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누리과정 지도 중점서를 근거한 교사의 창의성 교육 요구도 분석 : 만5세 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eds of Creative Education in Teachers Based on the Intensive Textbook of Nuri Program

김리겸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누리과정 지도 중점서를 근거한 교사의 창의성 교육 요구도 분석 : 만5세 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eds of Creative Education in Teachers Based on the Intensive Textbook of Nuri Program'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육요구도
  • 유아 창의성
  • 창의성 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74 0

0.0%

' 누리과정 지도 중점서를 근거한 교사의 창의성 교육 요구도 분석 : 만5세 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eds of Creative Education in Teachers Based on the Intensive Textbook of Nuri Program' 의 참고문헌

  • 한국판 'ECCPQ' 타당화 및 유아교사가 인식 한 유아 창의성 교육의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 분석
    이인화 한기순 유아교 육연구, 36(5), 213-233 [2016]
  • 학교현장에서의 도덕과교육 활성화 방안(1); 실천 지향의 인성개념 탐구
    이철주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학술회, 2014(1), 79-98 [2014]
  • 학교 다문화교육 정책의 한계와 개선 방향
    박지현 충남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컨설팅 체제 구축 연구
    조난심 한국 교육개발원 [2010]
  • 프로젝트 접근법 활용 유아 창의성교육 프 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서현아 하순련 창의력교육연구, 16(3), 17-34 [2016]
  • 표준보육과정의 구체적 보육내용 및 교사지침
    여성가족부 서울: 여성가족부 [2007]
  • 표준 국어 대사전. 우리말 샘.
    국립국어원 www.korean.go.kr [2019]
  • 통합 창의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 에 미치는 영향
    김진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통계청 https:// kostat.go.kr. 국내통계/ 연령별 영유아 현 황
    보육아동현황. 2019. 10. 08 [2019]
  • 초등학교 초임 교사의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요구 분석
    권혁운 초등교육연구, 24(2), 115-134 [2011]
  •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환경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역량의 매개효과와 직급간 다집단 분석
    김누리 안도희 한 국 교원교육연구, 31(4), 251-274 [2014]
  • 초등 교수역량요소 도출 및 예비초등교사와 초 등교사 간 교수역량 인식비교
    나일주 진성희 초등교육연구, 22(1), 343-368 [2009]
  • 창의환경검사(CE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미숙 최예솔 한국교육, 41(3), 61-88 [2014]
  •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중등학교 교실수업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
    김현미 이광우 조난심 열린교육연구, 21(4), 1-21 [2013]
  • 창의적 문제해결(GPS) 모형에 기초한 유아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백승선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창의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노영희 한국유 아교육연구, 9(2007), 163-181 [2007]
  • 창의성교육의 이론과 실제
    전경원 서울: 창지사 [2006]
  •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과 유아의 창의 성
    박숙희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55 , 151-170 [2008]
  • 창의성 기법의 적용실태와 문제점에 대한 효과적인 적용방안
    박인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창의성 교육에 관한 유아 교사들의 인식 및 지도 실태
    구광현 김보현 유아교육연구, 32(1), 343-371 [2012]
  • 창의성 교육과 창의적 교사: 핵심개념과 인식분석
    박선형 교육행정학연구, 32(4), 193-227 [2014]
  • 창의성 교육: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과 교 육방법
    성진숙 이혜주 조연순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 창의성 교육, 그 이론과 실제
    김춘일 서울: 교육과학사 [1999]
  • 창의성 개념정립을 위한 탐색적 연구
    김혜숙 송인섭 교육심리연구, 13(3), 93-117 [1999]
  • 창의성
  • 창의ᆞ인성의 특성과 학교에서의 발현을 위한 방안 탐색
    박춘성 창의력교육연구, 10(2), 61-72 [2010]
  • 창의 인성교육 확산을 위한 교사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서울: 저자. 연구보고서, 43(1) [2012]
  • 중학교 교사의 창의적 교수학습방 법이 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경현 김이경 민수빈 한국교원교육연구, 33(3), 165-187 [2016]
  •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실 행에 관한 연구: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서동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 정지은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분석: 창의성의 범주 및 수준을 중심으로
    조연순 영재교육연구, 22(2), 333-352 [2012]
  •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유아들의 의사소통의 의미
    김희태 유 아 교육학논집, 16(4), 303-326 [2012]
  • 자아존중감, 창의적 인성, 그리고 창의적 사 고의 관계
    박숙희 유경훈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1, 127-140 [2011]
  • 일반화 가능도 이론을 적용한 한국판 Wallch 와 Kogan 창의성 검사의 신뢰도 분석
    이인화 한기순 대한사고개발학회, 12, 1-19 [2016]
  • 이성 창의성 하위 요소에 대한 교원의 교육요구 분석
    송미현 장보람 장혜진 조윤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3), 385-405 [2013]
  • 융합형 교 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래영 김정우 신동희 이정민 이종원 이현주 교과교육학연구, 16, 371-398 [2012]
  • 유희원 공공성 강화 방안
    교육부 세종: 교육부 [2018]
  • 유치원 누리교육과정 의사소통 영역과 2009개정 초 등1학년 국어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서옥주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
    교육과학기술부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1]
  •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교육과학기술부 서울:교육과학기술부 [2000]
  • 유치원 교사들의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과 실행에 관한 연구
    한수진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유아종합창의성검사
    전경원 서울: 학지사 [2000]
  • 유아의 확산적 사고 및 정서적 기질과 사회성 발달 과의 관계연구
    민혜영 미래 유아 교육학회지, 10(2) 261-279 [2003]
  • 유아의 창의적 특성과 교육적 시사
    최인수 미래유아교육학 회지, 8(2), 103-129 [2001]
  • 유아의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 프 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선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능력과 유치 원 적응력 간의 관계
    박희숙 정미라 유아교육 보육복지연구, 14(4), 143-168 [2010]
  • 유아의 인지수준과 사회적 유능성이 대인문제 해결 력에 미치는 영향력
    최미숙 유아교육연구, 31(6), 5-24 [2011]
  •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이 사회적 능력에 미치 는 영향
    윤지영 이용주 열린유아교육연구, 9(3), 265-280 [2004]
  •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유진선, 김상림(2018).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 도 분석
    엄은나 한국생활과학회지. 27(3), 179-190 [2006]
  • 유아의 언어, 인지, 사회, 정서발 달과 문제 해결력의 관계
    나혜선 박찬옥 황소영 유아교육학논집, 15(1), 117-140 [2011]
  • 유아의 신체, 인지, 언어, 사회, 정서 발달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김기예 박숙희 아동보육연구, 10(2), 57-74 [2014]
  • 유아의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 향상 프로그램의 효 과
    송수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유아의 공감능력과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 및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간에 관계
    송수희 포괄 영유아 아동교육 지원 연구, 2(2), 1-20 [2014]
  • 유아용 창의적 특성검사 요강
    전경원 서울: 학지사 [2003]
  • 유아영재의 지적능력 진단검사 개발을 위한 기초 연 구
    박충일 진주산업대학교 논문집, 44, 129-137 [2005]
  • 유아를 위한 창의성 활동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최옥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유아를 위한 창의성 교육
    김희태 서울: 교육과학사 [2000]
  • 유아를 위한 비폭력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미래 유능성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권정윤 황인주 유아교육연구, 33(1), 361-387 [2013]
  • 유아기 창의 인성 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관 심 및 실행
    백명자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유아교사의 배려와 의사소통능력이 유아교육기관 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유진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 용 효과
    박옥자 배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유아 창의성 교육과 진단
    김상윤 고양: 공동체 [2006]
  • 유아 의사소통능력 측정척도의 개 발 및 타당화 연구
    김정림 남연정 임승렬 유아교육학논집, 18(5), 53-77 [2014]
  • 유아 누리과정의 활동목표에 나타 난 창의 융합관련 요소분석
    김누리 전경원 조현서 영재와영재교육, 14(1), 289-304 [2015]
  • 유아 교사의 학력에 따른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 인식과 관련 변인들의 관계
    박숙희 영재와영재교육, 9(3), 59-77 [2010]
  • 유아 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이해와 운영 현황. 덕 성여자대학교
    박혜영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유아 교사의 5세 누리과정 실행 수준 및 실행 시 장애 요인에 관한 연구
    태성란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유아 교사들의 창의성 교육에 관한 개념을 인 식하는 과정에 관한 연구
    김리진 장인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4), 25-35 [2017]
  • 유 초등 통계간행물/ 유치원 학생수 현황
    교육통계연보 〔2019 교육통계주요지표포켓북〕 [2019]
  • 유 초등 교육과정 연계 강화를 위한; 연령별 누리 과정 지도중점
    교육부 교육부;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2017]
  • 원서명 Curriculum : Foundations, Principles, and Issues. 교육과정: 기초 원리 쟁점 (장인실, 한혜정, 김인식, 강현석, 손민호, 최호성, 김평국, 이광우, 정영근, 이흔정, 정미경, 하창수 공역). 서울:학지사.(원서 2004
    Hunkins, F. P. Ornstein, A. C. 출판; 2007) [2004]
  • 우리나라 교육 불평등 대처 정책의 우선순 위 설정; 일반 교사를 중심으로 한 Borich 요구도 분석(Needs Analysis)
    김순양 전기우 한국정책연구, 12(3)15 - 45 [2012]
  • 예술교육에서 예술인성교육의 개념
    김수지 김정희 정현주 교육과학연구, 45(1), 53-72 [2014]
  • 예비유아교사의 자아개념, 교사효능감 및 창의적 성격간의 관계
    강순미 유경훈 청소년시설환경, 12(1), 87-96 [2014]
  • 예비 가정과교사의 교수내용지식과 교수효 능감 관련 연구
    김은정 이윤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9(1), 57-70 [2017]
  • 언어문제해결력검사
    배소영 이지희 임선숙 서울: 서울 장애인 종합복지관 [2000]
  •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김영희 문정숙 이순원 미래 유아교육학회지, 19(1), 283-305 [2012]
  • 아동의 창의성과 감성지능에 관한일 고찰
    조성연 사회과학 연구소, 16(1), 395-409 [1997]
  • 아동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디자인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이정아 디자인지식저널, 26, 1-10 [2013]
  • 아동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어머니의 양육태 도 및 아동의 자기 조절능력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김영선 이숙 아동학회지, 36(1), 163-185 [2015]
  • 쌓기놀이에서 또래 상호작용이 유아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박선영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신임교사와 경력교사의 의사결정 교수행동유형 분석 이야기 나누기 시간을 중심으로
    손수연 이화여자학교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4]
  • 새로운 생각은 어떻게 가능한가: 전문분야 창의성에 대한 학습과정 모형 접근
    최인수 최일호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2), 409-428 [2001]
  •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관심 활용도
    한순화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미래지향적 인성교육
    조난심 교육광장, 61(4), 58-61 [2016]
  • 만3∼5세 보육교사의「표준보육과정」인식과 운영 실태
    정수미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만 3,4,5세 유아의 연령별 사회적 능력과 정서조 절전략의 관계
    박화윤 안라리 유아교육연구, 26(4), 351-370 [2006]
  • 또 하나의 교육 창의성
    문정화 하종덕 서울: 학지사 [2005]
  • 다층자료 분석을 활용한 유아의 창의성에 관련된 교 사와 유아변인 탐색
    김 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다변량 일반화 가능도 이론을 통한 인식론 적 신념검사 타당화 연구
    김수란 송인섭 교육방법연구, 24, 107-130 [2012]
  • 니체의 약자의 양심과 주권적 양심에 대한 고찰
    권의섭 철 학논총, 80(2), 69-89 [2015]
  •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특수 교사의 인식과 실행수준 및 프로그램 평가 간의 관계
    이현주 창원대학교대학원 교육학박사 학위논문 [2014]
  •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과 실행 수준 및 만족도
    류아영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누리과정 재정 구조를 통해서 본 유아교육 공교육체제 분석 과 미래 방향
    박은혜 신은수 한국교육, 39(2). 55-78 [2012]
  •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활동목표 및 활동 방 법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 요소 분석
    손수연 이진희 교육과학연구, 47(1), 1-25 [2016]
  • 누리과정 5개 영역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실행 및 평 가에 관한 연구
    안창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누리과정 5개 영역에 기초한 유아 창의성교육 평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인화 인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놀이유형에 나타난 유아의 의사소통전략과 사회적 행동 및 문제해결 능력 분석
    신수경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기다려주는 창의성 교육
    박숙희 수도‧중부권 중등 창의교육 거점센터(동국대) 출처;크레존 https://www.crezone.net [2017]
  •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 과
    김 호 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교육부 고시 제 2015 - 61호
    교육과학기술부 서울: 교육과학 기술부 [2015]
  • 교육과정 재구성 저해 요인 분석을 위한 탐 색
    강현석 방기용 수산해양교육연구, 24(1), 123-135 [2012]
  • 교육과정 실행에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의 내용과 요인 에 대한 연구: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 수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경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교원수급 정책의 진단과 과제
    김병윤 천세영 한국교원교 육연구, 29(4), 467-494 [2012]
  • 교수-학습과 교육공학
    박숙희 염명숙 서울: 학지사 [2007]
  • 교사의 교육과정 관심수준에 기초한 지원처방 효과 연구: 창의적 재량활동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운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광고를 활용한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 용효과
    이예숙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공유 활동을 통한 또래 간 상호작용의 경험이 유아의 협력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차영숙 아동연구, 10(2), 108-124 [2001]
  •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호정 최병연 창의력교육연구, 6(1), 43-72 [2003]
  • Toward a theory of creativity . In S. J. Parnes & H. F. Harding ( Eds ) , A source book for creative thinking ( 63-72
    [1962]
  • Toward a theory of creativity . In A. Rothenberg & C. R. Hausman ( Eds ) , The creativity question ( 296-305 )
    [1976]
  • Toward Creativity : Do Theatrical Experiences Improve Pretend Play and Cooperation among Preschoolers ?
    10 ( 2 ) , 193-207 [2018]
  • Think It-Say It : Improving reasoning and organization skills .
    [1990]
  • The relationship of language and emotion regulation skills to reticence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47 , 637-646 . [2004]
  • The psychology of creativity and discovery: Scientists and their work 창의적인 사람은 무엇이 다를까.(임선하 역). 서울: 도서출판 하우
    Busse, T. V. Mansfield, R. S. (원전 1981년 출판) [1993]
  •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skills in young children
    Creativity , ( 167-188 ) [2013]
  • The effects of an arts education program using picture-books on young children 's creativity
    [2004]
  • The concept of creativity : Prospects and paradigmsHandbook of Creativity
    [1999]
  • The associative basis of the creative process
    69 , 220-227 [1962]
  • The amusement park theory of creativity
    [2005]
  •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 Thinking norms technical manual research edition verbal tests , forms A and B test , forms A and B. Princeton
    [1974]
  •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1983]
  • The Search for Satori & Creativity
    [1979]
  • The Effect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Creativity Education
    5 ( 2 ) , 263-286 [2005]
  • Teaching creativity , In M. Runco , & S. R. Pritzker ( Eds . ) , Encyclopedia of creativity
    [2011]
  • Taking the U. S. patent Office criteria seriously : A quantitative three criterion creativity definition and its implications
    24 , 97-109 [2012]
  • Taking charge of change. 교육과정 신:심에기한 교육과정 실행 모형(김경자역)
    Hall, G. E. Hord, S. M. Hulling, A. Rutherford, W. L. 서울: 교육과학사(원서1987출판) [1993]
  • Solving life problems in occupational Knowledge 3
    [1980]
  • Society ,Culture , and person : A systems view ofCreativity , In R. J. Steinberg ( ed . ) , The Nature ofCreativity , 325-339
    [1988]
  • Runco 창의성 이론과 주제(박숙희, 전경원, 이 경화, 고진영, 김정희, 박춘성, 성은현, 유경훈, 전경남, 최병 연, 하주현, 한순미, 함정현 역)
    Mark A. 서울: (주)시그마프레스 [2009]
  • Prevention of problem behavior by teaching functionalCommunication and self-control skills to preschoolers .
    46 ( 2 ) , 134 . [2013]
  • Predictors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 The link betweenCognitive flexibility ,Compassionate love and level of differentiation
    from http : //www.proquest.com/ [2008]
  • Pre-service and in-service preschool teachers Views regardingCreativity in earlyChildhood education
    12 , ( 184 ) , 1902-1919 [2014]
  • Planning andConducting needs assessments : A practical guide
    [1995]
  • Motivation and Personality
    [1970]
  • Mind in society : The c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
    [1978]
  • Measuring creativity from the child's point of view.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2 (1), 52-61 Mochael, F. & Andy, H. (2013). 학교를 개선하는 교사
    Meeker, M. E. (최의창 역) 서울; 무지개사 [1978]
  • Long term effects of creativity training with middle school students
    8 ( 2 ) , 183-193 [1988]
  • Larrivee , L. S. ( 1995 ) . Preparing preschoolers for the academic and social challenges of school . In M. E. Fey , J. Windsor , & S. F. Warren ( Eds . ) , Communication and language intervention series , 5 . Language in tervention
    [1995]
  • Kindergarten teachers ' concept map analysis about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2003]
  • Is epsilon-aminocaproic acid as effective as aprotinin in reducing bleeding with cardiac surgery ? : a meta-analysis
    99 ( 1 ) :81-89 [1999]
  • Intelligence , creativity and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1970]
  • Incorporating Liquidity Risk into var Models .
    [2000]
  • Inching our way up Mount Olympus : The evolving systems approach to creative thinkingThe nature of creativity , 243-270
    [1988]
  •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41 , 77-79 . [1977]
  • IBSE and Creativity Development
    25 ( 1 ) , 8-18 . [2014]
  • Guildford, J. P. (1950). Creativity. A merican Psychologist, 5, 444-454.
    5 , 444-454 . [1950]
  • Explaining creativity : The science of human innovation
    [2006]
  •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 5th Ed. )
    [2004]
  • Developmental psychology after Piaget : An approach in teams of symbolization
    22 , 77-88 . [1979]
  • Development and Validity-Reliability Study of a Teacher-Child Communication Scale Ed ucational Sciences : Theory and Practice
    12 ( 4 ) , 3165-3172 [2012]
  • Curriculum Implememtation : A Survey of Thacters ’ Level-of-Use The Program and The Six-Year Old and Social Environmental Studies Grade 5-6 . Ontario : Scarborough Board of Education . ( ERIC Document Reproduction
    NO . ED 291612 [1984]
  • Curricuium ; Alternative Approaches , Onging Issues . ( 3rd ed. )
    [2003]
  •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 창의성의 즐거움(노혜숙 역). 서 울: 북로드
    Csikszentmihalyi, M. (원전 1997년 출판) [2003]
  • Creativity in the classroom . In J. C. Kaufman & R. J. Sternberg ( Eds . ) , The Cambridge handbook of creativity , 447–463
    [2010]
  • Creativity in education & learning : A guide for teachers and educators .
    [2001]
  • Creativity in Modern Education
    9 ( 2 ) , 137-140 [2013]
  • Creativity for Whom ? Art Education in the Age of Creative Agency , Decreased Resources , and Unequal Art Achievement Outcomes
    71 ( 6 ) , 34-37 [2018]
  •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1996]
  • Creativity :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1996]
  • Creativity : A Multifaceted Phenomenon , In J. D. Roslansky ( ed ) , Creativity . 20-23 .
    [1970]
  • Creativity , intelligence , and personality
    32 , 439-476 . [1981]
  • Creative giftedness : A multivariate investment approach
    37 ( 1 ) , 7-15 . [1996]
  • Creative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5 , 347-352 . [2014]
  • CPS모형을 활용한 협동미술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대인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이정희 최혜진 교사교육연구, 54(3), 431-446 [2015]
  • Applied imagination ;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creative thinking
    [1953]
  • An Exploration of the Existence , Value and Importance of Creativity Education
    20 ( 1 ) . 1-20 [2017]
  • A reconstruction of Vygotsky 's theory of creativity
    5 ( 1 ) , 49-67 [1992]
  •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on follow-up studies .
    31 ( 1 ) , 39-42 . [1980]
  • A conception of giftedness .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 Eds . ) , Conceptions of gifted ness ( 112-127 )
    [1986]
  • A comparison of two methods of needs assessment : Implications for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28 ( 1 ) , 57-76 [2002]
  •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
    전혜미 숙명여자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 수준 및 프로그램 평가
    손수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 및 인식에 관한 연구
    박지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2학년군 교육과정 및 교사용지도서 연계분석
    허가영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5세 누리과정 실행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 반응 및 요구분석
    권민정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5세 누리과정 내실화를 위한 창의성 교육의 적용사 례와 재구성 연구
    강순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2), 31-51 [2013]
  • 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활동목표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요소 분석
    송규운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1), 39-54 [2013]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교육과학기술부 서울: 교육 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교육과학기술부 서울: 교육 과학기술부 [2012]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 용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5개 영역 및 교사용 지도서 생활주제 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김기은 이재창 홍후조 정기학 술대회 논문집, 17(4), 255-274 [2017]
  • 3-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과 실행 수준과의 관계
    홍혜라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3-5세 교사용 지도서 활동의 창의 성 요소 분석
    송영주 이미란 천희영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305-327 [2015]
  •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
    강선보 고미숙 김귀성 김영래 박의수 송순재 정윤경 고려 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30, 1-38 [2008]
  • 2011 국제표준교육분류 0단계(ISCED)에 기초한 누리과정의 유아교육제도로서의 의미
    박은혜 신은수 유아교육학회 집,16(2), 341-356 [2012]
  • 2009개정 교육과정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체육교사 의 관심과 실행
    김중근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2007년 개정 유치원교육과정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관심과 활용수준
    지효정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2007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공립 유치원 교 사의 관심및 실행: 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서원정 원광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