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지속가능한 스마트 수변도시 계획요소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 부산 에코델타시티를 중심으로

염재근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지속가능한 스마트 수변도시 계획요소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 부산 에코델타시티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지역계획
  • 계획요소
  • 수변도시
  • 스마트 도시
  • 스마트수변도시
  •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 지속가능발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46 0

0.0%

' 지속가능한 스마트 수변도시 계획요소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 부산 에코델타시티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한국토지주택공사 홈페이지(http://www.lh.or.kr)
  • 한국정보화진흥원 홈페이지(http://www.nia.or.kr)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http://www.tta.or.kr/)
  • 한국수자원공사 홈페이지(http://www.kwater.or.kr)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http://www.keit.re.kr)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홈페이지(http://www.kistep.re.kr)
  • 수변공간재생을 위한 도시설계요소 및 가중치 분석 : 한강르네상스 사례를 중 심으로“
    김민선 외, 한국지역학회지 제26권제2호, [2010]
  • 새만금개발청 홈페이지(http://www.saemangeum.go.kr)
  •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http://www.motie.go.kr)
  • 법제처 홈페이지(http://www.moleg.go.kr)
  • 미래창조과학부 홈페이지(http://www.mist.go.kr)
  • 도시 수변공간의 활용 실태와 입지적 특성을 반영한 친환경적 수변 도시개발 방안
    김항집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 Vol.12No.3 [2012]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금강살리기이후 수변공간관리․활용 마스터플랜수립 연구」
    행정복합도시건설청 [2012]
  • 국토연구원,「Smart City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국가건축정책위원회 [2016]
  • 국토연구원 외, 「스마트시티 국가전략프로젝트 연구개발사업 세부기획」
    국토교통 과학기술진흥원 [2018]
  • 국토연구원 : http://www.krihs.re.kr
  • 국토교통부 홈페이지(http://www.molit.go.kr/)
  • 국토교통부
    「제3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안~2023)」, 2019 [2019]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http://www.kaia.re.kr)
  • 국가지속가능토털 홈페이지(http://www.ncsd.go.kr)
  •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
  • 건축도시공간연구소(http://www.auri.re.kr)
  •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노경섭 한빛아카데미 [2014]
  • 『Waterfront Development : ACase Study of Dalian ,China』
    [2004]
  • 『SmartCities-Ranking of European medium-sizedCities ( Final Report )
    [2007]
  • 『A vision of SmarterCities : HowCitiesCan Lean the Way into a Prosperous and Sustainable Future
    [2009]
  • 「혼자서 완성하는 통계분석」
    김효창 학지사 [2013]
  • 「한국형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전략수립 및 네트워크 구축」
    이재용 국토연구원 [2016]
  • 「토지이용 용어사전,」
    국토교통부 [2011]
  • 「친수구역 조성지침」
    국토교통부 [2012]
  • 「지속가능한 신도시 계획기준」
    국토교통부 [2010]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대비 건축․도시분야 대응방향 연구」
    손동필 건축도시 공간연구소 [2016]
  • 「중장기 전략경영계획보고서(‘19~’23)」
    K-water [2018]
  • 「중심상업업무지구 분양성․사업성 향상을 위한 수변의 공간구성방안」
    K-water [2018]
  • 「우리의 지속가능한 도시」
    임현묵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8]
  • 「스마트시티의 성공과 표준」
    오경희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7]
  • 「스마트시티」
    황건욱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8]
  • 「스마트시티 유형에 따른 전략적 대응방안 연구」
    이재용 국토연구원 [2018]
  • 「스마트시티 발전전망과 한국의 경쟁력」
    황종성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 「스마트시티 리빙랩 사례 분석과 과제」
    성지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8]
  • 「스마트시티 경쟁력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이재용 LH연구원 [2016]
  • 「스마트시티 개념과 표준화 현황」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8]
  • 「수변도시 재생에 대응하는 수변공간 조성방안 연구」
    권영상 국토연구원 [2011]
  • 「수변공간 활성화를 위한 도시계획 및 설계방향」
    권영상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0]
  • 「수변공간 재생 추진을 위한 후보지 및 사업화 모델 개발」
    K-water [2019]
  • 「수변공간 연계를 통한 도시개발사업의 효과성 제고방안」
    이제연 한국지방행정연 구원 [2018]
  • 「빅데이터로 본 2018년 이머징 이슈」,
    박정은 외,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 「부산 에코델타시티 스마트시티 시행계획(안)」
    부산광역시 K-water 부산도시공사 [2018]
  • 「부산 EDC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기본구상(안)」
    K-water [2018]
  • 「부산 EDC 개발계획 보고서」
    K-water [2019]
  • 「부동산세미나 : 이론과 실제」
    이창석 형설출판사 [2010]
  • 「미래이슈 분석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 [2015]
  • 「미래 지향적인 친수공간 형성을 위한 수변경관 가이드라인」
    국토교통부 [2010]
  • 「똑똑한도시, 스마트시티(Samart City)」
    김태환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2017]
  • 「디자인, 스마트시티를 그리다」
    진재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6]
  • 「도시수변공간의 이용특성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정석희 국토연구원 [2002]
  • 「도시계획론」
    권일 보성각 [2011]
  • 「도시개발론」
    신동진 보성각 [2012]
  • 「도시 스마트성장 평가방식 활용을 통한 친수공간 계획체계의 합리적구축 및 관리방안 연구」
    이범현 국토연구원 [2011]
  • 「Smart Waterfront City 조성기술 및 Kwaternology 개발」
    K-water [2019]
  • 「LH스마트시티 미래비전 및 추진전략」
    조영태 LH연구원 [2018]
  • 「K-water보유 수변자산 개발 비즈니스모델 수립 연구」
    K-water [2018]
  • 「K-water 보유 수변자산 개발 비즈니스 모델 수립」
  • 「AHP에 의한 의사결정 : 이론과 실제」
    박용성 교우사 [2009]
  • 「4차 산업혁명의 종합 플랫폼, 스마트시티」
    한상목 한국산업은행 [2018]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마트시티 전략」
    김태경 경기연구원 [2019]
  • “해외 수변공간 개발에서 나타나는 유형별 계획특성”
    김희철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 14권제2호 [2013]
  •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 R&D 추진방향”
    백승훈 월간교통 VOL228 [2017]
  • “한국의 도시성장과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송주연 대구대 박사학위논문 [2014]
  • “지속가능한 수변공간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이남수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지속가능한 도시이론의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이장호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지속가능한 도시개발로서 스마트도시의 개발을 위한 공간지준의 전략적 선택에 대한 탐색적 접근”
    서준교 한국지방정부학회지 제22권제2호 [2018]
  • “지속가능한 개발관점에서 본 독일 및 네덜란드 생태주거단지의 계획요소 및 국내 적용가능성 분석”
    최정은 대한건축학회지 제24권제12호 [2008]
  •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이일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 12권제6호 [2011]
  • “지속가능사회문화의 개념 정립과 발전방향 제안”
    이혜주 지속가능과학회, 제4권제1호 [2013]
  • “제주 스마트 안전도시 조성을 위한 선택요인 분석”
    고기봉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일본 요코하마시의 수변공간 개발과 문화정책”
    김나영 한국해양항만학회 [2014]
  • “에너지측면의 스마트 그린시티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 행복도시의 적용실태 를 중심으로”
    오덕성 한국산학기술학회지 Vol. 16, No. 9 [2015]
  • “스마트용어의 적용사례 분석을 통한 스마트시티의 개념정립을 위한 연구”
    최봉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2 [2011]
  • “스마트시티법 제개정의 의미와 향후과제”
    이재용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20권3호 [2017]
  • “스마트시티 정책동행과 과제”
    김승남 도시정보 [2018]
  •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장향”
    이정희 국토 제445호 [2018]
  • “스마트시티 빅데이터 관점에서의 안전도시 구현에 관한 연구“
    장혜창 성균관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7]
  •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의 계획방법 및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양성민 성균관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7]
  •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의 의의와 발전방향”
    황종성 국토 제445호 [2018]
  • “스마트시티 구현의 성공요인 연구”
    김동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스마트시티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방향”
    장환영 주택도시연구 제7권제3호 [2017]
  • “스마트시티 거버넌스의 조직체계와 역할”
    남광우 지역연구학회지 제33권제1호 [2017]
  • “스마트도시재생사업의 성과인식에 관한 연구”
    한중석 서울벤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스마트도시공원 조성전략 및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이은영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8]
  • “스마트도시 개념의 변화와 비교 : 서울시 사례 분서을 중심으로”
    강명구 한국지역개 발학회지 제27권 제4호 [2015]
  • “스마트그린시티(Smart Green City) 계획요소의 중요도분석에 관한 연구”
    이서정 충남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수변공간 활성화를 위한 친수공간 정비전략 및 계획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이원철 한 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수변 재생을 통한 도시 재생의 사례도시 비교분석”
    정규식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 정학보 제24집제4호 [2011]
  • “부산 EDC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의 전략과 과제“
    황종성 BDI(부산발전포럼) [2019]
  • “미국 수변개발관련 방법과 제도 고찰”
    김상근 한국토지법학회 [2017]
  • “문화공간으로서 도시수변공간의 성공을 결정짓는 5가지 도시디자인 요소에 대한 고찰“
    양도식 서울도시연구학회 [2007]
  • “도심수변공간의 공간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 공공공간 중심으로”
    김혜정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도시활성화를 위한 수변공간의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문지영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9]
  • “도시혁신 및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스마트시티 추진전략”
    4차산업혁명위원회 [2018]
  • “도시재생측면을 고려한 수변공간구성 연구”
    어정연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 획 제43권제4호 [2008]
  • “도시공간 속 수변개발(Waterfront)을 통한 도시재생의 사례 연구”
    문지영 대한건축 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7권제1호 [2007]
  • “도시 수변공간과 지속가능한 개발”
    최정희 대한건축학회지 제25권제1호 [2009]
  • “도시 수변공간 활성화에 관한 연구 : 통합적수변공간 디자인을 중심으로”
    김민경 중앙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도시 수변경관 형성을 위한 계획요소 적용방안 연구”
    조성우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 13권제6호 [2012]
  • “계획요소를 통한 대도시 수변공간 도시재생프로젝트의 비교분석”
    서은영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제47권제6호 [2012]
  • Wrenn.『Urban Waterfront Development』
    [1983]
  • T. 『Smart city as urban innovation : Focusing on management , policy and context』
    Tallinn , Estonia [2011]
  • R. 『Waterfront development : A strategicChoice forCities on water』
    [2006]
  • R. 『TheConcept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
    26 ( 1 ) : 1~24 . [1995]
  • Mr Les Banksand Mr FergusWilson , 『A Sustainability Enhancement Framework for the Dundee Central Waterfront Development』 ,
    [2007]
  • G. H. 『Tourism and Waterfront Renewal : Assessing Residential Perception in Newport , RI.』Ocean and Coastal Management
    Volume 26 , Number . 3 . Pages 179~203 [1995]
  • 4차산업혁명위원회 홈페이지(http://www.4th-ir.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