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지역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분석 =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on Regional Suicide Rate

박영미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지역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분석 =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on Regional Suicide Rate'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65세 미만 자살률
  • 노인자살률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 부양부담
  • 전체자살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0 0

0.0%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지역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분석 =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on Regional Suicide Rate' 의 참고문헌

  • 「치매와 가족」
  • 「최근정신의학」
    민성길 서울: 일조각 [1998]
  • 「자살의 이해와 예방」
    류성곤 유승호 서울: 학지사 [2008]
  • 「이상심리학」
    원호택 서울: 학지사 [1997]
  •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대한 입법평가」
    견진만 김인철 윤광진 한 국법제연구원 [2009]
  • 핵가족 이데올로기와 복지국가- 가족 부양의 정치 경제학
    장경섭 「 경제와 사회」. 15:173-204 [1992]
  • 한국의 지역별 자살률 변화와 요인분석
    김경미 이용재 「한국콘텐츠 학회논문지」. 18(8):51-61 [2018]
  • 한국의 자살- 연령, 기간, 코호트 효과 분석, 1983-2003
    김소현 이지연 「한국사회학」. 44(4):63-94 [2010]
  • 한국에서의 노인문제와 노인소득보장제도- 영국 일본과의 비 교를 중심으로
    이철우 「국제평화」. 2(2):188-231 [2005]
  • 한국사회의 자살증가의 원인에 대한 연구
    장일순 「사회과학논총」. 22:263-282 [2004]
  • 한국사회의 자살률에 관한 분석- 지역사회의 사회 문화 경제 적 요인을 중심으로
    김민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한국사회의 자살과 뒤르케임의 자살론- 가족주의 습속과 관 련하여
    송재룡 「사회이론」. 34:123-162 [2008]
  • 한국사회 자살률의 변동과 원인
    강정한 이민아 「한국인구학」. 37(2):1-19 [2014]
  • 한국노인 자살률 변동과 사회구조적 요인에 관한 연구
    김승용 「사회 복지정책」. 19:181-205 [2004]
  • 한국과 일본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제정과정에 관한 비교 연구- 정책네트워크모형을 중심으로
    이광재 강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08]
  • 한국 장기요양서비스의 복지혼합- OECD 국가들과의 비교적 접근
    석재은 「사회보장연구」. 24(4):197-228 [2008]
  • 한국 노인자살률과 사회 경제적 요인의 관련성
    권이경 김형수 「한 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6):236-245 [2013]
  • 한국 노 인에서 광역시도별 자살률과 의료급여의 상관성
  • 치매노인 보호자의 부양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정화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9(2):629-643 [2017]
  • 치매 가족의 자살 및 살인사건에 대한 신문기사 분석
    김원경 「보건 사회연구」. 34(2):219-246 [2014]
  • 청소년의 자살충동과 심리사회적 변인과의 관계
    하상훈 「학생생활연 구」. 21:135-163 [2001]
  •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박성준 「정신건강과 사 회복지」. 47(1):174-203 [2019]
  • 지역의 자살률 차이와 관련된 구성적 요인과 상황적 요인
    강은정 「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30(1):41-52 [2013]
  • 지역에 따른 전체자살률과 노인자살률의 변화와 영향요인
    김경미 호 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지역사회 빈곤과 배제: 사회적 신뢰는 중요한가?- 57개 기초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김형용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2:203-226 [2010]
  • 지역사회 보건복지자원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사 회복지 및 정신보건 인프라를 중심으로
    윤명숙 최명민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213-238 [2012]
  • 지역 노인자살률 변화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관점을 중심으 로
    정규형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지방정부의 자살예방정책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김병규 박영미 「 지방정부연구」. 21(1):1-24 [2017]
  • 지방자치단체 특성이 지역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민선 5기 기초자치단체들을 중심으로
    박일주 「행정논총」. 55(1):333-370 [2017]
  • 중앙자살예방센터
    「국내 외 자살현황 분석」 [2018]
  • 장기요양필요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서문진희 정여주 「사회과학연구」. 22(4):3-30 [2011]
  • 장기요양서비스이용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현주 건국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장기요양서비스 이용노인 및 노인부양 가족의 스트 레스, 생활만족도 및 서비스만족도
    김용희 안정신 「노인복지연구」. 57:161-190 [2012]
  • 장기요양 재가 서비스 이용 노인 주 수발자의 부담감과 우울 요인
    차재술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자아의 위기와 한국 자살발생의 인구학적 구조 변동- 자살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접근
    노법래 「보건사회연구」. 33(4):218-244 [2013]
  • 자살의 원인과 대책연구- 정신의학적 접근을 넘어 서
    강은정 이수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 자살예방 사업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김상우 이채정 「국회예산정책 처」 [2013]
  • 자살론. 황보종우(역).(2008)
    Durkheim, E. 서울:청아출판사 [1987]
  •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전망
    문용필 이호용 「사 회보장연구」. 33(2):129-151 [2017]
  • 우울증 위험군 노인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미치 는 영향요인-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문수경 손의성 「한국위기관리논집」. 9(11):133-154 [2013]
  • 우리나라에서 경제성장률과 실업률이 자살 률에 미치는 영향
    김순덕 박종순 이준영 「예방의학회지」. 36(1):85-91 [2003]
  • 우리나라 노인자살률의 지역적 편차와 요인에 관한 연구
    김신향 김형수 「한국콘텐츠학회」. 14(11):215-224 [2014]
  • 예비노인층과 노인층 자사률의 지역별 현황과 요인 및 정책 과제
    김형수 「한국흉합학회논문지」. 8(8):291-298 [2017]
  • 시설입소 후 부양부담의 변화와 가족관계 및 죄책감의 변화
    이명숙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시 군 지역의 노인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유영직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스트레스, 절망,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 노인과 청소년간의 차이 비교연구
    김병석 김현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 소득 양극화와 자살
    신동균 장지연 「사회보장연구」. 26(2):1-21 [2010]
  • 센서스인 구 대 주민등록인구- 지역별 사망률 연구에서 어느 인구를 분모로 사 용해야 하나
    강영호 윤성철 이무송 이민정 이상일 조민우 황인아 「예방의학회지」. 38(2):147-153 [2005]
  • 생활고와 복지증진이 한국의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지연 최윤정 「사회복지정책」. 41(3):155-182 [2014]
  • 생애주기에 따른 한국의 지자체 자살률 유형화와 유형 특성 탐색에 관한 연구
    정규형 「한국지역사회복지학」. 69:43-71 [2019]
  • 살인과 자살의 문화적 사회구조적 원인- 머튼의 아노미 이론 검증을 위한 국가 간 비교 연구
    신동준 「한국사회학이론」. 38(4):33-72 [2004]
  • 사회적 지원과 일탈
    김상원 「지방정부연구」. 14(3):81-95 [2010]
  • 사회자본이 노인의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김상원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37-54 [2015]
  • 사회자본과 지역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지역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자치구별 패널자료를 중심으로
    김지연 김창엽 「보건과 사회과 학」. 41:33-60 [2016]
  • 사회복지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을 중심으로
    최서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보건복지부ㆍ국민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10년사」 [2017]
  • 보건복지부
    「2017 노인장기요양보험통계연보」 [2018]
  • 보건복지부
    「2019 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2019]
  • 문화시설과 도시공원이 지역별 자살률에 미치는 영 향
    신형덕 조수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8):4874-4880 [2014]
  • 만성질환노인 부양체계로서의 가족의역할- 21세기 변화전망 및 지원책 모색
    한경혜 「한국노년학」. 18(1):46-58 [1998]
  •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가족의 부양부담 변화
    모선희 최세영 「비 판사회정책」. 40:7-31 [2013]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서비스 질 향상 방안- 요양보호사의 인력양성 및 전문성 향상을 중심으로
    김준환 「극동사회복지저널」. 4:49-83 [2008]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김형수 「광신논단」. 19:329-357 [2010]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삶의 질과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패널을 활용한 성향점수매칭 이중차이 분석
    한수정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 지패널 만족도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이슬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13]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대상노인 및 부양 가족의 삶의 질과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지영 권현정 조용운 「한국사회복지학」. 63(4):301-326 [2011]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가족관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중차이모델 분석
    민기채 「한국노년학」. 31(4):999-1014 [2011]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에 따른 노인 돌봄 주 부양자의 부양부담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이효자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의료이용 및 삶의 질에 미친 영향분석
    윤다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노인장기요양보험서비스 전달체계가 부양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재가서비스 이용자 가족의 부양부담을 매개변수로 해서
    이창주 임병우 「한국정책연구」. 11(2):265-283 [2011]
  • 노인장기요양보험급여 수급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경감 영 향 요인
    조진선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 전후의 주부양자 부양부담의 변화에 관한 연구- 시설급여와 재가급여를 중심으로
    최수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11]
  •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의 비용효과분석
    차지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이용자와 그 가족을 중심으로
    강순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 이용행태 연구
    이윤경 이화여자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노인에 대한 수발부담에 관한 연구: 비 공식 수발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이명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노인자살의 이해와 일차적 예방
    김형수 「한국인구학」. 23(2): 167-187 [2002]
  • 노인자살률의 지역별 편차- 가족불안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1995-2005
    유정균 「한국인구학」. 31(2):21-44 [2008]
  • 노인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거시적 분 석
    김기원 김한곤 「한국인구학」. 15(1):31-54 [2011]
  • 노인자살률에 미치는 영향분석- 노인일자리창출사업 을 중심으로
    김병규 박영미 「한국행정논집」. 29(4):693-717 [2017]
  • 노인을 돌보는 가족 돌봄자 지원정책-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개선방안 및 추가적 지원방안
    최인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 노인수발보험제도의 국가간 비교와 시사점
    이인호 「사회복지개발연 구」. 12(2):175-204 [2006]
  • 노인수발보험안 시행의 문제점과 쟁점
    최성재 「제9회 고령자포럼」 [2006]
  • 노인복지 정책의 현황과 과제.「제정법제 Issue Paper」
    최영준 한 국법제연구원. 8-9 [2011]
  • 기초자치단체의 노인자살률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도시와 농촌의 차이를 중심으로
    최선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http://www.longtermcare.or.kr
  • 공공사회 지출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OECD 국가를 중심으로
    권순만 김명희 박유진 신영전 「예방의학회지」. 42(2):123-129 [2009]
  • 경찰통제와 자살의 관계 검증- 시군구 자료를 중심으로
    윤우석 「한 국공안행정학회보」. 47:205-233 [2012]
  • 경제적 양극화와 자살의 상관성- 1997년 외환위기를 전후하 여
    은기수 「한국인구학」. 28(2):97-129 [2005]
  • 경제위기와 자살: 한국과 중남미 3개국의 비교
    김종섭 「라틴아메리 카연구」. 23(3):45-65 [2010]
  • Well-being , social capital and public policy : What ’ s new ?
    116 ( 510 ) : C34-C45 . [2007]
  • The effect of public spending on suicide : Evidence from US state data
    37 ( 1 ) :237-261 [2008]
  • The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s and direct controls on delinquency
    27 ( 2 ) :140-165 [1990]
  • Suicides
    [1979]
  • Suicide prevention program ; Issues of design , implementation , feasibility , and developmental appropriate . In Suicide Prevention : Toward the year 2000. ed al
    [1995]
  • Suicide in twins
    [1991]
  • Suicide as Escape From Self
    97 ( 1 ) :90-113 [1991]
  • Suicide : A study in sociology
    [1951]
  • Suicide : A 15-year review of the sociological literature part II : Modernization and social integration perspectives
    30 ( 2 ) : 163-176 .
  • Suicide : A 15-year review of the sociological literature part I : Cultural and economic factors
    30 ( 2 ) :145-162 .
  • Social ties and mental health
    78 ( 3 ) :458-467 [2001]
  • Psychoanalytic Aspects of Suicide
    [1938]
  • Long-term care Principles , Programs , and Polices
    [1987]
  • Home Health and Community Services , Gerontological Social Work Knowldege . Services setting and Special Population
    [1992]
  • Epidemiology of suicide
    7 : 137-148 . [1995]
  • Divorce and suicide risk
    57 ( 12 ) :993-993 [2003]
  •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uicidal and Non-suicidal Psychiatric Inpatient
    10 ( 6 ) :625-634 . [1986]
  • Association between mental disorders and suicide
    [2013]
  •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1979]
  • An economic interpretation of suicide cyclesin Japan
    26 ( 1 ) :162-174 . [2008]
  • Adolescent Suicide : Assessment and intervention
    15 ( 2 ) :156-157 [1991]
  • A re-examination of the suicide rates in Taiwan .
    83 ( 3 ) :465-485 . [2007]
  • 2018~2027년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전망
    김윤희 「국회예산정책처」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