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동북아 태양신화의 문화사적 전개와 한국신화의 문화융합 = The Cultural History of the Northeast Asian Solar Mythology and Convergence of Korean mythology

이창윤 2020년
' 동북아 태양신화의 문화사적 전개와 한국신화의 문화융합 = The Cultural History of the Northeast Asian Solar Mythology and Convergence of Korean mytholog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난생신화
  • 다뉴경
  • 단군신화
  • 동명신화
  • 동북아신화
  • 동이
  • 몽골 유목민
  • 문화융합
  • 반고
  • 부루
  • 북방초원 유목민
  • 비파형동검
  • 사양신화
  • 산둥
  • 설신화
  • 수로왕신화
  • 숭양신화
  • 시베리아 수렵민
  • 십일신화
  • 아무르 강
  • 안드로노보문화
  • 예의 사양신화
  • 요하유역
  • 자다우
  • 주몽신화
  • 중국 소수민족
  • 중앙아시아
  • 창세신화
  • 천강신화
  • 천지왕본풀이
  • 태양신화
  • 한국 신화
  • 해모수신화
  • 혁거세신화
  • 환웅신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34 0

0.0%

' 동북아 태양신화의 문화사적 전개와 한국신화의 문화융합 = The Cultural History of the Northeast Asian Solar Mythology and Convergence of Korean mythology' 의 참고문헌

  • 편저, 구본인 옮김, 『문화인류학 이론의 역사와 전개』
    가모우 마사오 파란나라 [1991]
  • 크리스티안․디트리히 쇤비제 지음, 김종규 옮김, 『기후학』
    시그마프레스 [2006]
  • 체렌소드놈 지음, 이평래 옮김, 『몽골의 민간 신화』
    대원사 [2001]
  • 지음, 영남대 중국문화연구실 옮김, 『중국고대사회』
    허진웅 지식산업사 [1993]
  • 지음, 양억관 옮김, 『일본의 신화』
  • 지음, 박봉주 옮김, 『중국 고대의 神들』
    미나오 하야시 영림카디널 [2004]
  • 지음, 김양수 옮김, 『신권의 일천 년』
    인성핑 시공사 [2003]
  • 전라일보
    오피니언/승인/15면 (http://www.jeolla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531365#0ARs) [2018]
  • 잰슨 著 ․ 김윤수 외 역, 『미술의 역사』
    H. W 삼성출판사 [1978]
  • 일리야 N. 마다손 채록, 양민종 옮김, 『바이칼의 게세르 신화』, 솔출판사, 정재서, 『이야기 동양신화』
    황금부엉이, 2004 [2008]
  • 인터넷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7804)
  • 윌 듀런트, 왕수민․한상석 옮김, 『문명 이야기 동양문명 1-1』
    민음사 [2012]
  • 우리역사넷 : 국사편찬위원회, 신편한국사>총설>01권 한국사의 전개>Ⅱ. 한민족 의 기원>2
    민족학적으로 본 문화계통>1)한민족․한국문화 기원론의 흐름>(2) 퉁구스족과 예․맥․한족의 관계 (http://contents.history.go.kr/front/nh/view.do?levelId=nh_001_0030_0020_0 010_0020)
  • 옮김, 『신화, 인류 최고最古의 철학』
  • 옮김
    정재겸 제임스 포사이스 『시베리아 원주민의 역사』, 솔 [2009]
  • 역주,『불함문화론』
    이주현 정재승 최남선 우리역사연구재단 [2008]
  • 역주, 『산해경』
    정재서 민음사 [2007]
  • 알란 지음, 오만종 옮김, 『거북의 비밀 중국인의 우주와 신화』
    사라 예문서원 [2002]
  • 비얼레인 지음, 현준만 옮김, 『세계의 유사신화』
    J. F 세종서적 [1996]
  • 블라디미르 프로프, 박전열 역, 『구전문학과 현실』
    교문사 [1990]
  • 모두투어 편집부, 『Story M Shandong』
    모두투어네트워크 [2013]
  • 롤랑 바르트 지음, 정현 옮김, 『신화론』
    현대미학사 [1995]
  • 러시아 과학원 시베리아지부 고고학 민족학연구소, 『러시아 아무 르강 하류 수추섬 신석기시대 주거유적 발굴조사보고서1』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청 [2000]
  • 동북아역사재단 카자흐스탄 교육과학부 고고학연구소, 『카자흐스탄의 바위그 림』
    동북아역사재단 [2011]
  • 대사학회, 2015.
    대사학회 [2015]
  • 니카자와 신이치 저, 김옥희 옮김, 『곰에서 왕으로』
    동아시아 [2003]
  • 기 리샤르(대표집필) 지음, 전혜정 옮김, 『사람은 왜 옮겨 다니며 살았나』
    에디터 [2004]
  • 大林太良, 兒玉仁夫 ․ 權泰孝 譯, 『신화학입문』
    새문社 [1996]
  • 『禮記』中
    이상옥 명문당 [1985]
  • 『한국의 창세신화』
    김헌선 길벗 [1994]
  • 『한국의 암각화』
    임세권 대원사 [1999]
  • 『한국의 기후와 문화』
    김연옥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4]
  • 『한국무가집 4』
    김태곤 집문당 [1992]
  • 『한국 신화의 원류』
    김화경 지식산업사 [2005]
  • 『한국 신석기 문화』
    임효재 집문당 [2002]
  • 『한국 고대사 속의 고조선사』
    송호정 푸른역사 [2007]
  • 『한국 건국신화의 실상과 이해』
    이지영 월인 [2000]
  • 『티베트 역사산책』
    김규현 정신세계사 [2003]
  • 『천자의 우주와 신화』
    김현자 민음사 [2013]
  • 『처음 읽는 부여사』
    송호정 사계절 [2015]
  • 『조선상고사』
  • 『제주도무속자료사전』
    현용준 도서출판 각 [2007]
  • 『전통 문화의 구성 원리』
    우실하 소나무 [2007]
  • 『이야기 동양신화』
    정재서 황금부엉이 [2004]
  • 『이야기 동양신화 2』
    정재서 황금부엉이 [2004]
  • 『유라시아 초원제국의 샤머니즘』
    박원길 민속원 [2001]
  • 『원시미술의 세계』
    임두빈 가람기획 [2001]
  • 『우리 신화의 수수께끼』
    조현설 한겨레출판 [2006]
  • 『요동사』
    김한규 문학과지성사 [2005]
  • 『알타이人文硏究』
    박시인 서울대학교출판부 [1985]
  • 『알타이 신화』
    박시인 청노루 [1994]
  • 『알타이 文化史硏究』
    박시인 탐구당 [1982]
  • 『시베리아의 선사고고학』
  • 『시베리아 부족신화 Ⅰ』
    이정재 민속원 [1998]
  • 『시베리아 만주-퉁구스족 신화』
    곽진석 이앤씨 [2009]
  • 『소호씨 이야기』
    김인희 물레 [2009]
  • 『서단산문화와 길림 지역의 청동기문화』
    오강원 학연문화사 [2009]
  • 『새로 쓰는 제주사』
    이영권 휴머니스트 [2005]
  • 『삼국유사』
    이민수 을유문화사 [1985]
  • 『삼국사기(상)』
    이병도 을유문화사 [1985]
  • 『살아있는 신화 바위그림』
    정동찬 혜안 [1996]
  • 『살아 있는 가야사 이야기』
    박창희 이른아침 [2005]
  • 『부여․고구려 건국신화 연구』
    이복규 집문당 [1998]
  • 『민족신화와 건국영웅들』
    임재해 민속원 [2006]
  • 『민담학 개론』
    김열규 일조각 [1982]
  • 『미완의 문명 7백년 가야사』
    김태식 푸른역사 [2002]
  • 『몽골어와 퉁구스어』
    김방한 민음사 [1986]
  • 『동이신화 태양을 쏘다 02』
    김인희 박이정 [2007]
  • 『동이신화 태양을 쏘다 01』
    김인희 박이정 [2007]
  • 『동북아의 곰문화와 곰신화』
    이정재 민속원 [1997]
  • 『동북아시아의 암각화』
    황용훈 민음사 [1987]
  • 『동북공정너머 요하문명론』
    우실하 소나무 [2007]
  • 『김병모의 고고학 여행 1』
    김병모 고래실 [2006]
  • 『고조선에 대한 새로운 해석』
    김정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 『고조선사연구』
    이종욱 일조각 [1993]
  • 『고조선문화의 높이와 깊이』
    임재해 경인문화사 [2015]
  • 『고조선 연구 상』
    윤내현 만권당 [2015]
  • 『고대문명 교류사』
    정수일 사계절 [2001]
  • 『고구려 건국사』
    김기홍 창작과비평사 [2002]
  • 『韓國古代의 建國神話와 祭儀』
    김두진 일조각 [1999]
  • 『韓國古代의 國家起原과 形成』
    김정배 高麗大學校 出版部 [1993]
  • 『韓國古代史와 考古學』
    김정배 도서출판 신서원 [2002]
  • 『譯註 三國遺事』
    강인욱 이회문화사 [2003]
  • 『構造主義의 思惟體系와 思想』
    김형효 인간사랑 [1994]
  • 『楚辭撰注』
    유성준 형설출판사 [1989]
  • 『東아시아 先史時代의 農耕과 生業』
    안승모 학연문화사 [1998]
  • 『巫俗神話와 文獻神話』
    현용준 집문당 [1992]
  • 「遼河유역의 신석기 및 초기청동기시대 유적에 대한 고고학상 해석,『박물관 기요』 15
    곽대순 단국대학교 [2000]
  • 「황하 중․하류 지역 선사문화와 주민」
    박선미 『중국 산동 지역의 동이문화』, 동북 아역사재단 [2018]
  • 「한자 癸의 고문자 형체에 담긴 문화적 상징의미」
    김은희 『중국어문논역총간』 29, 중국어문논역학회 [2011]
  • 「한국신화의 聖母象徵」
    천혜숙 『인문과학연구』 1, 안동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9]
  • 「한국 초기국가의 형성 발전단계」
    이종욱 『한국사연구』 67, 한국사연구회 [1989]
  • 「한국 고대 남북 난생신화 연원연구」
    문일환 『Journal of Korean Culture』 9,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07]
  • 「퉁구스족의 기원지에 관한 가설 분석」
    엄순천 『아시아 연구』 19(2), 한국아시아학 회 [2016]
  • 「탈해신화와 서언왕신화의 비교연구」
    나경수 『한국민속학』 27, 한국민속회 [1995]
  • 「초원에서 한반도까지 <27> 외계인의 모습을 한 초원의 샤먼」
    강인욱 인터 넷국 제신문 칼럼, -03-22 20:33:07 입력 / 본지 22면.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2500&key=201 00323.22022201827) [2010]
  • 「초기 동경의 기능과 확산과정에 대한 연구」
    안신원 『단군학연구』18, 단군학회 [2008]
  • 「청동기문화의 비교」
    이형구 Ⅰ(동북아와의 비교)-銅鏡을 중심으로 한 中國中原地 方과 시베리아와 의 비교-, 『한국사론』 13, 국사편찬위원회 [1983]
  • 「천신에 관하여」
    조흥윤 『동방학지』 7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3]
  • 「중국 주요 시조신화에 보이는 태양숭배와 태양 감응신화의 연구」
    서유원 『아시아 문화연구』 28.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 「중국 소수민족 활쏘기 신화와 의례를 통해서 본 ‘샤먼영웅’」
    김선자 이평래 외 지 음, 『동북아 활쏘기 신화와 중화주의 신화론 비판』, 동북아역사재단 [2010]
  • 「주변지역 청동기문화와의 비교-중국」
    이형구 『한국사3-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국사편찬위원회 [1997]
  • 「위만조선(衛滿朝鮮)의 정치구조-관명(官名) 분석을 중심으로」
    노태돈 노태돈 편, 『단군과 고조선사』, 사계절 [2004]
  • 「원시 고대」
    노태돈 『시민을 위한 한국역사』, 창작과비평사, 1997 [1997]
  • 「요하유역 북방계청동기의 출현」
    이청규 『한중인문학포럼발표논문집』, 한중인문학 포럼 [2014]
  • 「요하문명과 황하문명과의 관련양상」
    김채수 『일본학연구』 44, 동아시아일본학회 [2012]
  • 「알타이 지역 암각화에 나타난 태양신 숭배」
    임세권 한국고대학회, 『先史와 古代』 26, 백산자료원 [2007]
  • 「아무르강 하류의 신석기 문화 고찰-수추섬 유적을 중심으로」
    홍형우 『선사와 고 대』 34, 한국고대학회 [2011]
  • 「신시고국 환웅족 문화의 ‘해’ 상징과 천신신앙의 지속성」
    임재해 『고조선단군학』 23, 고조선단군학회
  • 「신시고국 환웅족 문화의 ‘해’ 상징과 천신신앙의 지속성」
    임재해 『고조선단군학』 23, 고조선단군학회 [2010]
  • 「시지앙(西江) 먀오족(苗族)의 돼지축제」
    김인희 『비교문화연구』 5, 서울대비교문 화연구소 [1999]
  • 「송화강 유역 초기철기문화의 변천과 부여문화 성립과정 고찰」
    이종수 『동양학』 53,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3]
  • 「서술성모의 신화적 정체」
    천혜숙 『동아시아고대학』 16, 동아시아고대학회 [2007]
  • 「북부형과 제주형 창세신화의 지역적 특성」
    이창윤 실천민속학회편, 『민속문 의 지역성과 보편성』, 집문당 [2000]
  • 「북방계 건국신화의 문헌적 재고찰」
    주승택 『韓國學報』 19, 일지사 [1993]
  • 「부여․고구려 건국신화의 계통과 형성과정」
    박기범 『동북아역사논총』 34, 동북아 역사재단 [2011]
  • 「발해연안 북부 요서․요동지방의 고조선」
    이형구 단군학회 엮음, 『단군과 고조선 연구』, 지식산업사 [2005]
  • 「문헌으로 본 부여문화」
    김성숙 『부여사와 그 주변』, 동북아역사재단 [2008]
  • 「무덤의 변화양상을 통해 본 부여사 전개과정 고찰」
    이종수 『선사와 고대』 3, 백 산자료원 [1992]
  • 「몽골 으부르항가이 지역의 암각화 조사기」
    임세권 『영남 고고학』 16 [1995]
  • 「두 개의 태양, 한 송이의 꽃-월명사 일월조정서사의 의미망」
    조현설 『민족문학사 연구』 54,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 「동북아지역에서의 다뉴경 부장묘의 전개」
    이청규 『사학지』 44, 단국사학회 [2012]
  • 「동명신화의 전개와 변용」
    임기환 『부여사와 그 주변』, 동북아역사재단 [2008]
  • 「동굴 벽화의 민속학적 연구」
    이인화 한국동굴학회 후반기 학술발표대회 자료 [2005]
  • 「단군과 기자-고조선사의 체계에 대한 고찰-」
    조원진 『단군학연구』 31, 단군학회 [2014]
  • 「단군과 고조선사에 대한 이해」
    노태돈 노태돈 편, 『단군과 고조선사』, 사계절 [2004]
  • 「기자조선 연구의 성과와 과제」
    조원진 『단군학연구』 20, 단군학회 [2009]
  • 「기원전 2세기 古朝鮮 準王의 南來와 益山」
    송호정 『한국고대사연구』 78, 한국고
  • 「기원전 10~8세기 요령지역의 동경 유형과 다뉴경의 출현」
    홍인국 『고조선단군 학』 32, 고조선단군학회 [2015]
  • 「고조선의 통치제도」
    김유철 단군학회, 『남북 학자들이 함께 쓴 단군과 고조선 연 구』, 지식산업사 [2005]
  • 「고조선의 초기문화 연구」
    조원진 『단군학연구』 34, 단군학회 [2016]
  • 「고조선의 기마문화와 농경유목의 복합구성」
    신용하 『단군학연구』 26, 단군학회 [2012]
  • 「고조선사회의 성격」
    허종호 단군학회, 『남북 학자들이 함께 쓴 단군과 고조선 연 구』, 지식산업사 [2005]
  • 「고조선과 요하문명」
    이청규 『한국사 시민강좌』 49, 일조각 [2011]
  • 「고조선과 비파형 동검의 문제」
    김정배 단군학회 엮음, 『단군과 고조선 연구』, 지 식산업사 [2005]
  • 「고조선 중심지의 변천에 대한 연구」
    노태돈 노태돈 편, 『단군과 고조선사』, 사계 절 [2004]
  • 「고조선 예맥교섭망의 변동 양상 연구」
    오현수 『국학연구』 22, 한국국학진흥원 [2013]
  • 「고조선 문화의 지속성과 성립과정의 상생적 다문화주의」
    임재해 『고조선단군학』 24, 고조선단군학회 [2011]
  • 「고조선 국가의 형성과 고조선 금속문화」
    신용하 『단군학연구』 21, 단군학회 [2009]
  • 「고조선 건국신화의 계승과 고조선 인식」
    김성환 『동북아역사논총』 47,동북아역사 재단 [2015]
  • 「고려시대 단군신화 전승문헌의 검토」
    노태돈 『단군 그 이해와 자료』, 서울대출판 부 [1994]
  • 「고려시대 단군신화 전승문헌의 검토」
    최병헌 『단군 그 이해와 자료』, 서울대출판 부 [1994]
  • 「고대의 동이 인식」
    송옥진 『선도문화』 14, 국학연구원 [2013]
  • 「고대 중국의 청동거울[銅鏡]에 대한 小考」
    유강하 『중국어문학논집』 41, 중국어 문학연구회 [2006]
  • 「고대 중국과 한국의 천문사상 연구」
    김일권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99]
  • 「韓國民族史에서 본 夫餘」
    이기동 『한국고대사연구』 37, 한국고대사학회 [2005]
  • 「靑銅器를 통해 본 古朝鮮과 주변사회」
    이청규 『동북아역사논총』 6, 동북아역사재 단 [2005]
  • 「西周時代의 東夷」
    김정열 『崇實史學』 32, 숭실사학회 [2014]
  • 「神話로 본 女系聖母의 樣相과 變貌」
    천혜숙 『비교민속학』 17, 비교민속학회 [1999]
  • 「滿洲源流考」部族편의 내용과 성격」
    정호섭 『선사와 고고』 58, 한국고대학회 [2018]
  • 「準王 및 辰國과 「三韓正統論」의 諸問題」
    김정배 『한국사연구』 13, 한국사연구회 [1976]
  • 「渤海沿岸 大凌河流域 箕子朝鮮의 遺적․遺物」
    이형구 한국고대사연구회, 『古朝鮮 과 夫餘의 諸問題』, 신서원 [1996]
  • 「東夷와 淮夷 徐戎에 對하여」, 『동방학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김선자, 「중국 소수민족 활쏘기 신화와 의례를 통해서 본 ‘샤먼영웅’」
    김상기 『동북아 활쏘 기 신화와 중화주의 신화론 비판』, 동북아역사재단, 2010 [1954]
  • 「斯盧六村과 六村人의 出自에 대하여」
    丁仲煥 『歷史學報』 17․18 [1962]
  • 「斯盧 6村의 형성과 발전」
    이인철 『진단학보』 93, 진단학회 [2002]
  • 「夫餘國의 신화적 변동과 東明神話의 시․공간적 推移」
    박승범 『한국사학보』 37, 고 려사학회 [2009]
  • 「夫餘史 연구의 쟁점과 자료 해석」
    송기호 『한국고대사연구』 37 [2005]
  • 「古代朝鮮에 있어서의 天神崇拜와 觀念論的 世界觀의 形成」
    주홍성 『한국종교』 16,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91]
  • 「創世神話에 나타난 宇宙論의 體系와 現實認識」
    신재은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 「分布論」
    최래옥 김열규 외, 『民譚學 槪論』, 일조각 [1982]
  • 「傳播論」
    성기설 김열규 외, 『民譚學 槪論』, 일조각 [1982]
  • 「中國文明 基源論과 古代 韓國」
    정재서 『한중인문학포럼발표논문집』, 한중인문학 포럼 [2014]
  • 「中國 天地起源神話 중 盤古神話의 硏究」
    서유원 『中國語文論譯叢刊輯』 24, 중국 어문논역학회 [2009]
  • 「Ⅱ. 한민족의 기원」
    이성규 『신편 한국사』 1권 한국사의 전개, 국사편찬위 원회, (http://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nh) [2002]
  • 「‘父性 不在’의 신화학과 聖母신앙의 문제」
    천혜숙 『역사민속학』 15, 역사민속학 회 [2002]
  • 「<단군신화>와 <게세르칸>서사시의 비교 연구와 쟁점」, 『몽골학』 34
    이선아 한국 몽골학회 [2013]
  • (趙春靑) 친원성(秦文生) 지음, 조영현 옮김, 『문명의 새벽_원시시대』
    자오춘칭 시공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