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1960년대 한국연극의 소통 방식과 현대극으로의 전환

박미란 2019년
논문상세정보
' 1960년대 한국연극의 소통 방식과 현대극으로의 전환'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동양3국 문학
  • 1960년대 연극, 소통 방식, 수행성, 양식, 미학, 현대극, 무대 언어, : theater in the 1960s, communication styles, performativity, theater mode, aesthetics, modern drama, stage language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92 0

0.0%

' 1960년대 한국연극의 소통 방식과 현대극으로의 전환' 의 참고문헌

  • 차경아 역, 『서사극이론-현대드라마의 구조』
    Marianne Kesting 문예출판사 [1996]
  • 정하연 작, <환상살인>, 국립극단 공연대본
    (아르코예술기록원 소장)
  • 실험극장 제1회 실험무대 <수업> 팜플렛
  • 신현숙·윤학로 역, 『연극학사전』
    Patrice Pavis 현대미학사 [1999]
  • 신현숙 유효숙 역, 『관객의 학교』
    Anne Ubersfeld 아카넷 [2012]
  • 신현숙 역, 『연극기호학』
    Anne Ubersfeld 문학과지성사 [2001]
  • 신소영 역, 『배우의 철학』
    Georg Simmel 연극과 인간 [2010]
  • 송동준 역, 『현대 드라마의 이론』
    Peter Szondi 탐구당 [1983]
  • 서지영 대담·전무송 구술채록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2015]
  • 서지영 대담·오현경 구술채록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2011]
  • 서지영 대담·권성덕 구술채록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2010]
  • 배수경 대담·이순재 구술채록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사료관 [2018]
  • 박혜란 역, 『플롯 찾아 읽기: 내러티브의 설계와 의도』
    Peter Brooks [2012]
  • 박영정 대담·백성희 구술채록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2006]
  • 문경연 대담·노경식 구술채록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2010]
  • 문경연 대담·김의경 구술채록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2011]
  • 김영무 엮음, 한국 동인극단 50년사
    지성의샘 [2010]
  • 김성희 대담·차범석 구술채록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2004]
  • 김성희 대담·전세권 구술채록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2013]
  • 김성희 대담·김정옥 구술채록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굴예술디지털아카이브 [2007]
  • 김성호 대담·최창봉 구술채록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2006]
  • 김미혜 옮김, 『20세기 연극』
    Manfred Brauneck 연극과인간 [2000]
  • 김남석 엮음, 『연극의 정석: 백성희의 삶과 연극』
    연극과 인간 [2015]
  • 김기선 옮김, 『서사극 이론』
    B. Brecht 한마당 [1992]
  • 김기란 역, 『포스트드라마 연극』
    Hans-Thies Lehmann 현대미학사 [2013]
  • 국립극단 51회 공연 『환절기』공연 프로그램
  • 국립극단 34회 공연 <결혼중매> 팜플렛
  • 『해방된 관객』, 양창렬 옮김
    Jacques Ranci re 현실문화 [2017]
  • 『해방기 연극 연구』
    이석만 태학사 [1996]
  • 『자유극장 10년지』
    극단 자유극장 극단 자유극장 [1976]
  • 『오태석 공연대본전집』2, 서연호 장원재 공편
    오태석 연극과 인간 [2003]
  • 『오태석 공연대본전집』1, 서연호 장원재 공편
    오태석 연극과 인간 [2003]
  • 『무지한 스승: 지적 해방에 관한 다섯 가지 교훈』, 양창렬 옮김
    Jacques Ranci re 궁리 [2008]
  • 『감성의 분할』, 오윤성 옮김
    Jacques Ranci re 도서출판 b [2012]
  • 『1960년대 현실과 이데올로기』
    백로라 연극과 인간, [2004]
  • 「한국 현대 무대미술 변천과정 연구: 1950년대부터 현대를 중심으로」
    이루현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한국 모더니즘 희곡 연구: 1960년대를 중심으로」
    김영학 조선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00]
  • 「처세,교양,실존 –1960년대의 “자기계발”과 문학문화」
    천정환 『민족문학사 연구』40, 민족문학사학회, [2009]
  • 「영화 로맨스 빠빠의 아버지상 연구」
    박세다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연극전문비평과 연극학 형성기의 계간 『연극』의 의미」
    이진아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한국예 술연구』22 [2018]
  • 「배우 전무송 연기에 관한 연구」
    전현아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 「근대적 예술관으로서의 한국연극미학의 형성-“연극예술”과 “실재(현 실)”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진아 한국드라마학회, 『드라마연구』34 [2011]
  • 「1970년대 마당극 연구」
    김현민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93 [1993]
  • 「1960년대 희곡의 정치적 무의식과 알레고리: 박조열, 신명순, 윤대성 을 중심으로」
    박명진 『한국극예술연구』11, 한국극예술학회, 2000 [2000]
  • 「1960년대 한국 희곡문학에 나타난 `서술자`의 양상과 의미」
    원보름 『한국 어와 문화』22,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7]
  • 「1960년대 이근삼 희곡에 나타난 아이러니 연구」
    박영정 『새국어교육』Vol. 61 No. 1, 한국국어교육학회, [2001]
  • 「1960년대 에세이즘 연구」
    안수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1960년대 라디오 홈드라마의 형성과 작품특성」
    문선영 『한국극예술연구』 33, 한국극예술학회, 2011 [2011]
  • 「1960년대 가족 드라마의 형성과정과 제 양상 연구」
    이길성 중앙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06]
  • 「1960년대 ‘연극대중화’ 운동과 ‘대중’ 담론」, 『인문언어』11
    백로라 국제언 어인문학회 [2009]
  • 「1960-70년대 한국희곡의 비사실주의적 전개 양상」
    정우숙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 「1960-70년대 한국 모더니즘 희곡 연구」
    이승현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1950년대 연극과 신협의 위치」
    김옥란 『한국문학연구』34, 동국대학교 한 국문학연구소, 2008 [2008]
  • 「1950년대 소극장운동과 원각사」
    정호순 『한국극예술연구』12, 한국극예술 학회, [2000]
  • 「1950년대 대학과 “교양” 독자」
    서은주 『한국현대문학의 연구』40, 한국문 학연구학회, [2010]
  • 「1950~60년대 연극의 아마추어리즘 비판과 전문화 추구의 의미」
    박미란 『한국극예술연구』50, 한국극예술학회, 2015 [2015]
  • 「1950-60년대 한국연극에서의 전통담론 연구」
    백현미 『한국연극학』14, 한 국연극학회, [2000]
  • 「1950-60년대 한국 연극에 나타난 화술 인식과 무대 언어의 변화」
    박미란 『한국극예술연구』64, 한국극예술학회, 2019 [2019]
  • 「1930년대 한국 신극운동의 전개과정과 담론구조」
    이광욱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