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고등학교장의 교육과정리더십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 High School Principal’s Curriculum Leadership

김지선 2019년
논문상세정보
' 고등학교장의 교육과정리더십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 High School Principal’s Curriculum Leadership'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육과정 리더의 역할
  • 교육과정 리더의 영향력
  • 교육과정 리더의 특성
  • 선택중심 교육과정
  • 학교장의 교육과정리더십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9 0

0.0%

' 고등학교장의 교육과정리더십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 High School Principal’s Curriculum Leadership' 의 참고문헌

  • 한국교육행정론
    김용 송경오 이종재 이차영 경기: 교육과학사 [2015]
  • 한국과 영국의 학교장자격 연수과정 비교
    김혜진 주철안 교사교육연구, 51(3), 535-554 [2012]
  • 한국과 미국의 학교장 양성과 전문직적 능력개발에 관한 비교연구
    주삼환 한국교원교육연구, 21(3), 393-413 [2004]
  • 학제 개편과 교육과정: 쟁점과 그 해결 가능성
    김용 교육행정학연구, 24(4), 289-311 [2006]
  • 학생 선택 진로별 교육과정. 학생 선택 진로별 교육과정의 대해부
    김연 2018 년 10월 한국교육과정학회 월례학술세미나자료집 [2018]
  • 학교중심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한 학교장의 교육과정리더십 연구
    이병진 숙명리더십연구, 4(2), 127-146 [2006]
  • 학교중심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TQM 적용가능성 논의
    권동택 이정표 이주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3), 113-132 [2013]
  •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의의와 개발 운영을 위한 과제
    김춘일 교육과정연구, 12, 17-38 [1993]
  • 학교중심 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윤남순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7]
  •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의의 : 구성주의적 관점
    권낙원 민용성 학습자중 심교과교육연구, 2(2), 167-184 [2002]
  • 학교장의 역할과 혁신의 리더십
    노순규 서울: 한국기업경영연구원 [2011]
  • 학교장의 리더십 개선 방안 연구
    김갑성 김도기 김이경 서근원 서울: 한 국교육개발원 [2006]
  • 학교장의 교육지도성이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논문
    허순만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7]
  • 학교장의 교육과정리더십
    함수곤 한국교원대학교 종합교육연수원 [2012]
  • 학교장의 교육과정 지도성 요인 및 수행 수준. 박사학위논문
    장두기 경남대 학교 대학원 [2001]
  • 학교장의 교육과정 지도성 구인 분석
    박경희 장두기 최호성 교육이론과 실천, 12(2), 71-85 [2002]
  • 학교장의 교육 과정 관리
    함수곤 한국교원대학교 종합교육연수원 [2001]
  • 학교단위교육과정결정 모형탐색 및 실천 과제
    김소동 교육행정학연구, 22(1), 1-26 [2004]
  • 학교경영론
    정태범 충북: 협신사 [1998]
  • 충남삼성고등학교 교육과정운영계획서
    충남삼성고등학교 [2018]
  • 초등학교조직의 질 관리를 위한 학교장의 교육리더십 통합 모형 개발
    권동택 초등교육연구, 20(3). 425-447 [2007]
  •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Ⅰ)-총론, 재량활동-.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에 따른
  • 초등학교 교원이 인식한 교장의 교육과정 지도성. 박사학위논문
    이혜성 인천 대학교 대학원 [2008]
  •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리터러시에 관한 실제적 접근. 박사학위논문
    김세영 한 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 초등 및 중학교 교사가 지각한 교장의 교육과정 지도성과 교사의 역 량증진감 사이의 관계 분석. 석사학위논문
    구본길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 초등 교사가 지각한 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과 학교 교육과정 질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최윤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교육부 교육 부 [2015]
  • 창의성을 일깨우는 학교 교육 과정의 편성과 운영
    이경환 교육부 [1994]
  • 질적연구방법론Ⅰ-Bricoleur
    김영천 경기: 아카데미프레스 [2017]
  • 질적 연구의 타당성 문제에 대한 고찰
    이혁규 교육인류학연구, 7(1), 175-210 [2004]
  • 질적 연구의 윤리
    신옥순 초등교육연구, 14(2), 105-117 [2001]
  •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 진학계 고교에서 진로별 교육과정 구현을 위한 학교장의 리더십 연 구. 석사학위논문
    박서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 주요국의 학교장 연수 프로그램 비교 연구
    권동택 김현욱 신문승 비교교 육연구, 19(3), 159-178 [2009]
  • 좋은 학교를 넘어 위대한 학교로
    박하식 서울: 글로세움 [2009]
  • 조직행동론
    박내회 서울: 박영사 [2006]
  • 이젠 세계인으로 키워라
    박하식 서울: 글로세움 [2006]
  • 유치원 원장의 교육과정 지도성 요인과 수행 수준: 국․공립 단설 유 치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권경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 신뢰받는 학교의 7가지 미덕
    한홍진 서울: 도서출판 두남 [2012]
  •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과 교사의 유치원교육과정 실행과 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배현수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 미래지향적 교육공동체 - ‘좋은 학교’를 지향한 한 서설적 논의 -
    허병기 교 육과학연구, 8(4), 147-158 [2004]
  • 미국과 영국의 교장 양성 및 자격 프로그램 분석
    김도기 이쌍철 정성수 비교교육연구, 17(3), 217-240 [2007]
  • 내러티브에 기반한 교육과정 리더십 모형 개발의 예비적 탐색
    이윤복 내러 티브와 교육연구, 2(2), 5-25 [2014]
  • 글로벌 인재 만들기 학교가 답이다
    박하식 서울: 글로세움 [2013]
  • 글로벌 교육 마이더스의 손, 충남삼성고 박하식 교장(철학76)
    숭실 피플 [2015]
  • 국내 고교의 국제공인 교육과정(IBDP)의 도입 및 실행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박하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 국가 교육과정의 기본 가치. 학교리더십과 교장의 역할Ⅱ. 2018년도 제5차 초등교장 자격연수집
    김대현 충북: 한국교원대학교 종합교육연수원 [2018]
  • 교장 자격연수 교육에 대한 교육행정학 지 식 기반의 반성과 과제
    권순형 김도기 문영빛 문영진 교육행정학연구, 34(1), 47-71 [2016]
  • 교육행정학원론 5판
  • 교육행정학원론
  • 교육행정학신강
    김종철 서울: 세영사 [1994]
  • 교육행정학, 2판
    정태범 경기: 양서원 [2004]
  • 교육행정학, 1판
    정태범 경기: 양서원 [1998]
  • 교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김종철 이종재 서울: 교육과학사 [1997]
  • 교육행정․경영 신론
    김윤태 서울: 배영사 [1994]
  • 교육행정 및 학교경영의 이해
    김재웅 이윤식 진동섭 경기: 교육과학사 [2007]
  •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김달효 서울: 학지사 [2011]
  • 교육행정 및 교육 경영
  • 교육조직의 리더십: 교육력과 인간화를 지향하며
    허병기 교육행정학연구, 21(1), 95-121 [2003]
  • 교육의 목적과 난점 7판
    이홍우 경기: 교육과학사 [2016]
  • 교육연구에서의 질적 자료의 분석. 이용숙․김영천,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이용숙 서울: 교육과학사. 107-186 [1998]
  • 교육리더십
    이병진 서울: 교육과학사 [2003]
  • 교육과정 장학의 이론과 실제
    김찬재 함수곤 서울: ㈜중앙교육진흥연구소 [2007]
  • 교육과정 리더십을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과 해석
    한민철 통합교육과정연구, 12(4), 153-170 [2018]
  • 『질적연구방법론Ⅴ.Data Analysis』
    김영천 정상원 경기: 아카데미프레스 [2017]
  • 『교육과정 개발의 원리』
    이성호 서울: 학지사 [2004]
  • ․이건만 21C 학교의 학교장을 위한 교육과정 중심 학교 경 영 핸드북
    김종건 백종억 경기도교육청 [2003]
  •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연구자와 연구대상자의 관계”
    홍용희 교육과학연구, 28, 113-129 [1998]
  • [학교와 교실] 충남삼성고등학교, 미래 교육 혁신의 중추
    월간교육 [2017]
  • [2018광역자사고] 비서울 11개교 1.01대 1 ‘하락’ .. 충남 삼성 ‘최고’
    베리타스 알파 [2017]
  • What is leadership in curriculum?(2014, October 3).
    Wiggins, G. http://inservice.ascd.org/what-is-leadership-in-curriculum/ [2014]
  • The Social Ventre Network Series: True to yourself: Leading a values-based business, 김민주, 송희령 역. (2007). 미래 기업의 3C 경영
    Albion, Mark. 서울: 프라임 [2006]
  • The Breakthrough Company, 권양진 역. (2009). 브레이크 스루 컴퍼니
    McFarland, K. R. 서울: 김영사 [2008]
  • Talmage, H. (1985). Evaluating the Curriculum: What, Why and How. National Association for Secondary School Principals, 1-8.
  • Sorenson, R. D., Goldsmith, L. M., Méndez, Z. Y., & Maxwell, K. T. (2011). The principal’s guide to curriculum leadership. CA: Corwin.
  • Saylor, J. G., Alexander, W. M., & Lewis, A. J. (1981). Curriculum planning for better teaching and learning, 4th. NY: Holt, Rinehart and Winston.
  • Qualitative Researching. 김두섭 역(2010). 『질적 연 구방법론』
    Mason, J. 경 기: 나남 [2002]
  •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2th, 조흥식․정선 욱․김진숙․권지성(역). (2011). 질적 연구방법론 2판
    Creswell, J. W. 서울: 학지사 [2007]
  • Participant observation, 이희봉(역). (1988).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
    Spradley, J. P.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0]
  • Pajak, E., & McAfee, L. (1992). The principals as school leader, curriculum leader. National Association of Secondary School Principals, 76(547), 21-30.
  • Organizational Psychology, 3th, 정재훈(역). (1984). 조직심리 학 3판
    Schein, E. H. 인천: 인하대학교 출판부 [1980]
  • Oliva, P. F. (1982). Developing the Curriculum.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 Merriam, S. B. (2009).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 Macpherson, I., & Brooker, R. (2000). Positioning Stakeholders in Curriculum Leadership: How can teacher educators work with teachers to discover and create their place? Asia-Pacific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8(1), 69-85.
  • Lunenburg, F. C., & Irby, B. J. (2006). The Principalship: Vision to Action. USA: Thomson Wadsworth.
  • Lofland, J., & Lofland, L. H. (1995). Analyzing Social Settings: A Guide to Qualitative Observation and Analysis.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Inc.
  • Lee, J. C., & Dimmock, C. (1999). Curriculum leadership and management in secondary school: A Hong Kong case study. School Leadership & Management, 19(4), 455-481.
  • Leadership: Theory and practice 7th, 김남현(역). (2018). 리더십: 이론과 실제
    Northouse, P. G. 서울: 경문사 [2016]
  • Leadership on Organizations, 8th, 강정애․이상욱․이상호․ 이호선․차동욱(역). (2014). 현대조직의 리더십 이론
    Yukl, G. A. 서울: (주) 시그마프레스 [2013]
  • Leaders: the strategies for taking charge, 3th, 김원석(역). (2008). 워렌 베니스의 리더와 리더십
    Bennis, W. G. Nanus. B. 서울: (주)황금부엉이 [2003]
  • K외고 박하식 교장, “대학이 고교 교육을 배워라.”
    유스라인 [2012]
  • Kelman, H. C. (1958). Compliance, identification, and internalization: three processes of attitude change.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2, 51-56.
  • Karmel, B. (1978). Leadership: A challenge to traditional research methods and assump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3), 475-482.
  • Jackson, P. W. (1992). Conceptions of Curriculum and Curriculum Specialist. In P. W. Jackson(ed.), Handbook of Research on Curriculum. N.Y.: Macmillan, 3-40.
  • Hallinger, P., & Murphy, J.(1985). Assessing the instructional management behavior of principals. Elementary School Journal, 86(2), 217-247.
  • Glatthorn, Allan A. (1987). Curriculum Leadership. Glenview, ILL.: Scott, Foresman and Company.
  •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9th, 오영재․신현석․양성관․박종필․가신현(역). (2013). 교육행정 - 이론, 연구, 실제
    Hoy, W. K. Miskel, C. G. 경기: 아카데미프레스 [2013]
  • Earley, P. C., & Lind, E. A. (1987). Procedural justice and participation in task selection: The role of control in mediating justice judgm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1148-1160.
  • Dematthews, D. E. (2014). How to Improve Curriculum Leadership: Integrating Leadership Theory and Management Strategies. Clearing House, 87, 192-196.
  • Curriculum Leadership: Strategies fo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2th, 강충열․정광순․유위 준(역). (2011). 교육과정 리더십: 개발과 실행 전략
  • Cohen, D. (1985). Curriculum Decision Making, School-Based. Husen, T. & Postlethwaite, T. N.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 research and studies, Vol. 2, 1157-1160.
  •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5th, 신경식․서아 영(역). (2016). 사례 연구방법
    Yin, R. K. 서울: 한경사 [2009]
  •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A Qualitative Approach, 2th, 허미화(역). (1997). 질적 사례 연구법, 2판
    Merriam, S. B. 서울: 양서원 [1988]
  • Case Study Methodology in Business Research, 안동 윤․이희수(역). (2017). 직접해보는 사례 연구
    Dul, J. Hak, T. 서울: ㈜ 피와이메이트 [2008]
  • Brubaker, D. L. (1994). Creative Curriculum Leadership. CA: Corwin Press, Inc.
  • Bradely, L. H. (1985). Curriculum Leadership and Development Handbook. US: Prentice-Hall, Inc.
  • Benthul, H. F. (1979). Competencies that principals need for leadership in curriculum development. Catalyst for Change, 8(3), 18-19, 31.
  • Ashforth, B. E., & Mael, F. (1989). Social identity theory and the organ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4: 20-39.
  • 6차 국민학교 총론 교육과정 해설서
    교육부 교육부 [1992]
  • 2019학년도 신입생 입학전형 요강
    충남삼성고등학교 [2018]
  • 2018서울대수시톱30.. ‘돌풍’ 하나고 57명‘정상’
    베리타스 알파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