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신도시의 행정구역별 주거만족도와 주거정착에 관한 비교연구 : 경기도 광교신도시 내 수원시와 용인시를 중심으로

김윤희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신도시의 행정구역별 주거만족도와 주거정착에 관한 비교연구 : 경기도 광교신도시 내 수원시와 용인시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지역사회
  • 광교신도시
  • 신도시
  • 주거만족
  • 주거정착
  • 행정적 편의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32 0

0.0%

' 신도시의 행정구역별 주거만족도와 주거정착에 관한 비교연구 : 경기도 광교신도시 내 수원시와 용인시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통계청
    http://www.kostat.go.kr
  • 주택시장 수급체계 분석
    김정호 국토연구 88-4 [1988]
  •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조인숙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 정지은 전명진, “주거이동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주택 연구 제21권 2호
    권기현 Housing studies Review, Vol.21 No.2 [2013]
  • 세종시로의 주거이동 및 주거만족도 요인분석
    김부성 정재호 부동산 연구 제25집 4호 [2015]
  •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송지준 21세기사 [2010]
  • 국토교통부통계누리
    http://stat.molit.go.kr/portal/main/portalMain.do
  • 국토교통부
    http://www.molit.go.kr/
  • 국가통계포털(KOSIS)
    http://www.kosis.kr/
  •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 경기도시공사
    http://www.gico.or.kr
  • 直井 優外, 「日本社会新潮流」, (東京 : 東京大, 1993)
  • 優井 盛男, 「住宅造成工業建設」, (東京 : 現代史, 1971)
  • 『보도자료』
    국토교통부 [2019]
  • 「주거복지의 이해」
    이창석 형설출판사 [2008]
  • 「정책자료」
    국토교통부 [2017]
  • 「신도시개발정책의 과제와 전망」, 광교지구 나영 박상규,「사회과학분야 통계적 연구방법론의 이해」
    김진유 신영사 [2009]
  • 「신도시 개발편람」
    국토해양부 [2010]
  • 「수도권 1기신도시 도시성분석을위한 데이터베이스구축 및 지 표개발」
    윤정중 한국주택공사연구원 [2012]
  • 「부동산세미나」
    정재호 형설출판사 [2010]
  • 「부동산 복지의 이론」
    이창석 형설출판사 [2008]
  • 「구조방정식 분석방법」
    김병욱 킴스전략연구소 [2015]
  • 「광교신도시 최종보고서 」
    경기도시공사 [2008]
  • 「공공시설부지의 효율적 이동을 통한 1기신도시 관리방안」
    김중은 국 토정책Brief [2017]
  •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 청람, 박재규외,「광교신도시 개발계획의 성별영향평가, 경기도가족 여성연구 원」
    배병렬 2018 [2009]
  • 「 자료열람 」
    한국토지공사 [2004]
  •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종사자의 거주이전 결정요인 분석”
    노용석 한 국주택학회 [2017]
  • “택지개발사업구역내 도시지원시설용지의 계획과 공급을 위한 제도정비방안 연구”
    박현신 손동욱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2권 제3호 [2011]
  • “지속가능한 신도시개발을 위한 한국형 압축도시 모형 정립에 관한 연구”
    김찬호 우윤석 이창수 대한국토 도시계회학회지, 제42권 2호 [2007]
  • “주택재개발지구 재정착 주민의 주거안정 특성 분석”
    김태섭 하성규 한 국개발학회 제13권 3호 [2001]
  • “주택재개발사업특성이 주거재정착에 미치는 영향”
    박란주 이창석 한국 부동산학회 [2011]
  • “주택유형별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유형”
    오수철 목원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2016]
  •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원주민 재정착을 위한 요인분석 연구”
    김성연 서원석 양광식 최숭배 주택연구 제17권 3호 [2009]
  • “주거환경 개선사업의 만족도 및 재정착률 재고방안”
    신형락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2009]
  • “주거특성이 주거의 만족도와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병호 목원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5]
  • “주거이전 동기와 가족 구성원 간 영향력"
    김성진 강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5]
  • “주거이동과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부성 목원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2014]
  • “주거이동 가구의 주거소비행태 변화와 지역 주택가격의 영향”
    김준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8]
  • “주거만족도 요인구조와 주거복지정책 중요도 분석”
    제해득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6]
  • “외국의 신도시 개발정책”
    김준영 「토지연구」 제1권 제2호 [1995]
  • “아파트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공사비와 주거만족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양금식 창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 “아파트 주거문화의 특성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 아파트 주거의 확산요인을 중심으로”
    천현숙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2]
  • “아파트 주거만족도의 구성요소와 관련요인 분석”
    최용부 부산대학교 박 사학위 논문 [2005]
  • “신도시 주민의 주거만족 영향요인과 주거환경평가”
    장한두 한국도시설 계학회 학술대회발표 논문 [2010]
  • “신도시 건설의 과제와 바람직한 개발방향에 관한 소고”
    동훈 이재순 허재완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제43권 제4호 [2008]
  • “신도시 거주자의 아파트에 대한 주거가치가 주거만족과 고객충 성도에 미치는 영향”
    이무선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l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10 , pp.412~425 [2016]
  • “신도시 거주자의 계속 거주 의사 결정요인 분석”
    김성희 김용진 한국산 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5호 [2016]
  • “신도시 개발의 문제점과 제도개선 방안 연구”
    이재원 건국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9]
  • “신도시 개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정진영 경기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7]
  • “수도권 제1기 신도시에 대한 평가 및 향후 재편 방안”
    이현주 대한 국토도시계획학회 통권 제362 [2015]
  • “수도권 신도시거주자 주거만족도 비교 분석”
    이춘호 대한국토 도시계획 학회지 제36권 6호 [2001]
  • “수도권 신도시 개발의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김형선 경기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01]
  • “수도권 신도시 개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선 연세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수도권 도시특성에 따른 주거만족도 변화에 관한 연구”
    김상호 가천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소득계층별 주거만족도 분석”
    권영수 송종철 최완호 부동산경영 제16집 [2017]
  • “세종특별자치시 공동주택의 공급유형별 주거만족도와 주거정착 에 관한 연구”
    박은숙 목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
  •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 거주자들의 주거만족도와 거주의향에 관한 연구”
    우제택 전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7]
  •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 이동모형에 대한 출생코호트 접근과 해 석,”
    이정섭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7권 제1호 통권65호 [2011]
  • “산업단지 배후지역의 주거환경만족과 주거정착에 관한 연구"
    조나경 목 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7]
  • “사회적 자본과 공동체의식이 주거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
    박성복 서울 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발표 [2018]
  • “블록형 집합주택의 정착화 방안 연구”
    정일성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07]
  • “민원행정서비스의 상대적 효율성 측정에 관한 논문”
    김미선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2009]
  • “민원행정서비스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조상명 서울시립대학교 박사논 문 [2011]
  • “도시재생에 따른 주거재정착 결정요인 분석”
    임하경 장원호 최열 대한토 목학회논문집, 제29권 제3D호 [2009]
  • “대구 도심의 주거환경만족도와 거주의향 분석”
    김한수 송흥수 임준홍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ol.26 No.5 [2015]
  • “다가구 매입 임대주택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문완식 건국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5]
  • “내포신도시 주변 도심 거주자의 주거환경 만족도와 주거이동 성 향 분석”
    임준홍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6권 제5호 [2014]
  •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비정규직 건설 근로자의 개인적 요인 과 조직적 요인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희창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공무원서비스 교육 훈련이 교육만족과 민원행정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허대중 제주대학교 박사논문 [2005]
  • “공동주택의 효율적 관리가 주거만족도 및 투자가치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조하형 경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 “공공아파트 입주민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이상호 국민대학교 박 사학위 논문 [2004]
  • “공공분양주택과 임대주택 입주자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 구”
    권치흥 김주영 한국거주환경학회지 제10권 3호 [2012]
  • “계획적 특성에 기초한 세종시 첫 마을 거주자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천용희 충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 “거주자의 주거가치를 고려한 아파트특성에 관한 연구”
    유영신 연세대학 교 박사학위 논문 [2002]
  • “가중치를 부여한 아파트의 주거만족도 분석”
    최용부 한국행정학보 Vol.38 No.6 [2004]
  • “2기신도시의 평가에 관한 연구”
    김현수 전국지역개발학회지, 제19권 제 4호 [2007]
  • “2기신도시 입주민들의 이주요인”
    김유훈 지리학논총, 제59.60호 [2014]
  • Toward an Understanding of Community SatisfactionMetropolitan America in Contemporary Perspective
    [1975]
  •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 Perception Evaluation and Satisfaction
    [1976]
  • Some source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in an urban slum
    27 ( 4 ) [1961]
  • New Towns in BritainPlanning Metropolitan Areas and New Towns
    [1967]
  • New Planing : Principles and Practice
    [1976]
  • Life Cycle and Housing Adjustment as Explanations of Residential Mobility
    Vol . 20 , [1993]
  •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1977]
  • Housing Mobility and Location Choice : A Review of the Literature Impact of Transit Led Development in a New Raid Corridor
    [2006]
  • Chapter : Perceived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 Some methodological issues
    [1976]
  • AMOS 18.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김계수 한나래아카데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