
  • 『高敞의 住居址 Ⅱ-우평리Ⅱ,낙양리,성남리ⅠⅤ-A Ⅴ-B Ⅵ유적-』
    원광대학교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서해안 고속도로(군산-고창)건설구간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Ⅲ [2006]
  • 『高敞의 住居址 Ⅰ-신덕리Ⅰ Ⅱ Ⅲ-B,신송리, 죽림리 지석묘,죽림리,산정리유적』
    원광대학교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서해안 고속도로(군산-고창)건설구간 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Ⅱ [2006]
  • 『高敞郡誌』
    고창군 [1992]
  • 『高敞, 雅山地區 支石墓發掘報告書』
    전영래 全州市立博物館 [1984]
  • 『高敞 鳳德里 1號墳』
    원광대학교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2016]
  • 『高敞 竹林里支石墓群發掘報告書』
    전영래 圓光大學校 馬韓 百濟文化硏究所 [1993]
  • 『高敞 石橋里?五湖里 遺蹟』
    전북문화재연구원 [2009]
  • 『須惠器生産の硏究』 , 學生社
    [1997]
  • 『靑瓷與越窯』
    [1999]
  • 『陶邑·大庭寺遺蹟』Ⅷ
    [1996]
  • 『陶瓷考古文集』 , 紫禁城出版社·兩木出版社
    [1990]
  • 『長江下流地區漢晉五聯罐魂甁考古學綜合硏究』 , 中國四川大學 博士學位 論文
    [2006]
  • 『錦江流域 百濟古墳의 硏究』
    최완규 崇實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997]
  • 『觀音山古墳と 東アジア世界』
    [1999]
  • 『羅州 伏岩里 丁村古墳』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7]
  • 『百濟墓制의 硏究』
    이남석 서경 [2002]
  • 『百濟古墳硏究』
    강인구 一志社 [1977]
  • 『百濟 石室墳 硏究』
    이남석 學硏文化社 [1995]
  • 『熊津泗時代 百濟 橫穴式石室墳의 基礎硏究 』
    吉井水夫 慶北大學校 大學 院碩士學位論文 [1992]
  • 『武王陵-출토유물분석보고서(Ⅱ)』
    국립공주박물관 [2006]
  • 『日本書紀』
  • 『履-고대인의 신-』
    복천박물관 [2010]
  • 『宋書』
  • 『國寶 6- 靑磁 土器Ⅱ』
    최순우 藝耕出版社 [1983]
  • 『全羅北道 文化財誌』
    윤덕향 全羅北道 [1990]
  • 『全南地方 支石墓社會의 硏究』
    이영문 韓國敎員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993]
  • 『伏岩里古墳群』
    전남대학교박물관 [1999]
  • 『中國陶磁史』
    이용욱 [1993]
  • 『中國 六朝의 陶磁』
    국립공주박물관 [2011]
  • 『上雲里 Ⅲ-生活遺蹟 및 墳墓 綜合考察-』
  • 『上雲里 Ⅰ Ⅱ Ⅲ』
    전북대학교박물관 [2010]
  • 『三國時代 橫穴式石室墳의 系譜와 編年硏究 -漢江以南地域을 中心으 로』
    조영현 忠南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990]
  • 『三國史記』
  • 『4, 5세기대 백제의 지역상 연구』
    이현숙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호남지역의 철기시대-연구현황과 과제」
    최성락 『湖南考古學報』11, 湖南考古 學會 [2000]
  • 「함평 금산리 방대형고분(1차) 정밀발굴 약식보고서」
    전남문화재연구소 [2019]
  • 「한성시기 백제 금동식리의 제작기술과 그 특징 -공주 수촌리고분군 출 토품을 중심으로-」
    이현상 『역사와 담론』제59집, 호서사학회 [2011]
  • 「한성기 백제 횡혈식석실묘의 특징과 성격-한강유역의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이문형 『선사와 고대』, 42. 한국고대학회 [2014]
  • 「한반도 중서부지역의 마한 분구묘」
    이택구 『한국고고학보』66, 한국고고학회 [2008]
  • 「한국 분주토기의 기원과 변천」
    임영진 『호남고고학보』, 17집, 호남고고학회 [2003]
  • 「토기를 통해 본 고대 영산강유역 사회와 백제의 관계」
    김낙중 『호남고고학 보』, 제42집, 호남고고학회 [2012]
  • 「충청지역 마한 분구묘의 구조와 출토유물」
    정해준 『한국고고학의 신지평』, 한국고고학회 [2014]
  • 「천안 청당동유적 1단계 조사보고」
    김재홍 함순섭 『청당동Ⅱ』,국립중앙박물관 [1995]
  • 「천안 청당동 제4차 발굴조사보고서」
    한영희 함순섭 『청당동』, 국립중앙박물관 [1993]
  • 「중서부지역 마한계 분묘의 인식과 시공간적 전개과정」
    김승옥 『韓國上古史 學報』71, 韓國上古史學會 [2011]
  • 「중국 육조자기의 백제 도입배경」
    임영진 『한국고고학보』83, 한국고고학회 [2012]
  • 「제작기법을 통해서 본 나주 신촌리 금동관의 계통」
    이진우 『나주 신촌리 금 동관의 재조명』, 국립나주박물관 [2017]
  • 「제작기법과 문양을 통해 본 백제 금동신발의 편년」
    이문형 『중앙고고』제18 집, 중앙문화재연구원 [2015]
  • 「정치적 공간으로서의 한강유역-원삼국∼백제를 중심으로」
    권오영 『정치적 공간으로서의 한강Ⅰ』,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발표요지, 서울경기고고학회 [2009]
  • 「전북지역의 유공광구소호」
    노미선 『유공소호』, 진인진 [2011]
  • 「전북지역 원삼국시대 주거지 연구」
    김은정 『호남고고학보』26, 호남고고학회 [2007]
  • 「전북지방의 주구묘」
    최완규 『동아시아의 주구묘』, 호남고고학회 창립 10주 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발표요지, 호남고고학회 [2002]
  • 「전북지방 지석묘의 현황과 고창지석묘의 특징」
    김선기 『지석묘조사의 새로 운 성과』, 제30회 한국상고사학회 학술대회 발표요지 [2003]
  • 「전북지방 백제 횡혈식석실분의 수용과 전개 」
    이문형 『백제고분의 새로운 인식』, 2012년 호서 호남고고학회 합동 학술대회, 호서?호남고고학회 [2012]
  • 「전남지역의 분구묘」
    임영진 『동아시아의 주구묘』, 호남고고학회 창립 10주 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호남고고학회 [2002]
  • 「전남지역 마한 제국의 사회 성격과 백제」
    임영진 『전남지역 마한 제국의 사 회성격과 백제』, 2013년 백제학회 국제학술회의, 백제학회 [2013]
  • 「일본열도 분구묘의 구조와 양상」
    이택구 『墳丘墓의 新地平』, 전북대학교 고 고문화인류학과 BK21사업단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2011]
  • 「일본 분구묘(주구묘)의 기원과 발전」,『마한 분구묘의 기원과 발 전』
    中村大介, 2015년 마한연구원 국제학술회의 자료집 [2015]
  • 「익산 영등동 주구묘」
    최완규 제39회 전국역사학대회 발표자료집 [1996]
  • 「익산 쌍릉」
    김낙중 『사비백제고분』,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8]
  • 「유공광구소호 소고」
    노미선 『연구원논문집 4』, 호남문화재연구원 [2004]
  • 「위세품으로 본 한성백제의 중앙과 지방」
    이한상 『고고학』4-1 [2005]
  • 「월주요청자를 반출함 충남의 백제토기」,『百濟硏究』, 특별호
    小田富士雄 충 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82]
  • 「웅진도읍 초기의 정치세력들」
    이남석 『유적과 유물로 본 웅진시대의 백제』, 서경문화사 [2016]
  • 「영산강유역의 옹관묘연구」
    성낙준 『백제문화』제15집, 공주사범대학백제문화 연구소 [1983]
  • 「영산강유역권 분구묘의 특징과 몇가지 논쟁점」
    임영진 『墳丘墓의 新地平』,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BK21사업단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2011]
  • 「영산강유역 전방후원분과 식륜」
    박순발 『한 일 고대인의 흙과 삶』, 국립전 주박물관 [2001]
  • 「생업과 물질문화, 의례-장신구」
    김미령 김승옥 『마한고고학개론』, 진인진 [2018]
  • 「삼국시대의 금동식리(金銅飾履) 문화」
    이한상 『履 -고대인의 신-』, 복천박 물관 [2010]
  • 「삼국시대 마한사회 위세품의 의미와 성격」
    임영진 『고대 동아시아의 금동신 발과 금동관』,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9]
  • 「삶과 죽음의 공간-분묘」
    김승옥 『마한 고고학개론』, 진인진 [2018]
  • 「사비기 백제 왕릉의 새로운 인식-익산 쌍릉(대왕릉)을 중심으로-」
    이문형 『百濟文化』第 61輯 ,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2019]
  • 「분구묘의 인식에 대한 검토」
    최성락 『韓國考古學報』제62집, 韓國考古學會 [2007]
  • 「분구묘의 인식」
    이성주 『한국상고사학보』32, 한국상고사학회 [2000]
  • 「분구묘 전통과 영산강유역형 주구」
    김낙중 『나주 복암리 3호분』, 국립나주 문화재연구소 [2006]
  • 「백제의 지방지배-영산강유역 취락자료를 중심으로-」
    이영철 『2014 백제사 연구 쟁점 대해부』, 제17회 백제학회 정기발표회 자료집 [2014]
  • 「백제의 관모 관식과 지방통치체제」
    이남석 『한국사학보』33, 고려사학회 [2008]
  • 「백제와 중국의 무역도자」
    성정용 『백제연구』38,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3]
  • 「백제 횡혈식석실의 형식변천과 계통관계」
    최영주 『백제문화』제48집, 공주대 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3]
  • 「백제 한성시기 금속공예의 투각 연속육각문의 수용과 전개」,『百濟 文化』第47輯
    이송란, ,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2012]
  • 「백제 초기 횡혈식석실분의 검토」
    이문형 『연구논문집』,창간호, 중앙문화재연 구원 [2005]
  • 「백제 중방성의 설치와 그 의미」
    김근영 정재윤 『마한 백제문화』, 33집, 원광 대학교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2018]
  • 「백제 무왕의 익산경영」
    유원재 『백제문화』제35집,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 소 [1996]
  • 「백제 금속공예 제작기법의 전개양상」
    이귀영 『百濟學報』第2輯 [2009]
  • 「백제 관련 연대결정 자료와 연대관」
    성정용 『호서고고학보』22 [2010]
  • 「문헌자료로 본 사비시기의 익산」
    김영심 『한국고대사연구』78, 한국고대사학 회 [2015]
  • 「문헌으로 보는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흥망성쇠」
    강봉룡 『전남지역 고대문 화의 양상과 교류』, 전라남도 문화관광재단 [2017]
  • 「문헌사에서 본 마한 연구동향」
    노중국 『마한고고학개론』, 진인진 [2018]
  • 「무령왕릉출토 동탁은잔의 연구」
    주경미 『무령왕릉』, 국립공주박물관 [2006]
  • 「무령왕릉 금공품과 법륭사 헌납보물-동탁은잔의 장식문양과 장식기법 을 중심으로-에 관련된 토론」
    최응천 『무령왕릉과 동아세아문화』 [2001]
  • 「마한의 옥문화」
    김미령 김승옥 『한국 선사 고대의 옥문화 연구』, 복천박물관 [2013]
  • 「마한의 시간과 공간」
    성정용 『마한 고고학개론』, 진인진 [2018]
  • 「마한과 주변 세력과의 교섭」
    권오영 『마한고고학 개론』, 진인진 [2018]
  • 「마한 지역 낙랑계 유물의 전개 양상」
    김무중 『낙랑문화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6]
  • 「마한 성립의 고고학적 일고찰」
    최완규 『한국고대사연구』79, 한국고대사학회 [2015]
  • 「마한 분구묘의 출현과정과 조영집단」
    권오영 『백제학보』제14호, 백제학회 [2015]
  • 「나주 신촌리 9호분의 축조과정과 연대제고-나주 복암리 3호분과의 비 교검토」,『한국고고학보』31
    오동선 한국고고학회 [2009]
  • 「나주 송제리고분 현장설명회의자료집」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9]
  • 「금동신발과 백제의 지방통치」
    진소영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금강유역 원삼국∼삼국시대 취락의 전개과정 연구」
    김승옥 『한국고고학보』 65, 한국고고학회 [2007]
  •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금동관모와 금동식리에 대한 검토」
    이한상 『 고흥 길 두리 안동고분의 역사적 성격』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특별전 기념학술대회 자료집, 전남대학교박물관 [2011]
  • 「고훈시대의 토기:하지키와 스에키」,『일본의 고훈문화』
    木下 亘 국립경주박물관 [2015]
  • 「고총고분의 봉분 조사방법과 축조기술」
    홍보식 『삼국시대 고총고분 축조기 술』, 진인진 [2013]
  • 「고창권역의 마한시대 소고」
    한수영 『연구논문집』제3집, 호남문화재연구원 [2003]
  • 「고창 지석묘군 상석 채굴지의 제문제」
    이상균 『한국상고사학보』32호 한국 상고사학회 [2000]
  • 「고창 봉덕리1호분의 축조와 공간활용에 관한 고찰」
    김중엽 『마한 백제문화』 제25집, 원광대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2015]
  • 「고창 봉덕리 출토 청자반구호의 제작시기 검토」
    정상기 『동원학술논문집』 제14집 [2013]
  •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청동탁잔의 납동위원소비와 산지 연 구」
    조남철 최미라, 『고창 봉덕리고분군-부록3』 [2016]
  •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의 제작방법과 문양」
    유수화 이문형 『馬韓百濟文化』제25집 [2015]
  • 「고창 봉덕고분군」
    노기환 『호남고고학보』제8집, 호남고고학회 [1998]
  • 「고대 동아시아 능묘제도와 백제」
    박순발 『사비백제고분』, 2019년 국립부여 문화재연구소 사비백제 고분 학술대회 자료집 [2019]
  • 「고대 고창 지역 정치체의 성장과 변동」
    김낙중 『호남고고학보』, 제56집, 호 남고고학회 [2017]
  • 「고고지료에 투영된 한성백제의 중앙과 지방」
    이한상 『백제의 왕권은 어떻게 강화되었나』, 한성백제박물관 [2014]
  • 「가야계 환두대도와 백제」
    김낙중 『백제문화』제50집,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 구소 [2014]
  • 「魚子文技法」
    이난영 『震檀學報 71 72 [1991]
  • 「高敞 出土 銅印考」
    조윤재 『한국고고학보』71집, 한국고고학회 [2009]
  • 「韓國 墳丘墓 資料集」
    최완규 『墳丘墓 墳丘式古墳의 新資料와 百濟』, 제49회 전국역사학대회 고고학부 발표자료집 [2006]
  • 「金銅冠을 통해 본 4-5世紀 百濟의 地方統治」
    이 훈, , 公州大學校大學院 博士 學位論文 [2010]
  • 「論唐代以前的燈盞」
    吳小平 『華夏考古』, 2013 제2기 [2013]
  • 「百濟泗?期 石室의 設計와 構造系統論」,『韓國考古學報』第63輯
    山本孝文 韓 國考古學會 [2007]
  • 「百濟古墳의 硏究」
    안승주 『百濟文化』第7?8合輯, 公州師範大學 百濟文化硏 究所 [1975]
  • 「百濟 石室墳 硏究」
    안승주 전영래 『韓國考古學報』第10?11輯 [1981]
  • 「百濟 武王陵と南朝墓の比較硏究」,『백제연구』11
    岡內三眞 충남대학교 백 제연구소 [1980]
  • 「百濟 橫穴式石室墳의 型式分類와 對外傳播에 관한 硏究」
    홍보식 『釜山直轄 市立博物館硏究論集』第2輯, 釜山直轄市立博物館 [1993]
  • 「特殊須惠器の器種と特徵」 , 『裝飾須惠器展』 , 愛知縣陶磁資料館
    [1995]
  • 「特殊須惠器の器種と分布」 , 『裝飾須惠器展』 , 愛知縣陶磁資料館
    [1995]
  • 「湖南地方의 墳墓類型과 展開」
    최완규 『湖南考古學報』11, 湖南考古學會 [2000]
  • 「湖南地方 周溝墓의 諸問題」
    최완규 『호남고고학의 제문제』,제21회 한국고 고학전국대회 발표자료집, 한국고고학회 [1997]
  • 「泗期 石室의 基礎編年과 埋葬構造-扶餘 鹽倉里?陵山里地域을 中 心으로」,『百濟硏究』第43輯
    山本孝文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006]
  • 「沃野里 方臺形古墳出土の圓筒形土器について」
    조미순 『古文化論叢』, 제65집, 九州古文化硏究會 [2010]
  • 「江蘇句容春城南朝宋元嘉十六年墓」
    3 . [2010]
  • 「壺形墳周土器 登場과 時點」
    이영철 『湖南考古學報』25, 湖南考古學會 [2007]
  • 「墳墓遺蹟에서 본 益山勢力의 傳統性」
    최완규 『馬韓 百濟文化』, 第17號, 원광 대학교 마한 백제문화연구소 [2007]
  • 「周溝墓의 特徵과 諸問題」
    최완규 『고문화』,제49집,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96]
  • 「上虞牛 ? 山古墓葬發掘」 , 『 ? 杭甬高速道路考古報告』
    [2002]
  • 「上甲里支石墓」
    김재원 윤무병 『韓國支石墓硏究』 [1967]
  • 「三國時代 金屬遺物의 線彫技法 樣相 -蹴彫技法을 중심으로-」
    권향아 『文物 硏究』 第4號, 재단법인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00]
  • 「三國時代 打出技法硏究」
    주경미 『科技考古硏究』第3號, 아주대학교박물관 [1998]
  • 「5∼6세기 백제의 지방통치체제」
    김영심 『한국사론』 [1990]
  • 「5 6세기의 토기에서 본 羅州勢力」,『백제연구』제39집
    酒井淸治, , 충남대 백제 연구소 [2004]
  • ≪三國志≫
  • 4-5세기대 금강유역 백제 석실분의 존재의미 백제와 금강
    이남석 서경문화사 [2007]
  • 1933~1936 , 「公州における古墳」1~8 , 考古學雜誌第23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