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韓國語 反復表現에 對한 硏究 = Study on Repeated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최순희 2020년
논문상세정보
' 韓國語 反復表現에 對한 硏究 = Study on Repeated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기능
  • 동질성
  • 반복표현
  • 반응어
  • 의미 변화
  • 의미연상
  • 자극어
  • 환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07 0

0.0%

' 韓國語 反復表現에 對한 硏究 = Study on Repeated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의 참고문헌

  • 온라인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 온라인 우리말샘 https://opendict.korean.go.kr
  • 뜨엉,「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반복어 대조 연구」
    원빈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현대 우리말의 형태론』
    한길 역락 [2006]
  • 『한국어의 격과 의미역: 명사구의 문법기능 획득론』
    김의수 태학사 [2006]
  • 『우리말의 부정 표현을 가려잡는 낱말』
    한길 역락 [2018]
  • 『우리말의 낱말 생성 되풀이법 연구』
    한길 강원대학교 출판부 [2009]
  • 『국어 의미론』
    임지룡 탑출판사 [2014]
  • 『국어 단어의 형태와 통사』
    최형용 태학사 [2003]
  • 「환유의 인지적 의미특성」
    임지룡 『국어교육연구』27, 국어교육학회, pp.223-254 [1995]
  • 「혼종반복어의 화용적 분석」
    이성법 『담화와인지』15, 담화 인지언어학회,pp.101-120 [2008]
  • 「형용사 반복구성」
    송재목 『국어학』 Vol.42 No.-, 국어학회, pp.27-52 [2003]
  • 「형용사 반복 구성에 대한 연구」
    변정민 『새국어교육』85, 한국국어교육학회. pp.475-494 [2010]
  • 「형식의미론과 심리의미론의 비교연구」
    권경원 『논문집』23, 牧園大學校,pp.103-120 [1993]
  • 「현대국어의 반복복합어 연구」
    이건식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 「현대국어 흉내말의 연구」
    박동근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 「현대국어 의성의태어의 형태와 음운 연구」
    손달임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현대 국어의 분절 잉여성에 대하여」
    오종갑 『한민족어문학』4, 한민족어문학회, pp.123-138 [1977]
  • 「헝가리어 ‘동사성’ 파생명사와 한국어 ‘한자어+하다’의 명사형 대응에 대한 조어론적 고찰」
    박소영 『언어와 언어학』41,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 구소, pp.57-74 [2008]
  • 「합성어 형성과 음운현상」
    김영선 『국어국문학』10,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pp.251-265 [1990]
  • 「한자어 반복의 형성 방식」
    곽유석 『語文硏究』제45권 제4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pp.185-212 [2017]
  • 「한국어의미론과 인지심리학의 접점 및 전망」
    임지룡 『어문연구』79, 어문연구학회, pp.81-115 [2014]
  • 「한국어와 중국어의 반복어 대조 연구」
    전락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한국어와 중국어 반복형 의태어의 구성 원리 대조 연구」
    리니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한국어와 일본어의 반복표현 대조연구」
    유예진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한국어 흉내말의 관련어망 설계를위한 기초 연구」
    박동근 『泮橋語文硏究』35, 반교어문학회, pp.165-193 [2013]
  • 「한국어 형용사 반복 구문」
    송재목 『국제학술회의 논문집』Vol.- No.1, 국립국어연구원, pp.359-373 [2002]
  • 「한국어 학습자의 반복 표현 연구」
    강터거스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한국어 첩어의 언어유형론적 연구」
    우정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9]
  • 「한국어 종결어미의 반복 순서 제약과 인칭의 문제」
    목정수 『語文論集』37, 중앙어문학회, pp.69-88 [2007]
  • 「한국어 재귀사의 조응 현상 연구」
    강신명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한국어 재귀사 ‘자기, 자신’과 중국어 재귀사 ‘自己’의 대조 연구」
    이선웅 팽윤주 『泮橋語文硏究』40, 반교어문학회, pp.207-236 [2015]
  • 「한국어 이중피동구문의 핵어문법적 분석」
    박희문 『언어연구』25권3호, 한 국현대언어학회, pp.553-574 [2009]
  • 「한국어 반복구성 연구」
    이수연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한국어 반복 구문 연구」
    진관초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한국어 동사 반복 구문 분석」
    박소영 『한국어학』 Vol.80 No.-, 한국어학회, pp.87-124 [2018]
  • 「한국어 대용어 교육 연구」
    이은영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한국어 담화에 나타난 반복표현 연구: 유형, 분포 및 기능」
    전영옥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반복 구성 연구」
    승종경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한국어 격률 위반 실현 양상에 대한 연구」
    송민하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한국 중첩 한자어부사와 동형 중국어의 의미비교」
    왕단단 『인문과학연 구』Vol.33 No.-,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p.103-126 [2012]
  • 「한 태 동의중복 현상 대조 연구」
    카라넷수피차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16]
  • 「한 중 중첩어의 대조와 교육 방안 연구」
    피뢰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한 중 일의 동의중복형상 고찰」
    바이루 ,『아시아문화연구』Vol.29 No.-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pp.87-115 [2013]
  • 「한 중 반복어 대조분석 및 교육 방안 연구」
    허기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12]
  • 「한 중 반복어 대조 연구」
    서징흠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한 중 AABB형 첩어 형태의 대조 연구」
    우정 『인문과학연구』Vol.55No.-, pp.49-72 [2017]
  • 「학교문법에서의 ‘잉여적 표현’의 처리에 대하여」
    나찬연 『언어연구』2,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p.31-51 [1998]
  • 「프랑스어의 연상 대용 현상에 관한 연구」
    김서영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청각장애 학생의 단어연상반응 의미 구조 분석」,『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13
    김지숙 이윤선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pp.129-151 [2012]
  • 「첩어의미 연구」
    이영길 『영어영문학연구』제30권 제2호, 대한영어영문학회, pp.275-297 [2004]
  • 「지칭의 대용어 이론과 이에 대한 비판들」
    이병덕 『논리연구』18, 한국논리학회, pp.217-243 [2015]
  • 「중첩현상과 제약상충」
    서정민 안수영 『논문집』13, 동신대학교 pp.341-363 [2003]
  • 「중첩의 두 유형」
    송정근 『한국어 의미학』 33, 한국어의미학, pp.131-152 [2010]
  • 「중세국어의 의도성 연결어미 연구」
    고은숙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단어 연상 의미의 양사 연구」
    조문비 중앙대학교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잉여적 표현 고찰」
    김순길 『國際言語文學』 31, 國際言語文學會, pp.27-46 [2015]
  • 「중고시기 이중부정문 연구-국조 분석을 중심으로-」
    현성준 『중어중문학』65, 한국중어중문학회, pp.113-129 [2016]
  • 「조사 ‘에, 에서’의 공간의미 연구」
    최윤 최홍열 『용봉인문논총』53,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pp.253-276 [2018]
  • 「접속부사 ‘그러나’의 의미」
    진지연 『한국어 의미학』18, 한국어의미학회, pp.23-48 [2005]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어 연상 의미 구조 연구」
    신재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의사소통에서 나타나는 함축 표현의 효과」
    이찬규 『語文硏究』3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pp.33-56 [2005]
  • 「의미중복 표현의 출현과 어휘 구문 습득」
    안소진 『국어학』72, 국어학회, pp.265-288 [2014]
  • 「의미의 선명화를 위한 영상언어로서 잉여성 활용」
    김헌 이진영 『디자인지식저널』27, 한국디자인지식학회, pp.217-226 [2013]
  • 「의미 투명성과 관련한 국어의 세 현상에 대하여」
    김정남 『국어국문학』51,국어국문학회, pp.1-23 [2007]
  • 「의미 중복 표현에 대한 한국어-루마니아어 비교연구」
    엄태현 『동유럽발칸 연구』25,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pp.77-106 [2010]
  • 「영어의 중복표현 소고」
    조준학 『영어영문학』39, 한국영어영문학회,pp.395-412 [1993]
  • 「영어의 대용어에 관한 연구」
    윤석화 『영어영문학연구』19, 대한영어영문학회, pp.299-322 [1995]
  • 「영어와 한국어의 중복표현에 관한 화용론적 고찰」
    조준학 『어학연구』29,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pp.1-20 [1993]
  • 「영어 모국어 화자의 한국어 대용어 해석에 나타나는 담화의존도 연구」
    김수연 옥성수 『인문연구』85,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p.93-122 [2018]
  • 「영어 대용어의 이해와 독해력과의 관계 연구」
    이전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연상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의미 교육 연구」
    김은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연상에 의한 국어의 의미집단에 대한 연구」
    이용수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7]
  • 「연상어휘의 의미구조(2)」
    이인섭 『어문논집』24, 안암어문학회, pp.413-430 [1985]
  • 「연상어휘의 의미구조(1)」
    이인섭 『先淸語文』11,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pp.387-395 [1981]
  • 「연상어휘 의미관계 고찰」
    정성미 『다문화콘텐츠연구』12,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출연구원, pp.257-284 [2012]
  • 「어휘의 의미적인 반응에 대한 연구」
    정옥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69]
  • 「어휘 의미관계의 발현과 규범화에 대하여」
    이동혁 『우리말연구』29, 우리말학회, pp.125-151 [2011]
  • 「어미의 반복 사용에 의한 복합구성 연구」
    김연희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어미 반복형태의 문법구성화 연구」
    서희정 『새국어교육』Vol.0 No.79, 한국국어교육학회, pp.129-152 [2008]
  • 「심리언어학의 발전과 양상에 관한 연구」
    민춘식 『논문집』7, 상지대학교,pp.115-133 [1986]
  • 「시사 토론에 나타나는 반복 유형과 기능 연구-타인 발화 반복을 중심으로」
    이현주 『화법연구』Vol.20 No.-, 한국화법학회, pp.335-364 [2012]
  • 「손창섭 단편소설의 반복 구조 연구」
    김현경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5]
  • 「소위 이중피동문에 대하여」
    전영철 『언어학』52,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pp.79-101 [2008]
  • 「세일즈 프로모션 언어의 잉여성에 관한 연구」
    김운한 『논문집』9, 공주영 상정보대학, pp.415-426 [2002]
  • 「불완전명사<것>의 대용적 기능에 대하여」
    려춘연 『중국조선어문』3. pp.21-26 [2004]
  • 「부정어의 잉여성」
    윤재학 『언어학연구』21, 한국중원언어학회, pp.229-254 [2011]
  • 「복합어 구성 요소의 의미 관계에 대하여」
    최형용 『국어학』70, 국어학회,pp.85-115 [2014]
  • 「반복형 접속어미 연구」
    배유미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반복의 기능동사와 반복의 다양한 형태」
    임정혜 『한국프랑스학논집』 Vol.89 No.-, 한국프랑스학회, pp.163-182 [2015]
  • 「반복과 함축에 의한 상징적 표현 연구」
    이나은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반복 합성 의성 의태 부사의 말뭉치 빈도 연구」
    고경태 『우리어문연구』35집, 우리어문학회, pp.137-160 [2009]
  • 「반복 유형의 체계적 분류를 위하여」
    노은희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논문집』63, 한국어교육학회, pp.29-52 [1997]
  • 「문법적 연어와 문법화의 관계」
    임근석 『국어학』51, 국어학회, pp.115-147 [2008]
  • 「명사 구성 합성어의 조어적 의미 연구」
    김숙정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러시아어와 한국어에서 동적 상황의 ‘반복 의미’ 실현에 관한 고찰」
    문성원 『슬라브학보』12,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pp.275-305 [1997]
  • 「러시아어 조어적 동의어 명명과정 연구」
    이용권 『노어노문학』24, 한국노어문학회, pp.37-62 [2012]
  • 「뜻바탕되풀이표현의 설정」,『우리말연구』14, 우리말학회, pp.153-169. 노명희(2006),「국어 한자어와 고유어의 동의중복 현상」
    나찬연 『국어학』48, 국어학회,pp.259-288 [2004]
  • 「동일어 국어 대용화 현상의 통사적 분석」
    유성렬 『독일어문학』16, 한국독 일어문학회, pp.259-289 [2001]
  • 「동일 연결어미 반복 구성의 문법범주와 의미」
    한명주 『언어와 정보 사 회』24,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pp.159-190 [2015]
  • 「동일 어미 반복 구문의 통사와 의미」
    김정남 『이중언어학』34, 이중언어학회, pp.49-75 [2007]
  • 「동의중첩에 의한 단어형성 연구」
    조현용 『어문연구』24, 한국어문교육연구회, pp.125-139 [1996]
  • 「동의중첩어의 구조」
    유구상 『어문논집』17, 안암어문학회, pp.115-135 [1976]
  • 「동의중복어의 구조」
    이재인 『배달말』Vol.25 No.1, 배달말학회 pp.27-37 [1999]
  • 「동의 중첩 현상에 대한 연구」
    이석주 『국어교육』122, 한국어교육학회, pp.385-406 [2007]
  • 「대화의 격률 위반 비효율적 의사소통과 유머」
    김정아 『인문언어』14, 국제언어인문학회, pp.155-180 [2012]
  • 「대용사의 형태구조적 분석을 통한 SE대용사와 SELF대용사 비교 연구」
    박강희 『國際言語文學』32, 국제언어문학회, pp.263-281 [2015]
  • 「대용사에 관한 통사론적 연구」
    전미혜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 「단어의 연상적 의미의 지도 방법과 내용」
    이종철 『국어교육학연구』6, 국어교육학회, pp.137-155 [1996]
  • 「국어의미구조의 분석적 연구」
    천시권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79]
  • 「국어의 중복 표현에 대한 화자의 의도 고찰」
    김혜지 『국어학』75, 국어학회, pp.373-404 [2015]
  • 「국어의 어미 중첩 구성 연구」
    김유권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0]
  • 「국어의 반복표현」
    장석진 『말』6, 서울국제언어학회, pp.89-122 [1981]
  • 「국어의 동의중복현상에 대하여」
    신재기 『논문집』3, 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 pp.1-16 [1971]
  • 「국어대립어의 연상의미에 대한 조사 연구」
    윤기정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90]
  • 「국어 합성어의 구조와 형성 연구」
    김일병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 「국어 파생 사동사의 통시적 연구」
    김형배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 「국어 통합합성어 형성 원리 연구」
    김혜미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국어 첩어의 연구」
    김성옥 淑明女子大學校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4]
  • 「국어 중복 표현의 유형과 의미 구조의 특성」
    최재희 『국어학』36, 국어학회, pp.401-426 [2000]
  • 「국어 중복 표현의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김상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국어 의미 중복 표현 연구」
    이은애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국어 연결어미의 종결어미화 연구」
    전영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국어 어휘의 동의중복 현상 연구」
    엄영섭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 「국어 부정문 연구」
    구종남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 「국어 반복 복합어에 대한 여구」
    윤은경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국어 동의중복 현상」
    노명희 『국어학』54, 국어학회, pp.275-302 [2009]
  • 「국어 대용어의 특성과 기능」
    양명희 『국어학』 24, 국어학회, pp.259-289 [1994]
  • 「국어 담화의 연결 표지-완형 표현의 반복」
    이기갑 『담화와 인지』13, 담화-인지언어학회, pp.133-158 [2006]
  • 「과제 유형에 따른 학습자 언어의 변이 연구: 대용어의 기능을 중심으로」
    정소아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계열적 의미관계의 특성과 연구 목표-유의 및 반의관계를 중심으로-」
    최경봉 『한국어학』49, 한국어학회, pp.65-90 [2010]
  • 「겹말의 의미와 생성에 대하여」
    이동석 『우리어문연구』41, 우리어문학회,pp.225-258 [2011]
  • 「겹말에 대한 통시적 연구」
    이동석 『어문논집』66, 민족어문학회,pp.213-236 [2012]
  • 「결속이론에서의 대용어 연구」
    손장진 『영어영문학』8, 圓光大學校 師範大學 外國語敎育學會, pp.107-145 [1993]
  • 「英語에 있어 反復과 强意的 表現」
    김주현 『논문집』3, 청주대학교,pp.119-134 [1960]
  • 「國語 冗語法의 硏究」
    김규선 『논문집』10, 대구교육대학교, pp.141-154 [1974]
  • 「‘家族’ 單語의 聯想意味 硏究」
    이유미 이찬규 『국어학』50, 국어학회, pp.295-328 [2007]
  • 「HPSG에 기반한 한국어 문장간 서술대용어의 복원」
    김정해 『논문집』27,가톨릭상지전문대학, pp.287-300 [1997]
  • 「GPSG이론에서의 대용어 연구」
    손장진 『語文學硏究』3, 又石大學校 語學硏究所, pp.217-251 [1999]
  • 「17세기 첩용부사의 형태적 특성과 의미적 기능」
    김훈태 『語文硏究』Vol.40No.1, 한국어문교육연구회, pp.57-83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