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단기 협의이혼상담 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Short-Term Counseling Model for a Divorce by Consent

임향빈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단기 협의이혼상담 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Short-Term Counseling Model for a Divorce by Consent'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unseling for a divorce by consent
  • developing a model
  • short-term counseling
  • 단기상담
  • 모형 개발
  • 협의이혼상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5 0

0.0%

' 단기 협의이혼상담 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Short-Term Counseling Model for a Divorce by Consent' 의 참고문헌

  • 효과적인 단회기 협의이혼 상담프로그램의 모색
    손영란 상담학 연구: 사례 및 실제. 2(2), 69-89 [2017]
  • 협의이혼제도의 운용실태 및 개선방안. 젠더리뷰
    박복순 여름호, 100- 104 [2011]
  • 협의이혼제도의 운용실태 및 개선방안
    박복순 박선영 신연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 협의이혼제도의 개선방안. 석사학위논문
    표형근 공주대학교 대학 원 [2006]
  • 협의이혼제도개선의 필요성
    김삼화 가사조정. 8, 54-59 [2006]
  • 협의이혼의 원인과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신정옥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 협의이혼에 관련된 법적 제 문제
    강영기 의정부지방법원 내부자 료. 1-15 [2016]
  • 협의이혼상담 사례연구: 변화유발요인과 효과탐색
    김수연 원성희 전영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2), 67-91 [2009]
  • 협의이혼과정에서의 상담서비스 제도화 방안. 숙명여자대 학교 교육대학원
    김지현 석사학위논문 [2009]
  • 협의이혼 청구자와 기혼자의 성별에 따른 자기분화 및 신 체증상
    전영주 상담학연구. 9(1), 307-318 [2008]
  • 협의이혼 전 상담의 시범실시에 관하여
    이강원 서울가정법원 가사상담제도 법률 강의 [2005]
  • 협의이혼 숙려기간 중 상담을 통한 철회 경험에 관한 현 상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김희정 중앙신학대학원대학교 [2015]
  • 협의이혼 상담위원 간담회 자료.
    의정부지방법원 의정부지방법원 협의이혼 상담위원 간담회 자료 [2017]
  • 협의이혼 과정에서 비양육 부모의 부모역할 수행 에 관한 인식 실태조사 연구
    강은숙 이희연 정서ㆍ행동장애연구. 30(1), 149- 162 [2014]
  • 행복수업: 소중한 인생을 함께 하기 위한 가트맨식 부부 감정코칭
    최성애 서울: 해냄출판사 [2010]
  • 해결중심상담의 변화기제로서 해결대화의 역할에 대한 미 시분석
    최중진 가족과 가족치료. 27(1), 102-123 [2019]
  • 학교장면에서의 단기상담: 대학장면. 대학생활연구, 9, 63-79
    최혜림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991]
  • 초등학생을 위한 해결중심 단기상담 모형의 개발과 효과. 박사학위논문
    임승자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5]
  • 체계론적 가족치료 통합모델의 적용
    이남옥 가족과 상담. 1(1), 1-22 [2011]
  • 청소년상담
    김춘경 이수연 최웅용 서울: 학지사 [2010]
  • 전배우자에 대한 애착, 부모역할 보상과 비용이 이혼한 부모의 협력적 부모역할에 미치는 영향
    김영희 한경혜 한국가족관계학회 지. 9(3), 201 -217 [2004]
  • 장경선, 한영신 놀이치료자의 부모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유미숙 상담학연구. 14(2), 951-971 [2013]
  • 인천가정법원 가사상담위원 매뉴얼
    안영길 인천: 인천가정법원 [2016]
  • 인구동향조사
    통계청 kostat.go.kr [2016]
  • 인구동향조사
    통계청 kostat.go.kr [2018]
  •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권중돈 김동배 서울: 학지사 [2000]
  • 인간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방암 환자에게 미치 는 효과-자아존중감, 우울, 불안, 삶의 질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 문
    원희랑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09]
  • 이혼증가에 대한 사회복지지적 접근방법
    방성수 장보임 한국복 지행정논총. 13(1), 159-175 [2003]
  • 이혼위기에 있는 결혼초기 부부에 대한 부부치료 사례연구
    김태환 김혜선 박태영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3), 93-114 [2009]
  • 이혼위기 부부를 위한 문제해결 단기상담프로그램 의 개발
    박성주 박재황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1), 47-73 [2011]
  • 이혼원인에 대한 협의이혼 청구자의 지각 및 성차
    전영주 한국 가족치료학회지. 14(1), 1-19 [2006]
  • 이혼숙려기간 및 이혼 전 상담제도화
    곽배희 가사조정. 8, 11-28 [2006]
  • 이혼숙려 부부들을 위한 상담프로그램모형 모형 개발
    유계숙 최성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2), 57-92 [2005]
  • 이혼경험에 대한 질적분 석-부모의 경험과 부모자녀 관계를 중심으로
    금명자 김수리 유정이 이지은 이호준 한국심리학회지: 상 담 및 심리치료. 18(1), 157-176 [2006]
  • 이혼가정 가족관계 재구성을 위한 가사상담 활성화에 관 한 연구 -협의이혼과 재판상이혼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현경 배재 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 이혼 후 적응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김득성 문현숙 대한가정학회 지. 38(3), 99-120 [2000]
  • 이혼 전ㆍ후 가족상담 운영 모형 및 전략 에 관한 연구
    유계숙 장보현 한지숙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2), 57-92 [2006]
  • 이혼 전 상담의 임상적 쟁점에 대한 고찰
    전영주 상담학연구. 6(1), 245-260 [2005]
  • 이혼 소송 중에 있는 가정폭력부부의 결혼만족도 증진을 위한 현실치료 부부상담 사례연구
    류도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2), 23-49 [2013]
  • 의정부지방법원 협의이혼 절차 안내 및 기초면담 가이드
    의정부지방법원 2019.12.26 [2019]
  • 유정이, 이호준, 이지은, 김수리 이혼과정 경험에 대한 질 적연구: 부모역할과 부모자녀 관계를 중심으로
    금명자 서울: 한국청소년상 담원 [2004]
  • 유금란 고등학교상담자의 상실상담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윤운영 상담학연구. 20(3), 121-140 [2019]
  • 우리나라 협의이혼제도에 관한 연구
    방혜신 법학논총. 28, 464 [2004]
  • 외도로 인한 이혼위기의 부부상담: 사례연구
    윤경자 한국가족치 료학회지. 23(1), 55-88 [2015]
  • 외국사법제도연구(24): 각국의 소송구조제 도에 관한 연구
    대법원사법정책연구원 일산: 사법정책연구원 [2019]
  • 아내의 대상관계에 근거한 부부갈등 변화과정에 대한 연 구. 박사학위논문
    김명애 백석대학교 대학원 [2012]
  • 심리상담의 이해와 대상중심 가족치료의 실제
    임향빈 서울: 북 랩 [2014]
  • 스트레스의 핸드북
    신경희 서울: 씨 아이 알 [2017]
  • 상담의 원리와 기술
    노안영 송현종 서울: 학지사 [2007]
  • 상담심리학의 기초
    이장호 정남운 조성호 서울: 학지사 [2008]
  • 상담분야의 CQR 연구동향-2001~2010년 상담관 련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오혜영 지승희 상담학연구. 14(4), 2327- 2349 [2013]
  • 상담면접의 기초
    김환 이장호 서울: 학지사 [2009]
  • 상담과 심리치료
    강진령 파주: 양서원 [2013]
  • 빈곤여성가구주의 탈빈곤 체험에 관한 질적연구: 자활공동 체 참여자 중심으로
    임향빈 한국불교상담학회지. 5(1), 65-91 [2013]
  • 빈곤가구의 심리적 디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강병철 하경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7(2), 115-137 [2013]
  • 부모 이혼에 대한 아동기 자녀의 경험-지 역사회복지관 이혼가족 자녀 집단 프로그램 참여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2(2), 173-204. 의정부지방법원. 기초면담 및 후견프로그램 실시현황 및 만족도
    김희수 양혜원 전명희 내부자료. 2017.6. 27 [2014]
  • 반응적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의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신용주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2(3), 47-72 [2009]
  • 문제해결 단기상담 프로그램이 이혼위기 부부의 문제해결능력, 결혼불만족도 및 실제이혼에 미치는 효과
    박성주 박재황 상담학연 구. 9(4), 1819 -1834 [2008]
  • 모신
    임종렬 서울: 한국가족복지연구소 [2002]
  • 대상중심이론 가족상담
    임종렬 서울: 한국가족복지연구소 [2001]
  • 단기상담의 주요 특징과 접근방법. 대학생활연구, 9. 5-22
    이장호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991]
  • 단기상담의 이해와 실제
    임향빈 서울: 북랩 [2018]
  • 단기상담. 학생연구, 25, 98-114
    김계현 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 구소 [1990]
  • 단기상담 훈련프로그램이 청소년 동반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김관석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1]
  • 단기부부상담모형의 개발과 적용. 박사학위논문
    류은영 경상대학 교 교육대학원 [2016]
  • 놀이치료자의 알아차림 경험분석에 관한 합의적 질적(CQR) 연구
    김광응 박현숙 한영신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7(3), 283-311 [2014]
  • 네이버 지식백과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상담학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 [2016]
  • 근거이론을 적용한 이혼소송과정 분석
    김요안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2), 559-583 [2009]
  • 교육평가용어사전
    한국교육평가학회 서울: 학지사 [2004]
  • 가족치료이론
    김용태 서울: 학지사 [2009]
  • 가족치료를 통해 본 부부갈등 및 이혼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문정화 박태영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1), 23-49 [2013]
  • 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김유숙 서울: 학지사 [2005]
  • 가족과 가족치료
    송성자 법문사 [2005]
  • 가족갈등 문제를 가진 빈곤여성가구주의 변화과정 연구: 대상중심 가족치료를 적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임향빈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2(2), 97-130 [2014]
  • 가정법원 50년 史
    서울가정법원 서울: 서울가정법원 [2013]
  • 가사사건의 상담제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사법 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5-16 [2015]
  • 가사사건의 상담제도 발전방안에 관한 연 구
    대법원사법정책연구원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5-16 [2015]
  • Understanding Reality Therapy
    [1991]
  • Treating divorce in family therapy practice . In A. S. German & D. P. Kniskern ( Eds . ) , Handbook of Family Therapy
    Vol [1991]
  • Trauma and recovery
    [1992]
  • Time-Limited Psychotherapy, Cambridge
    Mann, J. MA: Harvard University Press. 박영숙, 이근후 역 (1993). 12회 면담 한시적 정신치료. 서울: 하나의학사 [1973]
  • Therapeutic communication
    [1993]
  • Theory and practice of brief therapy
    [1988]
  • The practice of brief psychotherapy. New York: Wiley. 권석만, 김정욱, 문형춘, 신희천 역 (2006). 단기심 리치료
    Garfield, S. L. 서울: 학지사 [1998]
  • The grief resolution process in divorce
    7 , 3-18 [1983]
  • The choice therapy : A new psychology of personal freedom
    [1998]
  • The childhood emotional pattern. Van Nostrand Reinhold Co. 이근후ㆍ박영숙ㆍ문홍세 역 (1999). 아동기 감정양 식
    Saul, L. 서울: 하나의학사 [1977]
  • The Divorce and divorce therapy handbook
    [1989]
  • The Creative Connection: Expressive Art as Healing
    Natalie, R. Behavior Books. 이정명, 전미역 공역 (2010). 인간중심 표현예술치료: 창조적 연결. 서울: 시그마프레스(1993) [1993]
  • The Counseling experience
    [1982]
  • The Battered Woman
    [1979]
  • Thase ME. (2006). Learni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김정민 역 (2009). 인지행동치료
    Basco MR Wright JH 서울: 학지 사 [2006]
  • THE effects of counselor self-disclosure : A research review
    18 , 477-500 [1990]
  • Surviving the breakup : how children and parents cope with divorce
    [1980]
  •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andChildren who live apart : The father 's role after separation
    53 ( 1 ) , 79-102 [1991]
  • Psychodynamically Based Psychotherapy. New York: Science House. 이근후ㆍ최종진ㆍ박영숙 역 (1992). 정신역동적 정신치료
    Saul, L. 서울: 하나의학사 [1972]
  • Psychoanalytic object relations therapy
    [1982]
  • Psychoanalytic Therapy : Principles and application
    [1946]
  • Projective identification and psychotherapeutic technique
    [1982]
  • On the resuctance to communicate undesirable information : The MUM effect
    33 , 253 -263 . [1970]
  • Object Relations Therapy
    [1988]
  • Norton. 이영희, 고향자, 김해란, 김수형 공역 대상관계치 료
    서울: 학지사 [2007]
  • Meternal acceptance an consistency of discipline as buffers of divorce stressors on children 's psychologycal adjustment problems
    28 ( 1 ) , 87- 102 [2000]
  • Learning Emotion-Focused Therapy
    [2005]
  • Introduction to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 In C. E. Hill ( Ed ) ,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 A Practical Resource for Investigating Social Science Phenomena
    pp . 3-20 [2012]
  • Introduction : divorce therapy . In K. H. Srenkle ( Eds )
    [1985]
  • Interviewing strategies for helpers ( 3rd ed. )
    [1991]
  • Interparental conflict and post divorce adjustment
    [1991]
  • Intensive short-term dynamic psychotherapy. Stylus Pub Llc. 김영란, 김준형, 백지연, 원희랑, 주혜명 역 (2009). 집중적 단기정신역동치료
    Selva, P. C. D. 서울: 학지사( 2004) [2004]
  • Individual treatment in divorce therapy : A critique of an assumption
    5 , 87-97 [1982]
  • ImmediacyHelping skills : Facilitating exploration , insight , and action , 2nd ed.
    pp . 283-297 [2004]
  • Freud and beyond : a history of modern psychoanalytic thought. HarperCollins Publishers. 이재훈, 이해리 역 (2002). 프로이트 이후-현대정신분 석학
    Margaret, J. B. Mitchell, S. A.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6]
  • Family Therapy : Concepts and Methods
    Fourth Edition [1998]
  • Family Evaluation : An Approach Based on Bowen Theory
    [1988]
  • Dysfunctional marital conflict and everyday marital interaction
    43 , 63-78 [2005]
  • Divorce therapy outcome research : A substantive and methodological review
    9 , 239-258 [1983]
  • Divorce : An evolutionary process of change in the family system
    7 , 21-39 [1984]
  • Connecting the lab to the therapy room : Microanalysis , Coconstruction , and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in C. Franklin , T. S. Trepper , W. J. Gingerich , & E. E. McCollum ,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 A handbook of evidence-based practice
    pp . 144-162 [2012]
  • Coming full cycle : Reentry after the group
    15 , 130-131 [1990]
  • Clues : Investingating solutions in brief therapy
    [1988]
  • Children 's adjustments to divorce ; Theories , hypotheses and empirical support
    55 ( 1 ) . 23-38 [1993]
  • Caught in the Middle : Protecting the children of high-conflict divorce
    [1994]
  • Brief psychotherapy methods in clinical research
    54 ( 1 ) , 60-67 [1986]
  • An appraisal of selection criteria for dynamic psychotherapies and implications for setting time limits
    50 , 154-166 [1987]
  • ACT를 기반으로 한 직장인 스트레스 관리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왕은자 전민아 상담학연구. 15(4), 1403-1424 [2014]
  • A re-evaluation of psychiatric helf when divorce impends
    126 , 57-64 [1969]
  • 2018년도 협의이혼 기초면담 및 후견프로그램 운 영지침.
    의정부지방법원 의정부지방법원 2018년도 협의이혼 기초면담 및 후견프로그램 운 영지침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