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다카라즈카[宝塚] 재일조선인 공동체의 변화와 지역사회 재정착운동 = The change in the Commun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local resettlement movement in Takaratuka

정계향 2019년
논문상세정보
' 다카라즈카[宝塚] 재일조선인 공동체의 변화와 지역사회 재정착운동 = The change in the Commun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local resettlement movement in Takaratuka'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다카라즈카
  • 민족공동체
  • 재일 조선인
  • 재정착운동
  • 지역사회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90 0

0.0%

' 다카라즈카[宝塚] 재일조선인 공동체의 변화와 지역사회 재정착운동 = The change in the Commun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local resettlement movement in Takaratuka' 의 참고문헌

  • 한승동 譯, 『재일조선인–역사, 그 너머의 역사』
  • 윤건차/박진우 외 譯, 『자이니치의 정신사』
    한겨레출판 [2015]
  • 서경식/형진의 역, 『역사의 증인 재일조선인』
    반비 [2012]
  • 金慶海/정희선 외 譯, 『1948년 한신교육투쟁』
    경인문화사, [2006]
  • 特定非營利活動法人 宝塚市國際交流協會 홈페이지 (http://www.tifa.be)
  • 『우리고장 たからづか』
    大阪国際理解教育研究センター 宝塚市市民部同和對策 課 [1999]
  • 『대를이어 빛내리라 40년의 발자국–學校創立40周年記念集』
    宝塚朝鮮初級學校, ツツジ印刷 [1986]
  • 『구술사 방법과 사례』
  • 『民團50年史』
    在日本大韓民國居留民團編輯委員會 서울新聞社 出版事業局 [1997]
  • 『朝鮮月報』 별책
    姜在彦 [1975]
  • 『協和事業彙報』 제1권 제3호
    中央協和會, 쇼와14년 11월
  • 『協和事業彙報』 제1권 제2호
    中央協和會, 쇼와14년 10월
  • 『協和事業』 제2권 제5호
    中央協和會, 쇼와15년 6월
  • 「해방 직후 재일조선인사회의 ‘공익’옹호운동(1945~1947)-재일본조선인 연맹의 재산세투쟁을 중심으로」
    강정훈 『한일민족문제연구』32
  • 「한국근대사연구의 ‘문화사적 전환’ -역사대중화, 식민지 근대성, 경험세계 의 역사화」
    허영란 『민족문화연구』53 [2010]
  • 「지방사를 넘어, 지역사로의 전환-한국 근대 징겨사 연구의 현황과 새로 운 모색」
    허영란 『지방사와 지방문화』20(2) [2017]
  • 「전후 일본의 재일조선인 법적지위에 대한 정책-1991년 “특별영주”제도 를 중심으로」
    김광열 『한일민족문제연구』7, [2004]
  • 「전후 일본 지방자치제도 개정의 쟁점과 의미 - 1946년 지방제도 개정과 1947년 지방자치제도 제정을 중심으로」
    이진원 『일본학보』105, [2015]
  • 「일제하 재일조선인의 차가난(借家難)에 대한 연구:1920~30년대를 중심 으로」
    전기호 『경제연구』12, [1996]
  • 「다카라즈카 한국소학교 사료」
    渡辺正恵 追手門學院大學偏執, 『追手門學院大學 經濟 經營論集』9 [2012]
  • 「구술과 문헌의 경계를 넘어서」, 『(한국사연구지원보고자료집8)현황과 방법 : 구술 구술자료 구술사』
    허영란 국사편찬위원회 [2004]
  • 「경계의 균열, 공생(共生)의 문화변용 – 민족축제 ‘마당’을 통해본 교토(京 都) 히가시쿠조(東九条)의 역사성과 장소성」
    이정은 『사회와 역사』97 [2013]
  • 「在日韓國 朝鮮人の現狀と課題」
    徐龍達 『일본학』3 [1984]
  • 「在日韓國 朝鮮人の地方自治體參政權」
    徐龍達 『일본학』8 [1989]
  • 「在日朝鮮人の歷史を地域から見る-可能性と意義」
    外村大 전남대학교 세계한 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2), 2011 [2011]
  • 「‘협화회(協和會)’ 연구의 성과와 과제」
    木村健二 『한일민족문제연구』34 [2018]
  • 「1948년 阪神敎育鬪爭은 우리말을 지키기 위한 鬪爭」
    金慶海 『한일민족문제연 구』, [2008]
  • 「1920년대 일본지역 조선인노동동맹회 연구」
    정혜준 『한국민족운동사연구』 18, [1998]
  • 《定期支部大会》 자료집
    在日大韓民國居留民團 兵庫県宝塚支部